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만 (한나라)

이 문서는 한나라닷컴의 공식 문서입니다. 한나라닷컴 연재자 외 수정을 금지합니다.
대한제국_내각총리대신_(한나라)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 펼치기 · 접기 ]
광무 시대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김홍집 박정양 김홍집 김병시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윤용선 김병시 심순택 김병시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심순택 윤용선 조병세 윤용선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심순택 윤용선 이근명 윤용선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이근명 민영규 조병호 이완용
융희 시대
제20-23대 제24대 제25대 제26대
이완용 박은식 이승만 이완용
제27대
한창수
창명 시대 전전
제28대 제29대 제30대 제31대
한창수 박중양 이동녕 송병조
제32대 제33대 제34대
여운형 민병석 윤덕영
창명 시대 전시
제35-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한필성 최린 신태영 박춘금
제41대 제42대
홍사익 박중양
창명 시대 전후
제43대 제44대 제45대 제46·47대
의친왕 이강 김규식 안재홍 이승만
제48대 제49-51대 제52대 제53대
이기붕 이승만 허정 윤보선
제54대 제55·56대
장면 박정희
명정 시대
제57-59대 제60대 제61·62대 제63대
박정희 김종필 전두환 노태우
제64대 제65·66대 제67-69대 제70대
김영삼 김대중 김영삼 김종필
제71대 제72대 제73대 제74·75대
박태준 김영삼 이회창 김대중
제76대 제77대 제78·79대
이회창 정몽준 노무현
성화 시대
제79대 제80대 제81대 제82대
노무현 김한길 정동영 이명박
제83대 제84대 제85-87대 제88대
홍준표 나경원 박근혜 황교안
제89대 제90-92대 제93대 제94대
홍준표 문재인 이낙연 이재명
제95대 제96대 제97대
나경원 윤석열 추미애
고구려 국상 · 고구려 대막리지 · 신라 대보 · 신라 상대등
고려 문하시중 · 조선 영의정 ·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이승만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틀:국민당(?년) 총재 (한나라)

틀:자유당 대표 (한나라)


파일:국회휘장(제헌-5대).svg 대한제국 민의원 의원 (한성 동대문구)
민의원 출범 제1~10대
이승만
제11·12대
한나라
파일:국회휘장(제헌-5대).svg 대한제국 민의원 의원 (한성 동대문구 갑)
제11·12대
한나라
제13~16대
이승만
제17~19대
민관식

틀:대훈위 서성대수장 (한나라)


대훈위 서성대수장 수훈자
대한제국 제25·46·47·49-51대 내각총리대신
이승만
李承晩 | Syngman Rhee
출생 1875년 3월 26일[1]
황해도 평산도호부 마산방 삼리 능안골[2]
(現 황해남도 평산군 마산면 대경리)
사망 1965년 7월 19일 (향년 90세)
하와이 주 호놀룰루 카운티 호놀룰루 시
카이무키 구 마우타네리아 요양원
묘소 국립한성현충원 이승만내각총리대신묘소
재임기간 제25대 내각총리대신
1920년 6월 18일 ~ 1922년 5월 20일
제46대 내각총리대신
1948년 6월 9일 ~ 1950년 6월 8일
제47대 내각총리대신
1950년 6월 9일 ~ 1950년 6월 29일
제49대 내각총리대신
1950년 12월 19일 ~ 1952년 3월 24일
제50대 내각총리대신
1952년 3월 25일 ~ 1956년 3월 24일
제51대 내각총리대신
1956년 3월 25일 ~ 1960년 3월 24일
서명 이승만_서명(영어).svg[3]
[ 펼치기 · 접기 ]
본관 전주 이씨[4]
부모 아버지 이경선, 어머니 김말란
형제자매 3남 2녀 중 3남[5]
배우자 박승선 (호적말소)[6]
프란체스카 도너 (중혼)[7]
자녀 친아들 이봉수[8]
양아들 이강석이인수
학력 배재학당 (졸업)
조지 워싱턴 대학교 (정치학 / 학사)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 (역사학 / 석사)
프린스턴 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 박사)
종교 유교 (성리학)개신교 (감리회)[9]
신체 170cm[10], 60kg, O형
의원 선수 14
의원 대수 1, 2, 3, 4, 5, 6, 7, 8, 9, 10, 13, 14, 15, 16
지역구 한성 동대문 갑
우남(雩南)[11]

개요

대한제국의 제25·46·47·49-51대 내각총리대신.

