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청국 내각총리대신 (공금구)

공금구 로고.svg
이 문서는 공금구의 공식 설정입니다. 세계관 연재자 외 이용을 금지합니다.
청 내각총리대신 문장.svg
대청국 내각총리대신
[ 펼치기 · 접기 ]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리훙장 쭤쭝탕 리훙장 캉유웨이
제5대
쑨더밍
제5대 제6·7대 제8대 제9대
쑨더밍 위안스카이 쑨더밍 돤치루이
제10-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차오쿤 돤치루이 쑨촨팡 왕징웨이
제16대 제17대 제18-28대 제29대
장제스 린썬 장제스 옌자간
제30-33대 제34대
장징궈 롄잔
제34대 제35-37대 제38-41대 제42대
롄잔 장쩌민 후진타오 보시라이
제43-46대
마잉주
제43-46대
마잉주
청국 황제

청 내각총리대신 문장.svg
대청국 내각총리대신
大清國內閣總理大臣
Prime Minister of the Imperial Cabinet
현직 마잉주 / 제43-46대
취임일 2021년 11월 6일
정당
관저

개요

대청국 내각총리대신(大清國 (Dàqīngguó)內閣 (nèigé)總理大臣 (zǒnglǐdàchén)), 통칭 청국 총리대청국의 정부수반이자 정치적 실권을 지닌 실질적 국가 지도자이다.

상세

청국은 일명 '천자'가 다스리는 나라로 대청국 황제가 국가원수로 있기에 정부수반인 총리는 명목상 황제의 신하로 여겨져 이름에 대신(大臣)이 붙는다. 공식 직책명은 내각총리대신이지만 과거 중국에서 사용하던 관직명인 재상(宰相)이나 내각의 상(相) 중에서 가장 높은 상이라는 뜻의 수상(首相)이라는 명칭도 사용되며 민간에선 일반적으로 내각총리대신을 줄인 총리(總理)가 많이 사용된다. 총리에 대해선 각하(閣下)라는 경칭이 사용되기도 하지만 이에 대한 법적인 근거는 존재하지 않는다.

대청국 헌법은 총리란 직책을 '○○○'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과거에는 '9개 총독직을 통합하는 관직'으로 총리라는 직책을 정의하고 있었기에 대청국 헌법 제정 이전까지 총리의 공식 직책명은 직례총독 겸 양강총독 겸 민절총독 겸 호광총독 겸 섬감총독 겸 양광총독 겸 운귀총독 겸 사천총독 겸 봉길총독 겸 북양통상대신 겸 내각총리대신(直隷總督 (Zhílìzǒngdū) (jiān)兩江總督 (liǎngjiāngzǒngdū) (jiān)閩浙總督 (mǐnzhèzǒngdū) (jiān)湖廣總督 (húānzǒngdū) (jiān)陜甘總督 (shǎngānzǒngdū) (jiān)兩廣總督 (liǎngānzǒngdū) (jiān)雲貴總督 (yúnguìzǒngdū) (jiān)四川總督 (sìchuānzǒngdū) (jiān)奉吉總督 (fèngjízǒngdū) (jiān)北洋通商大臣 (běiyángtōngshāngdàchén) (jiān)內閣總理大臣 (nèigézǒnglǐdàchén))이라는 엄청나게 긴 이름이었다(...).[1]

이웃 국가인 일본과 같이 정치적으로 선진국으로 분류되는 것과 달리 중국국민당을 위시로 한 보수 우위의 구도가 형성되어 있는데 1948년 총선 이후 역대 총리 가운데 진보 계열의 총리는 중국공산당 소속의 후진타오보시라이 단 두 명 뿐이다.[2]

역사

과거의 중화에도 현재의 총리 역할을 하는 '재상(宰相)'이라는 관직이 존재했다. 재상이라는 관직은 춘추전국시대 당시 존재한 제나라에서 처음 설립되었는데 이 당시의 명칭은 태사였으며 초대 태사는 관중이었다. 태사라는 관직은 이후 송나라까지 승상, 상서, 동평장사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이어졌으며 원나라 시대에 잠시 폐지됐었다가[3] 명조시대부터 다시 직책이 부활했지만 이마저도 호람의 옥 이후 폐지되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체제는 청국이 중화를 통일하고도 한참 지난 이후인 19세기 중후반까지 이어진다.

