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 (민국 38)

[ 문서 보기 ]
[ 세계관 설명 ]
[ 세계관 설명 ]
중국이 제국주의에 의해서 망한다면
중국인은 망국의 인간으로 살아가게 될 것이다.
그러나 중국이 공산주의에 의해서 망한다면
중국인은 노예로도 살아갈 수 없을 것이다.
민국 38(民國三十八)은 가장 대표적인 대체역사 소재 중 하나인 중화민국국공내전 승리를 가정한 세계관 입니다.
민국 38년(1949년) 중화민국의 국공내전 승리 이후 중국과 동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변화한 여러 정치, 사회, 문화, 역사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틀:소련 관련 문서 (민국 38)


소련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틀:소련의 역사 (민국 38)


동유럽의 국가 및 지역
[ 펼치기 · 접기 ]
소련 * 벨로루시 우크라이나
러시아 * 몰도바 * 그루지야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카자흐스탄 *
*: 일부 지역만 동유럽에 속해 있는 국가 또는 넓은 의미로 동유럽으로도 분류되는 국가.
(주로 아시아에 분포, 캅카스서아시아중앙아시아 등 다른 지역으로 분류될 때도 있다.)

중앙아시아의 국가 및 지역
[ 펼치기 · 접기 ]
소련 * 카자흐스탄 **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아프가니스탄***
*: 소련은 유라시아 전역에 영토가 걸쳐있으며 일반적인 경우 중앙아시아 국가로 분류되지 않음
**: 카자흐스탄은 동유럽의 일부로 분류되기도 함
***: 아프가니스탄은 서아시아, 남아시아의 일부로 분류되기도 함

서아시아의 국가
[ 펼치기 · 접기 ]
튀르키예 * 소련 ** 그루지야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키프로스 * 북키프로스 * 아크로티리 데켈리아 * 레바논 아랍 연합 왕국
이란 쿠웨이트 네지드 바레인 이집트 ****
예멘 오만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동아라비아
*: 튀르키예와 키프로스 섬은 남유럽으로도 분류된다.
**: 소련은 유라시아 전역에 영토가 걸쳐있으며 일반적인 경우 서아시아 국가로 분류되지 않는다.
***: 캅카스중앙아시아, 동유럽으로도 분류되며, 대부분 많은 서아시아 국가들과 차이점이 다른 지역으로도 분류된다.
****: 시나이 반도만 서아시아로 분류된다.

틀:북유럽의 국가 (민국 38)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이사국
[ 펼치기 · 접기 ]

틀:APEC 가입국 (민국 38)


틀:G20 (민국 38)



