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민국 38)

[ 문서 보기 ]
[ 세계관 설명 ]
[ 세계관 설명 ]
중국이 제국주의에 의해서 망한다면
중국인은 망국의 인간으로 살아가게 될 것이다.
그러나 중국이 공산주의에 의해서 망한다면
중국인은 노예로도 살아갈 수 없을 것이다.
민국 38(民國三十八)은 가장 대표적인 대체역사 소재 중 하나인 중화민국국공내전 승리를 가정한 세계관 입니다.
민국 38년(1949년) 중화민국의 국공내전 승리 이후 중국과 동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변화한 여러 정치, 사회, 문화, 역사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민국 38은 도전하는 모두를 응원합니다!

[ 펼치기 · 접기 ]
상징 국명 · 국기 · 국장 · 국가
역사 역사 전반 · 크메르 제국 · 프랑스령 캄보디아 · 캄보디아 제1왕국 · 크메르 공화국
정치 정치 전반 · 행정구역
외교 외교 전반 · 아세안 · 프랑코포니
경제 경제 전반 · 캄보디아 리엘
국방 캄보디아군
문화 문화 전반 · 앙코르 와트 · 앙코르 유적 · 프레아 비헤아르 사원 · 바이욘 · 캄보디아 요리 · 캄보디아 축구 국가대표팀 · 크메르어 · 크메르 문자 · 트로
지리 인도차이나 반도 · 톤레사프호
민족 크메르인 · 참족
캄보디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캄보디아의 역사
ប្រវត្តិសាស្រ្តនៃប្រទេសកម្ពុជា
[ 펼치기 · 접기 ]
고대 중세 근대 현대
프놈 쩬라 육쩬라 크메르 제국 후기
크메르 제국
프랑스 캄보디아 왕국
(괴뢰국)
캄보디아 왕국
(제1왕국)
크메르 공화국 캄보디아 왕국
(제2왕국)
수쩬라 사일렌드라 캄보디아
보호령

동남아시아의 국가
[ 펼치기 · 접기 ]
버마 라오스 캄보디아 베트남
태국 말라야 싱가포르 북보르네오
필리핀 인도네시아 [1] 동티모르 [1]
[ 각주 펼치기 · 접기 ]
  1. 1.0 1.1 기준에 따라 일부 혹은 전체 지역이 오세아니아로 분류되기도 함

틀:ASEAN (민국 38)



난징 조약 기구
[ 회원국 목록 ]
[ 협력국 목록 ]
캄보디아 왕국
ព្រះរាជាណាចក្រកម្ពុជា | Kingdom of Cambodia
국기 국장
ជាតិ សាសនា ព្រះមហាក្សត្
국가, 종교, 국왕
상징
국가 장엄한 왕국
국화 수련
역사
[ 펼치기 · 접기 ]
• 독립 1953년 11월 9일
• 공화국 성립 1970년 10월 1일
• 제2왕국 성립 1975년 4월 17일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프놈펜
북위 11°33′00″ 동경 104°55′00″
최대도시
면적 181,035km2 | 세계 89위
내수면 비율 2.5%
접경국 태국 (민국 38)의 기 태국
라오스 (민국 38)의 기 라오스
베트남 (민국 38)의 기 베트남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 인구 21,086,446명(2029년) | 세계 59위
민족 구성
크메르족 (95.6%)
참족 (2.4%)
중국인 (1.5%)
베트남인 (0.2%)
기타 (0.3%)
인구 밀도
116.5명/km2
출산율 2.51명 (2028년)
기대수명
71.05세 (2028년)
언어 공용어 크메르어
지역어 참어, 베트남어, 중국어
공용문자
크메르 문자
종교 국교 상좌부 불교[1]
분포 상좌부 불교 97.1%, 이슬람교 2.0%, 기독교 0.3%, 기타 0.5%
군대 캄보디아군
인간개발지수 0.594(2028년) | medium | 세계 144위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주(카엣) 25개
구(쓰록) 162개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단일국가, 의원내각제, 입헌군주제, 양원제, 대륙법계
민주주의 지수 6.28점, 결함있는 민주주의 (2028년)
(167개국 중 66위, 아시아 21위)
국왕
(국가원수)
노로돔 시하모니
정부
요인
수상
(정부수반)
켐 모노비티아
원로원 의장
노로돔 아룬라스미
국민원 의장
폴 홈
여당 캄보디아 민주당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 체제 자본주의시장 경제
GDP
(PPP)
전체 $1,612억 587만(2029년 IMF 기준) | 세계 76위
1인당 $7,645(2029년 IMF 기준) | 세계 122위
GDP
(명목)
전체 $974억 4,046만(2029년 IMF 기준) | 세계 63위
1인당 $4,621(2029년 IMF 기준) | 세계 104위
국부 $610억 2,480만(2028년) | 세계 97위
무역 수출 $1,130억 1,800만(2028년)
수입 $1,820억 2,200만(2028년)
외환보유액 $770억 3,500만(2028년)
신용 등급 무디스 B
S&P B+
Fitch B
화폐
공식 화폐
캄보디아 리엘(រៀល, ៛)
ISO 4217
KHR
국가
예산
1년 세입
$497억 3,570만(2028년)
1년 세출
$531억 5,920만(2028년)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연호 불멸기원
시간대 UTC+7 (캄보디아 표준시)
도량형 SI 단위
외교
[ 펼치기 · 접기 ]
대한수교현황 1964년 12월 20일
연합국 가입 1955년 12월 14일
무비자입국 양측 모두 60일
주한캄보디아대사관
서울특별시 용산구 대사관로20길 12
ccTLD
.kh
국가 코드
855, KH
국제전화코드
+855
차량 통행 방향
오른쪽
여행경보
여행유의 여행자제 지정 지역을 제외한 전지역
여행자제 오다르메안체이주, 프레아비헤아르주
위치

지도를 불러오는 중...

개요

8K로 촬영된 캄보디아의 모습

캄보디아 왕국(ព្រះរាជាណាចក្រកម្ពុជា), 약칭 캄보디아(ប្រទេសកម្ពុជា)는 동남아시아 인도차이나 반도 남서부에 위치한 입헌군주국이다.

1953년 프랑스가 인도차이나 반도에서 철수하며 독립국이 되었다. 그러나 독립직후부터 국왕이던 노로돔 시아누크의 철권독재가 이어졌고 아시아 최빈국으로 전락하는 수모를 겪었다. 1970년 론 놀 장군의 쿠데타가 일어나 잠시동안 왕정이 폐지되고 크메르 공화국이 건국되었으나 정권 내부의 부패로 인해 1975년 민중 혁명이 일어나 5년만에 붕괴되어 왕정이 복고되었다.

왕정복고 이후 국민의 압도적인 지지로 폴 포트가 이끄는 크메르 적색당이 집권하여 경제개발 정책을 단행했고 좌파의 장기집권이 2000년대 초반까지 이루어졌다. 2000년대 이후부터는 적색당 훈 센 총리의 실정으로 인하여 민주당으로 대표되는 자유주의 우파 세력의 장기집권이 진행되고 있다.

상징

국명

언어별 명칭
영어 Kingdom of Cambodia
크메르어 ព្រះរាជាណាចក្រកម្ពុជា (prĕəh riəciənaacak kampuciə)
កម្ពុជា (kampuciə)
한국어 캄보디아 왕국
캄보디아
표준중국어 (Jian) () (zhài) (Wáng) (guó)
(Jian) () (zhài)
일본어 カンボジア (おう) (こく)
カンボジア
프랑스어 Royaume du Cambodge
러시아어 Королевство Камбоджа
스페인어 Reino de Camboya
아랍어 مملكة كمبوديا

정식 국명은 캄보디아 왕국(ព្រះរាជាណាចក្រកម្ពុជា)이며 약칭으로는 캄보디아(កម្ពុជា, 깜뿌찌어) 혹은 "크메르인의 땅"이라는 뜻의 스록 크마에(ស្រុកខ្មែរ)라고 하기도 한다.

한국어 국명 "캄보디아"는 영어 명칭인 캠보디아(Cambodia)에서 유래되었는데 이는 프랑스어 국명인 캉보주(Cambodge)의 변형이다. 한국을 제외한 대부분 국가에서 캄보디아를 "캉보주"에 대응하는 발음으로 부르고 있는데 이는 최종적으로 산스크리트어 국명인 캄보자(काम्बोज, kāmboja)에서 유래된 것으로 크메르어 국명인 "깜뿌찌어"도 여기서 유래되었다. 캄보디아가 아닌 "캄푸치아(Kampuchea)"라는 표기도 자주 보이는데 이는 "고려"와 "코리아"와 같이 표기만 다른 같은 국호이다.

캄보디아 이외에도 "크메르(ខ្មែរ)"라는 표현도 쓰이는데 크메르는 캄보디아의 주류 민족인 크메르인과 그들의 언어인 크메르어를 일컽는 말이다. 한국에서는 영어표기인 Khmer를 따라 "크메르"라고 읽지만 실제 크메르어 발음은 "크마에"에 가깝다.

국기

캄보디아 국기
ទង់ជាតិកម្ពុជា
지위 캄보디아의 국기
채택일 1948년(캄보디아 제1왕국)
1975년 4월 17일(캄보디아 제2왕국)
근거법령 캄보디아 왕국 헌법 부속서 1항
비율 16:25

캄보디아의 국기는 1975년에 제정되었다. 현재의 국기는 제1왕국 시기(1948-1970)의 국기에서 색조를 수정한 것이다.

