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이 세계관의 모든 인물, 사건, 단체, 국가는 가상이며 현실의 어떠한 인물이나 단체도 찬양하거나 비하할 의도가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베트남 전쟁 Chiến tranh Việt Nam Vietnam War | |||||||||||||||||
---|---|---|---|---|---|---|---|---|---|---|---|---|---|---|---|---|---|
헬리본 작전을 수행하는 미군 | |||||||||||||||||
| |||||||||||||||||
교전국 | |||||||||||||||||
남베트남 미국 한국 태국 호주 뉴질랜드 |
북베트남 베트콩 | ||||||||||||||||
지휘관 | [ 펼치기 · 접기 ] | ||||||||||||||||
각주 [ 펼치기 · 접기 ]
|
개요
베트남 전쟁은 1955년부터 연합군과 공산군 사이에서 벌어진 내전, 국제전이다.
발단
<응오딘지엠 문서 참고>
베트남의 분단 이후, 북베트남은 남베트남에서 테러를 일으키고 폭력 투쟁을 선동하며 남베트남의 민심을 교란했다. 하지만 이 전략이 효관를 발휘하지 못하자 북베트남 지도부는 게릴라를 이용한 무력 투쟁을 결정하였고 1958년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NLF)를 조직했다. 이 조직의 무장단체가 바로 베트콩(VC)였다. 소련과 중공 역시 베트콩을 지원했다.
베트콩은 밀림이 많은 베트남의 지리적 특성을 활용해 농촌 지역에서 영향력을 확대했고 남베트남 정부 또한 민병대를 조직하는 등 대응 방안을 강구하기 시작했다. 1961년, 압박 전투에서 남베트남 정규군 1개 중대와 민병대 200여 명이 베트콩 700명을 격퇴하자 북베트남은 더욱 공격적인 정책을 펼쳤다. 베트콩 전력은 더욱 강화되었고 남베트남군의 자체 역량만으로는 베트콩을 격퇴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1964년 미국이 통킹만 사건을 조작하여 본격적으로 개입하였다.
전개
남베트남에서
남베트남과 미국은 동맹국들에게 참전을 요청했고, 그에 따라 한국, 태국, 호주, 뉴질랜드가 참전했다. 그중 가장 적극적으로 개입한 한국은 연 4만 여 명을 베트남에 파병하였다. 미국의 쇼미더머니 공세와 남베트남군의 전투 및 민정 역량 향상, 연합군의 참전은 베트콩을 몰아붙였고 농촌 지역에서 벌인 베트콩의 악행으로 인해 민심도 떠나가 게릴라전 수행 자체가 어려워졌다. 이에 베트콩은 전세 역전을 위해 북베트남의 지원을 받아 대규모 공세를 계획했다. 이것이 바로 구정 공세였다. 구정에는 연합군과 공산군이 관행적으로 휴전을 해왔었는데, 이를 이용해 휴전 기간에 연합군을 기습한 것이다. 투입된 베트콩 전투원만 50만 명에 이르르는 초대규모 작전으로, 북베트남과 베트콩 입장에서는 모든 것을 건 도박이었다. 하지만 첩보를 통해 미리 공세 계획을 파악한 연합군은 베트콩에 역습을 가했고 베트콩은 궤멸적인 피해를 입었다. 이 한 번의 공세로 남베트남에서의 베트콩의 세력은 사실상 와해되었다.
구정 공세로 인해 베트콩은 주력이 섬멸당하여 속 빈 강정이 되어버렸다. 1970년대 중후반까지는 곳곳에서 정부군의 베트콩 소탕 작전이 계속되었으나 베트콩은 이미 지역 간 연계가 끊어진 소규모의 점조직에 불과한 상태였고, 1980년대에 접어들어서는 베트콩 잔당은 주민들의 비협조와 남베트남군의 적극적인 수색 및 소탕으로 인해 남베트남의 산과 정글에서 완전히 자취를 감추었다. 1982년, 남베트남 정부는 베트콩의 완전한 소탕을 선언했다.