공산주의
[ 펼치기 · 접기 ]
분파
레닌주의(마르크스-레닌주의 (스탈린주의 · 현실사회주의 · 신시대 현실사회주의 · 카스트로주의 · 호자주의 · 일본식 사회주의 · 중국특색 사회주의 (신민주주의) · 보스주의 (마르크스-레닌-보스주의)) · 볼셰비키-레닌주의 (파블로주의 · 신트로츠키주의(클리프주의) · 제3의 진영 · 포사다스주의)) · 자유지상주의적 공산주의(룩셈부르크주의 · 좌파공산주의 · 사회적 아나키즘 · 자율주의) · 서구 마르크스주의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 좌익 민족주의 · 유럽공산주의
인물
카를 마르크스 · 프리드리히 엥겔스 · 카를 카우츠키 · 블라디미르 레닌 · 레프 트로츠키 · 미하일 칼리닌 ·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 나데즈다 크룹스카야 · 이오시프 스탈린 · 라자르 카가노비치 · 유리 안드로포프 · 블라디미르 푸틴 · 요시프 브로즈 티토 · 천두슈 · 리다자오 · 류사오치 · 저우언라이 · 덩샤오핑 · 수바스 찬드라 보스 · 체 게바라 · 피델 카스트로 · 라울 카스트로 · 로자 룩셈부르크 · 프랑수아 노엘 바뵈프·루이 오귀스트 블랑키·카를 리프크네히트 · 안토니오 그람시 · 호찌민 · 레주언 · 폴 포트 · 쑤파누웡 · 담딘 수흐바타르 · 허를러깅 처이발상 · 고토쿠 슈스이 · 도쿠다 규이치 · 노사카 산조 · 미야모토 겐지 · 후와 데쓰조 · 무라카미 히로무 · 시이 가즈오 · 박헌영 · 이관술 · 빌헬름 피크 · 발터 울브리히트 · 에리히 호네커 ·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 · 엔베르 호자 · 헹크 스네이블릿 · 호세 카를로스 마리아테기 · 밥 아바키안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이론
공산주의 · 사회주의 · 노동가치론 · 변증법적 유물론 · 마르크스 경제학 · 여성해방론 · 프롤레타리아 독재 · 민주집중제 · 계획경제 · 반자본주의 · 무신론 · 사회주의법 · 인민민주주의 · 사회주의 문화
정당
(공산당)
현존 정당
아시아
한국공산당 대한민국 (민국 38) · 중국공산당 중국 (민국 38) · 중국공당 중국 (민국 38) · 일본공산당 일본인민공화국 (민국 38) · 라오 애국전선 라오스 (민국 38) · 버마 공산당 버마 (민국 38) · 태국공산당 태국 (민국 38) · 크메르 적색당 캄보디아 (민국 38) · 네팔 공산당 (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네팔 · 네팔 공산당 (보스주의 센터) 네팔 · 네팔 공산당 (통합 사회주의) 네팔 · 인도 국민 회의 · 방글라데시 노동자당 방글라데시 · 투데당 ·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 예멘 사회당 예멘 · 몽골 인민당 중국 (민국 38)(몽골 (민국 38))
유럽
소련 공산당 소련 (민국 38) · 프랑스 공산당 프랑스 · 스페인 공산당 스페인 · 포르투갈 공산당 포르투갈 · 그리스 공산당 그리스 · 튀르키예 노동자당 튀르키예 · 노동인민진보당 키프로스 · 독일 공산당 독일 · 오스트리아 공산당 · 벨기에 노동당 벨기에 · 스위스 노동당 스위스 · 적색당 노르웨이 · 헝가리 사회노동당 · 폴란드 통일노동당 · 알바니아 노동당 ·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 불가리아 공산당 ·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 루마니아 공산당 · 사회당 네덜란드
아프리카
경제자유투사당 남아프리카 공화국 · 기니카보베르데 아프리카독립당 기니비사우 · 모잠비크 해방전선 모잠비크 · 상투메 프린시페 해방운동-사회민주당 상투메 프린시페 ·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 앙골라 · 앙골라 해방인민운동 앙골라 ·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 - 애국전선 짐바브웨 · 콩고 노동당 콩고 공화국 · 티그라이 인민해방전선 에티오피아
아메리카
미국 공산당 미국 · 미국 혁명공산당 미국 · 캐나다 공산당 캐나다 · 쿠바 공산당 쿠바 · 베네수엘라 공산당 베네수엘라 · 인민진보당 가이아나 · 자유 페루 페루 · 브라질 공산당 브라질 · 사회주의자유당 브라질 · 칠레 공산당 칠레 · 에콰도르 공산당 - 붉은 태양 에콰도르· 에콰도르 공산당 에콰도르 · 우루과이 공산당 우루과이 · 파라분도 마르티 민족해방전선 엘살바도르
볼드체: 여당 또는 연립여당
취소선: 역사적으로 공산주의를 표방했던 정당
해체된 정당
이탈리아 공산당· 조선공산당 · 세르비아 공산당 · 인도 공산당 · 인도네시아 공산당 · 말라야 공산당 · 캄푸치아 공산당 · 중화민국 공산당 · 영국 공산당 · 헝가리 노동자당· 튀르키예 공산당(1920년)
국제 조직
코민테른 · 코민포름 · 코메콘 · 바르샤바 조약기구 · 인터내셔널 · 공산당-노동자당 국제회의 · 세계반제플랫포옴 · 각종 공산주의 정당 연합
국가
인민공화국 또는 사회주의 공화국을 표방하는 국가
 ·  ·  ·  ·  ·  ·  ·  ·  ·  ·  ·  · 
공산주의 정당이 여당으로 집권 중인 국가
 ·  ·  ·  ·  · 
★: 연립정부의 구성원으로 집권한 국가
붕괴된 국가
 ·  ·  ·  ·  ·  ·  ·  ·  · 
상징·표어
낫과 망치 ·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붉은 별 · 적기
관련 문서
분파 · 역사 · 서기장 · 탈공산주의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레닌주의 · 마르크스-레닌주의 · 보스주의


