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 바로가기 허브 문서 바로가기 |
백두산의 푸른 정기 이 땅을 수호하고 한라산의 높은 기상 이 겨레 지켜왔네 무궁화꽃 피고 져도 유구한 우리 역사 굳세게도 살아 왔네 슬기로운 우리 겨레 나의 조국은 "10·26 사태 당시 박정희가 생존했다면?" 이라는 상상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이브위키의 대체역사 세계관입니다. |
대한민국 대통령 |
---|
[ 펼치기 · 접기 ] |
박정희 관련 틀 | |||||||||||||||||||||||||||||||||||||||||||||||||||||||||||
---|---|---|---|---|---|---|---|---|---|---|---|---|---|---|---|---|---|---|---|---|---|---|---|---|---|---|---|---|---|---|---|---|---|---|---|---|---|---|---|---|---|---|---|---|---|---|---|---|---|---|---|---|---|---|---|---|---|---|---|
[ 펼치기 · 접기 ]
|
대한민국 제5-9대 대통령 박정희 朴正熙 | Park Chung-hee | ||||||||||||||||||||||||||||||||||||||||||
---|---|---|---|---|---|---|---|---|---|---|---|---|---|---|---|---|---|---|---|---|---|---|---|---|---|---|---|---|---|---|---|---|---|---|---|---|---|---|---|---|---|---|
출생 | 1917년 11월 14일 | |||||||||||||||||||||||||||||||||||||||||
경상북도 선산군 구미면 상모리 (現 경상북도 구미시 박정희로 107) | ||||||||||||||||||||||||||||||||||||||||||
사망 | 1995년 5월 22일 (77세) | |||||||||||||||||||||||||||||||||||||||||
서울특별시 중구 신당동 다산로36가길 25 (現 서울특별시 중구 신당동 중수로36가길 25) | ||||||||||||||||||||||||||||||||||||||||||
묘소 | 국립서울현충원 박정희대통령묘소 | |||||||||||||||||||||||||||||||||||||||||
재임기간[1] | 제5대 대통령 | |||||||||||||||||||||||||||||||||||||||||
1963년 12월 17일 ~ 1967년 6월 30일 | ||||||||||||||||||||||||||||||||||||||||||
제6대 대통령 | ||||||||||||||||||||||||||||||||||||||||||
1967년 7월 1일 ~ 1971년 6월 30일 | ||||||||||||||||||||||||||||||||||||||||||
제7대 대통령 | ||||||||||||||||||||||||||||||||||||||||||
1971년 7월 1일 ~ 1972년 12월 26일[2] | ||||||||||||||||||||||||||||||||||||||||||
제8대 대통령 | ||||||||||||||||||||||||||||||||||||||||||
1972년 12월 27일 ~ 1978년 12월 26일 | ||||||||||||||||||||||||||||||||||||||||||
제9대 대통령 | ||||||||||||||||||||||||||||||||||||||||||
1978년 12월 27일 ~ 1983년 10월 1일 | ||||||||||||||||||||||||||||||||||||||||||
서명 | ||||||||||||||||||||||||||||||||||||||||||
[ 펼치기 · 접기 ]
|
공식 초상화 |
---|
대한민국 제5-9대 대통령 취임 선서[15] |
---|
개요
대한민국의 제5-9대 대통령.
1917년 11월 14일 경상북도 구미에서 아버지 박성빈과 어머니 백남의 사이의 5남 2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1937년 대구사범학교를 졸업하고 보통학교 교사로 재직하다 1940년 교사직을 사직하고 만주국육군군관학교에 입교하였고, 이후 1942년 일본육군사관학교에 편입해 1944년 졸업한 후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때까지 만주국 육군 장교로 근무하였다.
8.15 광복 이후 한국광복군에 편입해 광복군 장교로 활동하다 1946년 귀국하여 남조선국방경비사관학교 단기과정을 마치고 대한민국 육군 장교로 임관하였다. 대구 10.1 사건에서 사회주의 성향의 독립운동가였던 셋째 형 박상희가 경찰에게 사살당한 일에 영향을 받아 남조선로동당에 입당하였으나, 1948년 김창룡이 주도한 군내 좌익분자를 색출하는 숙군 작업에서 여수·순천 10·19 사건에 연루된 혐의로 체포되어 1심 재판에서 불명예 전역 및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 그러나 이후 백선엽 등에 의해 구제되어 1950년 6.25 전쟁 발발을 계기로 재임관하였다.
1961년 김종필 등과 함께 5.16 군사혁명을 주도하여 민주당 정권을 전복하고 국가재건최고회의를 수립하였다. 1962년에 5차 개헌을 성사시켰으며 1963년 대장으로 전역한 후 제5대 대통령 선거에 민주공화당 후보로 출마해 민정당 윤보선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어 제3공화국을 출범시켰다. 첫 4년 임기를 마친 뒤 1967년 제6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신민당 윤보선 후보를 다시 꺾고 재선에 성공하였다.
두 번째 임기 중이던 1969년에 3선 개헌을 단행하고 1971년 제7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해 신민당 김대중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고, 세 번째 임기 중이던 1972년에는 10월 유신을 선포하여 제4공화국을 출범시켰다.
