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국 (한나라):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2번째 줄: 12번째 줄:
----
----
{| class="wikitable" style="max-width: 450px; width: 100%; text-align: left; border: 2px solid #29176e; float: right;"
{| class="wikitable" style="max-width: 450px; width: 100%; text-align: left; border: 2px solid #29176e; float: right;"
! colspan="3"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fff 5%, #29176e 5%, #29176e 9%, #fff 9%, #fff 10%, #29176e 10%, #29176e 14%, #fff 14%, #fff 15%, #29176e 15%, #29176e 19%, #fff 19%, #fff 81%, #d9241d 81%, #d9241d 90%, #29176e 90%); color: #29176e" | {{+2|대한국}}<br>大韓國<br>Empire of Korea
! colspan="3"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fff 5%, #29176e 5%, #29176e 9%, #fff 9%, #fff 10%, #29176e 10%, #29176e 14%, #fff 14%, #fff 15%, #29176e 15%, #29176e 19%, #fff 19%, #fff 81%, #d9241d 81%, #d9241d 90%, #29176e 90%); color: #29176e" | {{+2|대한국}}<br>大韓國 | Empire of Korea
|-
|-
! colspan="2" | {{테두리|[[파일:대한제국 국기.svg|160px]]}}
! colspan="2" | {{테두리|[[파일:대한제국 국기.svg|160px]]}}
42번째 줄: 42번째 줄:
! style="background: #CC0000; color: #F3C700"  | [[소련군정 (한나라)|{{글씨 색|#F3C700|소련군정}}]]
! style="background: #CC0000; color: #F3C700"  | [[소련군정 (한나라)|{{글씨 색|#F3C700|소련군정}}]]
|-
|-
! style="background: #002664; color: #FFF"  | [[미군정 (한나라)|{{글씨 색|#ffd800|미군정}}]]
! style="background: #002664; color: #FFF"  | [[미군정 (한나라)|{{글씨 색|#FFF|미군정}}]]
|-
|-