스탈린주의
[ 펼치기 · 접기 ]
이념 반서방 · 반파시즘 · 마르크스-레닌주의 · 군국주의 · 대러시아 · 소비에트 내셔널리즘 · 일국사회주의론 · 전체주의
분파 현실사회주의 · 반수정주의 (보스주의 · 호자주의 · MLB) · 국민공산주의 · 카스트로주의 · 곤살로 사상
정당/조직 소련 공산당 · 몽골 인민당 · 독일 통일사회당 · 폴란드 통일노동당 ·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 헝가리 사회노동당 · 루마니아 공산당 · 불가리아 공산당· 알바니아 노동당 · 인도 국민 회의 · 투데당 ·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 코민테른 · 코민포름
군사조직 소련군 · NKVD
인물 이오시프 스탈린 · 허를러깅 처이발상 · 발터 울브리히트 · 볼레스와프 비에루트 · 클레멘트 고트발트 · 라코시 마티아스 ·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 ·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 엔베르 호자 · 장궈타오 · 박헌영 · 수바스 찬드라 보스 · 이라지 에스칸다리 · 누르 모하마드 타라키
국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 몽골 인민 공화국 · 독일 민주 공화국 · 폴란드 인민 공화국 ·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 헝가리 인민 공화국 ·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공화국 · 인도 공화국 · 이란 민주 공화국 ·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공산주의 · 소련 · 보스주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Союз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 러시아어 이외 연맹 상용어의 국호표기 ]
우크라이나어 Союз Радянських Соціалістичних Республік
벨라루스어 Саюз Савецкіх Сацыялістычных Рэспублік
우즈베크어 Совет Социалистик Республикалари Иттифоқи
카자흐어 Советтік Социалистік Республикалар Одағы
그루지야어 საბჭოთა სოციალისტური რესპუბლიკების კავშირი
아제르바이잔어 Совет Сосиалист Республикалары Иттифагы
리투아니아어 Tarybų Socialistinių Respublikų Sąjunga
몰도바어 Униуня Републичилор Советиче Сочиалисте
라트비아어 Padomju Sociālistisko Republiku Savienība
키르기스어 Советтик Социалисттик Республикалар Союзу
타지크어 Иттиҳоди Ҷумҳуриҳои Шӯравии Сосиалистӣ
아르메니아어 Խորհրդային Սոցիալիստական Հանրապետությունների Միություն
투르크멘어 Совет Социалистик Республикалары Союзы
에스토니아어 Nõukogude Sotsialistlike Vabariikide Liit
국기 국장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Пролетарии всех стран, соединяйтесь!
상징
국가 소련 찬가
국화 해바라기
역사
[ 펼치기 · 접기 ]
• 10월 혁명 1917년 11월 7일
• 연방 수립 조약 1922년 12월 30일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모스크바
북위 55°45′00″ 동경 37°37′00″
최대도시
면적 22,402,200km2 | 세계 1위[1]
내수면 비율 12.9%
접경국 중국 (민국 38)의 기 중국
대한민국 (민국 38)의 기 대한민국
아프가니스탄
이란
루마니아
헝가리
슬로바키아
폴란드
핀란드
노르웨이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 인구 301,129,706(2022년) | 세계 4위
민족 구성
러시아인 (45.7%)
우크라이나인 (15.9%)
우즈베크인 (11.1%)
카자흐인 (5.8%)
아제르바이잔인 (4.6%)
벨라루스인 (3.5%)
타지크인 (3.2%)
타타르인 (2.3%)
투르크멘인 (1.9%)
키르기스인 (1.8%)
기타 (4.2%)
인구 밀도
13.4명/km2
출산율 2.03명 (2021년)
기대수명
81.2세 (2021년)
언어 공용어 러시아어 (사실상)[2]
상용어 우크라이나어, 우즈베크어, 카자흐어, 아제르바이잔어, 벨라루스어, 타지크어, 타타르어, 투르크멘어, 키르기스어, 아르메니아어, 그루지야어, 리투아니아어, 라트비아어, 에스토니아어, 몰도바어
지역어 가가우즈어, 바시키르어, 사하어, 알타이어, 인구시어
공용문자
키릴 문자 (사실상)[3]
종교 국교 없음 (국가 무신론)[4]
분포 무종교 및 무신론 58.8%
정교회 28.7%
이슬람 11.4%
기타 2.1%
군대 소비에트 연방군
인간개발지수 0.768(2020년) | high | 세계 72위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공화국 1개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14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1개 특별행정구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사회주의, 공산주의, 일인독재, 공화제(과두제), 민주집중제, 전체주의, 일당제, 양원제, 연방제, 중앙집권제, 성문법주의
민주주의 지수 2.21점, 권위주의 (2021년)
(167개국 중 148위)
국가주석
공산당 서기장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국가원수)
공석[5]
미하일 미슈스틴(권한대행)
정부
요인
장관회의 주석
미하일 미슈스틴
최고회의 의장
뱌체슬라프 볼로딘
대법원장 뱌체슬라프 레베데프
여당 소련 공산당[6]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 체제 사회주의시장경제체제(명목상)
국가자본주의(사실상)
GDP
(PPP)
전체 $8조 8,788억(2022년 IMF 기준) | 세계 4위
1인당 $29,485(2022년 IMF 기준) | 세계 50위
GDP
(명목)
전체 $7조 8,104만(2022년 IMF 기준) | 세계 4위
1인당 $25,937(2022년 IMF 기준) | 세계 35위
국부 $5조 380억(2020년) | 세계 13위
무역 수출 $7,156억 2,700만(2020년)
수입 $6,878억 8,100만(2020년)
외환보유액 $1조 1,082억(2020년)
신용 등급 무디스 C
S&P D
Fitch D[7]
화폐
공식 화폐
소련 루블(₽, рубль)
ISO 4217
RUB
국가
예산
1년 세입
$8,819억 5,830만(2020년)
1년 세출
$8,592억 8,039만(2020년)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연호 서력기원
시간대 UTC+2 ~ +12[8]
도량형 SI 단위
외교
[ 펼치기 · 접기 ]
대한수교현황 조선국 최초수교: 1884년 7월 7일
대한민국: 1990년 9월 30일[9]
유엔 가입 1945년 10월 24일(창립회원국)
무비자입국 양국 모두 비자 필요[10]
주한대사관 및 총영사관
[ 펼치기 · 접기 ]
주한소련대사관 서울특별시 중구 서소문로11길 43
주평양총영사관 평양광역시 중구 서문대로 79
주부산총영사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94
주인천명예총영사관
인천광역시 연수구 갯벌로 12
ccTLD
.su
국가 코드
810, SU, SUN
국제전화코드
+7
차량 통행 방향
오른쪽
여행경보
출국권고 전 지역
위치