1870년엔 동치유신의 바람이 불며 대규모 행정개편이 이루어진다. 이로서 당시 지방의 업무를 총람하던 8개의 총독직이 통합되어 내각총리대신이라는 직책이 출범, 내각 제도가 청국에서 공식적으로 시행되기 시작한다. 초대 내각총리대신으로는 동치제의 강력한 의사에 따라 호광총독을 지내고 있던 리훙장이 임명된다.

초기의 내각총리대신은 8개의 총독을 통합한 직책이라는 점만 명시되어 있었을 뿐, 제대로 된 권한과 지위가 명시되어 있지 않아 그 권력이 매우 막강했다. 총독이라는 직책이 지방의 행정은 물론 군사권까지 총람하는 직책이었던 만큼 내각총리대신이란 직책은 청국 전체의 행정과 군사를 좌지우지할 수 있는 직책이었기에 황제의 강력한 신임을 얻던 인물인 리훙장이 의화단의 난에 대한 책임을 물며 사임한 이후부턴 청국 내 수많은 인물들이 내각총리대신이라는 자리에 앉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거기에 이 직책은 황제가 마음대로 임명하고 해임할 수 있는 자리였기에 황제의 설득만 얻어낸다면 손쉽게 올라갈 수 있어서 1946년 대청국 헌법을 제정하여 총리 선출 방식을 명문화하기 이전엔 수많은 인물들이 쿠데타를 통해 총리의 자리에 올라갔었다. 북양군을 동원해 쑨더밍을 '공화주의자'란 명목으로 쳐내 총리의 자리에 오른 위안스카이와 안휘군벌을 이끌어 다시 한 번 쑨더밍을 쳐낸 돤치루이, 광서군벌을 이끌어 왕징웨이를 쳐낸 장제스가 대표적인 쿠데타로 집권한 총리들이다.

1946년 대청국 헌법 제정 이후부턴 현대적인 의원내각제 하의 총리 역할과 비슷해지게 되었다.

선출

임기

권한

기타 사항

역대 청국 내각총리대신 목록

동치 시대

대수 이름 차수 소속 정당 임기 재임 일수 선거 비고
임기 시작 임기 종료
초대

리훙장
李鴻章
1차 무소속 1870년 8월 29일 1885년 4월 21일 5,341일 없음
제2대

쭤쭝탕
左宗棠
무소속 1885년 4월 21일 1885년 9월 5일 137일 [4]
제3대

리훙장
李鴻章
2차 무소속 1885년 9월 5일 1899년 10월 21일 5,159일 초대
제4대

캉유웨이
康有爲
보황회 1899년 10월 21일 1911년 10월 30일 4,391일
제5대

쑨더밍
孫德明
1차 중국동맹회 1899년 10월 31일 1913년 1월 12일 439일 제2대

영휘 시대

대수 이름 차수 소속 정당 임기 재임 일수 선거 비고
임기 시작 임기 종료
제5대

쑨더밍
孫德明
1차 중국동맹회 1913년 1월 13일 1913년 10월 10일 270일 제2대
제6대

위안스카이
袁世凱
1차 무소속 1913년 10월 10일 1915년 10월 30일 750일
제7대 2차 1915년 10월 31일 1916년 6월 6일 219일 헌정 중단 [4]
대행

리위안훙
黎元洪
무소속 1916년 6월 6일 1916년 8월 4일 59일
제8대

쑨더밍
孫德明
2차 중화혁명당 1916년 8월 5일 1916년 9월 29일 55일 제3대
제9대

돤치루이
段祺瑞
1차 무소속 1916년 9월 29일 1920년 7월 23일 1,393일
제10대

차오쿤
曹錕
1차 무소속 1920년 7월 23일 1920년 8월 4일 12일
제11대 2차 1920년 8월 5일 1924년 8월 4일 1460일 제4대
제12대 3차 1924년 8월 5일 1924년 11월 3일 90일 제5대
제13대

