연습장:Sindan/3: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26번째 줄: 126번째 줄:


{{-}}
{{-}}
== 위명국 ==
{{글 숨김}}
{{민국 38}}
{| class="wikitable" style="border:2px solid #bc032f; max-width:450px; color:#000; float:right;"
|-
! colspan="2" style="width:450px; background:#bc032f; color:#fff;" | {{large|명국}}<br>{{후리가나|明國|míngguó}} <nowiki>|</nowiki> {{후리가나|明國|ㄇㄧㄥˊ ㄍㄨㄛˊ}} <nowiki>|</nowiki> {{후리가나|明国|めいくに}}<br>State of Ming <nowiki>|</nowiki> Mingkuo
|-
! colspan="2" style="background:#e0e0e0;" |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20px|link=]] <small>일본 제국의 괴뢰국</small>
|-
! width=50% style="height:150px;" | [[파일:위명국 국기.svg|150px]]
! style="height:110px;" | [[파일:위명국 국장.svg|110px]]
|-
! style="background:#bc032f; color:#fff;" | 국기
! style="background:#bc032f; color:#fff;" | 국장
|-
| align=center colspan="2" style="color:#bc032f;" | '''王道政治<br>왕도정치'''
|-
! colspan="2" style="background:#fff; color:#fff;" | [[파일:위명국 위치.png|300px]]
|-
! colspan="2" style="background:#bc032f; color:#fff;" | 1940년 ~ 1945년
|-
! style="background:#bc032f; color:#fff;" | 성립 이전
! style="background:#bc032f; color:#fff;" | 멸망 이후
|-
! style="background:#b0313f; color:#fff;" | 중화민국 임시정부
! rowspan="2" style="background:#000095; color:#fff;" | [[중국 (민국 38)#북벌과 중국의 통일, 국민정부|{{글씨 색|#fff|중화민국 국민정부}}]]
|-
! style="background:#b0313f; color:#fff;" | 중화민국 유신정부
|-
! colspan="2" style="background:#bc032f; color:#fff;" | 국가 정보
|-
| colspan="2" |
{| class="wikitable" style="color: #000; margin: -5.5px -10px; text-align: left; width: calc(100% + 20px);"
|-
! width=30% style="background:#bc032f; color:#fff;" | 이칭
| '''위명국, 위명정권'''<br>偽明國, 偽明政權<ref>한국을 제외한 한자문화권 국가에서는 할 위의 정자형이 '''為'''이기에 '''僞'''가 아닌 '''偽'''라고 쓴다.</ref>
|-
! style="background:#bc032f; color:#fff;" | 국가
| [https://www.youtube.com/watch?v=KrSz4cKoWSU 일심가]<br>[https://www.youtube.com/watch?v=V4JcxHgvWlg 동아민족행진곡]
|-
! style="background:#bc032f; color:#fff;" | 국화
| [[코스모스]]
|-
! style="background:#bc032f; color:#fff;" | 위치
| 중국 동부 해안 일대
|-
! style="background:#bc032f; color:#fff;" | 수도
| [[난징시 (민국 38)|경사]]<ref>京師, 서울이나 교토와 마찬가지로 '수도'라는 뜻이며 발음은 징쉬.</ref><ref>현재의 '''난징'''.</ref>
|-
! style="background:#bc032f; color:#fff;" | 정치 체제
|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왕도정치<ref>명국 국제 1조:명국은 명국의 황제가 국가의 원수가 되어 통치하는 군주국이다. 명국의 황제는 신민에 대한 왕도정치를 기조로 하여 국가를 통치한다.</ref><sup>(명목상)</sup>{{구분선}}과두제, 일당제, 문민독재<sup>(사실상)</sup>
|-
! style="background:#bc032f; color:#fff;" | 황제<br><small>(국가원수)</small>
| [[주융린 (민국 38)|화영제]]({{후리가나|華瑛帝|ㄏㄨㄚˊ ㄧㄥ ㄉㄧˋ}})
|-
! style="background:#bc032f; color:#fff;" | 정부수반
| 내각원장
|-
! style="background:#bc032f; color:#fff;" | 역대 내각원장
| 량훙즈(梁鴻志)<sup>(제1대)</sup><br>쑤시원(蘇錫文)<sup>(제2대)</sup><br>쑹정밍(宋正明)<sup>(제3대 <nowiki>|</nowiki> 말대)</sup>
|-
! style="background:#bc032f; color:#fff;" | 통치기관
| 내각원<sup>(명목상)</sup>, 신민회(臣民會)<sup>(사실상)</sup>
|-
! style="background:#bc032f; color:#fff;" | 연호
| 화영({{후리가나|華瑛|ㄏㄨㄚˊ ㄧㄥ}})
|-
! style="background:#bc032f; color:#fff;" | 언어
| [[중국어]], [[일본어]]
|-
! style="background:#bc032f; color:#fff;" | 연호
| [[한자]], [[가나 문자]]
|-
! style="background:#bc032f; color:#fff;" | 종교
| [[유교]], [[불교]], [[도교]], [[기독교]]
|-
! style="background:#bc032f; color:#fff;" | 민족
| [[한족]]
|-
! style="background:#bc032f; color:#fff;" | 화폐
| [[일본국 엔 (민국 38)|일본 엔]], 중앙집행은행 폐(幣)<ref>주로 엔화가 통용되었으며 이외에도 소량의 은화가 유통되었다고 하나 확실하지는 않다.</ref>
|-
! style="background:#bc032f; color:#fff;" | 현재 국가
| {{국기나라|중국 (민국 38)}}
|-
|}
|}
{{목차}}
== 개요 ==
'''명국(明國)''' 또는 '''위명정권(偽明政權)'''은 상하이의 사업가이던 [[주융린 (민국 38)|주융린]]이 일본군에 협력하여 1940년 중화민국 임시정부와 유신정부를 통합하여 만들어진 일본 제국의 괴뢰정권이다. 수도는 경사(난징시)였다. 주융린은 스스로 황제가 되어 일본 제국과의 화친과 반공, 왕도정치를 내세웠으나 전쟁에서 일본 제국이 불리해지자 자연스럽게 위명국 역시 쇠퇴하였고, 1945년 카보네이드 작전의 결과 일본군이 중국 전역에서 패배하자 그대로 해체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 상세 ==
푸젠성 출신의 사업가 주융린은 신해혁명 이전의 청소년기부터 반청복명적인 사상을 가지고 있었고 언젠가는 명황실이 복위되어 자신이 새로운 명나라의 황제가 되어야 한다는 소명을 가지고 있었다. 초기에 그는 푸젠과 장쑤성 일대에서 사업을 하며 반공주의와 한족 민족주의 성향이 있는 국민당을 지지하였으나 장제스가 선통제의 청나라 소조정을 복구시켜주자 분노하여 국민당과의 협력관계를 단절해 버렸다. 이후 일본군이 파죽지세로 중국 본토로 밀고 들어오자 국민정부가 얼마가지 못할 것이라고 판단한 주융린은 일제에 협력하며 이권을 챙기기 시작했다.
한간의 길을 걷게 된 주융린은 북양정부 당시 중의원 의원을 지냈던 아버지의 후광을 등에업고 정계에 입문하여 중화민국 유신정부의 국가총재직에 취임하였다. 그러나 그는 거기서 만족하지 않고 평소부터 흠모하던 황제의 자리에 오르기를 원했다.
----
{{각주}}
[[분류:민국 38/역사]]
{{글 숨김 끝}}