캄보디아, 라오스에서
베트콩은 북베트남에서 라오스와 캄보디아를 거쳐 남베트남으로 이어지는 '호치민 루트'를 통해 보급을 받았고, 미군은 이를저지하기 위해 라오스와 캄보디아에 대규모로 폭격을 하였다. 가끔씩은 미군과 남베트남군이 국경을 넘어 라오스, 캄보디아 영내에서 전투를 버리기도 했다. 미군의 공습으로 인해 민간인 피해가 계속해서 발생하자 캄보디아와 라오스에서 반미 감정이 심화되었고 공산 반군이 세를 키우게 되었다. 이미 베트남전에 깊숙이 개입해있던 미국은 현실적 문제와 국내외의 여론으로 인해 그 두 나라의 내전에 개입하지 못했다. 결국 1975년 라오스와 캄보디아에서 공산 반군이 내전에서 승리하여 캄보디아에서는 폴 포트가 이끄는 크메르 루주가, 라오스에서는 쑤파누웡이 이끄는 라오 인민혁명당이 정권을 잡아 공산화되었다.
휴전
1980년대 후반, 미소 양국의 정상이 전략무기 감축을 선언하는 등 데탕트 분위기가 세계를 휩쓸자 남북베트남은 휴전 조약 체결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북베트남은 베트남 전쟁이 한창일 때 입은 출혈로 인해 극심한 경제침체를 겪었고 그 여파가 1980년대까지 계속되고있었다. 남베트남의 경우 북베트남이라는 종잡을 수 없는 위협적인 이웃의 존재로 인해 해외로부터의 고부가가치 산업에 대한 투자가 원활하지 못한 상황이었다. 따라서 북베트남은 남베트남과 서방 세계의 경제적 지원을 받기 위해, 남베트남은 '베트남 리스크'를 제거하여 해외로부터의 안정적인 투자를 유치하고 고부가가치 산업을 성장시키기 위해 휴전조약을 원하였다.
1987년, 막 재선에 성공한 남베트남 총통 응웬쑤언오아인이 북베트남에 휴전 협정을 제안하였고 북베트남 정부는 화답하였다. 그리하여 1988년 남북간의 완전한 휴전과 남베트남의 북베트남에 대한 경제적 지원을 골자로 하는 쿠알라룸푸르 조약이 체결되며 남북베트남은 공식적으로 휴전했다. 하지만 북베트남이 경제적 원조를 얻기 위해 서중국에 접근하면서 일이 틀어졌다. 서중국에 원조를 요청하지 말라는 남베트남 정부의 요구에 북베트남 정부가 쌍엿을 날리자 남베트남이 대북 지원을 단절했기 때문이었다. 남북관계가 다시 악화되었고 현재까지도 남북베트남은 남북 경계선에 대규모 병력을 배치하고 대립을 지속하는 중이다.
영향
- 베트콩이라는 내부 불안요소를 완전히 제거하여 남베트남은 본격적인 경제 개발을 시작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북베트남 뿐만 아니라 새로 수립된 공산 캄보디아, 공산 라오스와 긴 국경을 접하게 되어 막대한 재정을 군사비 지출로 소비할 수 밖에 없게 되었다.
- 북베트남은 과도한 군비 지출과 미군의 폭격으로 발생한 기간시설 파괴로 인해 1980년대까지 경제적으로 극심한 침체기를 겪게 되었다.
- 한국은 남베트남 진출 기업과 파병 군인들 덕에 전쟁 특수로 호황을 누렸다. 또한 전쟁을 겪으며 숙련된 장교단, 새로운 전술, 그리고 각종 신무기 도입을 통해 군사력을 크게 향상시켰으며 이는 동아시아 전쟁에서 한국군 전투 수행에 큰 도움을 주었다.
- 베트콩을 지원하던 소련과 중공은 베트콩이 궤멸당하고 남베트남이 북베트남과의 체제 경쟁에서 앞서나가면서 체면을 조금 구기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