지도를 불러오는 중...

개요

8K로 촬영된 소련의 모습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Союз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약칭 소련(蘇聯)은 유라시아 북부에 위치한 사회주의 국가이다. 러시아 혁명으로 러시아 제국이 붕괴된 후 건국된 인류 역사상 최초의 공산주의 국가로, 제2차 세계대전 이래 제2세계의 종주국이다.

1917년 10월 혁명과 러시아 내전 이후 최초의 공산주의 국가라는 타이틀을 달고 건국되었다. 건국 직후에는 정치·경제적인 혼란이 이어졌으나 이오시프 스탈린의 집권과 대숙청으로 대표되는 철권통치의 영향으로 당내의 반대파가 말살되고 정치적인 안정이 복구되었으며 5개년 계획이 실행되며 세계적인 중공업 국가로 발돋움 하였다. 1941년 나치 독일의 침공으로 인하여 위기를 맞기도 하였으나 결과적으로 승리를 거두며 전후 세계의 패권국으로 자리매김 하였다.

1953년 스탈린이 사망한 이후 그 뒤를 이은 라자리 카가노비치는 스탈린의 사상을 계승하여 철저한 통제정책을 펼쳤고 이는 공산당내의 반대파와 민중의 불만을 성장시키는 기폭재가 되었다. 이에 카가노비치는 이전의 스탈린과 같이 점차 편집증적으로 변해갔고 이러한 편집증은 당 중앙위원회가 처녀지 개간 운동과 쿠바 미사일 위기의 책임을 카가노비치에게 돌린 순간 정점을 찍어 제2차 대숙청의 단초가 되었다.

