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단 (개화)

1.개요

여단 (旅團 / brigade)

군대의 부대 단위 중 하나로, 일반적으로 대대나 연대보다 크고 사단보다 작은 규모의 부대이다. 지휘관은 보통 대령이나 준장이 맡는다.

2.각국의 여단

2.1.한국

한국의 정규군인 대한민국 국군은 여단을 독자적 작전수행이 가능한 기본단위편제로 채택하여 운용하고 있다. 육군과 해군육전대가 여단 편제를 운용중이며, 도합 XX개의 여단이 존재한다. 한국군의 여단은 병과 구성에 따라 (기갑/장갑보병/기동/화력/방위/공정/특수전/방공/해군육전)여단으로 나눌 수 있다. 이중 공군도총영 공군방공본영 소속의 방공여단과 해군도총영의 해군육전본영 소속인 해군육전여단을 제외하면 모든 종류의 여단이 육군 소속이다.

여단은 상비여단과 동원여단으로 나뉘기도 한다. 상비여단은 말 그대로 상시 준비되어 있는 부대로, 평시에도 여단 TO의 80% 이상을 유지하여 언제든 전투가 가능하다. 반면 동원여단은 평시에는 정원의 20% 미만만 채워져 있다가 전시에는 동원지원단의 지원으로 병력을 보충해 전투에 나선다. 동원여단은 평시에는 육군동원대본부에 속해있다가 전시에는 역할에 맞는 사단급 부대나 기능본부로 재배치된다. 상비여단의 장에는 참장이 보임되며 동원여단의 장에는 상비여단보다 한 계급 낮은 정령이 보임된다.

2.1.1.기갑여단

한국군의 기갑여단 단대호

대한민국 육군의 명실상부한 주력 여단으로, 기갑과 기계화 장비를 통해 화력, 방어력, 기동력을 골고루 갖춘 부대다. 전차, 장갑차, 자주포 등으로 완전히 기계화되어 있다. 현재 FETO군 교리 상 한국군의 기갑여단은 전방의 동맹국 보병대가 적의 공격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는 동안 기동여단의 보조를 받아 적에게 역습을 가해 반격하는 타격부대다. 평시에는 상비부대는 1군단 예하의 사단에, 동원부대는 육군동원본영에 속하지만, 전시에는 모든 기갑보병여단이 1군단 예하 사단의 부대로 배속된다. 상비여단은 17개, 동원여단은 3개가 있다.

편제된 장비로는 전차 70대, IFV 120여 대, 고기동차량 40여 대, 정찰드론 6기, 지원장갑차 30여 대, 수송용 트럭 50여 대 등이 있다.

편제는 다음과 같다.

• 여단본부
ㅇ.• 공병중대
ㅇ.• 방공중대
ㅇ.• 의무중대
• 정찰대대 x1
• 전차대대 x2
ㅇ.• 전차중대 x3
• 기동보병대대 x2
ㅇ.• 기동보병중대 x3
ㅇ.• 화기중대
• 포병대대
ㅇ.• 자행포대 ×3
ㅇ.• 관측포대
• 군수대대
• 수송대
• 정비대
• 기갑수색대

2.1.2.기동여단

한국군의 기동여단 단대호

대한민국 육군의 기계화부대. 각종 보병장갑차로 기계화되어있으며, 화력과 방어력보다는 기동성에 중점을 둔 부대다. 기갑여단 만큼의 전투력을 기대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상당한 수준의 부대인 것은 사실이다. 교리상 기갑여단을 보조해 적 전선을 돌파하는 역할을 한다. 기동여단들은 모두 3군단 예하 사단들에 배속되어있다.

편제된 장비로는 전차 10대, IFV 170여 대, 고기동차량 40여 대, 정찰드론 6기 등이 있다.

편제는 다음과 같다.

• 여단본부
ㅇ.• 공병중대
ㅇ.• 방공중대
ㅇ.• 의무중대
• 기동보병대대 x3
ㅇ.• 기동보병중대 x3
ㅇ.• 화력중대
• 포병대대
ㅇ.• 곡사포대 ×3
ㅇ.• 관측포대
• 수송대
• 기갑수색대
• 정비대

2.1.3.화력여단

한국군의 화력여단 단대호

화력여단은 말 그대로 강력한 포병화력을 가진 부대로, 각 상비사단에 1개씩 배치되어 사단 포격 지원과 대화력전을 담당한다. 관측대대는 대포병 레이다를, 유도탄포병대대는 MLRS를 운용한다.

편제는 다음과 같다.
• 여단본부
ㅇ.• 공병중대
ㅇ.• 방공중대
• 관측대대
• 유도탄포병대대 x4
ㅇ.• 사격포대 x3
• 정보통신대
• 정비대
• 수송대

2.1.4.산악여단

한국군의 산악여단 단대호

산악여단은 말 그대로 산악전에 특화된 부대이다. 한국군 전체에 딱 하나 존재한다. 산악여단 예하에는 3개의 산악대대와 몇몇 지원부대가 편제되어있다.

2.1.5.공정여단

한국군의 공정여단 단대호

공정여단은 국군의 경보병부대이자 공동기동부대로, 전장에 빠르게 전개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신속대응부대이다.[1] 병력과 물자를 신속하게 수송하기 위해 각종 수송기와 헬리콥터 대량으로 보유하고 있다. 모든 공정여단은 상비 여부나 전시 여부와 상관 없이 육군공정본영에 속하여있다. 수송기나 헬리콥터로 수송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기계화부대가 쓰는 장비보다 가벼운 차륜형 경장갑차를 주로 사용한다.

편제는 다음과 같다.
• 여단본부
• 공정대대 x3
ㅇ.• 공정중대 x3
ㅇ.• 화기중대
• 지원대대
ㅇ.• 공병중대
ㅇ.• 수송중대
ㅇ.• 방공중대
ㅇ.• 의무중대
• 수색대

2.1.6.특수전여단

2.1.7.방공여단

한국군의 방공여단 단대호

공군 소속의 방공부대로, 공군방공본영 예하에 편성된다. 대공미사일포대를 갖추고 있으며, 적의 공습으로부터 담당 지역의 각종 시설과 민간지구를 방어하는 역할을 한다. 예하에는 3~4개의 방공대대가 편제되어있다. 여단장에는 참장이 보임된다. 육군의 각 사단 예하에 편성되어있는 방공연대와는 다른 조직이다.

2.1.8.해군육전여단

한국군의 해군육전여단 단대호

해준육전요단은 해군도총부 해군육전본영 소속 부대로, 총 3개 여단이 있다. 다른 나라의 해병대에 상응하며 상륙과 도하에 특화되어있다. 각 여단은 4개 해군보병대대, 1개 해군전차중대 그리고 기타 지원부대로 이루어져있다. 주 장비는 수륙양용장갑차와 상륙정, 호버크래프트 등이다.

2.2.녹우크라이나

2.3.만주

만주군은 여단을 (旅)라고 부른다.

  • 기갑여단:
  • 산악여단:

3.관련문서

4.각주

  1. 과거에는 공수부대의 역할을 수행했으나 요즘은 낙하산은 잘 안 쓴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