유신으로 대통령 선거 방식을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의 간접선거로 바꾼 뒤 그해 실시된 제8대 대통령 선거에 본인만 출마해 당선되었다. 바뀐 6년의 임기를 마치고 1978년 제9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마찬가지로 당선되었으나, 1979년 10월 26일 서울 궁정동 만찬 석상에서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의 발작증으로 인한 암살기도를 당하였고 간신히 생존하였다. 암살 사건 이후로 국무총리로 조카사위 김종필을 다시 임명하고 힘을 실어주어 후계구도를 굳혔고 1983년 10월 1일 국군의 날 기념식에서 사임을 선언하며 장장 20년간 머물렀던 대통령직에서 물러난다.
퇴임 이후에는 정치적 행보를 삼가며 정치자문회의의 의장으로써 종종 정부에 대한 자문과 정계원로로써 각종 행사에 참여하는 정도로만 공식석상에 종종 노출되었고 70대 후반의 나이에도 매우 정정한 모습을 보여왔으나 1995년 5월 22일 자택에서 향년 77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사인은 숙환으로, 사후 국장으로 장례가 거행된 후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다.
일생
박정희 정부
평가
여담
다른 정치인들과의 관계
어록
제5대 대통령 취임사
제6대 대통령 취임사
제7대 대통령 취임사
제8대 대통령 취임사
제9대 대통령 취임사
선거 이력
연도 | 선거 종류 | 지역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1963 | 제5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 4,702,640 (46.64%) | 당선 (1위) | 초선 | |
1967 | 제6대 대통령 선거 | 5,688,666 (51.44%) | 재선 | |||
1971 | 제7대 대통령 선거 | 6,342,828 (53.19%) | 3선 | |||
1972 | 제8대 대통령 선거 | 2,357 (100%) | 4선[16] | |||
1978 | 제9대 대통령 선거 | 2,577 (100%) | 5선[16] |
역대 선거 벽보 |
---|
[ 펼치기 · 접기 ] |
소속 정당
소속 | 기간 | 비고 |
---|---|---|
1946 - 1948 | 입당[17] | |
1948 - 1963 | 탈당(전향)[18] 정계 입문[19] | |
1963 - 1995 | 입당[20] 정계 은퇴 사망 |
둘러보기
- ↑ 취임일을 포함한 대통령 재임기간은 총 19년 9개월 15일이나 집권기간은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시기까지 포함해서 흔히 22년으로 일컬어진다. 의장 역임기간은 1961년 7월 3일~1963년 12월 16일(2년 5개월 13일)인데 대통령 취임일 하루 앞까지이다. 합산하면 22년 2개월 28일.
- ↑ 당시 헌법상(4년씩 3선까지) 7대 대통령으로서의 임기는 1975년 6월 30일까지였지만 1년 5개월 만에 10월 유신으로 끝.
- ↑ 직강공파 29세손, 혁거세 65세손 ◯희(熙) 항렬.
- ↑ 1936년 4월 1일 결혼. 1950년 11월 이혼.
- ↑ 1948년 6월부터 박정희와 교제하기 시작하여 같은 해 8월부턴 결혼을 전제로 동거했었던 내연녀. 1950년 2월 결별.
- ↑ 1950년 12월 12일 결혼 이후 평생을 함께해 온 배우자.
- ↑ 전처 김호남 소생
- ↑ 현 구미초등학교.
- ↑ 대구사범학교에 진학하기 전까지는 고향에 있는 교회 주일학교를 열심히 다녔다고 한다.# 대통령이 된 이후엔 독실한 불교 신자인 육영수 여사의 영향을 받아 친불교적 행보를 보였다. 그 예로 1972년 석굴암과 불국사의 도안을 넣은 만 원권 지폐 발행을 추진했었던 것, 1975년 석가탄신일(지금의 부처님오신날)을 공휴일로 지정한 것, 이승만 정부 시절부터 개신교만 인정되었던 군종을 불교까지 확대한 것 등이 있다. 1979년 미국 대통령인 지미 카터와의 한미정상회담에서 카터가 "대통령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라고 묻자 "저는 특별히 종교가 없습니다."라고 답했다는 일화도 있는 만큼 박정희 본인은 무종교였던 것으로 보이지만, 상술한 대로 집권 기간 동안 친불교적 행보를 보였기 때문에 세간에는 불자로 알려져 왔고 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에 게시된 공식 약력의 종교란에도 불교로 기재되어 있다. 그럼에도 대한뉴스 603호를 비롯한 상당수의 연설기록에서 하나님을 언급하는 모습도 보인다.
- ↑ President Park.
- ↑ 신경군관학교 졸업 후 편입학.
- ↑ 일본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만주군 육군에서 복무하다 8.15 광복 직후 귀국하여 단기과정에 입학.
- ↑ 숙군에서 남조선로동당 소속인 것이 발각되어 불명예 파면.
- ↑ 6.25 전쟁 발발을 계기로 재임관.
- ↑ 취임 전에 이루어진 5차 개헌에서 국민에게 엄숙히 선서한다를 국민 앞에 엄숙히 선서합니다로 수정함으로서 선서를 존댓말로 읽은 첫 대통령이 되었으며, 또한 국민의 복리의 증진에 자유를 추가했다. 유신 개헌 이후로는 조국의 평화적 통일을 추가하여 읽었다.
- ↑ 16.0 16.1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의 간접 선거.
- ↑ 좌익이었던 형 박상희가 대구 10.1 사건 당시 우익에 의해 피살되자 남로당에 가담하여 군내에서 프락치 활동을 했다.
- ↑ 여순사건 때 발각되어 수감된 후 전향했다.
- ↑ 1961년 5.16 군사혁명 이후.
- ↑ 입당 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