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주취청) |
(→경운가)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 | |- | ||
| colspan="1" style="width:25%; font-size: 10pt; background:#DE2119; color:#fff;" | '''지위''' | | colspan="1" style="width:25%; font-size: 10pt; background:#DE2119; color:#fff;" | '''지위''' | ||
| colspan="3" style="text-align:left; font-size: 10pt; color: #;" | | | colspan="3" style="text-align:left; font-size: 10pt; color: #;" | 만주의 비공식 준국가 | ||
|- | |-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FFC600; color:#000;" | '''작사자'''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FFC600; color:#000;" | '''작사자''' |
2025년 3월 27일 (목) 10:10 판
1.개요
만주는 1950년 동북복치로 남방과의 관계를 단절한 이후 대동가를 공식 국가로 채택했다. 하지만 대동가는 난해한 가사와 맥 없는 음정 그리고 도저히 알 수 없는 박자로 인해 국가로서의 인기가 낮았다. 이로 인해 몇 차례에 걸쳐 국가 개정이 제안됐지만 얼기설기 얽힌 정치적인 이해관계로 인해 번번히 좌절되었다. 결국 만주의 각 정치집단은 각자의 정치적 선호에 따라 사실상의 준국가를 각자 사용하고 있다.
현대 만주에서 준국가로 사용되는 노래는 경운가, 오족공화가 그리고 만주취청이 있다. 각각 봉독파, 친중파, 만독파에서 주로 사용한다.
2.경운가
경운가 卿雲歌 | Song of the Auspicious Cloud | |||
지위 | 만주의 비공식 준국가 | ||
작사자 | 김리오 | ||
작곡자 | 김리오 | ||
근거법령 | 없음[1] | ||
사용자 | 봉독파 | ||
[ 가사 펼치기 · 접기 ]
|
경운가는 1910년대와 1920년대에 중화민국의 국가로 사용되었다. 주로 봉독파와 협화당이 준국가로 사용한다. 가사를 수천 년 된 시조에서 따왔기 때문에 대동가와 마찬가지로 가사가 상당히 난해하다는 흠이 있지만, 적어도 대동가보다는 훨씬 더 부르기 쉽고 족보상으로도 현대 만주의 직계조상인 북양정부가 사용하던 국가로 정통성도 나름 있는 편이다.
3.오족공화가
오족공화가 五族共和歌 | Wǔzúgònghégē | |||
지위 | 만주의 비공식 준국가 | ||
작사자 | 김리오 | ||
작곡자 | 김리오 | ||
근거법령 | 없음[1] | ||
사용자 | 친중파 | ||
[ 가사 펼치기 · 접기 ]
|
오족공화가는 1910년대 초 중화민국 임시정부의 국가로 쓰였다. 중국 본토에서는 애저녁에 국가의 지위를 잃었지만, 중화와 민국이 직접 언급되는 가사 덕분에 친중파로부터 선호되었고, 현재 중화민족일심회나 동북공회연합회 등 친중 진영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4.만주취청
만주취청 滿洲翠青 | Manchuria the Green | |||
지위 | 만주의 비공식 준국가 | ||
작사자 | 김리오 | ||
작곡자 | 김리오 | ||
근거법령 | 없음[1] | ||
사용자 | 만독파 | ||
[ 가사 펼치기 · 접기 ]
|
만주의 한 만독파 목사가 작사작곡한, 민주의 독립을 염원하는 내용의 노래다. 당연히도 만주독립당과 만주신당 등 만독파가 애용하는 곡이다. 1절과 2절로 구분되어 있는데 2절은 기독교적 색체가 강하기 때문에 2절은 보통 교회에서만 사용되고 만독파 정치집회 등에서는 보통 1절만 사용한다. 여담으로 1절 뒷부분의 네 민족은 각각 화족, 만족, 몽족, 한족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