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베리아 전쟁 (개화)

현대 한국의 전쟁·전투
[ 펼치기 · 접기 ]
전쟁·전투 교전국
제1차 극동전쟁
(1894-1895)
청나라의 기 청나라
의화단 운동
(1900-1901)
의화단
청나라의 기 청나라
제2차 극동전쟁
(1904-1905)
러시아 제국의 기 러시아 제국
제1차 세계대전 (태평양전역)
(1914)
독일 제국의 기 독일 제국
북방 출병
(1918-1921)
소비에트 러시아
극동 공화국의 기 극동 공화국
몽골 인민공화국의 기 몽골 빨치산 → 몽골 인민군
만주 출병
(1927)
봉천군벌
치올코우스키 전투
(1936)
소비에트 연방의 기 소비에트 연방
제3차 극동전쟁
(1940-1941)
소비에트 연방의 기 소비에트 연방
일본의 기 일본 제국
제2차 세계대전 (태평양전쟁)
(1941-1945)
일본의 기 일본 제국과 친구들
한중전쟁
(1956-1957)
타이완의 기 중화민국
베트남 전쟁
(1967-1975)
베트남의 기 월맹
베트콩
걸프 전쟁
(1990-1991)
이라크의 기 이라크
러시아 내전의 일부
시베리아 전쟁
Siberian War
Сибирская война
블라디보스토크에 진입하는 대한민국 국군
날짜 1918년 1월 12일 ~ 1921년 3월
장소 동시베리아, 연해주
결과 하바리우스크 조약 체결
  • 극동 우크라이나 독립
  • 소비에트 러시아의 동시베리아 병합
영향 러시아 내전의 종결
소·오 영토분쟁 촉발
교전국
적군
백군·간섭군
소비에트 연방의 기 소비에트 러시아
극동 공화국의 기 극동 공화국
몽골 인민공화국의 기 몽골 인민혁명당
러시아의 기 러시아국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녹우크라이나의 기 녹우크라이나
기타 간섭군 (~1918)
지휘관
[ 펼치기 · 접기 ]
소비에트 연방의 기 레프 트로츠키
소비에트 연방의 기 유쿰스 바시에티스
소비에트 연방의 기 세르게이 카메네프
소비에트 연방의 기 미하일 투하쳅스키
소비에트 연방의 기 미하일 프룬제
소비에트 연방의 기 야코프 사모일로
극동 공화국의 기 알렉산드르 크라스노쇼코프
극동 공화국의 기 바실리 블류헤르
몽골 인민공화국의 기 허를러깅 처이발상
러시아의 기 알렉산드르 콜차크
러시아의 기 그리고리 세묘노프
대한민국의 기 박승환
대한민국의 기 노백린
대한민국의 기 홍범도
녹우크라이나의 기 보리스 흐레샤티츠키
녹우크라이나의 기 레오니드 슬리셴코
오타니 키쿠조
윌리엄 그레이브스
전력
[ 펼치기 · 접기 ]
피해
[ 펼치기 · 접기 ]

개요

시베리아 전쟁은 러시아 내전의 일부로, 시베리아에서 러시아 적군과 러시아 백군 및 간섭군 사이에서 벌어진 전쟁이다. 하바리우스크 조약을 통해 마무리되었으며, 러시아 적군은 동시베리아 대부분의 지역을 합병했고 녹우크라이나는 연해주 지방을 영토로 하여 독립하였다.

