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민국 38)

[ 문서 보기 ]
[ 세계관 설명 ]
[ 세계관 설명 ]
중국이 제국주의에 의해서 망한다면
중국인은 망국의 인간으로 살아가게 될 것이다.
그러나 중국이 공산주의에 의해서 망한다면
중국인은 노예로도 살아갈 수 없을 것이다.
민국 38(民國三十八)은 가장 대표적인 대체역사 소재 중 하나인 중화민국국공내전 승리를 가정한 세계관 입니다.
민국 38년(1949년) 중화민국의 국공내전 승리 이후 중국과 동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변화한 여러 정치, 사회, 문화, 역사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틀:중국 관련 문서 (민국 38)


중국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중국의 역사
中國歷史
[ 펼치기 · 접기 ]
선진시대 황하 문명(黃河文明)
하(夏)
상(商)
주(周) 서주(西周)
동주(東周) 춘추전국시대 춘추시대
전국시대
진한시대 진(秦)
장초(張楚)
후초(後楚)
서초(西楚) | 십팔제후왕
한(漢) 전한(前漢)
신(新)
현한(玄漢)
후한(後漢)
위진남북조시대 삼국(三國)
위(魏) | 촉(蜀) | 오(吳)
진(晉) 서진(西晉)
동진(東晉)
환초(桓楚)
오호십육국시대
남북조시대 송(宋) 북위(北魏)
제(齊)
양(梁)
후한(侯漢)
후량(後梁)
서위(西魏) 동위(東魏)
진(陳) 북주(北周) 북제(北齊)
수당시대 수(隋)
당(唐)
무주(武周) | 호연(胡燕)
오대십국시대 오대 후량(後梁) 십국 탕구트 요(遼)
후당(後唐)
후진(後晉)
후한(後漢)
후주(後周)
송원시대 송(宋) 북송(北宋) 서하(西夏)
남송(南宋) 서요(西遼) 금(金)
원(元)
명청시대 북원(北元)
명(明)
순(順) | 서(西) | 남명(南明) | 후금(後金)
오주(吳周) | 동녕(東寧)
청(淸)
태평천국(太平天國)
근대시대 중화민국
(中華民國)

군벌
청나라 소조정 | 임시정부(臨時政府)
북양정부(北洋政府)
중화제국(中華帝國) | 호법정부(護法政府)
우한 국민정부(武漢國民政府)
국민정부(國民政府)
위명국
일치시기
소비에트 지구
중화소비에트공화국
만주국(滿州國)
현대시대 중화민국(中華民國)
제1공화국(第一共和國) | 제2공화국(第二共和國)

동아시아의 국가 및 지역
[ 펼치기 · 접기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이사국
[ 펼치기 · 접기 ]

틀:OECD 회원국 (민국 38)


틀:G7 (민국 38)


틀:G20 (민국 38)



난징 조약 기구
[ 회원국 목록 ]
[ 협력국 목록 ]

