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민공화국 (민국 38)

[ 문서 보기 ]
[ 세계관 설명 ]
[ 세계관 설명 ]
중국이 제국주의에 의해서 망한다면
중국인은 망국의 인간으로 살아가게 될 것이다.
그러나 중국이 공산주의에 의해서 망한다면
중국인은 노예로도 살아갈 수 없을 것이다.
민국 38(民國三十八)은 가장 대표적인 대체역사 소재 중 하나인 중화민국국공내전 승리를 가정한 세계관 입니다.
민국 38년(1949년) 중화민국의 국공내전 승리 이후 중국과 동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변화한 여러 정치, 사회, 문화, 역사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틀:일본인민공화국 관련 문서 (민국 38)


일본인민공화국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틀:일본의 역사 (민국 38)


동아시아의 국가 및 지역
[ 펼치기 · 접기 ]

틀:APEC 가입국 (민국 38)


틀:6자 회담 당사국 (민국 38)



난징 조약 기구
[ 회원국 목록 ]
[ 협력국 목록 ]


공산주의
[ 펼치기 · 접기 ]
분파
레닌주의(마르크스-레닌주의 (스탈린주의 · 현실사회주의 · 신시대 현실사회주의 · 카스트로주의 · 호자주의 · 일본식 사회주의 · 중국특색 사회주의 (신민주주의) · 보스주의 (마르크스-레닌-보스주의)) · 볼셰비키-레닌주의 (파블로주의 · 신트로츠키주의(클리프주의) · 제3의 진영 · 포사다스주의)) · 자유지상주의적 공산주의(룩셈부르크주의 · 좌파공산주의 · 사회적 아나키즘 · 자율주의) · 서구 마르크스주의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 좌익 민족주의 · 유럽공산주의
인물
카를 마르크스 · 프리드리히 엥겔스 · 카를 카우츠키 · 블라디미르 레닌 · 레프 트로츠키 · 미하일 칼리닌 ·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 나데즈다 크룹스카야 · 이오시프 스탈린 · 라자르 카가노비치 · 유리 안드로포프 · 블라디미르 푸틴 · 요시프 브로즈 티토 · 천두슈 · 리다자오 · 류사오치 · 저우언라이 · 덩샤오핑 · 수바스 찬드라 보스 · 체 게바라 · 피델 카스트로 · 라울 카스트로 · 로자 룩셈부르크 · 프랑수아 노엘 바뵈프·루이 오귀스트 블랑키·카를 리프크네히트 · 안토니오 그람시 · 호찌민 · 레주언 · 폴 포트 · 쑤파누웡 · 담딘 수흐바타르 · 허를러깅 처이발상 · 고토쿠 슈스이 · 도쿠다 규이치 · 노사카 산조 · 미야모토 겐지 · 후와 데쓰조 · 무라카미 히로무 · 시이 가즈오 · 박헌영 · 이관술 · 빌헬름 피크 · 발터 울브리히트 · 에리히 호네커 ·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 · 엔베르 호자 · 헹크 스네이블릿 · 호세 카를로스 마리아테기 · 밥 아바키안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이론
공산주의 · 사회주의 · 노동가치론 · 변증법적 유물론 · 마르크스 경제학 · 여성해방론 · 프롤레타리아 독재 · 민주집중제 · 계획경제 · 반자본주의 · 무신론 · 사회주의법 · 인민민주주의 · 사회주의 문화
정당
(공산당)
현존 정당
아시아
한국공산당 대한민국 (민국 38) · 중국공산당 중국 (민국 38) · 중국공당 중국 (민국 38) · 일본공산당 일본인민공화국 (민국 38) · 라오 애국전선 라오스 (민국 38) · 버마 공산당 버마 (민국 38) · 태국공산당 태국 (민국 38) · 크메르 적색당 캄보디아 (민국 38) · 네팔 공산당 (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네팔 · 네팔 공산당 (보스주의 센터) 네팔 · 네팔 공산당 (통합 사회주의) 네팔 · 인도 국민 회의 · 방글라데시 노동자당 방글라데시 · 투데당 ·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 예멘 사회당 예멘 · 몽골 인민당 중국 (민국 38)(몽골 (민국 38))
유럽
소련 공산당 소련 (민국 38) · 프랑스 공산당 프랑스 · 스페인 공산당 스페인 · 포르투갈 공산당 포르투갈 · 그리스 공산당 그리스 · 튀르키예 노동자당 튀르키예 · 노동인민진보당 키프로스 · 독일 공산당 독일 · 오스트리아 공산당 · 벨기에 노동당 벨기에 · 스위스 노동당 스위스 · 적색당 노르웨이 · 헝가리 사회노동당 · 폴란드 통일노동당 · 알바니아 노동당 ·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 불가리아 공산당 ·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 루마니아 공산당 · 사회당 네덜란드
아프리카
경제자유투사당 남아프리카 공화국 · 기니카보베르데 아프리카독립당 기니비사우 · 모잠비크 해방전선 모잠비크 · 상투메 프린시페 해방운동-사회민주당 상투메 프린시페 ·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 앙골라 · 앙골라 해방인민운동 앙골라 ·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 - 애국전선 짐바브웨 · 콩고 노동당 콩고 공화국 · 티그라이 인민해방전선 에티오피아
아메리카
미국 공산당 미국 · 미국 혁명공산당 미국 · 캐나다 공산당 캐나다 · 쿠바 공산당 쿠바 · 베네수엘라 공산당 베네수엘라 · 인민진보당 가이아나 · 자유 페루 페루 · 브라질 공산당 브라질 · 사회주의자유당 브라질 · 칠레 공산당 칠레 · 에콰도르 공산당 - 붉은 태양 에콰도르· 에콰도르 공산당 에콰도르 · 우루과이 공산당 우루과이 · 파라분도 마르티 민족해방전선 엘살바도르
볼드체: 여당 또는 연립여당
취소선: 역사적으로 공산주의를 표방했던 정당
해체된 정당
이탈리아 공산당· 조선공산당 · 세르비아 공산당 · 인도 공산당 · 인도네시아 공산당 · 말라야 공산당 · 캄푸치아 공산당 · 중화민국 공산당 · 영국 공산당 · 헝가리 노동자당· 튀르키예 공산당(1920년)
국제 조직
코민테른 · 코민포름 · 코메콘 · 바르샤바 조약기구 · 인터내셔널 · 공산당-노동자당 국제회의 · 세계반제플랫포옴 · 각종 공산주의 정당 연합
국가
인민공화국 또는 사회주의 공화국을 표방하는 국가
 ·  ·  ·  ·  ·  ·  ·  ·  ·  ·  ·  · 
공산주의 정당이 여당으로 집권 중인 국가
 ·  ·  ·  ·  · 
★: 연립정부의 구성원으로 집권한 국가
붕괴된 국가
 ·  ·  ·  ·  ·  ·  ·  ·  · 
상징·표어
낫과 망치 ·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붉은 별 · 적기
관련 문서
분파 · 역사 · 서기장 · 탈공산주의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레닌주의 · 마르크스-레닌주의 · 보스주의