2차 대숙청 이후 카가노비치는 절대 권력을 손에 넣었으며 스탈린과 같은 지위로 신격화 되기까지 하였으나 극심한 정신적 피로와 심각한 건강 악화에 시달려야 했고 그는 절대 권력을 얻은지 10년 만인 1976년 사망하고 말았다. 카가노비치의 사망 이후 과도기인 로마노프 시대를 거쳐 개혁파인 유리 안드로포프가 정권을 잡아 개혁개방을 시작하였다. 안드로포프 시대에 소련은 비약적인 경제 성장률을 기록하였으며 동시에 사회 통제 역시 크게 완화되어 자유주의적 학생 운동권이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개혁개방 이후 크게 증가한 빈부 격차와 더불어 1989년 폴란드 혁명으로부터 비롯된 자유주의 물결은 소련 인민들로 하여금 정치적 자유를 요구하게 만들었고 이는 크렘린 6.4 항쟁으로 발전하였다. 소련 당국은 이를 강경하게 진압하였으나 서방의 압력과 동유럽의 자유화 물결에 못이겨 위성국들에 대해 공산당 일당 우위제를 유지하되 제한적 민주정을 도입하는 이른바 "안드로포프 독트린"을 선언하였고 간신히 동구권과 서아시아의 영향권을 보존 할 수 있었다.

안드포포프 이후 보수파인 예고르 리가초프, 개혁파인 겐나디 주가노프가 그 뒤를 이었으며 이들은 안드로포프의 노선을 계승하여 정치적으로는 강경하되 경제 개방을 이어나가는 태도를 보였고 덕분에 소련은 큰 문제없이 20년간 경제성장을 이어나갈 수 있었다. 주가노프의 후임을 결정 짓기 위한 소모적인 정쟁의 결과 "무색무취"하다고 평가받는 블라디미르 푸틴이 신임 소련공산당 서기장으로 내정되었다.

집권 초기의 푸틴은 세간의 예상과 같이 조용하게 처신하였으나 점차 자신의 권력을 강화함과 동시에 반대파들을 제거해가기 시작하였고 2019년 칼리닌그라드 민주화 운동을 강경 진압하는 등 국내 통제를 강화함과 동시에 외교적으로 강경한 태도를 보이며 국제사회의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푸틴은 급기야 서기장과 국가주석직의 연임 제한을 폐지하며 안드로포프 이후 최초로 삼연임에 성공한 소련 국가원수가 되었으며 이는 소련 내에서 상당한 반발을 초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반대파의 저항은 실패로 끝났고 2022년 이후 이른바 "푸차르"의 1인 독재 시대가 열리며 소련은 정치적 암흑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그러나 영원 할 것만 같던 푸틴의 1인 독재 체제는 2029년 푸틴 암살 사태로 인해 허무하게 막을 내리고 있었고 절대 독재자의 사망 이후 소련의 정세는 대추락과 맞물려 급격히 악화되어 2030년 현재 기준으로 준 내전 수준의 정치위기가 진행되는 등 극심한 혼란을 겪고 있다.

국가 상징

국명

언어별 명칭
영어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러시아어 Сою́з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한국어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표준중국어 蘇維埃 (sūwéi’āi)社會主義 (shèhuìzhǔyì)共和國 (gònghéguó)聯盟 (liánméng)
일본어 ソビエト社会主義 (しゃかいしゅぎ)共和国 (きょうわこく)連邦 (れんぽう)
프랑스어 Union des Républiques Socialistes Soviétiques
스페인어 Unión de Repúblicas Socialistas Soviéticas
아랍어 اتحاد الجمهوريات الاشتراكية السوفياتية
[ 연방 상용어 ]
우크라이나어 Союз Радянських Соціалістичних Республік
벨라루스어 Саюз Савецкіх Сацыялістычных Рэспублік
우즈베크어 Совет Социалистик Республикалари Иттифоқи
카자흐어 Советтік Социалистік Республикалар Одағы
그루지야어 საბჭოთა სოციალისტური რესპუბლიკების კავშირი
아제르바이잔어 Совет Сосиалист Республикалары Иттифагы
리투아니아어 Tarybų Socialistinių Respublikų Sąjunga
몰도바어 Униуня Републичилор Советиче Сочиалисте
라트비아어 Padomju Sociālistisko Republiku Savienība
키르기스어 Советтик Социалисттик Республикалар Союзу
타지크어 Иттиҳоди Ҷумҳуриҳои Шӯравии Сосиалистӣ
아르메니아어 Խորհրդային Սոցիալիստական Հանրապետությունների Միություն
투르크멘어 Совет Социалистик Республикалары Союзы
에스토니아어 Nõukogude Sotsialistlike Vabariikide Liit
[ 그 외 언어 ]
독일어 Union der Sozialistischen Sowjetrepubliken
포르투갈어 União das Repúblicas Socialistas Soviéticas
이탈리아어 Unione delle Repubbliche Socialiste Sovietiche
튀르키예어 Sovyet Sosyalist Cumhuriyetleri Birliği
태국어 สหภาพสาธารณรัฐสังคมนิยมโซเวียต
버마어 ပြည်ထောင်စု ဆိုဗီယက်ဆိုရှယ်လစ်သမ္မတနိုင်ငံ
힌디어 सोवियत संघ समाजवादी गणराज्य