중화민국
中華民國 | Republic of China
국기 국장
三民主義 萬族共和
삼민주의 만족공화
상징
국가 중화민국 국가
국화 매화
역사
[ 펼치기 · 접기 ]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난징시(南京市)
북위 32°03′39″ 동경 118°46′44″
최대도시 상하이시(上海市)
북위 31°22′31″ 동경 120°91′62″
면적 11,241,134km2 | 세계 2위
내수면 비율 2.8%
접경국 소련 (민국 38)의 기 소련
파키스탄의 기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인도 공화국
대한민국 (민국 38)의 기 대한민국
부탄의 기 부탄
시킴
네팔의 기 네팔
버마 (민국 38)의 기 버마
라오스 (민국 38)의 기 라오스
베트남 (민국 38)의 기 베트남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 인구 1,605,803,336명(2029년) | 세계 1위
민족 구성
한족 (90.98%)
기타 55개 소수민족 (9.02%)
인구 밀도
142.9명/km2
출산율 1.26명 (2028년)
기대수명
81.3세 (2028년)
언어 공용어 표준중국어
인정어 티베트어, 몽골어, 좡어, 위구르어
지역어 오어, 광동어, 민어, 상어
공용문자
한자
종교 국교 없음 (정교 분리)
분포 도교 및 민간신앙 43.7%
불교 41.8%
기독교 3.5%
이슬람교 3.3%
기타 2.9%
무신론 및 무종교 4.8%
군대 중화민국 국군
인간개발지수 0.916(2028년) | very high | 세계 23위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성급행정구 5개 직할시, 27개 성, 3개 자치구, 2개 특별행정구
지급행정구 306개 지급시, 33개 자치주
현급행정구 401개 현급시, 1,369개 현, 137개 자치현, 1,137개 현급구
향급행정구 7,721개 향, 988개 민족향, 21,436개 진, 9,010개 가도
촌급행정구 492,453개 촌, 123,028개 리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단일국가, 이원집정부제, 공화제, 단원제, 대륙법계
민주주의 지수 8.99점, 완전한 민주주의 (2028년)
(167개국 중 11위, 아시아 1위)
총통
(국가원수)
후춘화
부총통 허리펑
정부
요인
행정원장
(정부수반)
쉬젠궈
입법원장 왕양
사법원장 허샤오룽
감찰원장 양샤오자오
고시원장 장둥강
연립 여당 중국공산당
중국민주당
녹색당
중국공당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 체제 자본주의시장 경제
GDP
(PPP)
전체 $23조 2,844억(2029년 IMF 기준) | 세계 2위
1인당 $14,500(2029년 IMF 기준) | 세계 60위
GDP
(명목)
전체 $34조 7,896억(2029년 IMF 기준) | 세계 2위
1인당 $21,676(2029년 IMF 기준) | 세계 64위
국부 $93조 4,700억(2028년) | 세계 2위
무역 수출 $2조 6,994억(2028년)
수입 $1조 9,876억(2028년)
외환보유액 $4조 1970억(2028년)
신용 등급 무디스 Aa3
S&P AA-
Fitch A+
공식
화폐
(ISO
4217)
본토 중국 위안(CNY)
홍콩 홍콩 달러(HKD)
마카오 마카오 파타카(MOP)
국가
예산
1년 세입
$2조 7,650억(2028년)
1년 세출
$3조 1,970억(2028년)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연호 중화민국(中華民國)[1][2]
시간대 UTC+6 (신장-티베트 시간대)
UTC+7 (중앙 중국 시간대)
UTC+8 (난징 시간대)
UTC+9 (동북 시간대)
도량형 SI 단위[3]
외교
[ 펼치기 · 접기 ]
대한수교현황 1949년 1월 4일
유엔 가입 1945년 10월 24일(창립회원국)
무비자입국 양측 모두 90일
주한대사관 및 총영사관
[ 펼치기 · 접기 ]
주한중국대사관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2길 27
주평양총영사관 평양광역시 모란봉구 메아리로 53
주부산총영사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변로 47
주의주총영사관 의주광역시 중구 북진로 39
주광주총영사관 광주광역시 남구 대남대로 413
주제주총영사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청사로1길 10
ccTLD
.cn, .中國, .中華
국가 코드
158, CHN, ROC
국제전화코드
+86
차량 통행 방향
오른쪽[4], 왼쪽[5]
위치

지도를 불러오는 중...

개요

8K로 촬영된 중국의 모습

중화민국(中華民國) 또는 중국(中國)은 아시아의 중국 대륙에 있는 공화국이다.

수도는 난징(南京)이며 일반적으로 동아시아의 국가로 간주되지만 영토가 넓은 편이라 중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의 국가들과 국경을 맞대고 있다.