일본인민공화국
日本人民共和国 | People's Republic of Japan
국기 국장
万国の労働者よ、団結せよ!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상징
국가 들어라 만국의 노동자
국화 동백꽃
역사
[ 펼치기 · 접기 ]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센다이도
북위 38°16′5.6″ 동경 140°52 9.9″
최대도시 삿포로부
북위 43°3′43.5″ 동경 141°21′15.8″
면적 199,849km2 | 세계 98위
내수면 비율 0.8%
접경국 일본국 (민국 38)의 기 일본국
인접국 소련 (민국 38)의 기 소련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 인구 51,896,655명(2022년) | 세계 13위
민족 구성
야마토 민족 (98.4%)
아이누인 (0.5%), 기타 (1.1%)
인구 밀도
259.7명/km2
출산율 1.59명 (2021년)
기대수명
74.21세 (2021년)
언어 공용어 일본어
지역어 아이누어, 러시아어
공용문자
한자(신자체), 가나 문자
종교 국교 없음 (정교 분리)[1]
분포 불교 및 전통신앙 11.7%
가톨릭 3.1%
정교회 2.6%
개신교 1.5%
무종교 및 무신론 81.1%
군대 일본인민군[2]
인간개발지수 0.761(2020년) | high | 세계 81위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도도부현 1도(都) 1도(道) 2 12현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사회주의, 단일국가, 민주집중제[3], 공화제, 단원제, 제한적 다당제, 대륙법계
민주주의 지수 3.51점, 권위주의 (2021년)
(167개국 중 116위, 아시아 31위)
국회상임간사회 의장
(국가원수)
스가 요시히데
정부
요인
정부수석
(정부수반)
에다노 유키오
국회의장 나가하마 히로유키
사법재판소장
오타니 나오토
여당 일본공산당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 체제 사회주의시장 경제
GDP
(PPP)
전체 $1조 2,560억(2022년 IMF 기준) | 세계 26위
1인당 $20,293(2022년 IMF 기준) | 세계 64위
GDP
(명목)
전체 $6,552억 9,906만(2022년 IMF 기준) | 세계 21위
1인당 $12,627(2022년 IMF 기준) | 세계 58위
국부 $9,650억 4,270만(2020년) | 세계 37위
무역 수출 $243억 5,000만(2020년)
수입 $236억 7,000만(2020년)
외환보유액 $630억 9,000만(2020년)
신용 등급 무디스 Ba3
S&P BB
Fitch BB
화폐
공식 화폐
일본인민공화국 엔(¥, 円)
ISO 4217
JRY
국가
예산
1년 세입
$32억 9,580만(2020년)
1년 세출
$33억 7,230만(2020년)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연호 서력기원
시간대 UTC+9 (일본 표준시)
도량형 SI 단위
외교
[ 펼치기 · 접기 ]
대한수교현황 1992년 9월 30일
유엔 가입 1991년 9월 17일[4]
무비자입국 양측 모두 30일
주한대사관 및 총영사관
[ 펼치기 · 접기 ]
주한일공대사관 서울특별시 용산구 회나무로44길 38
주부산총영사관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 244
ccTLD
.jr, .日共
국가 코드
158, JR, PRJ
국제전화코드
+886
차량 통행 방향
왼쪽
위치

지도를 불러오는 중...