국기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국기
Флаг Союза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지위 소련의 국기
채택일 1924년 4월 18일 (최초)
1955년 8월 19일 (현행)
설계자 소련 중앙집행위원회
근거법령 소련 헌법 제8장 제170조
소련 국가 깃발에 관한 규정
비율 1:2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флаг Союза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представляет собой красное прямоугольное полотнище с изображением в его верхнем углу, у древка, золотых серпа и молота и над ними красной пятиконечной звезды, обрамленной золотой каймой. Отношение ширины флага к его длине — 1:2.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의 국기는 위쪽 구석에 황금 낫과 망치가 그려져 있고 그 위에는 황금색 태두리로 둘러싸인 붉은 오각별이 그려져 있다. 깃발 길이와 너비의 비율은 비율은 1:2이다.
소련 헌법 170조

국장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국장
Герб Союза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지위 소련의 국장
채택일 1923년 7월 6일 (최초)
1956년 9월 12일 (현행)
설계자 이반 이바노비치 두바소프[11]
근거법령 소련 헌법 제8장 제169조
사용처 국가기관
국가문서
여권
훈장
해외공관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и герб Союза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представляет собой изображение серпа и молота на фоне земного шара, в лучах солнца и в обрамлении колосьев, с надписью на языках союзных республик: «Пролетарии всех стран, соединяйтесь!». В верхней части герба — пятиконечная звезда.
태양빛의 형상과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라는 제명이 연방구성 공화국의 언어로 포함된 이삭이 둘러진 지구 위에 올려진 낫과 망치로 구성된다. 국장의 상부에는 오각 별이 있다.
소련 헌법 169조

국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국가
Гимн Союза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지위 소련의 국가
채택일 1944년 3월 15일 (최초)
1977년 9월 1일 (현행)
작사 엘-레기스탄[12]
세르게이 블라디미로비치 미할코프[13]
작곡 알렉산드르 바실리예비치 알렉산드로프[14]
[ 펼치기 · 접기 ]
1절
Союз нерушимый республик свободных
자유로운 공화국들의 굳건한 단합을
Сплотила навеки Великая Русь
위대한 러시아가 영구히 이루었다네
Да здравствует созданный волей народов
영원하라 인민의 자유와 의지로 만들어진
Единый, могучий Советский Союз!
영원히 불멸하리라, 소비에트 연방이여!
2절
Сквозь грозы сияло нам солнце свободы
폭풍우 속에서도 자유의 태양은 우리를 비추고
И Ленин великий нам путь озарил
위대한 레닌은 우리에게 길을 밝혀주네
На правое дело он поднял народы
그는 정의로 인민을 인도하고
На труд и на подвиги нас вдохновил!
노동과 위업으로 우리를 이끄네!
3절
В победе бессмертных идей коммунизма
불멸의 공산주의 이념의 승리 속에서
Мы видим грядущее нашей страны
우리는 조국의 미래를 보며
И Красному знамени славной Отчизны
영광스러운 조국의 붉은 깃발에
Мы будем всегда беззаветно верны!
우리는 영원토록 변함없이 헌신하리라!
후렴
Славься, Отечество наше свободное
찬양하여라, 우리의 자유로운 조국을
Дружбы народов надёжный оплот!
인민의 우정이 확고한 보루를!
Партия Ленина — сила народная
레닌의 당은 - 인민의 힘이다
Нас к торжеству коммунизма ведёт!
우리를 공산주의의 승리로 인도하라!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гимн Союза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утверждается Верховным Советом ССС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의 국가는 소련 최고 소비에트의 승인을 받는다.
소련 헌법 171조

