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상록수)

이 문서는 상록수의 공식 설정입니다. 관계자 외 이용을 금지합니다.
문서의 모든 내용은 허구이며, 범죄 사실을 미화하지 않습니다.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방송 3사 공동 출구조사 영상

JTBC 예측조사 영상
2024년 4월 10일
제22대 총선
투표율 68.3% ▲ 2.1%p%
선거 결과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총합 비율
184석 - 203석 67.7%
- 19석
- 16석 64석 21.3%
40석 -
8석 -
- 10석 23석 7.7%
6석 -
5석 -
2석 -
1석 - 1석 0.3%
5석 1석 6석 2%
3석 - 3석 1%

1.개요

2024년 4월 10일에 실시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202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와 동시에 시행됐다. 2006년 4월 11일생까지, 18세 이상의 대한민국 국민에게 선거권과 피선거권이 주어졌다. 투표율은 68.3%를 기록하여 직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의 66.2%를 근소하게 넘어섰고,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 32년만에 총선 최고 투표율을 경신했다.

안희정 대통령 취임 2년에 맞춰 치러지는 총선으로 안희정 정부의 중간평가라는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자유한국당 해산으로 인한 보수정당들의 부진으로 손쉽게 더불어민주당의 승리가 점쳐졌다. 친안희정계가 장악한 더불어민주당은 험지에 정적을 출마시켰는데, 텃밭에서 보수정당들이 부진하며 졸지에 이들이 생환하면서 더불어민주당의 당쟁이 격화되었다. 결과적으로 범민주당계단독 개헌선을 확보하면서 안희정 정부의 정책이 탄력을 받게 되었다.

2.선거 이전

2.1.주요 변수

2.2.주요 상황

2.3.선거제 개편 논의

2.4.주요 지역구 획정

2.5.선거구

2.6.여론조사

3.선거 일정

3.1.선거 진행

3.2.참여 정당 및 기호

최종 선거기호는 후보자 등록 마감일인 2024년 3월 22일 기준 각 정당의 의석수를 바탕으로 확정되었다.

  • 지역구 의석 5석, 또는 직전 대통령선거, 비례대표국회의원선거, 비례대표지방의회의원선거에서 3% 이상을 획득한 정당들은 의석 순으로 전국통일기호를 부여받는다. 의석수가 동일할 경우 직전 비례대표국회의원선거 득표수 순으로 부여한다. 전국통일기호는 특정 지역구에 후보를 내지 않아도 결번으로 남겨진다.
  • 전국통일기호정당이 아닌 원내정당은 의석수 순으로, 의석이 동일한 경우 직전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득표율 순으로 기호를 부여받는다.

3.3.후보자

3.3.1.지역별 후보자

3.3.2.정당별 후보자

3.4.선거 운동

3.4.1.선거 공약

3.4.2.선거 광고

3.4.3.선거 연설

3.4.4.선거 토론

3.4.5.선거 방송

4.출구조사 및 예측조사

4.1.출구조사

4.2.예측조사

4.2.1.전체 지역 예측조사

4.2.2.접전지 부분조사

5.투표율

6.개표 결과

더불어민주당 자유공화당 자유통일당 정의당 진보당 새로운보수당 노동당 기본소득당 무소속

6.1.지역구

서울특별시 제22대 국회의원
[ 펼치기 · 접기 ]
부산광역시 제22대 국회의원
[ 펼치기 · 접기 ]
대구광역시 제22대 국회의원
[ 펼치기 · 접기 ]
인천광역시 제22대 국회의원
[ 펼치기 · 접기 ]
광주광역시 제22대 국회의원
[ 펼치기 · 접기 ]
대전광역시 제22대 국회의원
[ 펼치기 · 접기 ]
울산광역시 제22대 국회의원
[ 펼치기 · 접기 ]
세종특별시 제22대 국회의원
[ 펼치기 · 접기 ]
경기도 제22대 국회의원
[ 펼치기 · 접기 ]
강원특별자치도 제22대 국회의원
[ 펼치기 · 접기 ]
충청북도 제22대 국회의원
[ 펼치기 · 접기 ]
충청남도 제22대 국회의원
[ 펼치기 · 접기 ]
전북특별자치도 제22대 국회의원
[ 펼치기 · 접기 ]
전라남도 제22대 국회의원
[ 펼치기 · 접기 ]
경상북도 제22대 국회의원
[ 펼치기 · 접기 ]
경상남도 제22대 국회의원
[ 펼치기 · 접기 ]
제주특별자치도 제22대 국회의원
[ 펼치기 · 접기 ]

6.1.1.정당별 지역구 득표율

6.2.비례대표

비례대표 제22대 국회의원
[ 펼치기 · 접기 ]

6.3.정당별 결과 분석

6.4.지역별 결과 분석

6.5.연령별 결과 분석

6.6.초접전 지역구

6.7.당선인 통계

6.7.1.광역자치단체

7.여담

8.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