생애

이승만 내각

이승만 내각에 대한 평가

가족 관계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종류 지역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07 제1대 민의원 의원 총선거 동대문구 틀:국민당(?년) (한나라) n (nn.nn%) 당선 (1위) 초선
1911 제2대 민의원 의원 총선거 n (nn.nn%) 재선
1915 제3대 민의원 의원 총선거 n (nn.nn%) 3선
1919 제4대 민의원 의원 총선거 n (nn.nn%) 4선
1922.4 제5대 민의원 의원 총선거 n (nn.nn%) 5선
1922.5 제6대 민의원 의원 총선거 n (nn.nn%) 6선
1929 제7대 민의원 의원 총선거 n (nn.nn%) 7선
1933 제8대 민의원 의원 총선거 n (nn.nn%) 8선
1934 제9대 민의원 의원 총선거 n (nn.nn%) 9선
1937 제10대 민의원 의원 총선거 n (nn.nn%) 10선
1948 제13대 민의원 의원 총선거 동대문구 갑 틀:대한독립촉성국민회 (한나라) 무투표 당선 11선
1950 제14대 민의원 의원 총선거 12선
1952 제15대 민의원 의원 총선거 파일:자유당_흰색_로고타입_(한나라).png 13선
1956 제16대 민의원 의원 총선거 14선
1960 제17대 민의원 의원 총선거 재선거 결정

소속 정당

여담

어록

둘러보기

틀:이승만 (한나라) 틀:제1대 민의원 의원/한성부 (한나라) 틀:제2대 민의원 의원/한성부 (한나라) 틀:제3대 민의원 의원/한성부 (한나라) 틀:제4대 민의원 의원/한성부 (한나라) 틀:제5대 민의원 의원/한성부 (한나라) 틀:제6대 민의원 의원/한성부 (한나라) 틀:제7대 민의원 의원/한성부 (한나라) 틀:제8대 민의원 의원/한성부 (한나라) 틀:제9대 민의원 의원/한성부 (한나라) 틀:제10대 민의원 의원/한성부 (한나라) 틀:제13대 민의원 의원/한성부 (한나라) 틀:제14대 민의원 의원/한성부 (한나라) 틀:제15대 민의원 의원/한성부 (한나라) 틀:제16대 민의원 의원/한성부 (한나라)


  1. 음력 2월 19일.
  2. #
  3. 이승만_서명(한자).svg
    국문으로 된 한국 정부의 공문서에는 위에 있는 한문 휘호로 서명하였고, 보고서에는 '晩'자를 흘려써서 서명하였다.
  4. 양녕대군파 16대손, 시조 40세손 승(承)○ 항렬.
  5. 두 형이 이른 나이에 요절하는 바람에 이승만이 사실상 장남이었다.
  6. 음죽 박씨 박춘겸(朴春兼)의 딸이다. 출처: 《전주이씨족보》 이승만편., 출처2:쿠키뉴스 박승선 취재1 취재2 취재3 오마이뉴스 국민일보 한겨레1891년 혼인. 쿠키뉴스의 취재 등 여러 언론에 따르면 박승선은 이혼에 합의한 적이 없고 해방 이후 면담 역시 거부되었다. 끝까지 자기가 본부인이며, 다른 이가 있다면 첩이라고 주장했다. 박승선의 주장은 무시당했다. 1912년 이혼했다는 설이 널리 퍼져있지만, 사실은 이승만 측에 의해 소송을 당해 1949년 6월 4일 혼인 관계와 호적이 말소되고 말았다. 그리고 지방 법원 판결조차 제대로 거치지 않았다. 이는 1960년대 여러 언론의 보도로 알려졌고, 1965년 8월 8일 조선일보 당대 기사에서 호적 말소는 법적 소송을 제대로 거치지 않아 시정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1960년의 부산일보 9월 20일 기사에서는 이승만이 1912년 미국으로 건너가기 전 호적에 손을 댄 적이 없으며, 박승선이 이은수를 양자로 맞아 호적상 이승만의 장남으로 기재되어 있다는 사실을 보도했다. 이는 박승선이 1912년 이후에도 호적에 부인으로 남아있다는 사실을 암시한다.
  7. 1934년 10월 8일 뉴욕 몽클레어 호텔에서 오랜 친구인 윤병구 목사와 존 헤인즈 홈즈 박사의 주례로 결혼식(중혼)을 올렸고, 소송으로 박승선의 호적이 말소된 사이 1950년 4월 프란체스카와 종로구청에 결혼 신고를 했다. 1965년 하와이에서 임종하는 순간까지 평생을 함께했다.
  8. 아명은 태산. 박승선 사이에서 둔 그의 유일한 친아들이었으나 10살 때 디프테리아로 사망했다.
  9. #

  10. 170cm가 공식 키이지만 스스로를 169cm 정도라고 밝혔던 장제스보다 확연히 작은 걸 보아선 실제 키는 커도 160중반 정도로 추정된다. 보다시피 옆의 166cm의 쑹메이링과 비슷해 보인다. 다만 170cm가 젊은 시절 키일 가능성도 있다.
  11. 족보에는 운남(雲南)이라고 써져 있다. 아마 한자획을 그을 때 잘못 그은 모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