빨간색, 파란색, 빨간색의 세 줄의 가로 줄무늬와 중앙의 흰색 앙코르 와트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때 선의 비율은 1:2:1이다. 파란색은 캄보디아 농업과 환경, 왕실을, 빨간색은 불의에 대한 투쟁과 강인한 캄보디아 정신 그리고 크메르 민족을, 하얀색 앙코르 와트는 불교와 찬란한 크메르 문화, 부를 나타낸다.

국장

캄보디아의 왕실 문장
ព្រះរាជសិង្ហានៃព្រះរាជាណាចក្រកម្ពុជា
지위 캄보디아의 국장
캄보디아 왕실의 문장
채택일 1975년 4월 17일
근거법령 캄보디아 왕국 헌법 부속서 2항
사용처 국가기관
국가문서
여권
훈장
해외공관

캄보디아의의 국장은 입헌군주제가 복귀한 1975년에 제정되었다.

국장 가운데에는 캄보디아 국왕의 왕관이 올려져 있는 금색 망토가 그려져 있으며 왕관 꼭대기에는 햇빛이 그려져 있다. 망토 가운데에는 파란색 바탕에 판(Phan)이라는 두 개의 금색 접시 받침대가 그려져 있으며 받침대 양쪽을 월계수 가지가 감싸고 있다.

받침대 위쪽에는 성스러운 칼과 옴(Aum)의 크메르 문자가 그려져 있으며 받침대 아래쪽에는 훈장이 그려져 있다. 국장 왼쪽에는 가자싱하(gajasingha)라는 코끼리의 코를 가진 사자가 그려져 있으며 오른쪽에는 싱하(singha)라는 사자가 그려져 있다.

두 마리의 사자는 다섯 개의 층으로 구성된 캄보디아 왕실의 우산을 들고 있다. 국장 아래쪽에 있는 파란색 리본에는 "캄보디아 왕국의 국왕"("ព្រះចៅ ក្រុង កម្ពុជា, Preah Chao Krung Kampuchea")이라는 문구가 크메르어로 쓰여져 있다.

국가

장엄한 왕국
នគររាជ

지위 캄보디아의 국가
채택일 1941년(캄보디아 제1왕국)
1975년 4월 17일(캄보디아 제2왕국)
근거법령 캄보디아 왕국 헌법 부속서 3항
작사 쭈언 낫
작곡 노로돔 수라마트
F. 페뤼쇼
J. 지킬
[ 펼치기 · 접기 ]
សូមពួកទេវព្តា រក្សាមហាក្សត្រយើង
천사여 우리의 왕을 보호하소서
អោយបានរុងរឿង ដោយជ័យមង្គលសិរីសួស្តី
그에게 행복과 영광을 주소서
យើងខ្ញុំព្រះអង្គ សូមជ្រកក្រោមម្លប់ព្រះបារមី
그의 일꾼인 우리는, 그의 완전함 속에,
នៃព្រះនរបតី វង្សក្សត្រាដែលសាងប្រាសាទថ្ម
사원을 짓던 왕실의 계통 속에서
គ្រប់គ្រងដែនខ្មែរ បុរាណថ្កើងថ្កាន។
오래된 크메르의 영광스러운 땅을 다스리는 그 속에 살고자 하나니.
ប្រាសាទសីលា កំបាំងកណ្តាលព្រៃ
숲속에 숨겨진 돌로 된 사원
គួរអោយស្រមៃ នឹកដល់យសស័ក្តិមហានគរ
웅장한, 위대한 왕국의 위업을 떠올리게 한다.
ជាតិខ្មែរដូចថ្មគង់វង្សនៅល្អរឹងប៉ឹងជំហរ
크메르인은 강인하고 굳세게 영원한 돌조각처럼 서있으니,
យើងសង្ឃឹមពរ ភ័ព្វព្រេងសំណាងរបស់កម្ពុជា
우리는 캄보디아의 운명에 최대한의 것을 비노라.
មហារដ្ឋកើតមាន យូរអង្វែងហើយ។
지금까지 있던 나라 중 가장 위대한 나라에!
គ្រប់វត្តអារាម ឮតែសូរស័ព្ទធម៌
다르마가 절에서 일어났도다.
សូត្រដោយអំណរ រំឮកគុណពុទ្ធសាសនា
불심을 기억하는 기쁨의 독경이로다.
ចូរយើងជាអ្នក ជឿជាក់ស្មោះស្ម័គ្រតាមបែបដូនតា
우리 조상의 믿음에 충실하게 되기를.
គង់តែទេវត្តានឹងជួយជ្រោមជ្រែង ផ្គត់ផ្គង់ប្រយោជន៍ឱយ
틀림없이, 천사는 풍요를 들어주리로다.
ដល់ប្រទេសខ្មែរ ជាមហានគរ។
크메르, 위대한 나라에게.

캄보디아의 국가는 "장엄한 왕국"으로 현대 크메르어 사전의 토대가 된 사전을 집필한 쭈언 낫 스님이 작사하였다.

1941년 작사·작곡 되어 1953년 캄보디아의 독립 이후부터 정식 국가로 쓰였으나 1970년 쿠데타와 함께 폐지되었다. 공화국 시기에는 "크메르 공화국 국가"가 국가로서 사용되었으나 별 인기를 얻지 못했고 1975년 왕정이 복고되면서 다시 국가로 제정되었다.

여담으로 불교 세계관에 기반한 표현들과 난해한 표현들로 인하여 해외에서 번역하기 어려운 국가로 꼽힌다. 실제로 영어판 위키피디아에서는 한동안 제대로 된 번역이 이루어지지 못했고 한국어 위키백과의 가사는 독자 연구로 번역되었으나 영어 중역이 혼재해 불명확한 면이 있다. 본 문서에 등재된 가사는 한국어 위키백과의 가사이다.

역사

캄보디아의 역사
ប្រវត្តិសាស្រ្តនៃប្រទេសកម្ពុជា
[ 펼치기 · 접기 ]
고대 중세 근대 현대
프놈 쩬라 육쩬라 크메르 제국 후기
크메르 제국
프랑스 캄보디아 왕국
(괴뢰국)
캄보디아 왕국
(제1왕국)
크메르 공화국 캄보디아 왕국
(제2왕국)
수쩬라 사일렌드라 캄보디아
보호령

국가의 발흥과 크메르 제국

크메르 제국 시기에 건설된 앙코르 와트

현재의 캄보디아 지역에 인류가 거주하기 시작한 시기는 대략 71,000년 전으로 이들은 기원전 7세기에서 기원전 4세기 사이에 청동기 문명은 건설하였으며 기원전 1세기부터는 프놈 왕국(រភ្នំ, 扶南, 부남, 푸난)이라는 국가가 6세기 까지 인도 등의 국가들과 교류를 하며 존속하였다. 이후 프놈 왕국은 자신들의 속국이던 쩬라 왕국(ចេនឡា, 진랍, 眞臘)에 의하여 쇠퇴하였으며 이때부터 확실한 크메르족의 역사가 시작되게 되었다.

쩬라 왕국은 프놈을 몰아낸 이후 8세기에 내륙 지방의 육쩬라(陸眞臘, 육진랍)와 해안 지방의 수쩬라(水眞臘, 수진랍)으로 분열되었는데 이중 수쩬라는 인도네시아의 자바 지역에 일시적으로 복속되었었다. 그러나 9세기 수쩬라의 자야바르만 2세가 자바로 부터 독립한 이후 육쩬라까지 통합하여 앙코르 왕조를 개창하고 크메르 제국을 건설하였다.

이후 크메르 제국은 수리야바르만 2세와 자야바르만 7세의 치세에 전성기를 맞이하게 되었는데 수리야바르만 2세는 정복 전쟁을 통하여 현재의 태국, 라오스, 남부 베트남에 해당되는 지역까지 영토를 확장하였으며 앙코르 와트를 비롯한 여러 유적들을 건설하기도 하였고 자야바르만 7세는 역참과 병원 등을 건설하며 국가 경영에 심혈을 기울였다. 이 당시 앙코르 제국은 그야말로 청나라의 강건성세에 비견될 최전성기로 당시 크메르 제국의 여러 사원들이 금과 보석으로 도배를 했다는 중국 사신 주달관의 기록이 남아있을 정도이다.

그러나 이런 대규모의 사원 건축은 국가 제정을 불안정하게 만들었으며 왕위 계승권을 둘러싼 분쟁이 격화되는 와중 시암(현재의 태국)에서 일어난 아유타야 왕국의 대규모 침공을 받아 점차 쇠락해 가기 시작하였다. 결국 란쌍 왕국(현재의 라오스)가 독립하고 아유타야 왕국에 의해 수도인 앙코르가 완전히 파괴되면서 크메르 제국은 종언을 고하게 되었다.

쇠퇴와 프랑스 식민통치

프랑스 보호령 시기 캄보디아의 지도

쇠퇴 이후에도 16세기 까지 크메르 제국은 강국으로써 아유타야, 란쌍, 레 왕조(베트남)등과 경쟁하였으나 결국은 그 운을 다하고 일명 "암흑시대"로 일컬어지는 침체기를 맞게 되었다. 몽골 침공 이후 원나라에 바치는 조공으로 인하여 국고는 바닥을 드러냈으며 태국과 베트남의 갈등 속에서 양국에 많은 영토를 빼앗기고 속국으로 전락하는 등 말 그대로 암흑기를 보내게 되었다.