현존하는 아시아의 가장 오래된 공화국으로, 1912년 건국을 선포한 이후 100년이 넘는 장수 공화국이 되었다. 현재의 중화민국이라는 국체는 1912년 신해혁명 이후에 탄생한 것으로 그 이전까지는 청나라라는 전제군주제 제국이 중국대륙에 존재하고 있었다. 그러나 아편전쟁을 비롯한 서방열강들의 침탈과 청 황실의 무능에 분개한 쑨원을 비롯한 개혁가들의 혁명인 신해혁명으로 청나라는 붕괴되었으며 이후 공화국인 중화민국이 수립되었다. 그러나 중화민국 수립이후 임시정부, 북양정부, 군벌시대등의 여러 정치체계를 겪었기에 1912년의 중화민국과 현재의 중화민국은 판이하게 다르며 현재의 체제는 실질적으로 1925년 국민정부의 수립과 1949년 중국내전 승리이후 확립된 것이다.

국공내전 승리 이후 3개의 헌정 체제가 존재하였으며 현재의 헌정 체제인 제2공화국은 장제스국민당의 3당 훈정 체제와 개발독재, 제1·2차 전민항쟁과 헌법개정 등의 체제개변을 거치고 탄생한 것이다.

중국은 UN의 창립국이자 상임이사국이고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구와 3위의 영토를 보유한 대국이며 세계 제2의 경제대국이자 군사대국으로 세계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강대국이다. 아시아 민주주의 국가들의 지역 기구인 아시아 협력 기구(MSCO)의 주도국이며 미국 중심의 북대서양 조약기구(나토, NATO) 소련 중심의 우호협력평화기구(FCPO)와의 3강구도를 이루고 있다.

국가 상징

국명

언어별 명칭
영어 Republic of China (ROC)
표준중국어 (Zhōng) (huá) (Mín) (guó)
(Zhōng) (guó)
한국어 중화민국
중국
일본어 (ちゅ) (うか) (みん) (こく)
(ちゅ) (こく)
프랑스어 République de Chine
러시아어 Китайская Республика
스페인어 República de China
아랍어 جمهورية الصين
[ 기타 중국어 표기법 ]
주음부호 ㄓㄨㄥ ㄏㄨㄚˊ ㄇㄧㄣˊ ㄍㄨㄛˊ
주음부호 제2식 jūng huá mín guó
국어라마자 Jonghwa Mingwo
웨이드-자일스 Chung¹-hua² Min²-kuo²
통용병음 jūng huá mín guó
예일식 jūng hwá mín gwó
팔라디 чжун хуа минь го
샤오얼징 ﺟْﻮ ﺧُﻮَ مٍ ﻗُﻮَع
[ 중국 제어 ]
오어 中華 (tsonhho) (T1) 民國 (minkoq) (T3)
감어 中華 (zung1fa4)民國 (min4guet6)
상어 中華 (zhong1fa2)民國 (min2gue6)
진어 中華 (zung1hua1)民國 (zeng1ming1)
객가어 中華 (Chûng-fà)民國 (Mìn-koet)
월어 中華 (zung1waa4)民國 (man4gwok3)
민남어 中華 (zung-hôa)民國 (Bîn-kok)
민동어 中華 (Dṳ̆ng-huà)民國 (Mìng-guók)
민북어 中華 (de̤̿ng-uǎ)民國 (měng-gŏ)
보선어 中華 (doeng¹hua²)民國 (ming²gorh⁶)
둥간어 ﺟْﻮ ﺧُﻮَ مٍ ﻗُﻮَع
[ 소수민족어 ]
티베트어 རྒྱ་ནག་དམངས་གཙོའི་རྒྱལ་ཁབ (rgya nag dmangs gtso'i rgyal khab)
좡어 中華民國 (Cunghvaz Mingoz)
몽어 中華民國 (ZongbHuafMinfGof)
몽골어 ᠳᠤᠮᠳᠠᠳᠤ
ᠢᠷᠭᠡᠨ
ᠤᠯᠤᠰ
(Dumdadu irgen ulus)
만주어 ᡩᡠᠯᡳᠮᠪᠠᡳ
ᡳᡵᡤᡝᠨ
ᡤᡠᡵᡠᠨ
(Dulimbai irgen' gurun)
위구르어 جۇڭخۇا مىنگو (Jungxua Mingo)
이어 ꍏꉸꂱꇩ (Zho huop mip guop)
카자흐어 قىتاي رەسپۋبلىيكاسى (Qıtay Respwblïkası)
키르기스어 قىتاي ەل رەسپۇبلئقاسى (Kıtay Respublikası)
타지크어 جمهوری چین (Respuʙlikai Xitoj)
경어 中華民國 (Trung Hoa Dân Quốc)
다이어 สาธารณรัฐจีน
[ 그 외 언어 ]
독일어 Republik China
포르투갈어 República da China
이탈리아어 Repubblica Cinese
튀르키예어 Çin Cumhuriyeti
우크라이나어 Республіка Китай
버마어 တရုတ်သမ္မတနိုင်ငံ
힌디어 चीनी गणराज्य