역사

틀:소련의 역사 (민국 38)

러시아 혁명과 내전

10월 혁명 당시 연설하는 레닌

스탈린의 집권과 대숙청

대조국전쟁과 냉전

안드로포프의 집권과 개혁

크렘린 사태와 안정기

푸틴의 집권과 현재

자연환경

인문환경

행정구역

정치

소련 공산당

최고지도자


소비에트 연방 최고지도자
[ 펼치기 · 접기 ]
초대 제2대 제3대
블라디미르 레닌 이오시프 스탈린 라자리 카가노비치
제4대 제5대 제6대
그리고리 로마노프 유리 안드로포프 예고르 리가초프
제7대 제8대 임시
겐나디 주가노프 블라디미르 푸틴 미하일 미슈스틴
소비에트 연방 최고지도자는 공식적인 직책이 아니라 국방위원회 및 이에 상응하는 기관의 수장에 재임한 최고 실권자를 의미한다.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

소비에트 연방 국가주석

소비에트 연방 국방위원회 위원장

내각

인민대표대회

소련 인민대표대회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제9대 인민대표대회
(2029 ~ 2034)
여당

소련 공산당
1991석
무소속 233석
재적 2224석 | 공석 26석

최고 소비에트

소련 최고 소비에트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제9대 최고 소비에트
(2029 ~ 2034)
여당

소련 공산당
729석 722석
무소속 21석 28석
재적 750석·750석 | 공석 0석·0석
좌측은 연방회의 의석 수, 우측은 민족회의 의석 수

외교

한소관계

미소관계

중소관계

독소관계

경제

사회

문화

사회주의 리얼리즘

군사

단위

창작물


  1. 국제적으로 소련의 일부로 취급되나 실질적으로 독립국가인 바르샤바 국가근위군 영토의 면적을 포함한다면 22,714,8852이다.
  2. 공식적으로 정해진 공용어는 없으나 사실상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3. 공식적으로 정해진 공용문자는 없으나 실질적 연맹 공용어인 러시아어가 키릴 문자로 표기된다.
  4. 실질적으로 공민의 상당수는 종교를 보유하고 있으나 공식적으로는 국가 무신론이 채택되어있다.
  5. 블라디미르 푸틴 암살 사건 참고.
  6. 소련 헌법에 의거한 유일합법정당이다.
  7. 블라디미르 푸틴 전 주석의 암살과 더불어 찾아온 준 내전 수준의 정치위기로 인하여 3대 신용평가회사 모두에게 최하위 등급을 받았다.
  8. 서로 다른 시간대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약속을 잡을때나 국가단위의 시간대 사용의 경우 보통 UTC+03:00(모스크바 시간)을 사용한다.
  9. 대한민국과 소련은 다른 유럽 국가들과는 달리 수교년도를 조선-러시아 제국 수교년도인 1884년이 아닌 한소 수교년도인 1990년으로 본다.
  10. 특별행정구인 칼리닌그라드에서는 90일 무비자가 적용되지만, 이쪽은 소련 본토와 입국심사가 별개로 진행되기 때문에 논외. 일반 여권으로 일부 무비자 방문 가능한 사례(비행기 환승이나 특정 조건이 주어진 방문 등)가 있지만 이는 말 그대로 예외일 뿐 원칙은 안 되는 것이 맞다. 마찬가지로 소련인이 한국 제주도에 방문할 경우 90일 무비자가 적용되나, 제주도에서 본토로 진입하기 위해선 비자가 필요하다.
  11. Ива́н Ива́нович Дуба́сов, 다만 두바소프 홀로 설계한 것이 아닌 여러 시안들과 의견들을 종합하여 설계되었다.
  12. Эль-Регистан, 아르메니아인으로 본명은 가브리엘 아르카디예비치 우레클리안(Габриэ́ль Арша́кович Урекля́нц)이며 1944년 버전의 공동 작사자이다. 1945년에 사망하여 1977년 버전 개사에 참여하지 못하였다.
  13. Серге́й Влади́мирович Михалко́в, 1944년 버전의 공동 작사자이자 1977년 버전의 개사자.
  14. Александр Васильевич Александро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