결국 크메르 왕실은 당시 인도차이나 반도에서 영향력을 급격히 확장하고 있던 프랑스 측에 자진해서 보호를 요청하며 프랑스의 보호령이 되었고 아이러니 하게도 그 덕분에 캄보디아는 태국과 베트남에게서 빼앗긴 영토 일부분을 회복하고 민족성을 수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프랑스 측은 식민지 캄보디아에 대하여 별다른 지원을 하지 않았고 때문에 경제적 발전과 사상적 발전 모두가 부진한 후진국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1930년대 캄보디아에서는 뒤늦은 민족주의 바람이 불기 시작하였다. 1936년에 최초의 크메르어 신문인 《나가라바타》가 출간되었으며《나가라바타》와 사찰 소속 학교들, 그리고 프놈펜의 프랑스어 고등학교가 민족주의 운동을 주도하였다. 썬 응옥타인[2]등의 저명한 독립운동가들도 이 당시에 배출되었다.

1940년 일본이 캄보디아를 점령하자 프랑스 식민당국[3]은 친일 민족주의자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나가라바타》를 폐간시키고 크메르 문자를 로마자 "꾸르뜨나"로 개편하는 등 친프랑스 민족주의를 부추겼으나 막대한 반발 만을 불러일으키며 실패하였고 이후 일본의 지원 하에 캄보디아 왕국(괴뢰국)이 프랑스로부터 독립을 선언하였으나 1945년 연말 중영 연합군의 합동 공격을 통해 인도차이나 전역이 해방되면서 1년도 되지 않아 붕괴되고 말았다.

독립과 정치 혼란기

1950년대 프놈펜의 거리

세계대전 종전 직후 캄보디아는 잠시 중국군의 군정 하에 놓였다가 다시금 프랑스의 식민지로 복귀하였다. 썬 응옥타인 등 민족주의 반군의 준동과 캄보디아 민중들의 민주주의 요구에 프랑스 식민당국은 1946년 9월 총선을 통한 의회의 구성을 약속하였다. 선거 결과 씨쏘왓 유떼봉 왕자가 이끄는 좌익 성향의 민주당[4]이 노로돔 노린데스 왕자가 이끄는 자유당을 꺾고 67석 중 50석을 차지하며 대승을 거두었고 이듬해인 1947년 총선거에서도 승리를 거두었으나 씨쏘왓 유떼봉의 사망 이후 분열된 민주당은 통합된 의견을 내지 못한 채 서로 만목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51년 9월 총선거에서 민주당은 다시 한번 여당이 되었으며 노로돔 시아누크 국왕의 거의 모든 정책에 대하여 반대 의견을 내었다. 시아누크 국왕은 썬 응옥타인 전 수상의 귀국을 허용하는 등 유화적인 태도를 보이는 듯 했으나 1952년에 내각을 해산하고 1953년 1월에는 계엄령을 선포하는 등의 행보를 보이며 폭압적 독재 정치로 회귀하였다. 이에 대한 반발로 인해 썬 응옥타인 전 수상에게 민심이 기울기도 하였으나 1953년 시아누크 국왕이 프랑스로부터 캄보디아의 독립을 승인 받고 시아누크에 대한 지지율이 폭등하며 반발의 움직임은 일부 지하 세력을 제외하고는 완전히 사라지게 되었다.

1955년 제네바 협정에 의거하여 캄보디아에서는 다시금 총선거가 치뤄졌다. 그러나 유권자들에 대한 협박과 매수가 정부에 의하여 자행되었고 민주당, 크롬 프라치콘(ក្រុមប្រជាជន, 인민 그룹) 등의 야당에 대한 대대적인 탄압이 이어진 결과 노로돔 시아누크 국왕이 이끌던 인민 사회주의 공동체(សង្គមរាស្ត្រនិយម, 상쿰)가 모든 의석을 독식하며 캄보디아는 완전히 일당제 전제군주 독재 국가로 전락하게 되었다.

시아누크는 사회주의와 불교를 결합한 "불교 사회주의"를 상쿰의 이념으로 삼았으나 정작 사회주의자들을 탄압하였고 미국과 중국, 소련 사이에서 줄타기를 이어가며 이른바 중립 외교를 표방하였다. 그러나 시아누크의 이러한 정책들은 결과적으로 시아누크의 정권이 국외의 그 어떠한 세력의 지지도 받지 못하고 국제적으로 고립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그는 국내의 일부 지주들과 귀족 계급에게만 지지를 받았을 뿐 대다수의 국민들의 지지를 받지 못하였고 경제는 완전히 붕괴되었으며 캄푸치아 공산당이 점차 그 세력을 불리고 있었다.

결국 1970년 시아누크가 모스크바에 순방을 나간 틈을 타 론 놀 장군을 위시로 한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켜 왕정을 폐지하고 크메르 공화국을 건설하였다. 그러나 론 놀 정부는 부패하여 캄보디아 국민들의 지지를 얻지 못하였고 결국 중국의 지원을 받은 시아누크의 캄푸치아 국민연합전선과 캄푸치아 공산당이 미국의 묵인 하에 크메르 공화국을 붕괴시키면서 1975년 왕정이 다시 복고되었다.

제2왕국과 경제발전

휴가 중 인터뷰에 임하는 폴 포트 수상

제2왕국의 성립 이후 치뤄진 1976년 총선거에서 폴 포트(본명 살롯 사 ,សាឡុត ស)가 이끄는 크메르 적색당, 일명 크메르 루주가 정권을 잡았다. 폴 포트 수상은 토지 개혁을 단행하고 지주들의 권한을 축소하는 등의 조치를 통해 농민들로 하여금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다. 또한 농업 개발에 대한 아낌 없는 지원과 동시에 교육자 출신 답게 문맹 퇴치에도 큰 공을 들여 이 시기 캄보디아 경제는 큰 폭으로 성장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불교 사회주의"를 재해석 하여 불교 윤리에 기반한 폭넓은 복지 정책을 펼침으로써 국민들의 생활 수준 역시 크게 향상되었다.

폴 포트 수상의 이러한 업적 덕분에 적색당은 1981년 총선거에서 캄푸치아 국민연합전선을 꺾고 재집권 하는데 성공하였으며 이후 헹 삼린, 누온 체아, 이엥 사리 등이 연속적으로 수상에 취임하면서 무려 17년 간 장기 집권하게 되었다. 1991년 따 목 수상이 내전 시기의 전쟁 범죄 논란으로 인해 물러나고 왕당파 국민연합의 엉 흐엇이 수상으로 취임하여 잠시 정권이 교체되었으나 1997년 아시아 경제위기 대처에 완전히 실패하면서 실각하였고 1998년 총선에서 훈 센이 수상으로 집권하면서 다시금 적색당이 정권을 잡게 되었다.

좌파 정권의 붕괴와 현재

2021년 노로돔 시하모니 국왕의 즉위식

훈 센 총리는 아시아 경제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며 인기를 얻었으나 2004년 즉위한 노로돔 라나리드 국왕과의 불화설이 돌며 여론이 악화되어갔고 결과적으로 2007년 리먼 브라더스 사태 당시 무능한 모습을 보이며 2008년 총선에서 맘 소난도 총재가 이끄는 캄보디아 민주당에 정권을 넘겨주게 되었다.

맘 소난도 수상 이후 15년 간 민주당 정권이 집권하였다. 민주당 정권은 기존 적색당 정권의 농업 중심 정책을 수정하여 관광업과 3차 산업을 육성하였고 도시 위주의 경제 정책을 펼쳤다. 초반에는 2008년 대침체에서 벗어나는 등 정책의 성과가 빠르게 나타났으나 이후 점차 사그라들었고 결과적으로 2020년 코로나 사태로 인해 관광 산업이 치명타를 받고 2021년 노로돔 라나리드 국왕이 교통사고로 사망하는 악재가 겹치며 훈 마넷[5] 주석의 적색당이 다시 집권하였다.

그러나 적색당 정권은 2028년 테슬라 발 경제위기에 대처하는 데 실패하여 2028년 총선에서 다시 켐 모노비티아[6]를 위시로 한 민주당이 집권하였다.

자연환경

캄보디아 국토를 양분하는 메콩강

동남아시아 국가답게 열대 기후가 나타나며 강수량은 높지만 실질적으로 우기에 집중되어 있다. 한국에서 생각하는 것과 같이 1년 365일 내내 덥고 습한 것은 아니고 건기인 1월에서 2월까지는 25℃정도의 비교적 따뜻한 기온이 유지되며 건조한 날씨가 이어진다. 물론 3월부터는 평균기온이 40℃까지 올라가고 5월부터 우기가 시작되며 폭우가 이어진다. 우기는 9-10월에 정점을 찍으며 이 시기에는 엄청난 양의 폭우와 함께 살인적인 기온을 자랑한다. 11월부터는 다시 건기에 돌입해 이듬해 2월경까지 이어진다.

국토는 인도차이나에서 가장 작지만 그 면적이 한국의 1.2배 정도이기에 절대적으로 영토가 작지는 않다. 대부분의 국토는 평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서부에는 끄러완 산맥과 캄보디아 최고봉인 해발고도 약 1,800m의 프놈 우랄이 위치해 서고동저의 지형이 나타난다. 이웃한 태국이나 베트남과 달리 자연환경이 상대적으로 잘 보존되어 있는 편으로 실제로 캄보디아와 베트남-태국의 국경을 가보면 베트남과 태국은 전부다 농지인 반면 캄보디아는 숲인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국토의 중서부에는 톤레삽 호수가 있는데, 건기에도 큰 호수이지만 우기에는 심하게는 10배 가량 커지며, 국토를 양분하는 메콩강의 수량조절역할을 한다.