정식 명칭은 중화민국(中華民國)이며, 약칭은 중국(中國)이다. 표준중국어 발음은 중궈(Zhōngguó, [ʈʂʊ́ŋ.kwǒ]). 중화민국은 중화민궈(Zhōnghuá Mínguó, [ʈʂʊ́ŋ.xwǎ mǐn.kwǒ])라고 발음한다.

'중국(中國)'이라는 단어는 시경의 大雅民勞篇 중 “惠此中國, 以綏四方”이라는 구절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다. 이때 '중국'이라는 말은 주나라의 수도를 일컫는 말로 쓰였다. '중원(中原)', '중화(中華)'라고도 했다. 이는 '가운데 지역'이라는 의미로 주변에 비해 발달된 문명을 가졌던 스스로를 동이, 서융, 남만, 북적 등 주변 '오랑캐'와 구분하기 위해 쓰이는 경우가 많았다.

중국 대륙에서는 전통적으로 왕조 이름이 국명처럼 쓰였으며 중국이라는 명칭은 나라 이름보다는 지역 이름에 가까웠다. 그러나 청나라가 네르친스크 조약 당시 스스로를 만주어로 ᡩᡠᠯᡳᠮᠪᠠᡳ ᡤᡠᡵᡠᠨ(dulimbai gurun, 가운데에 있는 나라)로 칭한 이후부터 점차 '중국'이라는 이름이 지명에서 하나의 국호로 정착되어 갔다.

신해혁명 이후 등장한 신정부는 공화주의를 표방하였으며 이에따라 청(淸), 명(明), 송(宋)등의 왕조명을 국명으로 사용 할 수 없게되었다. 그러자 아편전쟁 이후부터 불어온 민족주의 열풍에 따라 왕조와 관계없이 스스로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이름인 '중국', '중화'가 새로운 국가의 국명후보로 급부상하기 시작했다. 결국 중국인들은 스스로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중국(中國)', '중화(中華)'와 'Republic'의 한문 번역어인 '민국(民國)'을 조합한 중국 대륙 사상 최초의 공화국인 '중화민국(中華民國)'을 세웠고, 약칭을 '중국(中國)'이라 하였다.

영어에서는 이 나라를 차이나(China) 혹은 리퍼블릭 오브 차이나(Republic of China)라 하고 다른 유럽계열 언어에서도 대부분 이와 비슷한 명칭을 쓴다. 학계에서는 '차이나'라는 명칭이 진나라를 뜻하는 친(Chin)이 산스크리트어로 치나(Cīna)로 변형된 것으로 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고 있으며 '치나'라는 명칭이 포르투갈 상인들을 거쳐 유럽전역으로 퍼짐으로서 대부분의 유럽언어들이 중국을 차이나, 치나, 키나 등으로 부륵 되었다는 설이 정설로 받아들여진다.

러시아어를 비롯한 대부분의 동슬라브계 언어에서는 본래 거란족을 이르는 말이었던 키타이(Китай)라고 중국을 부르며 영어권에서도 이에 대응되는 캐세이(Cathay)라는 명칭이 있으나 일부사례를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잘 쓰이지 않는다.

