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종 명황제 이유

솔피 (토론 | 기여)님의 2025년 3월 22일 (토) 08:56 판 (→생애)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 문서 보기 ]
[ 세계관 설명 ]
[ 세계관 설명 ]
오월오일 오늘인가 집집마다 창포주라
뱃노래 두어 가락에
멱라에서 빠져 죽은 굴원이 슬프구나
아마도 일년 중 좋은 계절에 생각나는 굴원인가.


풍아는 "조선 왕조가 현대까지 살아남았다면?" 이라는 상상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이브위키의 대체역사 세계관입니다.
이 문서는 풍아의 공식 설정입니다. 연재자 외 이용 및 도용을 금지합니다.
문서의 모든 내용은 허구입니다.

대한제국 대황제
[ 펼치기 · 접기 ]

무종 명황제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대한제국 제2대 황제
무종 명황제 | 武宗 明皇帝
이름 이유(李㙼)
용덕(勇德)
출생 1879년 5월 29일
한성부 창덕궁 대조전
(現 황성 한성부 창덕궁 대조전)
붕어 1926년 6월 19일 (향년 47세)
황성 한성부 창덕궁 대조전 별채
재위기간 조선 왕세자
1882년 6월 9일 ~ 1895년 5월 14일 (12년)
대한제국 태자
1895년 5월 14일 ~ 1920년 3월 29일 (23년)
대한제국 제2대 황제
1920년 3월 29일 ~ 1926년 6월 19일 (6년)
[ 펼치기 · 접기 ]
본관 전주 이씨
부모 부왕 열조 태황제 이찬
모후 명인태황후 최씨
형제자매 2남 2녀 중 3남
황후 성덕명황후 최씨
자녀 장남 효문태자 이용
차남 장평친왕 이호
삼남 열종 홍황제 이문
사남 청익친왕 이주
장녀 성온공주 이방주
차녀 성결공주 이방자
종교 유교 (성리학)
묘호 무종(武宗)
존호 유온경인대도장성
(猷溫景仁戴度章聖)
시호 문덕성녕평안열효명황제
(文德成寧平安烈孝明皇帝)
연호 정명(正明, 1921~1926)
계급 대한제국 육해군 대원수

1.개요

무종 명황제 이유(武宗 明皇帝 李㙼)는 대한제국의 제2대 황제이다.

2.생애

1879년 5월 29일 창덕궁 대조전에서 열조의 적장남이자 외아들로 태어났다. 열조의 유일한 아들이었던 무종은 금지옥엽으로 키워졌다. 이 과정에서 무종은 구태의연한 사서삼경보다는 태서의 계몽군주를 다룬 전기에 크게 매료되어 계몽적 전제군주를 지향하게 되었다.

무종은 점차 성장하며 열조를 도와 국정에 더 많이 관여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건강으로 인해 국정의 중재자에 만족할 수 밖에 없던 열조와 달리 무종은 황권 강화를 사도하며 개화당 원훈들과 적극적으로 대립하기 시작했다.

개화당과 대립하게 된 무종은 문벌이 주축이 된 개화당에 맙서 군부를 적극적으로 중용허고 군부의 팽창욕을 충족시키기 위해 북만주의 한국화 계획과 연해주 진출을 시도하여 엄청난 영토 확장에 성공한다.

그로나 지속적인 개화당과의 대립과 무종 특유의 만기친람형 일처리는 무종의 건강을 갉아먹었고, 1923년 어전회의에서 쓰러지게 되며 무종의 황권 강화를 위한 노력은 수포로 돌아가고, 태자가 대리청정을 할 수 밖에 없었고, 3년간의 대리청정 끝에 1926년 6월 19일 대조전 별채에서 붕어한다.

사후 대행황제의 묘호로 순종(純宗), 경종(敬宗), 성종(誠宗)이 추천되었으나, 열종은 대행황제의 공덕을 주 무왕과 비교하며 묘호를 무종(武宗)으로, 시호를 문덕 성녕 평안 열효 명황제(文德成寧平安烈孝明皇帝)라 하여 대행황제를 위로하였다.

3.여담

4.가계

5.둘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