인문환경

기도를 올리는 크메르인 승려들

영토에 비하여 인구는 그럭저럭 있는 편이지만 몽골과 비슷하게 수도인 프놈펜에 절반 이상이 거주하고 있다. 그러나 몽골은 비율상으로는 니슬렐 후레와 타 지역의 인구비가 1:1정도인 반면 캄보디아는 수도인 프놈펜과 타 지역간의 인구비가 3:1정도로 더 심각한 상황이다. 이는 2000년대에 들어서 좌파의 장기집권이 끝나고 농촌에 대한 지원금이 줄어듦과 동시에 도시화 현상이 심화되며 나타난 것이며 농촌 일각에서는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정책의 수립은 미비한 편이다.

2,100만 가량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지만 인구의 95% 이상이 크메르인인 사실상의 단일민족 국가이다. 국토 자체가 작고 둥근 형상을 띄기 때문에 거주지역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크메르인 다음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민족은 참족으로 전체 인구의 2.4% 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주류 민족인 크메르인을 제외한다면 정치적인 영향력이 가장 큰 민족으로 현재(2024년 1월 기준) 캄보디아 의회 하원(국민원)에 참족 민족정당인 "참족의 권익"이 2석을 확보하고 있다. 이외에도 베트남의 주류 민족인 비엣족, 중국계 민족(주로 한족)등이 존재하나 캄보디아 정부의 크메르인 우선 정책으로 인해 별다른 세를 펴지 못하고 있다.

비슷하게 복잡한 민족구성을 가지고 있는 중국이 수많은 민족들로 이루어진 다민족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국민들이 표준 중국어를 구사할 수 있는데에 반해 캄보디아에서는 크메르인과 기타 민족 간에 언어 장벽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이는 교육 인프라의 부족으로 인한 것으로 크메르인은 캄보디아 정부에서 지원해 주는 학교에서 크메르어를 교육받지만 참족, 비엣족등의 기타 민족은 각각의 민족 교육을 받기 때문에 벌어진 일이다. 또한 사용 문자마저 각각 다르기에[7] 민족 간의 소통 부재가 사회적인 사회적 문제로 남아있다.

종교면에 있어서도 민족별로 믿는 종교가 각자 다르다. 크메르인은 상좌부 불교를 주로 믿는 반면 참족들은 이슬람교와 상좌부 불교가 혼재되어 있다. 또한 비엣족은 대승 불교를 믿고 중국인들은 대승 불교와 기독교가 혼재되어 있는 등 종교적인 공통점도 사실상 없는 수준이다. 민족들 간의 공통점이 사실상 없는 이런 상황으로 인해 캄보디아 내부의 민족 갈등은 21세기 캄보디아의 가장 큰 문제로 남아있으나 위에서 언급되었듯 좌우를 막론하고 정계에서 크메르인 우선 정책을 강력히 표방하고 있는 상황이기에 갈등의 해결은 요원한 상황이다.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캄보디아의 행정구역은 크게 5개 단계로 나뉜다. 최상위 행정구역으로는 행정구역인 주(ខេត្ត)와 자치시(រាជធានី, 혹은 수도시)가 있으며 차상위 구역으로 주 하위에는 구(ស្រុក)와 지방자치구(ក្រុង), 자치시 하위에는 구역(ខណ្ឌ)이 존재한다. 그 아래로는 지구(សង្កាត់), 코뮌(ឃុំ)이 존재한다. 4등급과 5등급 행정구역으로는 각각 촌(ភូមិ)과 끄롬(ក្រុម)으로 나뉘며 이중 끄롬은 한국의 "반"과 마찬가지로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정치

국왕


캄보디아 국왕
[ 펼치기 · 접기 ]
현임 국왕인 노로돔 시하모니

캄보디아 국왕(ព្រះមហាក្សត្រកម្ពុជា, King of Cambodia)은 캄보디아의 군주로 캄보디아의 상징적 국가원수이다.

캄보디아의 국왕은 타국의 군주들과는 달리 혈통적 세습이 아닌 수상과 원로원, 국민원의 의장과 부의장들, 캄보디아 양대 불교 교단의 수장들로 구성된 9인의 "왕좌의 왕립 평의회(ក្រុមប្រឹក្សារាជបល្ល័ង្ក, Royal Council of the Throne)"에서 결정된다. 이는 1975년 캄보디아 내전의 종식 당시 내전 승리의 주도적인 역할을 맡았던 캄푸치아 공산당의 요구로 만들어진 제도로 제1왕국 시기 시아누크 국왕의 전횡에 대한 반성의 의미로 왕권을 제약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이다.

물론 왕위 계승에 있어서 전임 국왕의 의도가 완전히 반영되지 않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2004년 시아누크 국왕의 생전퇴위 당시 훈 센 총리와 사이가 좋지 않던 노로돔 라나리드 왕자가 차기 국왕으로 선출되었고 라나리드 국왕의 급서 당시에도 라나리드 국왕의 아들이던 노로돔 차크라부스 왕당파 국민연합 주석이 차기 국왕으로 선출 될 뻔 하였으나 본인의 거부로 현임 시하모니 국왕에게 왕좌가 넘어간 만큼 국왕의 왕위 계승에 대한 결정권은 매우 강하게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다만 헌법으로 여성의 왕위 계승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국왕의 의중이 아무리 강하게 반영된다 한들 여성 국왕의 탄생은 불가능 하다.

국왕은 캄보디아의 상징적 국가원수로서 헌법에 명시된 여러 권한을 보유하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캄보디아의 수상과 내각 각료들에 대한 임명 및 해임권, 캄보디아 국민원과 원로원에 대한 소집권, 캄보디아 왕립군에 대한 통수권, 법률에 대한 최종 승인권 및 특사와 감형, 상훈에 수여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국가 기관의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최고 중재자(supreme arbiter)" 역할과 치안 최고위원회(ឧត្តមក្រុមប្រឹក្សានៃអង្គចៅក្រម, Supreme Council of the Magistracy)의 주최자 역할을 맡기도 한다.

수상


캄보디아 수상
[ 펼치기 · 접기 ]
노로돔 시아누크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노르돔 시아누크 썬 응옥타인 씨쏘왓 무니렛 씨쏘왓 유떼봉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씨쏘왓 웟차야봉 취엔 웜 뻬인 눗 옘 썸보
제9대 제8대2 초대2 제10대
이어 까읏 옘 썸보 노르돔 시아누크 씨쏘왓 무니뽕
제11대 제12대 초대3 제7대2
옴 취응썬 후이 껀툴 노르돔 시아누크 뻬인 눗
제13대 초대4 제7대3 제14대
쩐 낙 노르돔 시아누크 뻬인 눗 레잉 응옛
초대5 제11대2 초대6 제15대
노르돔 시아누크 옴 취응썬 노르돔 시아누크 킴 뜻
초대7 제16대 초대8 제17대
노르돔 시아누크 싼 윤 노르돔 시아누크 씀 와
제18대 제7대4 제17대2 초대9
아엑 아운 뻬인 눗 씀 와 노로돔 시아누크
제19대 제7대5 초대10 제20대
포 쁘릉 뻬인 눗 노르돔 시아누크 노로돔 껀떨
제21대 제22대 제7대6 제21대2
론 놀 손 산 뻬인 눗 론 놀
제7대7 제23대 제24대 제23대2
뻬인 눗 폴 포트 키우 삼판 폴 포트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헹 삼린 누온 체아 이엥 사리 따 목
제29대 제30대 제29대2
훈 센 엉 흐엇 훈 센
노로돔 라나리드
제29대2 제31대 제32대 제33대
훈 센 맘 소난도 켐 소카 삼 랑시
노로돔 시아모니
제33대 제34대 제35대
삼 랑시 훈 마넷 켐 모노비티아
크메르 공화국 총리
현임 수상인 켐 모노비티아

캄보디아 수상[8](នាយករដ្ឋមន្ត្រីនៃកម្ពុជា, Prime minister of Cambodia)은 캄보디아의 행정부의 수반으로서 각료회의 사무국(캄보디아 내각)의 의장이다.

일반적인 타 내각제 국가들의 수상과 마찬가지로 캄보디아의 수상 역시 명목 상의 국가원수인 국왕이 국민원(하원) 의원들 중 다수당의 대표를 총리로 임명한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총리를 임명하는 것은 캄보디아 의회, 그중에서도 국민의 직접 투표로 선출되는[9] 국민원으로 국민원 선거일 혹은 기존 총리 사임일 기준 60일 이내에 국민원 의원 과반의 동의를 통하여 총리를 선출한다면 국왕이 이를 최종적으로 임명한다.

캄보디아의 수상의 캄보디아 행정부(각료회의 사무국)의 수장으로 일반적으로 타국의 대통령, 주석, 의원내각제 총리 등과 동격으로 간주된다. 헌법에 명시된 수상의 주요 권한으로는 각료회의 성원에 대한 사실상의 임명권, 국왕에 대한 국민원 해산 제청권(사실상의 해산권), 의회에서 통과된 법률에 대한 헌법위원회 회부 요청권 및 제정된 법률에 대한 헌법위원회 합헌 여부 결정 요청권, 의회 본회의의 개회권 및 의회 상임위에 대한 임시회 개회 요구권, 입법주도권 등을 지닌다.