한국, 일본을 비롯한 동아시아권에서는 중국이라는 말보다는 이전 중국의 왕조 중 하나인 당(唐)이나 청(淸)으로 주로 호칭하였으며 한국의 경우에는 70년대까지 일본의 경우에는 일부 경우에 한해서는 현대까지도 이러한 명칭들이 쓰인다. 한편 중국이라는 국호가 확립되기 이전에는 위의 산스크리트어 '치나'에서 비롯된 支那(지나/시나)등도 많이쓰였으나 현대에 와서는 사장된 표현이며[6] 특히 제국주의 시대의 일본이 중국을 비하할 목적으로 지나라는 명칭을 사용한 전적이 있기에 대부분의 중국인들에게 있어서 지나/시나라는 표현은 매우 모욕적인 표현으로 받아들여진다.

국기

청천백일만지홍기
青天白日滿地紅旗
지위 중국의 국기
채택일 1928년 12월 9일
설계자 루하오둥, 쑨원
근거법령 중화민국 헌법 제1장 제6조
비율 2:3
중화민국 국기는 붉은 바탕에 좌측 상방에 파란 바탕에 하얀 태양이다.
中華民國國旗定為紅地,左上角青天白日。
중화민국 헌법 제1장 제6조
한마음 한 뜻으로 끝까지 변치 말고 나아가자, 청천백일만지홍.
同心同德,貫徹始終,青天白日滿地紅。
<중화민국 국기가> 4행

중국의 국기는 청천백일만지홍기이며 루하오둥과 쑨원에 의하여 제작되었다. 1928년 12월 17일 국민정부 시절에 공식적인 국기로 채택되었다.

청천백일만지홍기는 중국의 국부 쑨원이 창시한 삼민주의 사상을 파란색, 빨간색, 흰색의 세가지 색상으로 표현하고 있다. 파란색은 청명과 순수, 자유 그리고 민족을, 빨간색은 희생과 유혈, 박애, 한족을 중심으로 하는 다민족국가인 중국과 삼민주의의 민생을 상징하고, 백색은 정직, 이타, 평등, 민생을 각각 상징하고 있다. 좌측 상단의 청천백일기의 태양에서 뻗어나오는 12개의 빛줄기는 하루 24시간을 2시간씩 12개로 표현하고 1년 12개월을 형상화한 것으로서 국민들이 끊임없이 정진하고 자강불식(自強不息)할 것을 상징한다.

국장

청천백일
青天白日
지위 중국의 국장
채택일 1928년 12월 17일
설계자 허잉친
사용처 국가기관
국가문서
여권
훈장
해외공관

중국의 국장은 청천백일문양으로 1924년 황푸 군관학교 총교관으로 근무하고 있던 허잉친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위의 국기와 마찬가지로 1928년에 국장으로 채택되었다. 파란색 원 안에는 12개의 햇살을 가진 하얀색 태양이 그려져 있다. 중국국민당의 당 휘장과 유사하게 생겼으나 원의 색상과 백일의 크기가 다르다.

태양은 혁명 정신을 뜻하며 태양에서 뻗어나오는 12개의 빛줄기는 하루 24시간을 2시간씩 12개로 표현하고 1년 12개월을 형상화한 것으로서 국민들이 끊임없이 정진하고 자강불식(自強不息)할 것을 상징한다. 파란색과 하얀색은 삼민주의를 두 가지 색으로 표현한 것으로 번영과 민주주의를 뜻한다.

국가

중화민국 국가
中華民國國歌
지위 중국의 국가
채택일 1930년 3월 24일
작사 쑨원
작곡 청마오윈
[ 펼치기 · 접기 ]
三民主義,吾黨所宗,
삼민주의는 우리가 따를 길,
以建民國,以進大同,
이로써 민국을 세우고, 나아가 대동을 이룩하세,
咨爾多士,為民前鋒,
오, 그대들이여, 민족을 위해 선봉에 서라,
夙夜匪懈,主義是從,
밤낮으로 게으르지 말고, 주의를 따르라,
矢勤矢勇,必信必忠,
맹세코 근면 용감하고, 반드시 정직하고 충실하라,
一心一德,貫徹始終。
한 마음 한 뜻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꾸준하라.

