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내셔널리즘 (개화):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30번째 줄: 30번째 줄:
19세기 러시아 제국은 새로 획득한 시베리아와 극동 영토를 개척하기 위해 유럽 영토의 슬라브인을 극동으로 이주시키는 정책을 폈다. 이중에는 [[우크라이나인 (개화)|우크라이나인]]들도 상당수 포함되어있었다. 극동으로 이주한 우크라이나인들은 주로 [[하바리우스크 (개화)|하바리우스크]]와 [[볼로디스히드 (개화)|볼로디스히드]](당시 명칭은 블라디보스토크) 등에 정착했다. 20세기 초 기준으로 연해주 인구의 40% 이상이 우크라이나인일 정도로 우크라이나인의 극동 이주는 활발했다.
19세기 러시아 제국은 새로 획득한 시베리아와 극동 영토를 개척하기 위해 유럽 영토의 슬라브인을 극동으로 이주시키는 정책을 폈다. 이중에는 [[우크라이나인 (개화)|우크라이나인]]들도 상당수 포함되어있었다. 극동으로 이주한 우크라이나인들은 주로 [[하바리우스크 (개화)|하바리우스크]]와 [[볼로디스히드 (개화)|볼로디스히드]](당시 명칭은 블라디보스토크) 등에 정착했다. 20세기 초 기준으로 연해주 인구의 40% 이상이 우크라이나인일 정도로 우크라이나인의 극동 이주는 활발했다.


1917년, 페트로그라드에서 레닌이 이끄는 볼셰비키가 러시아 제국을 전복하면서 러시아 전역은 혼란에 빠졌다. 본토 우크라이나에서 민족주의 엘리트들이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을 선포하자 이에 자극받은 극동의 우크라이나인들 역시 우크라이나 민족국가인 [[녹우크라이나 제1공화국 (개화)|우크라이나 극동 공화국]]을 건국했다. 이 신생 공화국에는 우크라이나 전통의 사방위 색상 전통에 따라 녹색 우크라이나 혹은 녹색 쐐기(젤레니 클린)라는 이름이 붙었다. 한국의 지원을 밭은 녹우크라이나는 본토 우크라이나와의 정치적 통합을 원했지만 본토의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은 외세의 침공과 내부의 정치적, 경제적 혼란을 겪다가 결국 구소련에 완전히 병탄당하며 우크라이나 통합 계획은 무산되었다. 본토 우크라이나와 독자노선을 걸을 수 밖에 없게 된 녹우크라이나는 구소련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우크라이나 내셔널리즘 부흥에 매진했다. 모든 학교에서 우크라이나와 수업이 의무화되었으며 모든 공문서는 우크라이나어로만 작성되었다. 또 좌우파에 상관 없이 녹우크라이나의 주요 정치 세력들은 모두 우크라이나 내셔널리즘을 적극 지지하였다. 녹우크라이나 정부가 유럽의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 망명정부를 암암리에 지원하기도 하였다.
1917년, 페트로그라드에서 레닌이 이끄는 볼셰비키가 러시아 제국을 전복하면서 러시아 전역은 혼란에 빠졌다. 본토 우크라이나에서 민족주의 엘리트들이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을 선포하자 이에 자극받은 극동의 우크라이나인들 역시 우크라이나 민족국가인 [[녹우크라이나 제1공화국 (개화)|우크라이나 극동 공화국]]을 건국했다. 이 신생 공화국에는 우크라이나 전통의 사방위 색상 전통에 따라 녹색 우크라이나 혹은 녹색 쐐기(젤레니 클린)라는 이름이 붙었다. 한국의 지원을 밭은 녹우크라이나는 본토 우크라이나와의 정치적 통합을 원했지만 본토의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은 외세의 침공과 내부의 정치적, 경제적 혼란을 겪다가 결국 구소련에 완전히 병탄당하며 우크라이나 통합 계획은 무산되었다. 본토 우크라이나와 독자노선을 걸을 수 밖에 없게 된 녹우크라이나는 구소련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우크라이나 내셔널리즘 부흥에 매진했다. 모든 학교에서 우크라이나와 수업이 의무화되었으며 모든 공문서는 우크라이나어로만 작성되었다. 또 좌우파에 상관 없이 녹우크라이나의 주요 정치 세력들은 모두 우크라이나 내셔널리즘을 적극 지지하였다. [[녹우크라이나 정부 (개화)|녹우크라이나 정부]]가 유럽의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 망명정부를 암암리에 지원하기도 하였다.