돤치루이
段祺瑞
2차 무소속 1924년 11월 3일 1925년 11월 24일 386일 헌정 중단
제14대

쑨촨팡
孫傳芳
무소속 1925년 11월 24일 1927년 1월 1일 402일
제15대

왕징웨이
汪精衛
중국국민당 1927년 1월 1일 1927년 4월 17일 106일
제16대

장제스
蔣介石
1차 중국국민당 1927년 4월 18일 1931년 12월 25일 1,712일
제17대

린썬
林森
중국국민당 1931년 12월 25일 1943년 8월 1일 4,237일 [4]
제18대

장제스
蔣介石
2차 중국국민당 1943년 8월 1일 1948년 2월 4일 1,648일
제19대 3차 1948년 2월 5일 1951년 2월 4일 1,095일 제6대
제20대 4차 1951년 2월 5일 1954년 2월 4일 1,095일 제7대
제21대 5차 1954년 2월 5일 1957년 2월 4일 1,095일 제8대
제22대 6차 1957년 2월 5일 1960년 2월 4일 1,094일 제9대
제23대 7차 1960년 2월 5일 1963년 2월 4일 1,095일 제10대
제24대 8차 1963년 2월 5일 1966년 2월 4일 1,095일 제11대
제25대 9차 1966년 2월 5일 1969년 2월 4일 1,095일 제12대
제26대 10차 1969년 2월 5일 1972년 2월 4일 1,094일 제13대
제27대 11차 1972년 2월 5일 1975년 2월 4일 1,095일 제14대
제28대 12차 1975년 2월 5일 1975년 4월 5일 59일 제15대 [4]
제29대

옌자간
嚴家淦
중국국민당 1975년 4월 6일 1978년 2월 4일 1,035일
제30대

장징궈
蔣經國
1차 중국국민당 1978년 2월 5일 1981년 2월 4일 1,095일 제16대
제31대 2차 1981년 2월 5일 1984년 2월 4일 1,094일 제17대
제32대 3차 1984년 2월 5일 1987년 2월 4일 1,095일 제18대
제33대 4차 1987년 2월 5일 1988년 1월 13일 342일 제19대 [4]
제34대

롄잔
連戰
중국국민당 1988년 1월 14일 1988년 12월 2일 323일

희녕 시대

대수 이름 차수 소속 정당 임기 재임 일수 선거 비고
임기 시작 임기 종료
제34대

롄잔
連戰
중국국민당 1988년 12월 3일 1990년 2월 4일 428일 제19대
제35대

장쩌민
江澤民
1차 중국국민당 1990년 2월 5일 1993년 2월 4일 1,095일 제20대
제36대 2차 1993년 2월 5일 1996년 2월 4일 1,094일 제21대
제37대 3차 1996년 2월 5일 1999년 2월 4일 1,095일 제22대
제38대

후진타오
胡錦濤
1차 중국공산당 1999년 2월 5일 2002년 2월 4일 1,095일 제23대
제39대 2차 2002년 2월 5일 2005년 2월 4일 1,095일 제24대
제40대 3차 2005년 2월 5일 2008년 2월 4일 1,094일 제25대
제41대 4차 2008년 2월 5일 2011년 2월 4일 1,095일 제26대
제42대

보시라이
薄熙來
중국공산당 2011년 2월 5일 2012년 11월 6일 640일 제27대 [5]
제43대

마잉주
馬英九
1차 중국국민당 2012년 11월 7일 2015년 11월 6일 1,094일 제28대
제44대 2차 2015년 11월 7일 2018년 11월 6일 1,095일 제29대
제45대 3차 2018년 11월 7일 2021년 2월 28일 844일 제30대

연덕 시대

대수 이름 차수 소속 정당 임기 재임 일수 선거 비고
임기 시작 임기 종료
제45대

마잉주
馬英九
3차 중국국민당 2021년 3월 1일 2021년 11월 6일 250일 제30대
제46대 4차 2021년 11월 7일 2024년 11월 6일
(예정)
1,095일
(예정)
제31대

여담

관련 문서

둘러보기

청국
관련 문서

  1. 이 중에서 봉길총독은 1907년 이후부터 직책명에 추가되었다.
  2. 단 이는 일본과는 달리 장제스가 30년 넘게 독재를 했었기 때문인 것도 있고, 보시라이의 너무나도 심각한 비리와 공산당 내 파벌 싸움으로 인해 대부분의 유권자들이 공산당에게 등을 돌렸기 때문인 것도 있다.
  3. 엄밀히 따지자면 승상이라는 관직 자체는 존재했지만 우승상, 좌승상이라는 부관직으로 존재했으며 이 당시의 승상 역할은 원나라의 태자가 맡았다.
  4. 4.0 4.1 4.2 4.3 4.4 임기 중 사망.
  5. 1924년 9월 15일 해산 이후로 무려 88년만에 이루어진 신민원 해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