84번째 줄: 84번째 줄: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 none; margin: 0px -10px 0px">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 none; margin: 0px -10px 0px">
{| style="margin: 4px 0px -6px 0px; width: 100%"
{| style="margin: 4px 0px -6px 0px; width: 100%"
! rowspan="32" style="width: 10%; background: #d9241d; color: #ffd800" | 인구
! rowspan="3" style="width: 10%; background: #d9241d; color: #ffd800" | 인구
! style="width: 20%; background: #d9241d; color: #ffd800" | 총 인구
! style="width: 20%; background: #d9241d; color: #ffd800" | 총 인구
| 25,120,174명<sup>(1944년)</sup>
| 25,120,174명<sup>(1944년)</sup>
121번째 줄: 121번째 줄:
|-
|-
! style="width: 30%; background: #d9241d; color: #ffd800" | 정치 체제
! style="width: 30%; background: #d9241d; color: #ffd800" | 정치 체제
| [[전제군주제]]{{-2|(1897~1910)}}<br>→ [[입헌군주제]] · [[의원내각제]]{{-2|(1910~1940)}}<br>→ [[군사독재]] · [[보국충정회 (한나라)|충정 체제]]{{-2|(1940~1945)}}→ [[미군정 (한나라)|미군정 체제]]{{-2|(1945~1948)}}
| [[전제군주제]]{{-2|(1897~1910)}}<br>→ [[입헌군주제]] · [[의원내각제]]{{-2|(1910~1940)}}<br>→ [[군사독재]] · [[보국충정회 (한나라)|충정 체제]]{{-2|(1940~1945)}}<br>→ [[미군정 (한나라)|미군정 체제]]{{-2|(1945~1948)}}
|-
|-
! style="background: #d9241d; color: #ffd800" | [[국가원수|{{글씨 색|#ffd800|국가원수}}]]
! style="background: #d9241d; color: #ffd800" | [[국가원수|{{글씨 색|#ffd800|국가원수}}]]
127번째 줄: 127번째 줄:
|-
|-
! style="background: #d9241d; color: #ffd800" | 역대 황제
! style="background: #d9241d; color: #ffd800" | 역대 황제
| [[고조 태황제 (한나라)|고조 태황제 (한나라)]] {{-2|(1897~1907)}}<br>[[순종 효황제 (한나라)|순종 효황제 (한나라)]] {{-2|(1907~1926)}}<br>[[열조 의황제 (한나라)|열조 의황제 (한나라)]] {{-2|(1926~1948)}}
| [[고조 태황제 (한나라)|고조 태황제]] {{-2|(1897~1907)}}<br>[[순종 효황제 (한나라)|순종 효황제]] {{-2|(1907~1926)}}<br>[[열조 의황제 (한나라)|열조 의황제]] {{-2|(1926~1948)}}
|-
|-
! style="background: #d9241d; color: #ffd800" | [[국가원수|{{글씨 색|#ffd800|국가원수}}]]
! style="background: #d9241d; color: #ffd800" | [[국가원수|{{글씨 색|#ffd800|국가원수}}]]
155번째 줄: 155번째 줄:
! style="background: #d9241d; color: #ffd800" | 연호
! style="background: #d9241d; color: #ffd800" | 연호
| colspan="2" | [[광무 시대 (한나라)|광무]] {{-2|(1897년~1907년)}}<br>[[융희 시대 (한나라)|융희]] {{-2|(1907년~1926년)}}<br>[[창명 시대 (한나라)|창명]] {{-2|(1926년~1948년)}}
| colspan="2" | [[광무 시대 (한나라)|광무]] {{-2|(1897년~1907년)}}<br>[[융희 시대 (한나라)|융희]] {{-2|(1907년~1926년)}}<br>[[창명 시대 (한나라)|창명]] {{-2|(1926년~1948년)}}
|-
! colspan="3" style="background:#29176e; color:#ffd800" | 기타
|-
|-
|}
|}
{{목차}}
{{목차}}
== 개요 ==
== 개요 ==
== 역사 ==
'''대한국'''(大韓國) 또는 '''구한'''(舊韓)은 [[광무개혁 (한나라)|광무개혁]] 이래<ref>[[융희유신 (한나라)|융희유신]] 이후로 보는 학자도 있다.</ref>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를 통치했던 국가이다.  1897년 10월 12일부터 1948년 7월 16일까지 존속했다. 광무개혁을 통해 근대화를 꿈꾸었지만, 일제로 인해 좌절된 후 일제의 보호국으로 전락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한나라)|제2차 세계 대전]]에서의 패전으로 인해 미소군정의 점령 이후 [[대한제국 헌법 (한나라)|대한제국 헌법]]이 제정됨으로써 체제가 붕괴되었다.
== 상징 ==
=== [[대한제국/국호 (한나라)|국호]] ===
{{본문|대한제국/국호 (한나라)}}
{{인용문1|상이 이르기를 '''우리나라는 곧 삼한(三韓)의 땅인데, 국초(國初)에 천명을 받고 한 나라로 통합되었다.''' 지금 국호를 ‘대한(大韓)’이라고 정한다고 해서 안 될 것이 없다. 또한 매번 각 나라의 문자를 보면 조선이라고 하지 않고 한(韓)이라 하였다. 이는 아마 미리 징표를 보이고 오늘이 있기를 기다린 것이니, 세상에 공표하지 않아도 세상이 모두 다 ‘대한’이라는 칭호를 알고 있을 것이다.|『고조개수실록』 고조 34년(광무 원년) 10월 11일 3번째 기사.}}
{{인용문1|상이 이르기를 "국호가 이미 정해졌으니, 원구단에 행할 고유제의 제문과 반조문에 모두 대한'''(大韓)'''으로 쓰도록 하라."|『고조개수실록』 고조 34년(광무 원년) 10월 11일 3번째 기사.}}
=== [[태극기 (한나라)|국기]] ===
{{본문|태극기 (한나라)}}
{| class="wikitable !mx-auto dark:!border-[#fff]" style="max-width: 400px; width: 100%; text-align: left; border: 2px solid #29176e"
! colspan="2" style="background: #d9241d; color: #fff" | {{+2|태극기}}<br>太極旗
|-
| colspan="2" | <div style="margin: -4.5px -9.0px">[[파일:대한제국 국기.svg|400px]]</div>
|-
! style="width: 25%; background: #29176e; color:#fff" | 지위
| '''공식 국기'''
|-
! style="background: #29176e; color:#fff" | 최초 사용
| [[1882년]]
|-
! style="background: #29176e; color:#fff" | 채택
| [[조선 (한나라)|조선]] {{-2|([[1882년]] [[3월 6일]])}}
|-
! style="background: #29176e; color:#fff" | 근거 법령
| <국기에관한칙령> {{-2|([[1882년]]~[[1984년]])}}
|-
! style="background: #29176e; color:#fff" | 제작자
| [[이응준(역관) (한나라)|이응준]]{{-2|(李應浚, 1832 - ?)}}<br>[[박영효 (한나라)|박영효]]{{-2|(朴泳孝, 1861 - 1939)}}<br>[[고조 태황제 (한나라)|고조 태황제]]{{-2|(高祖 太皇帝, 1852 - 1919)}}
|-
|}
=== [[애국가 (한나라)|국가]] ===
{{본문|애국가 (한나라)}}
== [[대한제국/역사 (한나라)|역사]] ==
{{본문|대한제국/역사 (한나라)}}
== 정치 ==
=== [[한국통감부 (한나라)|한국통감부]] ===
== 군대 ==
 