1940년, 구소련의 침공으로 [[제3차 극동전쟁 (개화)|제3차 극동전쟁]]이 발발하면서 극동에서의 우크라이나 내셔널리즘은 위기에 처했다. 구소련군이 물밀듯이 쳐들어오며 녹우크라이나 전역을 점령하자 녹우크라이나 정부와 민족주의자들은 한국 본토로 피신하였고 녹우크라이나군도 계속해서 구소련군과 전투를 벌였지만 앵커리지 조약으로 녹우크라이나가 구소련에 병탄되면서 한국땅으로 피신했던 우크라이나인들은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녹우크라이나 망명정부 (개화)|망명정부]]를 세웠다.
1940년, 구소련의 침공으로 [[제3차 극동전쟁 (개화)|제3차 극동전쟁]]이 발발하면서 극동에서의 우크라이나 내셔널리즘은 위기에 처했다. 구소련군이 물밀듯이 쳐들어오며 녹우크라이나 전역을 점령하자 녹우크라이나 정부와 민족주의자들은 한국 본토로 피신하였고 녹우크라이나군도 계속해서 구소련군과 전투를 벌였지만 앵커리지 조약으로 녹우크라이나가 구소련에 병탄되면서 한국땅으로 피신했던 우크라이나인들은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녹우크라이나 망명정부 (개화)|망명정부]]를 세웠다.


[[녹우크라이나 망명정부 (개화)|녹우크라이나 망명정부]]는 한국땅에서 우크라이나인들을 규합하고 구소련령이 된 녹우크라이나에 대한 내셔널리즘 선전활동을 계속하였다. 194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망명정부의 유격대가 녹우크라이나로 침입하고 녹우크라이나에서 민족주의자들이 반란을 일으키면서 구소련군과 여러 차례 전투를 벌였다. 하지만 1950년대에 접어들면서 녹우크라이나에서의 내셔널리즘 운동은 구소련 당국의 극심한 탄압으로 큰 피해를 입고 완전히 지하화되었다. 한편, 만주에서 [[만주 내전 (개화)|만주 내전]]이 발발하자 만주의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들은 만주 정부군과 손을 잡고 구소련의 지원을 받는 공산주의 반군과 전투를 벌이기도 했다.
[[녹우크라이나 망명정부 (개화)|녹우크라이나 망명정부]]는 한국땅에서 우크라이나인들을 규합하고 구소련령이 된 녹우크라이나에 대한 내셔널리즘 선전활동을 계속하였다. 194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망명정부의 유격대가 녹우크라이나로 침입하고 녹우크라이나에서 민족주의자들이 반란을 일으키면서 구소련군과 여러 차례 전투를 벌였다. 하지만 1950년대에 접어들면서 녹우크라이나에서의 내셔널리즘 운동은 구소련 당국의 극심한 탄압으로 큰 피해를 입고 완전히 지하화되었다. 한편, [[만주 (개화)|만주]]에서 [[만주 내전 (개화)|만주 내전]]이 발발하자 만주의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들은 [[만주군 (개화)|만주 정부군]]과 손을 잡고 구소련의 지원을 받는 공산주의 반군과 전투를 벌이기도 했다.


