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주군 (개화)

만주군
ᠮᡠᠰ ᡝᡳ ᠮᠠᠨᠵᡠ![1][2]
우리들의 만주!
국가 만주 (개화)의 기 만주
언어별 명칭 한문 : 滿洲軍
영문 : Armed Forces of Manchuria
한글 : 만주군
만문 :  ᠮᠠᠨᠵᡠ ᡤᡠᡵᡠᠨ ᡮᠣᠣᠠ[3]
통수권자 비징취안 (만주 대총통)
감독권자 왕빈 (만주 국방총장)
사령장관 자오중치 / 육군상장
창군 1950년 9월 9일
전신 봉천군벌
휘하 군종 만주육군 (滿洲陸軍)
만주해군 (滿洲海軍)
만주공군 (滿洲空軍)
규모 상비군 : 5868만 7천 명
예비군 : 약 80만 명
병역제도 징병제
군기

1.개요

만주의 국군. 만주의 국방을 담당하는 군사조직이며 만주 국방부 소속이다.

2.역사

현대 만주군의 직접적인 전신이 되는 봉천군벌은 마적 출신 군벌지도자인 장쭤린이 지휘하는 부대로, '봉천군'이라 불렸었다. 봉천군은 중국의 여타 군벌들과는 달리 전차, 항공기, 독가스 등 각종 신뮤기를 받아들이며 군사력을 증가하였다. 장쭤린이 만주를 장악한 이후 봉천군은 직봉전쟁, 직봉풍전쟁 등을 거치며 관내 진출을 시도했고, 2차 직봉전쟁에서 승리한 봉천군은 관내진출에 성공했을 뿐만 아니라 그 세력권을 상하이까지 넓혔다. 하지만 반봉전쟁과 국민당의 2차 북벌로 인해 봉천군은 큰 타격을 입었고, 결국 봉천군벌은 베이징을 포기하고 만주로 철수하는 양부천봉을 단행한다.

장쭤린 사후 그의 뒤를 이어 봉천군벌의 수장이자 만주의 지배자가 된 장쉐량동북역치를 통해 외관상으로는 국민정부에 복종하였지만 실제로는 동북정무위원회 주임 겸 동북변방사령장관이라는 직함으로 만주의 민정과 군정을 그대로 장악하고 있었다. 그는 동북군으로 명칭이 바뀐 봉천군의 편제를 여단 중심으로 재편성하였다. 또한 난징의 국민정부에 대한 의존을 줄이기 위해 한국과의 협력을 강화하여 한국으로부터 대구경 야포와 항공기 등 각종 무기를 수입하고 한국육군무관학교에 유학생들을 입교시켰다.

훈련중인 만주군 기관총부대 (1936)

(공사중)

3.수뇌부·지휘체계

만주군 수뇌부
비징취안 / 문민
만주 대총통
왕빈 / 문민
만주 국방총장
자오중치 / 육군상장
만주군 참모장관 겸 FETO군 부사령관

만주군의 통수권자는 만주의 국가원수인 대총통이다. 국방부의 수장인 국방총장은 대총통의 명을 받아 만주군을 지휘, 감독할 책임을 진다. 국방총장은 문민이 임명되나, 만주의 민주화 전에는 전역한 군인이 임명되기도 했다. 국방총장 밑의 참모장관은 참모본부의 지휘관이자 만주군 전체의 군령권자로서, 대총통과 국방총장의 명을 받아 만주군을 지휘한다. 또한 3군의 총감이 각 군의 군정권을 행사한다.

전시에는 지휘체계가 상당히 달라진다. 전시에 만주군의 작전통제권은 FETO군 통합사령부로 이관되며, FETO군 통합사령부가 만주군의 참모본부와 3군 총감부를 통제하에 둔다. 만주 3군은 각각 3군 통합사령부의 통제 하에 들어간다.[4] 만주군 참모장관은 통합사령부 부사령관으로서 작전통제에 참여할 수 있다. 다만 작전통제권이 연합사령부로 이관된다 해서 만주 대총통의 통수권이나 국방총장의 지휘감독권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4.조직

4.1.군문

  • 만주육군: 만주군의 명실상부한 주력. 3군 중 인원과 예산 양면에서 해공군을 압도한다. 또한 만주군의 현역 상장 6인 중 5인이 육군 소속이다.
  • 만주해군: 만주군 3군문 중 최약체. 모든 면에서 육군은 물론 공군보다도 밀리는 찬밥 신세이다. 해군총감 역시 육군총감과 공군총감보다 한 계급 낮은 대장이다.
  • 만주공군: 만주의 항공부대. 육군에 비해서는 그 중요도가 훨씬 떨어지지만 해군보다는 상황이 낫다. 공군총감은 상장 계급이다.

