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제스 (민국 38)

[ 문서 보기 ]
[ 세계관 설명 ]
[ 세계관 설명 ]
중국이 제국주의에 의해서 망한다면
중국인은 망국의 인간으로 살아가게 될 것이다.
그러나 중국이 공산주의에 의해서 망한다면
중국인은 노예로도 살아갈 수 없을 것이다.
민국 38(民國三十八)은 가장 대표적인 대체역사 소재 중 하나인 중화민국국공내전 승리를 가정한 세계관 입니다.
민국 38년(1949년) 중화민국의 국공내전 승리 이후 중국과 동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변화한 여러 정치, 사회, 문화, 역사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중화민국 총통
[ 펼치기 · 접기 ]
제1-5대 제5°대 제6대 제7·8대
장제스 옌자간 류사오치 덩샤오핑
제9·10대 제11·12대 제13·14대 제15·16대
장쩌민 후진타오 마잉주 리커창
제16°·17·18대
후춘화
°: 계임총통(부총통이 승계)
삼황오제 · · ·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삼국시대 · 진(晉) · 오호십육국 · 북조 · 남조 · ·
오대 · 십국 · · 서하 · · · · · · 중화민국 국가원수

중국 부총통

장제스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헌정 이전 중화민국 국가원수
[ 펼치기 · 접기 ]
임시정부 임시대총통
초대
쑨원
제2대
위안스카이
북양정부
대총통
초대
위안스카이
대행
리위안훙
대행
펑궈장
제2대
쉬스창
대행
저우쯔치
대행
리위안훙
대행
가오링웨이
제3대
차오쿤
대행
황푸
임시집정 · 육해군대원수
초대
돤치루이
대행
후웨이더
대행
옌후이칭
대행
두시구이
대행
구웨이쥔
육해군대원수
장쭤린
국민정부 주석
초대
탄옌카이
제2대
장제스
대행·제3대
린썬
대행·제4대
장제스
삼황오제 · · ·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삼국시대 · 진(晉) · 오호십육국 · 북조 · 남조 · ·
오대 · 십국 · · 서하 · · · · · · 중화민국 총통

틀:연합국의 주요 지도자들 (민국 38)


틀:영한결렬 이후 각 국민정부의 주요 인사 (민국 38)


틀:역대 국민정부 군사위원회 위원장 (민국 38)


틀:중국국민당 주석 (민국 38)


올해의 인물 (1930년대)
Time Person of the Year 1930's
[ 펼치기 · 접기 ]
1930
마하트마 간디
1931
피에르 라발
1932
프랭클린 D. 루스벨트
1933
휴 S. 존슨
1934
프랭클린 D. 루스벨트
1935
하일레 셀라시에
1936
월리스 심프슨
1937
장제스
쑹메이링
1938
아돌프 히틀러
1939
이오시프 스탈린

1920년대 · 1930년대 · 1940년대 · 1950년대 · 1960년대 · 1970년대 · 1980년대 · 1990년대 · 2000년대 · 2010년대 · 2020년대 · 2030년대

선정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
[ 펼치기 · 접기 ]
Time 100: The Most Important People of the Century
지도자들 & 혁명가들 부문[1]
시어도어 루스벨트 블라디미르 레닌 마거릿 생어 프랭클린 루스벨트 엘리너 루스벨트
아돌프 히틀러 윈스턴 처칠 모한다스 카람찬드 간디 다우드 브르에 장제스
마틴 루터 킹 피델 카스트로 마거릿 대처 로널드 레이건 유리 안드로포프
레흐 바웬사 넬슨 만델라 요한 바오로 2세 알리 샤리아티 탱크맨
같이 보기: 과학자 & 사상가 부문, 예술가 & 연예인 부문, 건설자 & 거인 부문, 영웅 & 아이콘 부문

틀:건국훈장 대한민국장 (민국 38)


틀:무궁화대훈장 (민국 38)