1980년대가 되며 고르바초프의 개혁정책에 따라 사회 분위기가 비교적 자유로워졌고 구소련령 녹우크라이나인 극동 SSR에서 우크라이나 내셔널리즘이 다시 나타나기 시작했다. 녹우크라이나 망명정부의 지원을 받은 이들 내셔널리즘 세력은 녹우크라이나의 독립을 요구하였다. 본토 우크라이나와 달리 훨씬 더 나중에 구소련에 병합된 녹우크라이나는 우크라이나 정체성이 본토 우크라이나보다 훨씬 짙었고, 덕분에 1991년에 치러진 독립 투표에서 독립 68%, 잔류 32%의 결과가 나오면서 [[녹우크라이나 (개화)|녹우크라이나는 독립하였다.]]<ref>물론 독립이 압도적으로 가결된 게 우크라이나 내셔널리즘 덕분만은 아니었다. 당시 구소련 경제는 극심한 침체를 겪고 있었기 때문에, 녹우크라이나가 독립하면 독립을 지지하는 [[대한민국 (개화)|한국]]의 경제적 지원을 받을 거란 기대감도 깔려있었다.</ref>
1980년대가 되며 고르바초프의 개혁정책에 따라 사회 분위기가 비교적 자유로워졌고 구소련령 녹우크라이나인 극동 SSR에서 우크라이나 내셔널리즘이 다시 나타나기 시작했다. 녹우크라이나 망명정부의 지원을 받은 이들 내셔널리즘 세력은 녹우크라이나의 독립을 요구하였다. 본토 우크라이나와 달리 훨씬 더 나중에 구소련에 병합된 녹우크라이나는 우크라이나 정체성이 본토 우크라이나보다 훨씬 짙었고, 덕분에 1991년에 치러진 독립 투표에서 독립 68%, 잔류 32%의 결과가 나오면서 [[녹우크라이나 (개화)|녹우크라이나는 독립하였다.]]<ref>물론 독립이 압도적으로 가결된 게 우크라이나 내셔널리즘 덕분만은 아니었다. 당시 구소련 경제는 극심한 침체를 겪고 있었기 때문에, 녹우크라이나가 독립하면 독립을 지지하는 [[대한민국 (개화)|한국]]의 경제적 지원을 받을 거란 기대감도 깔려있었다.</ref>

2024년 5월 2일 (목) 00:49 기준 최신판

우크라이나 내셔널리즘 집회
우크라이나 민족기

Український націоналізм / Ukrainian Nationalism

개요

우크라이나의 내셔널리즘 대해 다루는 문서이다.

역사

유럽

언어와 문화로 전래된 민족성은 코사크 시절부터 존재했으나, 근대적 의미의 우크라이나 내셔널리즘이 떠오른 것은 19세기부터이다. 당시 오스트리아 제국의 치하에 있었는 동할리치나는 우크라이나인이 다수를 차지하였는데, 프랑스 혁명과 미국 독립전쟁에 자극을 받은 우크라이나인 엘리트들이 우크라이나 내셔널리즘의 부흥을 시작하였다.

1차 세계대전으로 러시아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붕괴하자 러시아 제국령이었던 우크라이나의 민족주의 지식인들은 민족주의와 사회주의에 기반한 우크라이나인 민족국가인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령(동할리치나)의 민족주의자들 역시 우크라이나인 민족국가인 서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을 건국했다. 하지만 정치적 혼란 등으로 인해 두 민족국가는 구소련과 폴란드에 의해 멸망, 분할되었다. 이후 구소련령 우크라이나에서는 홀로도모르로 인해 우크라이나 민족 정체성이 큰 타격을 받았다. 한편, 폴란드령 동할리치나에서는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단(OUN)으로 대표되는 극우 민족주의가 발흥했다. OUN은 동할리치나에서 쿠반과 캅카스에 이르르는 거대한 우크라이나 민족국가의 건설을 목표로 하며 폴란드인, 유대인, 사회주의자들에 대한 테러를 저질렀다.

2차 세계대전에서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들은 구소련에 맞서기 위해 나치독일과 협력하고자 했으나, 나치독일 역시 우크라이나에 적대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민족주의자들은 나치독일과 구소련 양쪽 모두에 격렬하게 저항했다. 하지만 2차 세계대전이 구소련 등의 연합국의 승리로 끝나고 구소련군이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들에 대한 대대적인 탄압에 나서면서 유럽에서의 우크라이나 내셔널리즘 운동은 큰 타격을 받았다.

1980년대 데탕트의 분위기 속에서 구소련의 지도자 고르바초프가 사회 자유화 정책을 시행하자 물밑에 잠겨있던 우크라이나 내셔널리즘은 다시 고개를 들기 시작했다. 레오니드 크라우추크, 빅토르 유셴코 등의 일부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들은 우크라이나 독립을 목표로 활동하였고 마침내 우크라이나 독립여뷰를 묻는 투표가 유크라이나에서 개최되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 독립투표에서 독립안이 부결되고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주권공화국이 되어 소비에트 주권공화국 연합, 일명 신소련에 합류하면서 또다시 독립은 좌절되었다.