주요 전투

  • 전광 작전: 1918년 초, 한국군이 2개 사단 예하 4개 보병연대 등 약 1만 7천 명의 병력을 동원하여 우수리 강과 연안의 러시아 백군령 주요 도시들을 기습 점령한 군사작전. 한국 정부는 연해주의 한국 국민 보호와 우크라이나 민족의 자결권 보장을 작전의 명분으로 내세웠다. 적군과의 전쟁을 벌이는 중이던 백군은 한국군의 기습 점령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했고, 연해주 지방에서는 백군과 한국군의 기묘한 공존이 한동안 이어졌다.
  • 정북 작전: 서방 간섭군이 철수하자 한국군이 기존에 점령하고 있던 아무르 강과 유수리 강 연안의 백군을 무장해제시킨 작전. 이 작전으로 백군은 연해주 지방의 통제권을 거의 상실하였으며, 녹우크라이나는 해당 지역의 통제권을 한국으로부터 넘겨받았다. 일부 지역에서 한국군-녹우크라이나군과 백군 사이에서 교전이 발생했다.
  • 하아무르 작전: 녹우크라이나군이 아무르 강 하류 유역의 적군과 백군을 제압하고 아무르 강 하류 지역을 완전히 장악한 작전. 슬리셴코 준장을 지휘관으로 하는 녹우크라이나 1사단의 작전이었다. 작전의 성공으로 녹우크라이나의 동북쪽 방면이 안정화되었다.
    • 니콜라옙스크 전투: 하아무르 작전의 피날레를 장식한 전투. 녹우크라이나군 1사단과 대한민국 해군 전대가 적군의 통제 하에 있던 항구도시 니콜라옙스크-나-아무레[1]를 공격하여 벌어진 전투다. 해당 전투에서 녹오-한국 동맹군이 승리하면서 아무르 강 유역은 완전히 평정되었다.
  • 자바이칼 공세: 정북 작전을 성공시켜 연해주를 장악하고 아무르 강 이북까지 진출한 한국군이 바이칼 호를 향해 진격을 시도한 작전. 허나 병력의 수 차이와 혹독한 환경으로 인해 한국군은 우월한 피해 교환비에도 불구하고 고전하였고, 투피크 전투의 패배로 완전히 패퇴하였다.
  • 제야 호 전투: 한국군의 자바이칼 공세를 박아낸 적군이 역공세를 벌이며 남하하자 한국군과 녹우크라이나군은 아무르 강과 제야 호를 연결하는 방어선을 구축하였다. 적군이 이 방어선의 최북단인 제야 호 방면을 공격하면서 전투가 발생했다. 한국군은 구축해 놓은 방어진지와 강력한 화력을 통해 적군의 물량공세와 우회공격을 막아냈다.

결과 및 영향

소련과 대한민국 그리고 녹우크라이나는 서로 원하던 바를 일정 부분만 이루어낼 수 있었다. 소비에트 러시아는 백군을 사실상 제압하고 러시아 내전을 승리로 종결시킬 수 있었으나, 극동 지방에서 가장 큰 두 도시인 블라디보스토크하바롭스크를 포함한 연해주 지방을 상실하고 말았다. 특히 제한적이나마 러시아의 부동항 역할을 하던 해군 요충지인 블라디보스토크를 잃은 것은 큰 타격이었다. 한국의 경우 공산주의자들의 남하를 막고 녹우크라이나를 독립시켜 완충지대를 확보하였다. 하지만 이는 동시베리아 전체를 영향력 아래에 두려던 한국의 이승만 내각의 원래 계획과는 상당히 거리가 있었다. 한편 녹우크라이나는 표면적으로는 원하는 바를 이루어냈다. 극동 지방에 우크라이나인 민족국가를 세우겠다는 1차적 목표를 달성한 것이다. 하지만 궁극적으로 본토 우크라이나와의 통일에는 실패하였는데, 본토 우크라이나에서의 민족주의 운동이 실패로 돌아가고 소련에 병합당했기 때문이었다.

이와는 달리 서방 간섭군은 완전히 실패했다. 간섭군은 체코 자유군단을 지킨다는 명분으로 시베리아에 개입했지만 체코 군단은 결론적으로 모두 러시아 밖으로 철수하였고, 실질적인 목표였던 러시아 백군 지원과 적군 격퇴에 실패하였기 때문이다. 일본 역시 동시베리아의 이권을 노리고 참전하였으나 결론적으로 아무 것도 못 얻었으며, 그나마 점령했던 북사할린도 한국의 지원을 받는 녹우크라이나와의 분쟁에서 밀려 녹우크라이나에 넘겨주고 말았다. 이는 일본군에게, 더 나아가 일본 전체에게 커다란 수치였으며 이는 일본이 한국을 상대로 제3차 극동전쟁을 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여담

  • 국군의 근대적 전투식량이 처음으로 빛을 본 전쟁이다. 한국군은 식량 보급과 야전취사마차의 진입이 어려운 지역에 투입되었는데, 이들에게 지급된 잔투식량은 장병들에게 든든한 한 끼가 되어주었다.
  • 육화원이 육화원이라는 이름을 달고 본격적으로 활약한 첫 사건이다. 러시아에 파견된 육화원 공작원들은 러시아 내전 발발 전부터 혁명의 낌새를 감지하고 준비하였고, 이후 한국군이 시베리아에 전면 개입하자 각종 공작 활동을 펼쳐 한국군의 작전을 다방면으로 지원하였다.

각주

  1. '아무르 강의 니콜라옙스크'라는 뜻으로, '아무르 강 위에'라는 의미의 나아무레는 다른 지역의 니콜라옙스크와 구별하기 위해 덧붙인 부분이다. 녹우크라이나 제1공화국 시절 우크라이나 위인인 보흐단 흐멜니츠키의 이름을 따 흐멜니츠크로 개칭되었으며 구소련 시절 원복되었다가 독립 이후 다시 흐멜니츠크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