선정 위대한 중국인
[ 펼치기 · 접기 ]
最偉大的中國人
※ 2011년 민국 100년을 기념하여 중국 텔레비전 측이 중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중국인 10인'을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쑨원 악비 공자 장제스 저우언라이
6위 7위 8위 9위 10위
관우 강희제 진시황 루쉰 첸무
같이보기:위대한 인물 시리즈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중화민국 제1-5대 총통
장제스
(Jiǎng) (Jiè) (shí)(장개석) | Chiang Kai-shek
출생 1887년 10월 31일
저장성 닝보부 펑화현 시커우진
(現 중국 저장성 닝보시 펑화구 시커우진)
사망 1975년 4월 5일 (향년 87세)
중국 난징시 쉬안우구 미령궁
묘소 난징시 쉬안우구 중정릉[1]
재임기간 초대 총통
1948년 5월 20일 ~ 1954년 5월 20일
제2대 총통
1954년 5월 20일 ~ 1960년 5월 20일
제3대 총통
1960년 5월 20일 ~ 1966년 5월 20일
제4대 총통
1966년 5월 20일 ~ 1972년 5월 20일
제5대 총통
1972년 5월 20일 ~ 1975년 4월 5일
서명
[ 펼치기 · 접기 ]
본명 장중정(蔣中正)
개석(介石)
본관 계구(溪口)
부모 아버지 장조총, 어머니 왕채옥[2]
형제자매 이복형 장제친
동생 장루이칭
배우자 마오푸메이(毛福梅, 1번째 부인, 기간: 1901-1921)
야오예청(姚冶誠, 첩, 기간: 1913-1921)
천제루(陳潔如, 2번째 부인, 기간: 1921-1927)
쑹메이링(宋美齡, 3번째 부인, 기간: 1927-1975)
자녀 아들 장징궈, 장웨이궈[3]
딸 장젠화, 장야오광
학력 봉록학당
금천공학
용진학당
일본육군사관학교 산하 진무학교 (중퇴)
종교 불교개신교 (감리회)
국적 (1887~1912)
중화민국 (1912~1928)
중국 (민국 38) 중화민국 (1928~1975)
신체 169cm[4], 59kg, O형[5]
최종 당적 중국국민당
군사 경력
임관 바오딩 육군군관학교 (1기)
복무 국민혁명군
1911년 ~ 1947년
중화민국 국군
1947년 ~ 1952년
최종 계급 특급 상장 (중화민국 국군)
공식 초상화

개요

중국의 정치가, 군인, 혁명가. 중화민국 국민정부 시기의 제2·4대 국민정부 주석이자 헌정 실시 이후 중화민국의 제1~5대 총통을 역임하였으며, 무려 46년 동안 집권하여 세계사에서 가장 오랫동안 장기집권한 비군주 지도자[6]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

생애

출생과 성장

1887년 10월 31일, 청나라 저장성 닝보부 펑화현 시커우진[7]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칭 장조총(蔣肇聰)은 소금 도매업을 하는 상인이었고 어머니 왕채옥(王采玉)은 22세의 나이로 45세의 장조총과 재혼한 여인이었다.

장제스는 1894년 12월, 일찍 부친상을 겪은 이후 삼촌들의 농간으로 인해 유산을 받지 못하고 홀어머니 밑에서 가난하게 살았는데, 어머니가 과부란 이유로 사람들로부터 멸시를 받았으며 심지어 10살 때는 부당한 세금을 내지 않고 저항하는 장씨 일가에 대한 부패한 관료들의 보복으로 누명을 쓰고 감옥살이를 한 적도 있었다.

쑨원의 후계자

초공작전과 중일전쟁

헌정의 실시와 국공내전 승리

중국의 영도자

사망

평가

긍정적 평가

부정적 평가

여담

대중매체에서

어록

중국이 제국주의에 의해서 망한다면 중국인은 망국의 인간으로 살아가게 될 것이다. 그러나 중국이 공산주의에 의해서 망한다면 중국인은 노예로도 살아갈 수 없을 것이다.
나는 중국이다. 중국은 나 없이 아무것도 이뤄낼 수 없다.
신생활운동을 비판한 외국 고문인 윌리엄 헨리 도널드에게
萬一真到了無可避免的最後關頭,我們當然只有犧牲,只有抗戰!
만일 정말로 회피할 수 없는 운명의 갈림길에 이른다면, 우리에게는 당연히 희생과 항전만이 있을 뿐이다!
1937년 7월 17일, 루산성명에서의 항일 독려 연설 中.
일본인들은 피부병이다. 그러나 공산주의자들은 심장병이다.
The Japanese are a disease of the skin. The Communists are a disease of the heart.
1941년, 시어도어 H. 화이트와의 인터뷰에서.
중화민국을 설립한지 27년이 지났습니다. 이 시기 동안 소위 대중집회가 여러번 있었지만 진정한 민주주의나 헌정주의는 없었습니다. 또한 불행히도 이런 초기 집회들이 몰고 온 수많은 부패 관행들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나라를 혼란과 허약한 상태로 내몰았던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지금 우리나라는 우리의 적들로부터 억압과 굴욕을 받고 있습니다. 물론 인민정치위원회는 의회가 아니지만 여러분은 정당정치가 빚어낸 과거의 실수들이 지속적인 경고였다는 사실을 기억하고, 동시에 이 나라에 진정한 민주 정부를 세울 수 ​있는​ 굳건한 기반을 세울 수 있도록 열심히 노력해야 합니다.
동포 여러분. 구악을 생각하지 않고 타인에게 선을 배푸는 것은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지고지귀(至高至貴)의 특성이며 우리가 일관되게 성명한 '우리는 일본 군벌은 적으로 삼되 일본 인민은 결코 적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을 상기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만일 폭(暴)으로 폭을 갚고 능욕을 가지고 그들의 지금까지의 잘못된 우월감에 대응한다면 원통함과 원통함은 서로 앙갚음하여 영원히 끊이지 않습니다. 이것은 결코 우리 인의의 스승이 가르친 목적이 아닙니다.
1946년 8월 15일, 일본의 항복 소식을 듣고 난징에서 한 연설 중 일부.
나라가 없어도 살 수는 있지만 문물 없이 살 수는 없다.
강대국의 압박에 맞설 수 있는 국가가 있다면, 그 국가는 강한 것이다.
이 나라가 진정 민중이 주체가 되고 궁극적으로는 각자가 자신의 능력을 다 바쳐 주권이 민중한테 있음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반드시 민주로써 민권주의를 실천해야 한다.
以國家興亡爲己任
置個人死生於度外