중국의 국가는 '중화민국 국가'로 별칭으로는 '삼민주의가'라고 불린다. 가사는 1924년에 쑨원이 광저우에 있었던 황푸 군관학교에서 한 연설 내용을 48자로 요약한 것이며 이후 1928년에 작곡가 청마오윈이 이 가사에 선율을 붙여 만든 곡이 현재의 '중화민국 국가'이다. 본래 중국국민당의 당가로 사용되어 왔으나 1930년에 장제스가 중화민국의 국가로 지정하였다.

중국국민당의 당가와 동일하며 이로인해 다른 국가를 제정하려는 움직임이 국민정부 이후 계속 존재하였으나 현재의 국가가 사용된지도 90년 이상의 세월이 흘렀고 무엇보다도 작사가가 중국의 국부인 쑨원이라는 점에서 대다수의 국민들은 국가 변경에 거부감을 느끼는 상황이나 아직도 민주진보 진영 일각에서는 국가변경을 요구하기도 한다.

국민정부 시절에는 삼민주의가의 국가화를 못마땅하게 여긴 중국 교육부가 국가변경을 시도했었고 실제로 황쯔의 곡이 새로운 국가로 채택되려고 했으나 당시 장제스 국민정부 주석에 의해 거부되어 아래의 국기가로 사용중이다.

국기가

중화민국 국기가
中華民國國旗歌
지위 중국의 국기가
채택일 1937년 -월 -일[7]
작사 미상
작곡 황쯔
[ 펼치기 · 접기 ]
山川壯麗,物產豐隆,
웅장한 산천, 풍부한 물산,
炎黃世胄,東亞稱雄。
염제와 황제의 후예로서 동아시아의 영웅이라 불러졌네.
毋自暴自棄,毋故步自封,
자포자기 말며, 구습에 얽매이지 말아,
光我民族,促進大同。
우리 민족을 빛내고, 대동을 앞당기자.
創業維艱,緬懷諸先烈,
나라를 일으킴이 어려우니 선열들을 생각하고,
守成不易,莫徒務近功。
나라를 지킴이 쉽지 않으니 얕은 꾀로 행동하지 말라.
同心同德,貫徹始終,青天白日滿地紅。
한 마음과 한 뜻으로 시종일관하자, 청천백일만지홍.
同心同德,貫徹始終,青天白日滿地紅。
한 마음과 한 뜻으로 시종일관하자, 청천백일만지홍.

중화민국 국기가는 청천백일만지홍기가 게양·하강될 때에 부르는 노래이다. 본래 중국국민당의 당가인 삼민주의가가 중국의 실질적인 국가의 지위에 오르자 이를 대체하기위해 중국 교육부에서 공모하여 선택된 황쯔의 곡이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되듯 장제스 당시 국민정부 주석이 이를 반려하였고 1937년 가사를 붙여 현재의 국기가로 사용중이다.

역사

중국의 역사
中國歷史
[ 펼치기 · 접기 ]
선진시대 황하 문명(黃河文明)
하(夏)
상(商)
주(周) 서주(西周)
동주(東周) 춘추전국시대 춘추시대
전국시대
진한시대 진(秦)
장초(張楚)
후초(後楚)
서초(西楚) | 십팔제후왕
한(漢) 전한(前漢)
신(新)
현한(玄漢)
후한(後漢)
위진남북조시대 삼국(三國)
위(魏) | 촉(蜀) | 오(吳)
진(晉) 서진(西晉)
동진(東晉)
환초(桓楚)
오호십육국시대
남북조시대 송(宋) 북위(北魏)
제(齊)
양(梁)
후한(侯漢)
후량(後梁)
서위(西魏) 동위(東魏)
진(陳) 북주(北周) 북제(北齊)
수당시대 수(隋)
당(唐)
무주(武周) | 호연(胡燕)
오대십국시대 오대 후량(後梁) 십국 탕구트 요(遼)
후당(後唐)
후진(後晉)
후한(後漢)
후주(後周)
송원시대 송(宋) 북송(北宋) 서하(西夏)
남송(南宋) 서요(西遼) 금(金)
원(元)
명청시대 북원(北元)
명(明)
순(順) | 서(西) | 남명(南明) | 후금(後金)
오주(吳周) | 동녕(東寧)
청(淸)
태평천국(太平天國)
근대시대 중화민국
(中華民國)