다른 내각제 국가들의 총리들과 마찬가지로 수상에게 정해진 임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캄보디아 수상도 결국은 국민원 의원에 해당되기 때문에 국민원 해산이나 자진 사임이 없다고 가정할 경우 국민원의 임기인 5년이 총리의 임기가 될 것이다. 그러나 독립 이래 극히 일부 시기를 제외한다면 항상 정치적인 혼란에 시달려온 캄보디아의 특성 상 5년의 임기를 모두 채우고 퇴임한 수상은 엉 흐엇 수상 이전 까지 존재하지 않았으며 내전 이후 국민으로부터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던 폴 포트 전 수상 역시 연속적으로 5년 간의 임기를 채우지 못한 채 키우 삼판에게 잠시 수상 직을 넘겨 주어야 했었다.

정식 명칭 각료회의 사무국(ទីស្ដីការគណៈរដ្ឋមន្ត្រី, Office of the Council of Ministers) 혹은 통칭 캄보디아 내각(Cabinet of Cambodia)은 캄보디아의 행정부로 대한민국의 국무원과 국무회의에 해당하는 기관이며 수상을 그 의장으로 한다. 내각은 수상 1인과 다수의 부수상 및 장관과 부장관, 사무국장으로 구성된다. 이때 내각의 성원들은 수상의 제청으로 국왕이 임명하며 전원 국민원 의원으로 구성된다.

역대 수상

캄보디아 수상
[ 제1왕국 시대 (1953. 11. 9. ~ 1970. 10. 9.) ]
번(대) 이름 임기 국민원 의원
선거
정당
시작일 종료일
1

노르돔 시아누크 국왕
នរោត្តម សីហនុ
(1922 ~ 2012)
1 1945년 3월 18일 1945년 8월 13일 - [10]
2

썬 응옥타인
សឹង ង៉ុក ថាញ់
(1908 ~ 1977)
1945년 8월 14일 1945년 10월 16일 [11]
3

씨쏘왓 무니렛 왕자
ស៊ីសុវត្ថិ មុនី្នរ៉េត
(1909 ~ 1993)
1945년 10월 17일 1946년 12월 15일 [12]
4

씨쏘왓 유떼봉 왕자
ស៊ីសុវត្ថិ យុត្តិវង្
(1913 ~ 1947)
1946년 12월 15일 1947년 7월 17일 1946년 [13]
5

씨쏘왓 웟차야봉 왕자
ស៊ីសុវត្ថិ វឌ្ឍឆាយាវង្ស
(1891 ~ 1972)
1947년 7월 25일 1948년 2월 20일 [14]
6

취엔 웜
ឈាន វម
(1916 ~ 2000)
1948년 2월 20일 1948년 8월 14일 1947년 [15]
7

뻬인 눗
ប៉ែន នុត
(1906 ~ 1985)
1 1948년 8월 15일 1949년 1월 21일 [16]
8

옘 썸보
យ៉ែម សំបូរ
(1913 ~ 1989)
1 1949년 2월 12일 1949년 9월 20일 [17]
9

이어 까읏
អៀវ កើស
(1905 ~ 1950)
1949년 9월 20일 1949년 9월 29일 [18]
8

옘 썸보
យ៉ែម សំបូរ
(1913 ~ 1989)
2 1949년 9월 29일 1950년 4월 28일 [19]
1

노르돔 시아누크 국왕
នរោត្តម សីហនុ
(1922 ~ 2012)
2 1950년 4월 28일 1950년 5월 30일 [20]
10

씨쏘왓 무니뽕 왕자
ស៊ីសុវត្ថិ មុនីពង្
(1912 ~ 1956)
1950년 5월 30일 1951년 3월 3일 [21]
11

옴 취응썬
អ៊ុំ ឈាងស៊ុន
(1900 ~ 1963)
1 1951년 3월 3일 1951년 10월 12일 [22]
12

후이 껀툴
ហ៊ុយ កន្ធុល
(1909 ~ 1991)
1951년 10월 13일 1952년 6월 16일 1951년 [23]
1

노르돔 시아누크 국왕
នរោត្តម សីហនុ
(1922 ~ 2012)
3 1952년 6월 16일 1953년 1월 24일 [24]
7

뻬인 눗
ប៉ែន នុត
(1906 ~ 1985)
2 1953년 1월 24일 1953년 11월 22일 [25]
13

쩐 낙
ចាន់ ណាក់
(1892 ~ 1954)
1953년 11월 23일 1954년 4월 7일 [26]
1

노르돔 시아누크 국왕
នរោត្តម សីហនុ
(1922 ~ 2012)
4 1954년 4월 7일 1954년 4월 18일 [27]
7

뻬인 눗
ប៉ែន នុត
(1906 ~ 1985)
3 1954년 4월 18일 1955년 1월 26일 [28]
14

레잉 응옛
ឡេង ង៉ែត
(1900 ~ 1983)
1955년 1월 26일 1955년 10월 3일 [29]
1

노르돔 시아누크 왕자
នរោត្តម សីហនុ
(1922 ~ 2012)
5 1955년 10월 3일 1956년 1월 5일 1955년 [30]
11

옴 취응썬
អ៊ុំ ឈាងស៊ុន
(1900 ~ 1963)
2 1956년 1월 5일 1956년 2월 29일 [31]
1

노르돔 시아누크 왕자
នរោត្តម សីហនុ
(1922 ~ 2012)
6 1956년 3월 1일 1956년 3월 24일 [32]
15

킴 뜻
ឃឹម ទិត
(1896 ~ 1982)
1956년 4월 3일 1956년 7월 29일 [33]
1

노르돔 시아누크 왕자
នរោត្តម សីហនុ
(1922 ~ 2012)
7 1956년 9월 15일 1956년 10월 15일 [34]
16

싼 윤
សាន យន់
(1905 ~ 1974)
1956년 10월 25일 1957년 4월 9일 [35]
1

노르돔 시아누크 왕자
នរោត្តម សីហនុ
(1922 ~ 2012)
8 1957년 4월 9일 1957년 7월 7일 [36]
17

씀 와
ស៊ឹម វ៉ា
(1906 ~ 1989)
1 1957년 7월 26일 1958년 1월 11일 [37]
18

아엑 아운
ឯក យីអ៊ុន
(1910 ~ 2013)
1958년 1월 11일 1958년 1월 17일 [38]
7

뻬인 눗
ប៉ែន នុត
(1906 ~ 1985)
4 1958년 1월 17일 1958년 4월 24일 [39]
17

씀 와
ស៊ឹម វ៉ា
(1906 ~ 1989)
2 1958년 4월 24일 1958년 7월 10일 1958년 [40]
1

노르돔 시아누크 왕자
នរោត្តម សីហនុ
(1922 ~ 2012)
9 1958년 7월 10일 1960년 4월 19일 [41]
19

포 쁘릉
ផូ ព្រឿង
(1903 ~ 2002)
1960년 4월 19일 1961년 1월 28일 [42]
7

뻬인 눗
ប៉ែន នុត
(1906 ~ 1985)
5 1961년 1월 28일 1961년 11월 17일 [43]
1

노르돔 시아누크 국왕
នរោត្តម សីហនុ
(1922 ~ 2012)
10 1961년 11월 17일 1962년 2월 13일 [44]
대행

넥 쭐렁 장군·경
ញឹក ជូឡុង
(1908 ~ 1996)
1962년 2월 13일 1962년 8월 6일 [45]
대행

차우 센 콕살 춤
ចៅ សែនកុសល
(1905 ~ 2009)
1962년 8월 6일 1962년 10월 6일 [46]
20

노로돔 껀떨 왕자
នរោត្តម កន្តុល
(1920 ~ 2015)
1962년 10월 6일 1966년 10월 25일 1962년 [47]
21

론 놀 원수
លន់ នល់
(1913 ~ 1985)
1 1966년 10월 25일 1967년 5월 1일 1966년 [48]
22

손 산
សឺន សាន
(1913 ~ 1985)
1967년 5월 1일 1968년 1월 31일 [49]
7

뻬인 눗
ប៉ែន នុត
(1906 ~ 1985)
6 1968년 1월 31일 1969년 8월 14일 [50]
21

론 놀 원수
លន់ នល់
(1913 ~ 1985)
2 1969년 8월 14일 1970년 10월 9일 [51][52]
공화국 시대 (1970. 10. 9. ~ 1975. 4. 17.)
[ 제2왕국 시대 (1975. 4. 17. ~ 현재) ]
번(대) 이름 임기 국민원 의원
선거
정당
시작일 종료일
7

뻬인 눗
ប៉ែន នុត
(1906 ~ 1985)
7 1975년 4월 17일 1976년 4월 4일 - [53]
23

폴 포트
ប៉ុល ពត
(1925 ~ 2017)
1 1976년 4월 4일 1979년 1월 7일 1976년 [54]
24

키우 삼판
ខៀវ សំផន
(1931 ~ 2026)
1979년 1월 7일 1981년 6월 27일 [55]
23

폴 포트
ប៉ុល ពត
(1925 ~ 2017)
2 1981년 6월 27일 1984년 12월 26일 1981년 [56]
25

헹 삼린
ហេង សំរិន
(1934 ~ 2024)
1984년 12월 26일 1986년 5월 18일 [57]
26

누온 체아
នួន ជា
(1926 ~ 2019)
1986년 5월 18일 1990년 4월 22일 1981년 [58]
27

이엥 사리
អៀង សារី
(1925 ~ 2013)
1990년 4월 22일 1991년 6월 1일 [59]
28

따 목
ตา ม็อก
(1924 ~ 2006)
1991년 6월 1일 1991년 11월 19일 1991년 [60]
29

훈 센
ហ៊ុន សែន
(1952 ~ )
1 1991년 11월 19일 1993년 7월 2일 [61]
30

엉 흐엇
អ៊ឹង ហួត
(1945 ~ )
1993년 7월 2일 1998년 6월 13일 1993년 [62]
29

훈 센
ហ៊ុន សែន
(1952 ~ )
2 1998년 6월 13일 2008년 5월 15일 1998년 [63]
2003년
31

맘 소난도
ម៉ម សូណង់ដូ
(1942 ~ )
2008년 5월 15일 2013년 6월 29일 2008년 [64]
32

켐 소카
កឹម សុខា
(1953 ~ )
2013년 6월 29일 2018년 4월 1일 2013년 [65]
33

삼 랑시
សម រង្ស៊ី
(1949 ~ )
2018년 4월 1일 2023년 4월 8일 2018년 [66]
34

훈 마넷
ហ៊ុន ម៉ាណែត
(1977 ~ )
2023년 4월 8일 2028년 7월 9일 2023년 [67]
35

켐 모노비티아
កឹម មនេាវិទ្យា
(1981 ~ )
2028년 7월 9일 현재 2028년 [68]

