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경 파찰음


치경 파찰음
Alveoral Affricate


t͡s • d͡z


조음 위치
치경
조음 방향
중설
조음 방법
치찰 파찰

개요

혀끝을 윗잇몸에 대고 일단 공기를 막았다가 흘려보내며 마찰을 일으켜 내는 소리.

훈민정음 창제 당시 ㅈ, ㅉ, ㅊ의 발음이었으나[1], 이후 구개음화가 일어나 치경경구개 파찰음이 되었다. [2] 육진의 일부 지역은 아직까지 구개음화를 겪지 않은 곳이 있다고 한다. 때문에 파열음이었던 발음이 아직까지 남아있는 경우가 있다. '대나무 죽'을 '듁' 으로 발음하는 등.

무성음의 경우 일본어의 つ의 초성이 이 발음이다.[3] 영어에서는 t로 끝나는 단어에 복수형으로 s가 붙거나 (sport -> sports) Let's 같이 어말에 문법적인 이유로 오는 경우가 아닌 이상 찾아보기 힘들다. 참고로 유성음은 goods 의 경우처럼 주로 ds꼴로 실현된다. 물론 외래어에서는 간간히 볼 수 있다. Tsar(차르), Godzilla(고질라), Dzungar(준가르 제국) 등.

일본어에서 어두 ざ행(じ 제외)을 이 발음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일반적인 치경 마찰음 [ z ]와 구분되지 않는다.

이외에도 중국어 한어병음 z, 러시아어 ц, 독일어 c/z 등에서 이 소리가 난다.

여담으로, 이 발음을 표기하기 위한 단일 문자인 ʦ 와 ʣ 도 있는데, 단일 기호의 가짓수를 줄이겠다는 이유로 IPA에서 폐지해버렸다. 덕분에 파찰음을 표현하기 위한 비트 수가 1비트에서 3비트로 늘어났다. MPA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파찰음 단일 기호를 사용하려 하였으나, 유니코드에는 치경 파찰음, 후치경 파찰음, 치경경구개 파찰음 기호만 마련되어 있어, 권설 파찰음만 혼자 다중 문자로 표기해야 하는 상황에 처해 포기했다. 나중에 유니코드에 권설 파찰음 단독 기호가 추가되면 추진할 수도 있다.

각주

  1. ㅈ, ㅊ이 ㅅ의 상단에 가획이 된 형태로 창제된 이유이기도 하다. ㅅ과 ㅈ, ㅊ 둘다 치경음이었으니. 몇몇 사람들이 현대에 센입천장소리라는 것만 고려하고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발음은 생각하지 않은 채 ㅈ 의 상단 ㅡ 부분은 입천장을, ㅅ 부분은 혓바닥을 상형한 것이라 주장하기도 하는데, 완전히 잘못된 주장이다.
  2. 참고로 ㅈ, ㅈ, ㅊ의 구개음화가 일어나던 때에는 ㅅ, ㅆ의 구개음화도 덩달아 일어나 이들도 치경경구개 마찰음이 되었던 상태이다. 그러나 ㅅ, ㅆ은 이후 다시 치경 마찰음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3. づ 의 초성은 [ z ]이므로 ず 와 발음상 구분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