4.2.편제

  • 참모본부 (★★★★)
    • 육군총감부 (★★★★)
      • 제1야전군 (★★★★)
        • 제1군단 (★★★)
        • 제5군단 (★★★)
        • 제7군단 (★★★)
      • 제2야전군 (★★★★)
        • 제3군단 (★★★)
        • 제6군단 (★★★)
        • 제8군단 (★★★)
      • 제3야전군 (★★★★)
        • 제2군단 (★★★)
        • 제4군단 (★★★)
        • 제9군단 (★★★)
    • 공군총감부 (★★★★)
      • 공군작전사령부 (★★★)
        • 항공전투사 (★★)
        • 항공지원사 (★★)
        • 방공사 (★★)
    • 해군총감부 (★★★)
      • 만주함대 (★★)

각군의 상세한 편제는 군문별 문서를 참조하라.

4.3.부대 단위

• 육군

  • 집단군 : 만주육군의 최상위 제대로, 이론상으로는 2개 이상의 야전군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평시 만주군이 3개 야전군으로 이루어져있는 만큼 평시에 볼 수 있는 편제가 아니며, 국가의 존망이 걸린 총력전에서나 소집이 되는 제대이다. 이론상으로는 집단군장에 원수가 임명된다.
  • 야전군 : 만주육군의 실질적인 최상위 제대로, 2개 이상의 군(군단)으로 이루어진다. 현재 만주 육군에는 제1,2,3 이렇게 3개의 야전군이 존재한다. 야전군장에는 상장이 보임되며, 육군총감이나 육군 출신의 참모장관에 임명되기 위해서 반드시 거쳐야 하는 보직이다.
  • (군단) : 한국군의 군단에 해당하는 제대. 2개 이상의 사(사단)와 여(여단)로 이루어진다. 한국군에는 고작 3개가 있는 것에 비해 만주육군은 총 10개의 군을 가지고 있다. 군장에는 정장이 보임된다.
  • (사단) : 한국군의 사단에 해당하는 제대. 일반적으로 3개 보병단(연대)과 1개 포병단(연대) 드리고 기타 지원부대로 이루어진다. 육군 보직의 꽃이라고 불리는 사장에는 부장이 보임된다.
  • (여단) : 한국군의 여단에 해당하는 제대. 3개 이상의 영으로 구성된다 만주육군 여의 정류로는 장갑여(기갑여단), 포병여(포병여단), 진수여(경비여단) 등이 있다. 여장에는 협장 혹은 정령이 보임된다.
  • (연대) : 한국군의 연대에 해당하는 제대. 2개 이상의 영(대대)으로 이루어진다. 단장에는 정령이 보임된다.
  • (대대) : 한국군의 대대에 해당하는 제대. 2개 이상의 연(중대)으로 구성된다. 영장에는 부령이 보임된다.
  • (중대) : 한국군의 중대에 해당하는 제대. 2개 이상의 배(소대)로 구성된다. 연장에는 정위나 부위가 보임된다.
  • (소대) : 한국군의 소대에 해당하는 제대. 2개 이상의 반(뷴대)으로 구성된다. 배장에는 협위가 보임된다.
  • (분대) : 한국군의 분대에 해당하는 제대. 보통 선임 병이 분대장이 된다.


• 해군

  • 함대: 한국 해군의 함대에 해당하는 제대. 만주 해군 전체에 단 하나 있어서 사실상 만주해군의 본체이다. 여러 개의 지대(전대)로 구성된다. 한국과는 달리 협장이 함대사령(함대총관)에 보임된다.
  • 해항대: 해군항공대. 특수한 부대단위로, 휘하에 여러 개의 해항영(대대)을 둔다. 해항대장에는 협장이 보임된다.
  • 지대: 한국 해군의 전대에 해당하는 제대. 여러 척의 함정으로 구성된다. 한국 해군과는 달리 지대가 함대의 직속부대이다. 정령이 지대장(전대장)에 보임된다.
  • 기지: 만주 해군의 해군 기지. 총 3개소가 있으며[5] 함대가 아닌 해군본부 직속이다. 기지장에는 부령이 보임된다.