군벌
청나라 소조정 | 임시정부(臨時政府)
북양정부(北洋政府)
중화제국(中華帝國) | 호법정부(護法政府)
우한 국민정부(武漢國民政府)
국민정부(國民政府)
위명국
일치시기
소비에트 지구
중화소비에트공화국
만주국(滿州國)
현대시대 중화민국(中華民國)
제1공화국(第一共和國) | 제2공화국(第二共和國)

중국의 근현대사

신해혁명과 건국

북양정부와 군벌의 할거

북벌과 중국의 통일, 국민정부

중일전쟁과 국공합작

중국전쟁과 제1공화국

민주화와 제2공화국

21세기의 개막과 현재

2008년 난징 올림픽의 개막식 장면

자연환경

인문환경

인구

언어

종교

행정구역

중화민국
[ 펼치기 · 접기 ]

정치

총통


중화민국 총통
[ 펼치기 · 접기 ]
제1-5대 제5°대 제6대 제7·8대
장제스 옌자간 류사오치 덩샤오핑
제9·10대 제11·12대 제13·14대 제15·16대
장쩌민 후진타오 마잉주 리커창
제16°·17·18대
후춘화
°: 계임총통(부총통이 승계)
삼황오제 · · ·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삼국시대 · 진(晉) · 오호십육국 · 북조 · 남조 · ·
오대 · 십국 · · 서하 · · · · · · 중화민국 국가원수

중국 부총통


역대 총통

부총통


중화민국 부총통
[ 펼치기 · 접기 ]
초대 제2·3대 제4·5대 제6대
리쭝런 천청 옌자간 덩샤오핑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리셴녠 양상쿤 린양강 롄잔
제11·12대 제13대 제14대 제15·16대
원자바오 샤오완창 왕치산 후춘화
제17대 제18대
쑨사오청 허리펑
중국 총통


역대 부총통

국민대회

행정원

틀:중국의 행정각부 (민국 38)


중화민국 행정원장
[ 펼치기 · 접기 ]
장제스 정부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웡원하오 쑨커 허잉친 옌시산 후스
장제스 정부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위훙쥔 천청 옌자간 왕징웨이 장징궈
옌자간 정부
류사오치 정부
덩샤오핑 정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제13대
장징궈 저우언라이 후야오방 자오쯔양
덩샤오핑 정부
장쩌민 정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리펑 위무밍 롄잔 주룽지 샤오완창
후진타오 정부
마잉주 정부
제19대 제20대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저우샤오촨 마카이 쩡페이옌 리커창 장더장
마잉주 정부
제24대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왕치산 우둔이 쑨춘란 마오즈궈 장산정
리커창 정부
후춘화 정부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제33대
펑칭화 리이닝 인리 류궈중 장궈칭
후춘화 정부
제34대 제35대
허리펑 쉬젠궈
입법원장 · 사법원장 · 감찰원장 · 고시원장

청 내각총리대신 · 중화민국 국무총리


역대 행정원장

입법원

사법원

감찰원

고시원

경제

사회

치안

복지

문화

언론

교육

민족

군사

단위

창작물


  1. 서기 - 1911
  2. 일상생활에서는 서력 혼용
  3. 실생활에서는 척관법 혼용
  4. 본토 기준
  5. 홍콩, 마카오 한정
  6. 단 Sino-centrism(중화사상), Sino-Japanese War(청일전쟁)등 영어권에서는 고유명사에 한해서 아직 유효한 표현이다.
  7. 일자 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