의회

캄보디아 의회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켐 모노비티아 내각
(2028~)
여당

자유당
30석 68석
야당

민주당
28석 43석

인민단체
2석 7석
무소속 2석 7석
재적 62석·125석 공석 0석·0석
좌측은 원로원(상원) 의석 수, 우측은 국민원(하원) 의석 수
국회의사당 내부의 국민원 회의장

의회(សភាតំណាងរាស្ត្រ, Parliament)는 캄보디아의 양원제 입법부로 원로원(상원) 62인, 국민원(하원) 125인, 총 187인의 의원들로 구성된다.

원로원(ព្រឹទ្ធសភា, Senate)은 캄보디아 의회의 상원으로 각 코뮌 의회 의원들 및 국민원 의원들의 간접 선거로 선출되는 58인과 국왕 지명 의원 2인, 국민원 지명 의원 2인으로 구성된다. 의원의 임기는 6년이며 대한민국의 참의원 의원들과 달리 6년 마다 전체 총선거를 통하여 의원 전원을 새롭게 선출한다. 원로원에는 국민원이 통과시킨 법률에 대한 가부 결정권 및 헌법 개정에 대한 동의원과 원로원 내부의 규칙 제정 및 의원 제명권 등이 있으나 타 내각제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권한은 크게 제한되어 있다. 원로원의 수장은 원로원 의장으로 원로원 의원 중 최고령 의원이 맡으며 만일 국왕이 부재중일 경우 국가원수의 직무를 대리한다.

국민원(រដ្ឋសភា, National Assembly)은 캄보디아 의회의 하원으로 의원 125인 전원이 전국 25개 선거구에서 구속명부식 비례대표제를 통하여 선출된다. 헌법에 명시된 국민원의 임기는 5년이지만 원로원과 달리 해산 제도가 적용되기 때문에 이론 상 헌법상 보장된 국민원의 최소 지속 기간인 3개월만 지난다면 국민원을 해산 할 수 있다. 국민원의 주요 권한으로는 법률을 발의하여 통과시키고 예산안을 심의하여 승인하며 총리 이하 내각 각료들을 신임하거나 불신임 하는 것 등이 있다.

주요 정당

  • 캄보디아 민주당: 경제적 자유주의와 사회자유주의를 표방하는 우익정당이다. 1997년 삼 랑시, 켐 소카, 맘 소난도 등의 자유주의자들에 의하여 창당되었다. 사회적으로는 진보, 경제적으로는 자유주의적인 정책을 표방하고 있으며 외교적으로는 크메르 민족주의와 반 베트남 성향을 강하게 띄고있다. 현재 수상인 켐 모노비티아[69]를 배출한 여당이다.
  • 크메르 적색당: 사회민주주의와 사회보수주의를 표방하는 좌익정당이다. 1951년 캄보디아 인민혁명당이라는 이름으로 창당되었으며 1960년에 캄푸치아 공산당으로 이름을 바꾸었다가 1975년 별칭이던 크메르 루주, 즉 현재의 이름인 크메르 적색당으로 다시 한번 이름을 바꾸었다. 사회적으로는 보수적은 색채를 띄는 반면에 경제적으로는 좌파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비교적 베트남에 우호적이다.
  • 왕당파 국민연합: 자유보수주의 성향의 왕당파 중도우익 정당이다. 프랑스 혁명기 당시의 오를레앙파를 생각한다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1970년 시아누크 국왕이 난징 망명중에 창당했던 캄푸치아 국민연합전선을 모태로 하는 정당으로 캄보디아 민주당 창당 이전까지 민주당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었다. 현재까지도 왕실의 영향이 강하게 미치는 정당으로 왕자이자 왕위계승 후보였던 노로돔 차크라부스가 주석으로 재임하고 있다.
  • 참족의 권익: 이름 그대로 참족 민족주의 단일쟁점 빅텐트 정당으로 대중주의 성향을 강하게 띄고 있다. 1983년 참족 인민해방전선이라는 이름의 지하무장단체로 창당되었으며 북일본의 지원을 받았었으나 1993년 양지로 진출하였다.

외교

한캄관계

사이 춤 당시 원로원 의장과 오세훈 총리

꽤나 우호적인 편으로 한국의 여러 기업들이 캄보디아 현지에 진출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김영삼 총리 이후로 어려 총리들이 캄보디아를 방문하였으며 특히 이명박 전 총리의 경우에는 훈 센 캄보디아 수상의 경제고문을 맡았던 전적이 있어서인지 특히나 캄보디아와 더 각별한 관계를 유지하였었다. 양국은 현재 자유무역 협정을 체결한 상태이며 캄보디아인들은 한국에서 일곱 번째로 거대한 외국인 집단이기도 하다.

문화적으로는 다른 동남아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한류가 캄보디아에서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캄보디아 현지에서는 이런 인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성공을 위해 한국의 여러 음악들을 표절하는 가수들이 사회문제로 번지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캄보디아는 베른 협약 가입국이 아니기 때문에 외국 곡에 대한 저작권 보호가 불가능하고 때문에 한국의 연예기획사들은 캄보디아 측에 별다른 조취를 취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니 다행스럽게도 캄보디아 민간에서 자체적으로 자정 작용이 이루어지고 있어 이러한 표절 사례는 점차 줄어드는 중이다.

중캄관계

왕이 외교부장과 훈 센 당시 수상

굉장히 우호적인 편이며 동남아 국가 중에서는 이례적으로 남중국해 분쟁에서 중국을 지지하기도 하는등 중국과는 매우 친밀한 관게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캄보디아가 준 내륙국이기에 남중국해 분쟁에 있어서 비교적 널널한 스탠스를 취하는 이유도 있지만 실질적인 이유는 거의 원수 수준의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베트남과 태국을 견제하기 위함이라는 것이 중론이다. 실제로 아시아 협력 기구 소속국 중 이렇게 일편단심 친중의 길만을 걷는 국가는 파키스탄과 함께 매우 드문 경우에 속한다. 비슷한 친중 국가인 한국과 베트남의 경우도 좌익 정당들[70]을 필두로 친미 행보를 보이며 중국 일변도 정책은 거부하는 상황속에서 좌우 모두가 친중행보를 걷는 캄보디아는 굉장히 이례적인 경우이다.

현재 캄보디아에는 중국계 자본이 다수 진출해 있으며 중국 해군이 캄보디아에 주둔하고 중국이 캄보디아와 합동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무기를 공급하는 등 양국 관계는 2000년대 들어서 점점 더 긴밀해지고 있다. 그러나 민간에서는 중국계 자본의 경제 잠식과 중국인들의 부동산 투기로 인한 집값 폭등으로 인하여 반중 정서가 심화되는 상황이다.

캄월관계

응우옌쑤언푹 부총통과 노로돔 시하모니 국왕

굉장히 좋지않은 편이다. 이는 과거부터 베트남의 주류민족인 비엣족이 남베트남 일대로 남하하면서 본래 캄보디아의 영토였던 사이공 일대를 강제로 병합하였으며 태국과 함께 크메르 제국을 침탈한 전적이 있기 때문이다. 캄보디아인들의 베트남인들에 대한 증오는 현재 진행형으로 베트남 전통의상인 아오자이를 입은 관광객이 앙코르 와트 진입을 거부당했다는 목격담이나 2014년, 그것도 백주대낮에 한 베트남계 캄보디아인이 집단구타 당해 사망한 사건 등이 이를 반증하고 있다.

또한 캄보디아인들은 베트남인들을 "도둑 놈"이라는 멸칭으로 부르며 30년에 이르는 크메르 적색당의 집권이 자당 소속 훈 센 총리의 친 베트남 발언으로 인하여 종결된 것을 본다면 캄보디아인들의 베트남에 대한 반발이 얼마나 큰지 가늠 할 수 있을것이다. 그나마 다행이라고 할 점은 21세기에 들어서 양국간의 교류가 활발해지며 관계 개선의 조짐이 보인다는 정도이다. 당장 우측에 나와있는 양국 국가원수들의 회담사진이 이를 반증하고 있으며 실제로 응우옌쑤언푹 부총통의 캄보디아 방문에 대하여 동남아 각국은 물론 캄보디아 국내에서도 "역사적 사건"이라는 평이 있었다.

