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순 마찰음


양순 마찰음
Bilabial Fricative


ɸ • β


조음 위치
양순
조음 방향
구분 없음
조음 방법
비 치찰 마찰

개요

두 입술 사이 간격을 닿을랑말랑하게 좁히고 공기를 내보내 마찰을 일으키는 소리.

일본어의 ふ의 초성이 이 음가의 무성음이다. 중세 국어에서는 고유어에서는 순경음 비읍 ㅸ이 이 음가의 유성음이었다. 현대에는 [ w ] 로 바뀌었다. [1]

현대 한국어에서는 무성음이 '후', '호', '훼' 와 같이 원순 모음이 ㅎ 뒤에 올 때 변이음으로 나타난다. 물론 이때는 일반적인 [ ɸ ]가 아니라 [ ɸʷ ] 이다.

때문에 순치 마찰음이 둘 다 없는 몇 안되는 언어인 한국어, 일본어는 순치 마찰음이 들어간 외래어를 음차할 때 이 양순 마찰음으로 옮기는 경우가 있다. 물론 이것도 무성음 한정이고, 유성음은 빼도박도 않고 유성 양순 파열음으로. 한국에서는 무성 순치 마찰음도 양순 파열음으로 옮겨버리고, 양순 마찰음으로 옮기는 경우는 적다. '후시딘'이 그나마 유명한 예

순치 마찰음과 그 소리가 매우 유사하다. 때문에 음소 단위에서 둘이 공존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일단 동아시아에는 없다. 중국어와 베트남어에는 순치 마찰음이 각각 무성, 유성 하나씩 있으나 양순 마찰음이 없고, 한국어와 일본어에는 순치 마찰음이 없고 양순 마찰음이변이음으로나있다.

각주

  1. ㅂ 불규칙 활용이 그 흔적이다. 덥다/더워 가 그 예. 본래 덥다 / '더ㅸㅓ' 로 적었으나, 순경음 비읍이 사라지고 그 음가가 ㅜ/ㅗ 반모음인 [ w ]가 되면서 '더워' 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