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밀원 (설중매)

솔피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7월 27일 (토) 14:36 판
[ 소개 ]
매화 핀 진목정엔 잔설이 누웠는데
화사하게 웃는 설중매 담장 너머로 매향을 흩뿌리며
고운 자태 뽐내고 오가는 마실사람 눈웃음치며 유혹하네
김씨네가 살다가 도회로 가버린 초가지붕 용마루는 세월의 횡포 속에
사르르 녹아내렸고 마당에는 지게 갈퀴 쟁기대가리 홀태
써레 홍두깨 호미자루
잡살뱅이들이 널부러져 푸서리 속에 나뒹굴고 있네
조상의 숨결이 열려있는 초가삼간 설중매
"설중매"는 "현대까지 대한제국이 존속한다면?" 이라는 상상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이브위키의 대체역사 세계관입니다.
이 문서는 설중매의 공식 설정입니다. 연재자 외 이용을 금지합니다.
문서의 모든 내용은 허구입니다.

대황제 직속 기관
[ 펼치기 · 접기 ]

비서성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대한제국 황실
관련 문서 · 틀
[ 펼치기 · 접기 ]
신위 대황제 (역대 대황제 · · 계보) · 황후 (황후) · 황태후 · 태황태후 · 태상황 () ·황사 [황태자 · 황태손] · 황사비 [황태자비 · 황태손비] · 친왕 · 친왕비 · 공주 · 군왕 · 군왕비 · 옹주 · 현왕 · 현왕비 · 군주 · 현주 · 향주
궁가 궁가 () · 구황족 ( · 가계도 · 계보 上 · 中 · 下) · 친왕가 ()
가계도 대황제 계보 · 황실 가계도 ·구황족 계보 [上 · 中 · 下] · 구황족 가계도 · 궁실 가계도
상징 이화문 · 대한황제폐하몸기
거주 대한의 황궁 · ()
능묘
의식 · 행사 즉위식 · 고유제 · 태묘제례 · 구식례 · 일반참하
보물
축일 개국기원절 · 계천기원절 · 즉위예식일 · 천장절 · 천추절
제도 황실예전
조직 비서성 · (역대 비서시중 틀) · 추밀원 (역대 의장 틀) · 어전회의 · 최고국방지도회의 · 황족회의 (의원 틀) · 친위부 (역대 부장 틀)· 안전기획부 (역대 부장 틀)
역사

비서성
秘書省 | Department of Imperial Secretariat
약칭 은대(銀臺 | DIS)
설립일 1875년 6월 28일
전신 승정원 공사청
비서시중 함평군
비서평장사 김을동
주소

지도를 불러오는 중...

황성 한성부 종로구 경희궁로 1
내부부국 외청 n개, 소속기관 n개, 산하 기관 n개
직원수 2245명
| | | |

개요

비서성(秘書省)은 황명의 출납과 황실 사무를 담당하는 대황제 직속의 행정기관이다.

역사

개항 전까지 조선 시대의 관제는 국정 사무와 왕실 사무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았고, 역대 국왕의 계보와 초상화를 보관하며 국왕과 왕비의 의복을 관리하고 왕의 친척을 다스리던 종친부, 부마에 관한 사무를 담당한 의빈부, 왕친과 외척의 친목을 위한 사무를 관장하던 돈녕부 등 왕실 사무를 맡은 기관이 이리저리 나뉘어 있기도 하고 육조에 소속되어 있기도 해서 이중성을 지녔고, 성조 즉위 후인 1873년(개국 482년) 이후 2차례에 걸친 관제 개혁에서도 시정되지 않았다.

그러다가 어일신 이후, 1879년 기존의 2성 7부[1]를 개혁하는 과정에서 대황제의 보좌 전담기관으로 한나라 시절의 비서성을 본따 동명의 기관을 세워서 근대적인 의미에서 정부기관으로 탄생시키고, 율령제 시절 재상의 명칭을 따와 수장과 부수장을 각각 비서시중(秘書侍中)과 비서평장사(秘書平章事)로 칭하여 국가 일반 행정을 총할하는 행중서성과 상서성(추후 내각으로 통합)와 왕실 사무를 총할하는 비서성으로 이원화했고, 비서성의 수장인 비서시중을 대내사성의 수장인 행중서령 다음의 서열로 정하고 종래 명확한 구별이 없었던 국고와 왕실 재정의 분리를 실현했다.

이렇듯 황제의 보좌를 담당하기 위해 설립된 만큼, 상당히 강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황제독재정이 정점에 다다른 선종 시기 비서성의 위세는 절정에 달해 황권과 관련된 사무를 비서성에 배치해 자신이 직접 통제했다. 이 당시 비서성은 소속 재관의 수만 무려 8천 명을 넘는 거대조직이었다.

선종의 사후 혜종소황제 치하의 비서성은 황권 약화에 따라 권한이 상당히 축소되어 황실 사무와 대황제의 보좌 전담만을 담당하는 수준으로 축소되었으나, 고조 치하에서 다시 한번 크게 확장된다. 고조 치하에서의 비서성은 정책의 큰 그림을 그리거나 정무적 연결기능을 담당했고 정책의 실무 집행은 내각이 맡는 형태의 분업이 이루어졌다.

이후 인덕황제가 즉위한 현재까지도 고조에 의해 확립된 시스템은 그대로 두고 세부적인 직제만 조정하면서 유지되고 있다.

조직

역대 비서시중

특징

논란 및 사건사고

둘러보기


  1. 1873년 말, 성조가 3성 6부룰 부활 시킨 이후 1874년 초 천지춘하추동(天地春夏秋冬)의 육상(六象)에 따라 직제를 나누었던 상서성의 6부를 개편하여 우리가 흔히 아는 이호예병형공 형태로 원복한 직후, 병부를 육군부와 해군부로 나누었다. 이후 1875년에는 중서성과 문하성을 합쳐 대내사성으로 개편하여 최종적으로 2성 7부의 형태로 정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