캄태관계

훈 센 당시 수상과 쁘라윳 짠오차 당시 총리

베트남과 함께 캄보디아인들이 원수로 삼는 양대 국가 중 하나로 베트남과 마찬가지로 과거사 문제로 인하여 매우 험악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애초에 현재의 태국 지역은 본래 캄보디아의 영토였으며 타이족의 대규모 남하는 13세기에 와서야 이루어진 일이다. 초반 타이족은 캄보디아에 복종하였으나 이후 힘을 길러 수코타이 왕국을 세워 크메르 제국의 영토 상당수를 강탈하였고 이후에는 크메르 제국의 수도이던 앙코르를 초토화 시키며 아예 멸망시켜 버렸다. 이후 크메르인들은 다시는 동남아시아에서 주도권을 가지지 못하였기 때문에 캄보디아인들의 태국에 대한 반감은 상상을 초월하는 수준이다.

21세기 들어서 미미한 수준이지만 반감이 점차 희석되고 있는 베트남과는 달리 태국에 대한 반감은 더욱 커져가는 추세인데 이는 캄보디아의 상징이자 자존심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는 앙코르 와트 때문이다. 앙코로 와트가 위치한 지역인 씨엠립이 한때 태국의 지배를 받은 적이 있었기 때문에 태국 일각에서는 앙코로 와트가 자국의 소유라고 주장하는 세력이 있는데 경제적으로 우월한 태국인들의 캄보디아인들에 대한 멸시가 더해지며 심각한 수준으로 비화되고 말았다.

2003년에는 태국 연예인의 "앙코로 와트는 우리 것"발언에 항의하며 폭동이 일어나 태국 대사관이 파괴되기도 하였으며 이에 태국 정부는 해당 지역에 대한 전력을 차단하는 것으로 대응하였다. 결국 캄보디아 측이 사과하는 것으로 사태자체는 일단락 되었으나 프레아비히어 사원이나 무에타이 종주국 문제가 더해지면서 양국 관계는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경제

벼농사에 종사하는 캄보디아의 농민들

이웃한 라오스와 마찬가지로 농업을 주요 산업으로 삼고있다. GDP의 27% 가량을 농업이 차지하고 있으며 국민의 대다수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이는 많은 강수량과 비옥한 토지등으로 대변되는 동남아시아 기후에 의한 것으로 베트남이나 태국과 마찬가지로 3모작이 시행되고 있다. 농업을 제외한 다른 산업, 특히 제조업은 매우 빈약하지만 값싼 노동력을 이용한 위탁 생산과 의류 산업이 나름대로 강세를 보이고 있다. 실제로 캄보디아의 제1수출품목은 농작물이 아닌 의류로, 전체 수출 품목의 80% 가량을 의류가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캄보디아를 먹여살리는 산업은 농업도 제조업도 아닌 관광업으로 GDP의 38%를 관광업으로 대표되는 서비스업이 차지하고 있다. 이는 1963년 시아누크 정권 당시 주요 산업의 국유화가 이루어진 이후 1970년대 중반까지의 정치적 혼란[71]을 겪으며 경제 위기가 가속화 되었고 크메르 루주가 집권한 이후 좌파의 장기집권이 이루어지며 제조업이 아닌 농업 위주의 경제 정책이 실행된 결과 제조업에 대한 투자가 미비했기 때문이다. 또한 2000년대에 집권한 민주당 정권이 제조업이 아닌 해외 투자를 기반으로 한 관광업과 카지노 산업에 눈을 돌리며 관광업의 폭발적 성장을 불러왔고 결과적으로 현재의 기형적인 경제구조가 완성되었다.

따라서 현재의 캄보디아는 GDP의 절반 이상을 농업과 관광업이 차지하는 기형적인 경제 체제를 보유한 국가가 되었고 2020년 대봉쇄 이후 전세계적으로 관광업이 쇠퇴기에 들어가고 경제성장률이 -3.1%를 기록하며 역성장을 하기에 이르렀다. 물론 2021년부터는 다시 성장세를 회복하기는 했으나 국내외의 경제 전문가들은 재정적자에 대한 대처와 교역 대상국 다각화, 외환 보유고 감소에 대한 대비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때문에 EU 및 아세안 국가들과의 경제 협력을 강화하는 등 경제 체질 변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사회

프놈펜 거리의 모습

오랫동안 뿌리박혀 있던 불교와 왕정, 그리고 전통적인 농촌사회라는 특징이 맞물린 덕에 굉장히 보수적인 사회 분위기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이웃 국가인 라오스와 더불어 동남아시아에서도 가장 보수적인 편으로 동남아에서 캄보디아와 라오스보다 보수적인 국가는 전제군주정 국가인 브루나이와 3대 세습이 진행될 정도의 막장 신정 국가인 수마트라 이슬람 공화국 이외에는 존재하지 않는 수준이다, 즉 정상 괘도에 위치한 국가들 중에는 가장 보수적이라는 뜻이다.

2020년대 이후 젊은 층의 정치참여도가 높아지며 개혁의 조짐이 보이는 이웃 태국과는 달리 캄보디아는 헹 삼린 수상을 마지막으로 극심한 정치 혼란이 지속되었기에 젊은 층의 정치 혐오가 극심한 상황이며 때문에 사회 개혁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다. 현재는 유학파 출신에다 서브컬쳐에 친화적인 노로돔 시하모니 국왕의 지지를 얻어 민주당 소장파를 중심으로 일본인민공화국을 참고로 한 사회적 개혁·개방정책이 실행되고 있으나 타국에 비해서 미비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1990년대 이후 정치적으로 극도의 혼란을 겪었던 캄보디아이지만 대조적으로 사회 혼란이 적었던 이유는 80년대 좌파의 장기집권의 결과로 만들어진 사회 복지 정책의 덕이 크다. 이른바 "불교 사회주의"라는 슬로건 하에 폴 포트 정권 때부터 주로 농촌에 거주하는 빈농들을 대상으로 한 사회보장 정책이 실시되었고 이는 키우 삼판 수상대에 이르러서는 "전인민 사회보장"이라는 정책을 수립하여 생활 필수품에 대한 저가형 대량 생산과 판매가 이루어졌으며[72] 이는 현재 진행형이다. 물론 21세기에 들어서는 다수의 질좋은 외국 상품이 국내로 유입 됨에 따라서 "저가형 생필품의 대량판매"로 대표되는 복지정책이 빛을 바랜면이 없지않아 있지만 아직까지도 "전인민 사회보장 정책"의 효과는 유효하다고 평가받는다.

여느 개발도상국과 마찬가지로 치안은 상당히 나쁜 편이다. 인구 밀도는 그럭저럭 높은 편이지만 기반 시설의 미비함으로 인해 밤길에 가로등이 없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프놈펜의 일부 번화가[73]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경찰이 밤에 순찰을 돌지 않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때문에 대한민국 외교부는 오다르메안체이주, 프레아비헤아르주에 대해 여행 자제를, 이외 지역에 대해서는 여행 유의를 발령한 상태이다.

또한 교통망 역시도 미비한데 수도 프놈펜에서 각지로 이어지는 단선 도로 이외에는 도로와 도로를 잇는 포장 도로를 찾아보기 힘들며 그나마 프놈펜과 그 주변의 광역생활권에는 포장도로가 잘 갖추어져 있다. 다만 포장도로 대신에 수상 교통망이 상당히 발달되어 있는데 실제로 메콩, 톤레사프, 바사크등의 하천을 통한 수상 운송업이 굉장히 발달되어 있다. 외항선은 프놈펜[74]과 콤퐁솜에 기항한다.

문화

"크메르 음악의 왕"이라 불리는 신 시사뭇의 음반

중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열대 기후 지역에 대하여 "짜고 향신료가 많이 들어간 음식을 먹는다"라는 교육을 받은 덕에 일반적으로 동남아시아라고 한다면 향도 세고 자극적인 음식을 생각하기 쉬우나 캄보디아 요리는 향신료가 굉장히 많이 들어갔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굉장히 싱거운 편이다. 이는 내륙국이라는 특성덕에 소금을 구하기 어려웠던 역사와 물, 쌀, 민물고기라는 싱거운 식자제 위주의 식생활이 반영된 것이다. 닭고기와 아채, 레몬즙을 넣어서 만든 수프인 꾸이띠어우와 세계태마기행에도 소개된 바 있는 껑까엡 바옥이라는 이름의 개구리 구이가 나름 유명한 편이다.

스포츠 중에서는 일반적으로 개도국 대부분에서는 축구가 최대 인기 종목인 것 과는 달리 배구가 가장 인기있는 종목으로 자리매김 하고있다. 실제로 캄보디아 공터를 둘러보면 어디에서든지 네트를 치고 배구를 하고있는 캄보디아인들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인기있는 종목은 축구이며 이외에도 당구등이 강세를 보이지만 모든 스포츠에 있어서 동남아 내부에서도 손꼽히는 약체이다.

국내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동남아시아 내부에서는 태국과 함께 알아주는 문화 강국으로 캄보디아의 영화와 음악 산업은 동남아시아 내부에서 꽤나 선풍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이는 초대 국왕인 노르돔 시아모니의 문화계에 대한 전폭적인 지지의 결과이다. 물론 2010년대를 전후로 하여 민주당 정권이 문화개방을 시작하면서 캄보디아로 유입되기 시작한 K-POP과 중국과 남일본의 서브컬쳐 등의 영향으로 예전만한 위상을 갖추고 있지는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남아권 내에서는 아직도 굳건한 매니아층을 보유하고 있다. 국내에서 잘 알려진 음악 작품이라고 한다면 서양에서 캄보디아 관련 밈으로 사용되고 있는 일명 "크메르 음악의 왕" 신 시사뭇의 곡을 리메이크 한 Sat Tee Touy(부엉이를 보라)가 있다.[75]

군사

캄보디아 육군 소속 전차들

캄보디아 왕립군(កងទ័ពយុទ្ធពលខេឞរភូមិន្)은 캄보디아의 국군으로 육해공군과 특수전대, 왕립헌병대로 구성되었다. 상비군 약131,900명 가량의 군대이며 이중 육군 병력이 85,000명 정도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쪽도 라오스나 몽골과 같이 주변에 군사대국들이 위치하고 있는 탓에[76] 존재감이 0에 수렴하고 있다. 위안이라고 한다면 90년대 무렵 기계화를 위해 들여온 대규모의 전차부대로 병력 규모대비 상당히 높은 비율의 전차부대를 보유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장비가 노후화 되었다는 것은 함정.