......• 해병대
해군 소속이지만 기본적으로 육군과 같은 부대단위를 사용한다. 다만 해병대 자체가 사단급이기 때문에 최상위 제대는 여(여단)다.

5.계급

만주군의 계급은 전반적으로 한국군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본토 중국에는 없는 위관급과 영관급의 단계가 있는 것이 그 예시다. 다만 한국군의 교관급 무관을 사관급 군관이라고 부르거나 한국식의 장-부-참 단계 대신 정-부-협 단계로 이어지는 등 차별화된 점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 수관급 군관
    • 원수(★★★★★) : 상장보다 한 단계 높은 계급으로, 균인이 도달할 수 있는 가장 높은 계급이다. 현재까지는 중화민국 대총통 시절의 장쉐량이 유일한 원수 계급의 보유자다.
  • 장관급 군관 : 한국군장관급 무관에 상당.
    • 상장(★★★★) : 현재 만주군의 최선임 장교다. 1980년대 이후로 군 전체에서 참모장관(도총제사)과 3군 총감(3군 도총관), 야전군장(야전군 총관)만이 받을 수 있는 계급이다. 한국군의 상장에 상응한다.
    • 정장(★★★) :
    • 부장(★★) : 만주군의 장관급 군관 중 세 번째로 높은 계급. 사단도통이나 총리대신 직속 국가안보실장 등의 보직이 가지는 계급이다. 한국군의 부장에 상응한다.
    • 협장() : 만주군의 중추를 담당하는 계급이다. 보직의 꽃이라고 불리는 여단도통과 비행단도통에 바로 이 소장 계급의 장교가 보임된다. 이외에도 사단도통, 국군총감부 수석참모, 주요국 주재무관 등에도 준장이 보임된다. 한국군의 참장에 상응한다.
  • 영관급 군관 : 한국군의 영관급 무관에 상당.
    • 정령
    • 부령
    • 협령
  • 위관급 군관 : 한국군의 위관급 무관에 상당.
    • 정위
    • 부위
    • 협위
    • 준위 : 군관학교(사관학교)의 군관후보생들이 가지는 임시계급. 군관후보생들은 군관학교 졸업 후에는 소위로 정식 임관한다.
  • 사관 : 한국군의 교관급 무관에 상당.
    • 사관장 : 한국군의 특교에 상당.
    • 원사
    • 상사
    • 중사
    • 하사
  • 사병
    • 사병장
    • 상등병
    • 일등병
    • 이등병

6.전력

지상장비
전차 3.5세대 전차 : 50대
3세대 전차 : 330대
2세대 전차 : 452대
장갑차 IFV : 375대
APC : 893대
자주포 170문
견인포 464문
다련장로켓포 146문
수송차량 약 1만 5천 대
항공장비
전투기 4세대 전투기 : 90기
3세대 전투기 : 78기
수송기 37기
조기경보기 0기
무인기 36기
공격헬기 42기
수송헬기 185기

7.군가

만주국 국군가
가사
[ 가사 펼치기 · 접기 ]

8.상징

만주군 군기
만주군 문장 '북양성'
만주 해군기 겸 힘수기
만주 공군 라운델

9.둘러보기

파일:만주 국장 (개화).png
만주국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10.각주

  1. 발음 : 무써 이 만주!
  2. 만주국군의 캐치프라이즈로, 중국어가 아닌 만주어로만 외친다. 황제가 참여하는 행사에서는 황제 만세!(ᡥᡡᠸᠠᠩᡩᡳ ᡨ᠋ᡠᠮᡝᠨ ᡯᠠᠨ!, 후왕디 투먼 잔!)라고 외친다.
  3. 발음 : 만주 구룬 초오아
  4. 예를 들자면 만주육군은 한국육군, 녹오육군과 함께 통합사령부 육군사령부의 작전통제를 받는다.
  5. 독특하게도 3개소 중 하나는 한국령인 요동반도의 작은 군항 하나를 조차받아 사용중이다.
에러
만주군
에러 | 게시한 날짜 Dec 27, 2023 at 8:48 pm

이라 쓰고 한국 제3 야전군이라고 읽는다.

Curio
Curio | 게시한 날짜 Dec 29, 2023 at 9:02 pm

하지만 한국군에는 야전군 단위 제대가 없는

접기
history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