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장) |
(→서수한치시기) |
||
28번째 줄: | 28번째 줄: | ||
|- | |- | ||
! style="height:150px" | [[파일:대한제국 국기.svg|140px|link=태극기]] | ! style="height:150px" | [[파일:대한제국 국기.svg|140px|link=태극기]] | ||
! [[파일: | ! [[파일:대한제국 정부 휘장.png|x100px|link=동이총독부 (1925)]] | ||
|- | |- | ||
! width=50% style="background:#FFF; color:#29176E" | [[태극기|{{color|#29176E|국기}}]] | ! width=50% style="background:#FFF; color:#29176E" | [[태극기|{{color|#29176E|국기}}]] | ||
40번째 줄: | 40번째 줄: | ||
|- | |- | ||
! style="background:#FFF; color:#29176E" | 성립 이전 | ! style="background:#FFF; color:#29176E" | 성립 이전 | ||
! style="background:#FFF; color:#29176E" | | ! style="background:#FFF; color:#29176E" | 해체 이후 | ||
|- | |- | ||
! | ! style="background:#B0313F; color:#FFF" | 덕천 막부 | ||
! style="background:#C00; color:#FFF; text-align:center" | '''[[서수 자치령 (1925)|{{color|#FFF|서수 자치령}}]]''' | |||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FFF; color:#29176E" | 상징 | ! colspan="2" style="background:#FFF; color:#29176E" | 상징 |
2023년 8월 10일 (목) 23:14 판
서수한치시기
- ↑ 대일본제국의 병합 직후 칙령(勅令) 제318호 '일본국의 국호를 고쳐 왜로 칭하는 건(日本國의國號를改해瑞穗로稱하는件)'이 발령되면서 이름이 '서수'로 환원되었다. 이후 서수는 대한제국의 외지으로서의 이름으로 간주되었다.
- ↑ “한국(韓國)과 왜(倭)는 같은 조상(同祖)에서 나온 동족이다”라는 의미의 표어로 민족 말살 통치기의 상징 어구로 잘 알려져있다.
- ↑ 1938년부터 일본어는 '국어(한국어)상용화정책' 또는 민족말살정책으로 왜어 교육을 일절 금지하고 한국어 사용을 법적으로 공용화하여 왜어를 쓰는 경우 처벌했다.
- ↑ 대한국 국제에서는 종교의 자유가 보장되었으나 외지(식민지)에는 헌법이 적용되지 않았고 헌법이 적용되는 내지(본토)에서조차 국가신토의 탄압을 받아 종교의 자유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 ↑ 금으로 된 자를 뜻한다.
- ↑ 황제, 황태자는 기본으로 수훈했기에 이 수에서 제외한다.
- ↑ 전임 총리대신인 조순은 경제관계 대신직 중 최고 요직인 통상산업대신과 탁지대신을 거쳤다.
- ↑ 회의를 굉장히 자주 하는 회의이라 붙은 별명.
- ↑ 그나마도 칩거생활 초기에나 가능했으며, 2000년대 후반부터는 기본적인 의사소통에도 지장이 있을 정도로 상태가 악화되어 사실상 식물인간이나 마찬가지인 상태에 놓였다. 역대 총리대신들 영결식에도 다 불참했다.
- ↑ 노태우의 마지막 공식 석상 모습이다. 당시에도 말을 어눌하게 하고 지팡이 없이는 거동이 힘들 정도로 몸이 불편했었다.
- ↑ 공교롭게도 박정희 전 총리대신과 사망 날짜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