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분류:MPA]][[분류:자음]][[분류:파찰음]][[분류:치경음]] {| class ="wikitable" style="max-width: 450px; border: 2px solid #DF013A;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 ! colspan="5" style="font-size: 12pt; color: #fff; background:linear-gradient(to left, #DF013A, #DF013A);" | '''<big>치경 파찰음</big>'''<br>'''Alveoral Affricate''' |- | colspan="5" | <center><big><big> '''{{글씨 크기|30|t͡s • d͡z}}''' </big></big>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DF013A;" | <center>조음 위치</center>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 치경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DF013A;" | <center>조음 방향</center>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 중설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DF013A;" | <center>조음 방법</center>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 치찰 파찰 |- |} {{목차}} ==개요== 혀끝을 윗잇몸에 대고 일단 공기를 막았다가 흘려보내며 마찰을 일으켜 내는 소리. 훈민정음 창제 당시 ㅈ, ㅉ, ㅊ의 발음이었으나<ref>ㅈ, ㅊ이 ㅅ의 상단에 가획이 된 형태로 창제된 이유이기도 하다. ㅅ과 ㅈ, ㅊ 둘다 치경음이었으니. 몇몇 사람들이 현대에 센입천장소리라는 것만 고려하고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발음은 생각하지 않은 채 ㅈ 의 상단 ㅡ 부분은 입천장을, ㅅ 부분은 혓바닥을 상형한 것이라 주장하기도 하는데, 완전히 잘못된 주장이다. </ref>, 이후 구개음화가 일어나 [[치경경구개 파찰음]]이 되었다. <ref>참고로 ㅈ, ㅈ, ㅊ의 구개음화가 일어나던 때에는 ㅅ, ㅆ의 구개음화도 덩달아 일어나 이들도 [[치경경구개 마찰음]]이 되었던 상태이다. 그러나 ㅅ, ㅆ은 이후 다시 [[치경 마찰음]]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ref> 육진의 일부 지역은 아직까지 구개음화를 겪지 않은 곳이 있다고 한다. 때문에 파열음이었던 발음이 아직까지 남아있는 경우가 있다. '대나무 죽'을 '듁' 으로 발음하는 등. 무성음의 경우 일본어의 つ의 초성이 이 발음이다.<ref>づ 의 초성은 [ z ]이므로 ず 와 발음상 구분되지 않는다.</ref> 영어에서는 t로 끝나는 단어에 복수형으로 s가 붙거나 (sport -> sports) Let's 같이 어말에 문법적인 이유로 오는 경우가 아닌 이상 찾아보기 힘들다. 참고로 유성음은 goods 의 경우처럼 주로 ds꼴로 실현된다. 물론 외래어에서는 간간히 볼 수 있다. '''Ts'''ar(차르), Go'''dz'''illa(고질라), '''Dz'''ungar(준가르 제국) 등. 일본어에서 어두 ざ행(じ 제외)을 이 발음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일반적인 [[치경 마찰음]] [ z ]와 구분되지 않는다. 이외에도 중국어 한어병음 z, 러시아어 ц, 독일어 c/z 등에서 이 소리가 난다. 여담으로, 이 발음을 표기하기 위한 단일 문자인 ʦ 와 ʣ 도 있는데, 단일 기호의 가짓수를 줄이겠다는 이유로 IPA에서 폐지해버렸다. 덕분에 파찰음을 표현하기 위한 비트 수가 1비트에서 3비트로 늘어났다. [[MPA]]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파찰음 단일 기호를 사용하려 하였으나, 유니코드에는 치경 파찰음, 후치경 파찰음, 치경경구개 파찰음 기호만 마련되어 있어, 권설 파찰음만 혼자 다중 문자로 표기해야 하는 상황에 처해 포기했다. 나중에 유니코드에 [[권설 파찰음]] 단독 기호가 추가되면 추진할 수도 있다. ==각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글씨 크기 (원본 보기) 틀:목차 (원본 보기) 치경 파찰음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