2023년 4월 16일 (일) 22:38 판

신단
관련문서
[ 펼치기 · 접기 ]
세계관 민국 38 · 르메이 장군의 유산 · 황혼 · 카게사가시
영광이 다시 오길 · 빌레펠트
연습장 연습장 ( 1 · 2 · 3 · 4 · 5 )

틀:휘성


틀:역대 휘성국 수대신 (휘성)


역임한 지위
[ 펼치기 · 접기 ]

제nn대 휘성국 수대신
림병진
林炳進 | Lim Byung Jin
출생 1958년 6월 21일(1958-06-21) (66세)
휘성 문천현
현직 제nn대 휘성국 수대신
제nn대 휘성국 총참모관부 의장
제n대 유신회 총재
재임 기간 제nn대 수대신
2017년 4월 21일 ~ 현직
제nn대 총잠모관부 의장
2017년 4월 21일 ~ 현직
제nn대 육군참모관부 의장
2015년 9월 7일 ~ 2017년 2월 15일
서명
[ 펼치기 · 접기 ]
부모 아버지 림근택[1]
어머니 삼영자[2]
형제자매 형 림형진[3], 림광진
누나 림숙자[4]
남동생 림현진, 림황진[5]
여동생 림복순[6], 림영숙
배우자 천명희
학력 도쿄부립 제4중학교 (졸업)
제일고등학교 (졸업)
도쿄대학 법학부 (법학 / 학사)
신체 약165cm[7]
소속 정당 자유당
소속 파벌 내무군벌[8]
약력 고등문관시험 합격
내무성 인사과장
궁내청 차장
제35대 돗토리현 지사 (관선)
초대 육상막료장
초대 통합막료장
제59대 내각총리대신
제60대 내각총리대신
제61대 내각총리대신
일본주택공단 총재
일본적십자사 사장
자유당 부총재
수훈 훈1등 서보장
훈1등 욱일대수장
정3위
군사 경력
복무 경찰예비대
1950년 10월 9일 ~ 1952년 6월 30일
일본국 국방군
1952년 7월 1일 ~ 1960년 12월 16일
최종 계급 경찰감 (경찰예비대)
육장 (국방군)
최종 보직 통합막료회의 의장
주요 보직 경찰예비대 중앙본부장
경찰예비대 총감
보안청 제1막료장
육상막료장
통합막료장
참전 남부 빨치산 토벌전
공식 초상화

개요



  1. 제3대 문천현지사와 휘성국 입법의원등을 역임하였다.
  2. 사단법인 휘생애국애족부인연맹회 문천연합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3. 관제신문인 "국민역량"의 주필을 역임하고 있다.
  4. 대만계 남성 왕자오밍과 결혼한 이후 대만으로 귀화하였다.
  5. 중국공산당-유신회 우호협력위원장을 지냈으나 과도한 친중행위로 인해 제명되었고 현재 죽림 제2교도소에 수감되어 있다.
  6. 사단법인 휘생애국애족부인연맹회 중앙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고 있다.
  7. 이 사진을 보면 원근감을 감안했을 때 155cm인 요시다 시게루 전 총리보다 10cm 이상은 커보인다.
  8. 일본 국방군 내 경찰 및 내무관료 출신 인원들을 일컫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