극동

19세기 러시아 제국은 새로 획득한 시베리아와 극동 영토를 개척하기 위해 유럽 영토의 슬라브인을 극동으로 이주시키는 정책을 폈다. 이중에는 우크라이나인들도 상당수 포함되어있었다. 극동으로 이주한 우크라이나인들은 주로 하바리우스크볼로디스히드(당시 명칭은 블라디보스토크) 등에 정착했다. 20세기 초 기준으로 연해주 인구의 40% 이상이 우크라이나인일 정도로 우크라이나인의 극동 이주는 활발했다.

1917년, 페트로그라드에서 레닌이 이끄는 볼셰비키가 러시아 제국을 전복하면서 러시아 전역은 혼란에 빠졌다. 본토 우크라이나에서 민족주의 엘리트들이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을 선포하자 이에 자극받은 극동의 우크라이나인들 역시 우크라이나 민족국가인 우크라이나 극동 공화국을 건국했다. 이 신생 공화국에는 우크라이나 전통의 사방위 색상 전통에 따라 녹색 우크라이나 혹은 녹색 쐐기(젤레니 클린)라는 이름이 붙었다. 한국의 지원을 밭은 녹우크라이나는 본토 우크라이나와의 정치적 통합을 원했지만 본토의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은 외세의 침공과 내부의 정치적, 경제적 혼란을 겪다가 결국 구소련에 완전히 병탄당하며 우크라이나 통합 계획은 무산되었다. 본토 우크라이나와 독자노선을 걸을 수 밖에 없게 된 녹우크라이나는 구소련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우크라이나 내셔널리즘 부흥에 매진했다. 모든 학교에서 우크라이나와 수업이 의무화되었으며 모든 공문서는 우크라이나어로만 작성되었다. 또 좌우파에 상관 없이 녹우크라이나의 주요 정치 세력들은 모두 우크라이나 내셔널리즘을 적극 지지하였다. 녹우크라이나 정부가 유럽의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 망명정부를 암암리에 지원하기도 하였다.

1940년, 구소련의 침공으로 제3차 극동전쟁이 발발하면서 극동에서의 우크라이나 내셔널리즘은 위기에 처했다. 구소련군이 물밀듯이 쳐들어오며 녹우크라이나 전역을 점령하자 녹우크라이나 정부와 민족주의자들은 한국 본토로 피신하였고 녹우크라이나군도 계속해서 구소련군과 전투를 벌였지만 앵커리지 조약으로 녹우크라이나가 구소련에 병탄되면서 한국땅으로 피신했던 우크라이나인들은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망명정부를 세웠다.

녹우크라이나 망명정부는 한국땅에서 우크라이나인들을 규합하고 구소련령이 된 녹우크라이나에 대한 내셔널리즘 선전활동을 계속하였다. 194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망명정부의 유격대가 녹우크라이나로 침입하고 녹우크라이나에서 민족주의자들이 반란을 일으키면서 구소련군과 여러 차례 전투를 벌였다. 하지만 1950년대에 접어들면서 녹우크라이나에서의 내셔널리즘 운동은 구소련 당국의 극심한 탄압으로 큰 피해를 입고 완전히 지하화되었다. 한편, 만주에서 만주 내전이 발발하자 만주의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들은 만주 정부군과 손을 잡고 구소련의 지원을 받는 공산주의 반군과 전투를 벌이기도 했다.