국가의 흥망을 자신의 책임으로 여기고
개인의 생사는 도외시 한다
總理,從您。
총리님, 따라가겠습니다.
장제스의 유언으로 알려진 문장.

自余束髮以來,卽追隨 總理革命,無時不以 耶穌基督與 總理信徒自居,無日不爲掃除三民主義之障礙,建設民主憲政之國家,堅苦奮鬥。

近二十餘年來,中華大陸日益精實壯大,並不斷為中華民族親愛,展開福利建設;民族繁榮大業,方期日新月盛,全國軍民、全黨同志,絕不可因余之不起,而懷憂喪志!務望一致精誠團結,服膺本黨與政府領導,奉主義爲無形之 總理,以大同爲共同之目標,而中正之精神自必與我同志、同胞長相左右。

實踐三民主義,向上生活力量,復興民族文化,堅守民主陣容,爲余畢生之志事,實亦卽海內外軍民同胞一致的革命職志與戰鬥決心。惟願愈益堅此百忍,奮勵自強,非達成國民革命之責任,絕不中止!矢勤矢勇,毋怠毋忽。

中華民國六十四年三月二十九日秦孝儀承 命受記。

내가 속발한 이래로, 총리의 혁명을 추종하여, 한 순간도 예수 그리스도와 총리의 신도로 자처하지 않은 적이 없었고, 하루도 삼민주의의 장애를 소제하고, 민주 헌정의 국가를 건설하기 위해 고통을 견디며 분투하지 않은 적이 없었다.

최근 20여 년 이래로, 중화대륙은 날이 갈수록 정실하고 강대해지고 있으며, 결코 중화민족을 위한 복지 건설의 전개를 멈추지 않고 있다. 또한 민족 번영의 대업은, 바야흐로 날이 갈수록 새로워지고 번성하고 있으니, 전국의 군민과 전당의 동지들은 내가 일어나지 못한다고 해서, 슬픔을 품거나 뜻을 잃지 말라. 반드시 일치하고 정성스레 단결하여, 본당과 정부의 영도를 명심하고, 주의를 무형의 총리로 받들고, 대동을 공동의 목표로 삼길 바라니, 그러면 중정의 정신은 반드시 우리 동지, 동포들과 오래도록 서로 좌우에 있을 것이다.

삼민주의를 실천하고, 생활 역량을 향상하고, 민족 문화를 부흥하고, 민주 진용을 굳건히 지킴은, 내 평생의 뜻으로 삼은 일이며, 실로 또한 해내외의 군민 동포들의 하나된 혁명의 사명이자 전투의 결의이다. 오직 바라건대 더욱더 이를 굳건히 하여 여러 번 인내하고, 분려하여 스스로 강해질 것이며, 국민혁명의 책임을 달성하지 못하면, 결코 도중에 멈추지 말라! 반드시 부지런하고 용감하여, 태만함과 소홀함이 없게 하라.

중화민국 64년(1975) 3월 29일, 친샤오이가 명을 받들어 쓰다.


공식적인 서면 유언

이외의 어록들은 이곳을 참조.

선거 이력

소속 정당

둘러보기

틀:장제스 (민국 38)


  1. 쑨원의 묘소인 중산릉의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2. 중국의 최고 훈장인 채옥대(采玉大) 훈장이 그녀의 이름을 따온 것이다.
  3. 친부가 다이지타오라는 의혹이 있다. 예전엔 아예 정설로 받아들여졌으나 현재는 찬반 여론이 엇갈린 상태.
  4. 그 당시 중국인 평균 키보다 컸다.
  5. 자신이 청년기에 받았던 신체검사에서 그 정도 체격이였다고 인정했다. 다만 청년기의 자료이므로 국공내전이 끝날 무렵인 1945~1950년에는 167cm 정도로 줄었을 가능성은 있다.
  6. 적도기니의 테오도로 오비앙 응게마 음바소고가 그의 기록을 넘을 뻔 하기도 하였으나 2025년 사망하였으며 현재까지 생존한 최장기 집권 지도자는 르완다의 폴 카가메이다.
  7. 現 저장성 닝보시 펑화현 시커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