개요

8K로 촬영된 일본인민공화국의 모습

일본인민공화국(日本人民共和国), 약칭 일공(日共)은 동아시아의 일본 열도의 북부 일대[5]에 위치한 국가이다.

1945년 일본 제국의 패망 이후 소련 군정[6]이 실시되었고 1948년 소련의 지원하에 일본인민공화국 정부가 수립되었다. 초기에는 동독이나 폴란드와 같이 소련의 위성국가로서 운영되어왔으나 소련 정부가 프라하의 봄을 무력진압하면서 소련과 결별하였다(소하결별).

소련과의 결별이후 다나카 가쿠에이 의장의 주도로 친미·친중 외교정책과 경제개발이 실시되었고 1980년대 후반에는 공산권 국가들 중에서는 상당히 잘사는 나라로 도약하게 되었다. 그러나 1982년 라브렌티 베리야 소련 국가주석이 사망하고 그 뒤를 이은 브레즈네프 주석 또한 2달만에 사망하며 동구권이 흔들리기 시작했고 1989년 베를린 장벽의 붕괴로 부터 시작된 동구권 붕괴의 여파가 일공에도 미치기 시작하자 1993년 헌법 개정을 통하여 "일정 수준의" 민주화가 이루어졌다.

국가 상징

국명

국기

국장

국가

들어라 만국의 노동자
聞け万国の労働者
지위 일본인민공화국의 국가
채택일 19nn년 nn월 nn일
작사 오오바 이사무(大場勇)
작곡 나가이 켄시(永井建子)[7]
[ 펼치기 · 접기 ]
들어라 만국의 노동자
()万国 (ばんこく)労働者 (ろうどうしゃ)
우렁차게 울리는 메이데이의
(とどろ) (わた)るメーデーの
시위자들 발 맞춘 걸음소리와
示威者 (じいしゃ) (おこ) (あし)どりと
미래를 여는 함성소리를
未来 (みらい) (つく) (とき) (こえ)
그대의 직장을 버려두어라
(なんじ)部署 (ぶしょ)放棄 (ほうき)せよ
그대의 가치에 눈떠야 한다
(なんじ)価値 (かち)目醒 (めざ)むべし
오늘 하루 온 종일 파업함은
全一日 (ぜんいちにち)休業 (きゅうぎょう)
사회의 허위를 치는 것이다
社会 (しゃかい)虚偽 (きょぎ) ()つものぞ
기나긴 착취에 괴로워하는
(なが)搾取 (さくしゅ) (なや)みたる
무산자 민중아 궐기하여라
無産 (むさん) (たみ)決起 (けっき)せよ
지금이야말로 스물 네 시간
(いま)二四時間 (にじゅうよじかん)
계급투쟁의 때가 왔노라
階級戦 (かいきゅうせん) ()たりたり
일어나라 노동자 떨쳐 일어나
()労働者 (ろうどうしゃ)ふるいたて
빼앗긴 우리의 생산한 바를
(うば) (さら)れし生産 (せいさん)
정의의 손으로 되찾아내자
正義 (せいぎ) ()もて () (かえ)
저놈들의 힘따위 무어란 말이냐
彼等 (かれら) (ちから)何物 (なにもの)
우리들의 행렬의 선두에
我等 (われら)歩武 (ほぶ)先頭 (せんとう)
드높이 내걸린 붉은 깃발을
(かか)げられたる赤旗 (あかはた)
지켜라 메이데이 노동자
(まも)れメーデー労働者 (ろうどうしゃ)
지켜라 메이데이 노동자
(まも)れメーデー労働者 (ろうどうしゃ)

역사

자연환경

인문환경

행정구역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군사

단위

창작물

  1. 1993년까지는 헌법에 국가무신론을 명시했으나 개헌이후 체제에 위협이 가지 않는 선 내에서 종교자유화
  2. 1993년 개헌이후 일본공산당의 당군에서 일공의 국군으로 전환
  3. 내각책임제적 요소 일부 채용.
  4. 1991년 남북일본 동시가입
  5. 도호쿠 전역과 간토 지방 일부, 홋카이도 전역
  6. 공식적으로는 소비에트 민정청 이라는 이름의 민간정부였으나 일공에서도 "소련 군정"이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7. 원곡인 보병의 본령의 작곡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