1980년대가 되며 고르바초프의 개혁정책에 따라 사회 분위기가 비교적 자유로워졌고 구소련령 녹우크라이나인 극동 SSR에서 우크라이나 내셔널리즘이 다시 나타나기 시작했다. 녹우크라이나 망명정부의 지원을 받은 이들 내셔널리즘 세력은 녹우크라이나의 독립을 요구하였다. 본토 우크라이나와 달리 훨씬 더 나중에 구소련에 병합된 녹우크라이나는 우크라이나 정체성이 본토 우크라이나보다 훨씬 짙었고, 덕분에 1991년에 치러진 독립 투표에서 독립 68%, 잔류 32%의 결과가 나오면서 녹우크라이나는 독립하였다.[1]

현황

녹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SSR

기타 지역

관련 단체

둘러보기

녹우크라이나의 보수 진영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이념 보수주의(녹오) · 국민주의(오극란) · 기독교 우파 · 사회보수주의 · 국민보수주의 · 자유보수주의 · 경제적 자유주의 · 가부장적 보수주의 · 태평양주의 · 애국주의 · 우익대중주의 · 자유지상적 보수주의
인물 대통령 이반 모졸레우스키 · 보리스 흐레샤티츠키 · 이반 스비트 · 이반 바흐랴니 · 올렉산드르 루덴코-데스냐크 · 세르히 테레셴코 · 페트로 올리니크 · 세르히 푸르할
대통령 후보 패트로 호로비
총리 빅토르 쿨랴브코-코레츠키 · 호르디 멜라쉬치 · 베네딕트 야코벤코 · 이반 파슬라우스키
주요 사상가
정당 원내 국민당 · 민주연합 · 기독교 민주당
원외
과거 진보당 · 국민혁명동맹 · 기독사회당 · 우파당
정당연합 국민전선 · 미래를 향한 연합
언론 인데펜단세 · 포우나 스보보디
단체 시장경제연구소 · 국민자유재단 · 퇴역군인협회 · 종교협의회
극좌 · 진보 · 자유주의 · 극우
녹우크라이나의 진보 진영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이념 진보주의(오극란)1 · 사회민주주의 · 대중주의 · 국민주의(오극란) · 기독교 민주주의 · 노동주의 · 태평양주의 · 민주사회주의 · 제3의 길 · 진보주의 · 사회자유주의 · 평화주의
인물 대통령 코스트 안드루셴코 · 안틴 콜레스니크 · 헨나디 라이코우 · 볼로디미르 댜첸코 · 세르히 다르킨
총리 드미트로 보로비크 · 하우릴로 크리첸코-모힐라
대통령 후보 오니심 스투파크 · ㅇㅇ
주요 사상가
정당 원내 국민노동당 · 인민의 종 · 기독교 민주당
원외 볼로디드 시민넷 · 녹색당 · 연합노동자당 · 윌타 민족동맹
과거 사회혁명당 · 사회민주노동당 · 대중노동당 · 사회당 · 공산당 · 진보당 · 민주개혁당
정당연합 인민전선 · 진보와 단결
언론 프리모르스카야 지즌
단체 코뮌 협회 · 민주주의재단 · 전국노동조합총동맹
¹ 녹우크라이나 정치에서 진보주의는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진보주의가 아닌, 범좌파·범진보 진영을 포괄하는 용어로 통용된다.
극좌 · 자유주의 · 보수 · 극우
녹우크라이나의 자유주의 진영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이념 자유주의(녹오) · 경제적 자유주의 · 국민주의(오극란) · 보수자유주의 · 고전적 자유주의 · 자유지상주의 · 기독교 자유주의 · 문화적 자유주의 · 사회자유주의 · 태평양주의 · 시민 내셔널리즘 · 자유주의적 국제주의
인물 대통령 유리 흘루슈코-모바 · 페디르 스테슈코 · 드미트로 파이다 · 페트로 올리니크
총리 드미트로 보로비크 · 보리스 보블리 · 빅토르 체레프코우
학자
정당 원내 민주연합 · 인민의 종
원외 자유지상당
과거 인민자유당 · 자유당 · 사회자유당 · 민주개혁당
정당연합 흘루슈코-모바 블록
언론 포우나 스보보디
단체 시장경제연구소 · 민주주의재단
극좌 · 진보 · 보수 · 극우

각주

  1. 물론 독립이 압도적으로 가결된 게 우크라이나 내셔널리즘 덕분만은 아니었다. 당시 구소련 경제는 극심한 침체를 겪고 있었기 때문에, 녹우크라이나가 독립하면 독립을 지지하는 한국의 경제적 지원을 받을 거란 기대감도 깔려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