----
----
[[분류:대한국 (한나라)]]
[[분류:대한국 (한나라)]]

2025년 3월 16일 (일) 19:26 기준 최신판

한닷은 현재 진실·화해를위한한닷사정리위원회를 통해 리뉴얼되고 있습니다!
×
이 문서는 한나라닷컴의 공식 문서입니다. 한나라닷컴 연재자 외 수정을 금지합니다.
대한국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대한국
大韓國 | Empire of Korea
국기 국장
광명천지
光明天地
상징
국가 애국가
국화 오얏꽃
위치
1897년 10월 12일 ~ 1948년 7월 16일
칭제건원 이전 종전 이후
조선 소련군정
미군정
역사
[ 펼치기 · 접기 ]
지리
[ 펼치기 · 접기 ]
위치 한반도 및 부속 도서
수도 | 최대도시 한성부
면적 220,903km²
내수면 비율 2.8%
인문 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 인구 25,120,174명(1944년)
인구밀도 113.7/km²(1944년)
민족 한민족
공용 언어 근대한국어
공용 문자 한글, 한자[1]
종교 유교(성리학), 불교, 천도교, 정교회, 가톨릭, 개신교, 무속
군대 대한군
하위 행정구역
13도 시군면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전제군주제(1897~1910)
입헌군주제 · 의원내각제(1910~1940)
군사독재 · 충정 체제(1940~1945)
미군정 체제(1945~1948)
국가원수 황제
역대 황제 고조 태황제 (1897~1907)
순종 효황제 (1907~1926)
열조 의황제 (1926~1948)
국가원수 황제
정부수반 의정의정대신내각총리대신
행정부 의정부내각
입법부 제국의회(중추원, 의정원)
주요 내각
총리대신
이완용
한필성
경제
통화 (₩)
단위
연호 광무 (1897년~1907년)
융희 (1907년~1926년)
창명 (1926년~1948년)

1.개요

대한국(大韓國) 또는 구한(舊韓)은 광무개혁 이래[2]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를 통치했던 국가이다. 1897년 10월 12일부터 1948년 7월 16일까지 존속했다. 광무개혁을 통해 근대화를 꿈꾸었지만, 일제로 인해 좌절된 후 일제의 보호국으로 전락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에서의 패전으로 인해 미소군정의 점령 이후 대한제국 헌법이 제정됨으로써 체제가 붕괴되었다.

2.상징

2.1.국호

상이 이르기를 우리나라는 곧 삼한(三韓)의 땅인데, 국초(國初)에 천명을 받고 한 나라로 통합되었다. 지금 국호를 ‘대한(大韓)’이라고 정한다고 해서 안 될 것이 없다. 또한 매번 각 나라의 문자를 보면 조선이라고 하지 않고 한(韓)이라 하였다. 이는 아마 미리 징표를 보이고 오늘이 있기를 기다린 것이니, 세상에 공표하지 않아도 세상이 모두 다 ‘대한’이라는 칭호를 알고 있을 것이다.
『고조개수실록』 고조 34년(광무 원년) 10월 11일 3번째 기사.
상이 이르기를 "국호가 이미 정해졌으니, 원구단에 행할 고유제의 제문과 반조문에 모두 대한(大韓)으로 쓰도록 하라."
『고조개수실록』 고조 34년(광무 원년) 10월 11일 3번째 기사.

2.2.국기

태극기
太極旗
지위 공식 국기
최초 사용 1882년
채택 조선 (1882년 3월 6일)
근거 법령 <국기에관한칙령> (1882년~1984년)
제작자 이응준(李應浚, 1832 - ?)
박영효(朴泳孝, 1861 - 1939)
고조 태황제(高祖 太皇帝, 1852 - 1919)

2.3.국가

3.역사

4.정치

4.1.한국통감부

5.군대


  1. 갑오개혁을 계기로 국가 공문서에서 한문을 지양하게 되었으나 《조선왕조실록》 등 여러 국가 기록들이 여전히 한문으로 쓰였다. 한편 이 시기 한국어, 한문과 함께 문자 언어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던 이두는 한글 한국어의 확산으로 급격히 쇠퇴한다.
  2. 융희유신 이후로 보는 학자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