이외에도 특이점이라고 한다면 프랑스의 영향을 받아서 헌병군을 독립된 군종으로 두고있다는 것으로 이미 1970년, 론 놀 장군의 쿠데타를 겪은 전적이 있기 때문에 전 병력의 10%에 해당하는 거대한 헌병 병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캄보디아의 남은 4개 군대를 통제하고 있다고 한다.

단위

이웃한 불교 왕정국가인 라오스, 태국과 마찬가지로 서기가 아닌 불멸기원(불기)를 사용한다. 다만 일상생활에 있어서 불기의 사용빈도가 압도적으로 높고 위키피디아에서 마저 서기연도를 입력하면 불기연도로 리다이렉트 되는[77] 태국과는 달리 일부 정부기관을 중심으로 서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민간에서도 일부 서기를 사용하는 등 서기의 사용 빈도가 아예 없지는 않다.

창작물

캄보디아라는 나라 자체가 크메르 제국 이후 크게 쇠퇴하면서 동서양을 막론하고 매체에서는 잘 등장하지 않는다. 나온다 한들 십중팔구는 앙코르 와트 관련내용으로 해당 창작물의 배경이 동남아시아인 경우에서 피라미드와 같은 분위기의 건축물을 등장시켜야 할 때 등장한다. 앙코르 와트가 등장하는 작품으로는 영화 화양연화와 게임 문명 시리즈, 대항해시대 온라인, 도미네이션즈 등이 있다.


  1. 캄보디아 헌법에 의하여 공화국 시기(1970-1975)를 제외하고는 국교의 지위를 유지함, 단 불교신앙을 강제하진 않음
  2. 캄보디아의 2대 수상을 역임하였다.
  3. 당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는 나치의 괴뢰국이던 비시 프랑스의 관할 하에 있었기 때문에 일본은 식민 당국을 존치시켰다.
  4. 현재의 캄보디아 민주당과는 다른 정당이다.
  5. 훈 센 전 수상의 차남이다.
  6. 켐 소카 전 수상의 딸이다.
  7. 크메르어와 참어는 크메르 문자, 베트남어와 중국어는 본토와 마찬가지로 각각 쯔꾸옥응으와 한자로 표기된다.
  8. 크메르어와 영어 모두 "캄보디아 왕국 수상"이 아닌 "캄보디아 수상"이 정식 명칭이다.
  9. 캄보디아의 상원인 원로원의 의원들은 각 코뮌의 의원(한국의 기초의원)들과 국민원 의원들이 58인을 선출하며 4인은 국왕과 국민원에서 각각 2인씩 선출된다.
  10. 무소속 (1945. 3. 18. ~ 1945. 8. 13.).
  11. 무소속 (1945. 8. 14. ~ 1945. 10. 16.).
  12. 무소속 (1945. 10. 16. ~ 1946. 12. 15.).
  13. 민주당 (1946. 12. 15. ~ 1947. 7. 17.).
  14. 민주당 (1946. 12. 15. ~ 1948. 2. 20.).
  15. 민주당 (1948. 2. 20. ~ 1948. 8. 14.).
  16. 민주당 (1948. 8. 15. ~ 1949. 1. 21.).
  17. 민주당 (1949. 2. 12. ~ 1949. 9. 20.).
  18. 민주당 (1949. 9. 20. ~ 1949. 9. 29.).
  19. 민주당 (1949. 9. 29. ~ 1950. 4. 28.).
  20. 무소속 (1950. 4. 28. ~ 1950. 5. 30.).
  21. 무소속 (1950. 5. 30. ~ 1951. 3. 3.).
  22. 민주당 (1951. 3. 3. ~ 1951. 10. 12.).
  23. 민주당 (1951. 10. 13. ~ 1952. 6. 16.).
  24. 무소속 (1952. 6. 16. ~ 1953. 1. 24.).
  25. 민주당 (1953. 1. 24. ~ 1953. 11. 22.).
  26. 무소속 (1953. 11. 23. ~ 1954. 4. 7.).
  27. 무소속 (1954. 4. 7. ~ 1954. 4. 18.).
  28. 민주당 (1954. 4. 18. ~ 1955. 1. 6.).
  29. 민주당 (1955. 1. 6. ~ 1955. 10. 3.).
  30. 평민공동사회 (1955. 10. 3. ~ 1956. 1. 5.).
  31. 평민공동사회 (1956. 1. 5. ~ 1956. 2. 29.).
  32. 평민공동사회 (1956. 3. 1. ~ 1956. 3. 24.).
  33. 평민공동사회 (1956. 4. 3. ~ 1956. 7. 29.).
  34. 평민공동사회 (1956. 9. 15. ~ 1956. 10. 15.).
  35. 평민공동사회 (1956. 10. 25. ~ 1957. 4. 9.).
  36. 평민공동사회 (1957. 4. 9. ~ 1957. 7. 7.).
  37. 평민공동사회 (1957. 7. 26. ~ 1958. 1. 11.).
  38. 평민공동사회 (1958. 1. 11. ~ 1958. 1. 17.).
  39. 평민공동사회 (1958. 1. 17. ~ 1958. 4. 24.).
  40. 평민공동사회 (1958. 4. 24. ~ 1958. 7. 10.).
  41. 평민공동사회 (1958. 7. 10. ~ 1960. 4. 19.).
  42. 무소속 (1960. 4. 19. ~ 1961. 1. 28.).
  43. 평민공동사회 (1961. 1. 28. ~ 1961. 11. 17.).
  44. 평민공동사회 (1961. 11. 17. ~ 1962. 2. 13.).
  45. 평민공동사회 (1962. 2. 13. ~ 1962. 8. 6.).
  46. 평민공동사회 (1962. 8. 6. ~ 1962. 10. 6.).
  47. 평민공동사회 (1962. 10. 6. ~ 1962. 10. 25.).
  48. 평민공동사회 (1962. 10. 25. ~ 1963. 5. 1.).
  49. 평민공동사회 (1963. 5. 1. ~ 1968. 1. 31.).
  50. 평민공동사회 (1968. 1. 31. ~ 1969. 8. 14.).
  51. 평민공동사회 (1969. 8. 14. ~ 1970. 3. 18.).
  52. 무소속 (1970. 3. 18. ~ 1970. 10. 9.).
  53. 캄푸치아 국민연합전선 (1975. 4. 17. ~ 1975. 4. 4.).
  54. 크메르 적색당 (1975. 4. 4. ~ 1979. 1. 7.).
  55. 크메르 적색당 (1979. 1. 7. ~ 1981. 6. 27.).
  56. 크메르 적색당 (1981. 6. 27. ~ 1984. 12. 26.).
  57. 크메르 적색당 (1984. 12. 26. ~ 1986. 5. 18.).
  58. 크메르 적색당 (1986. 5. 18. ~ 1990. 4. 22.).
  59. 크메르 적색당 (1990. 4. 22. ~ 1991. 6. 1.).
  60. 크메르 적색당 (1991. 6. 1. ~ 1991. 11. 19.).
  61. 크메르 적색당 (1991. 11. 19. ~ 1993. 7. 2.).
  62. 왕당파 국민연합 (1993. 7. 2. ~ 1998. 6. 13.).
  63. 크메르 적색당 (1998. 6. 13. ~ 2008. 5. 15.).
  64. 캄보디아 민주당 (2008. 5. 15. ~ 2013. 6. 29.).
  65. 캄보디아 민주당 (2013. 6. 29. ~ 2016. 4. 1.).
  66. 캄보디아 민주당 (2018. 4. 1. ~ 2023. 4. 8.).
  67. 크메르 적색당 (2023. 4. 8. ~ 2028. 7. 9.).
  68. 캄보디아 민주당 (2028. 7. 9. ~ 현재.).
  69. 위에 언급된 켐 소카 전 총리의 딸이다.
  70. 각각 한국사회당, 베트남 공산당.
  71. 론 놀 장군의 쿠데타 등.

  72. 대표적으로는 이 사진에 나와있는 "크메르식 국민복"과 신발이 있다.
  73. 주로 외국인들이 많이찾는 증권가 일대이다.
  74. 프놈펜이 내륙도시라는 점 때문에 의아해 할 수도 있으나 메콩강을 통해 베트남으로 연결된다.
  75. 여담이지만 해당 음악이 밈으로 사용되게 된 계기는 크메를 적색당이 해당 음악을 선거 로고송으로 사용해서이지만 정작 원작자인 신 시사뭇은 크메르 공화국을 지지했던 진성 우익 공화주의자였다.
  76. 몽골은 중국과 소련, 캄보디아와 라오스는 태국과 베트남.
  77. 예를 들어 2020년을 태국어 위키피디아에 검색한다면 불기 2563년 문서로 리다리렉트되며 2020년을 구글 번역기에서 태국어로 번역하면 2563년으로 번역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