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247번째 줄: | 247번째 줄: | ||
|- | |- | ||
! width=25% style="background:#5dbd3f; color: #fff" | 조상 | ! width=25% style="background:#5dbd3f; color: #fff" | 조상 | ||
| 조부 [[ | | 조부 [[김일성 (민국 38)|김일성]]<ref>[[조선공산당 반란사태 (민국 38)|조선공산당 반란사태]] 당시 제3군의 사령관이었다.</ref> | ||
|- | |- | ||
! style="background:#5dbd3f; color: #fff" | 부모 | ! style="background:#5dbd3f; color: #fff" | 부모 | ||
285번째 줄: | 285번째 줄: | ||
== 개요 == | == 개요 == | ||
{{인용문|日本列島を原発も核脅威もない生命の地にするために積極的に努力していくことを確約しました。<br>일본 열도를 원전도 핵 위협도 없는 생명의 땅으로 만들기 위해 적극 노력해 나가기로 확약하였습니다.|타이베이 아시아 원전 제로회의에서 귀국한 직후}} | {{인용문|日本列島を原発も核脅威もない生命の地にするために積極的に努力していくことを確約しました。<br>일본 열도를 원전도 핵 위협도 없는 생명의 땅으로 만들기 위해 적극 노력해 나가기로 확약하였습니다.|2018년 타이베이 아시아 원전 제로회의에서 귀국한 직후}} | ||
{{인용문|君と僕のための変化<br>너와 나를 위한 변화| | {{인용문|君と僕のための変化<br>너와 나를 위한 변화|제nn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슬로건}} | ||
[[일본국 (민국 38)|일본국]]의 한국계 정치인. | [[일본국 (민국 38)|일본국]]의 한국계 정치인. | ||
296번째 줄: | 296번째 줄: | ||
초기에 오이타현정부는 무시로 일관하였으나 당시 일본국 염세주의 영화의 거장이던 아버지 가네무라 쇼이치 감독이 5일째 단식투쟁을 이어가던 아들의 텐트를 찾아간 이후부터 관심이 급증하기 시작하였고 TV아사히를 선두로 일부 방송사들이 취재를 시작하자 부담감을 느낀 오이타현정부와 히타시정부는 관련 조례의 개정을 약속했고 공장측도 피해자들에 대한 배상금 지급을 약속하며 시위는 끝이나게 되었다. | 초기에 오이타현정부는 무시로 일관하였으나 당시 일본국 염세주의 영화의 거장이던 아버지 가네무라 쇼이치 감독이 5일째 단식투쟁을 이어가던 아들의 텐트를 찾아간 이후부터 관심이 급증하기 시작하였고 TV아사히를 선두로 일부 방송사들이 취재를 시작하자 부담감을 느낀 오이타현정부와 히타시정부는 관련 조례의 개정을 약속했고 공장측도 피해자들에 대한 배상금 지급을 약속하며 시위는 끝이나게 되었다. | ||
언론의 주목을 한몸에 받게된 가네무라는 이후로도 지역 시민운동에 참여하였고 2007년에 동년에 있을 통일지방선거 출마를 선언하였고 뒤이어 녹색당에 입당하였다. 전통적으로 사민당과 자유당이 양당제를 이루던<ref>현대 일본에서 범 자유주의 계열을 대표하는 민주당은 이전에는 반미 민족주의 성향의 정당이었고 지속적인 군비확충을 지지하였기에 올림픽 작전의 영향을 직격으로 맞은 오이타현에서 현재까지도 별 맥을 못추고 있다.</ref> 오이타현에서 그의 가능성은 그렇게 높게 여겨지지 않았으나 당시 사민당 오이타현련의 내분으로 인하여 사민당 후보와 사민당계 무소속 후보가 동시에 출마하는 삽질 덕분에<ref>차후 이 사민당계 무소속 후보는 가네무라 후보를 지지하며 사퇴하였다.</ref> 히타시의회 선거구에서 당선되게 되었다. | |||
당선 이후 환경운동가 출신 정치인 특유의 "환경 문제에는 급진적이고 민생 문제에는 무능한" 모습을 보이며 차기 선거에서 낙선 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오히려 20년 히타시 토박이의 클라스를 보여주면서 시 하천의 오염문제를 해결하고 거리 미화 법안과 2008년 경제위기 당시 소상공인에 대한 시 차원의 지원법안을 통과시키면서 안정적인 입지를 갖게되었고 2011년 지방선거 당시 동일 선거구내에서 1위로 재선에 성공하였다. | |||
재선 이후에도 여전히 서민 친화적인 태도를 보여주며 지역 내에서 높은 인기를 구사하였다. 이때까지만 하더라도 가네무라는 오히타현, 그중에서도 히타시 내부에서만 알려진 전형적인 지역 정치인에 불과하였으나 선거 직전 일어난 일본인민공화국 도호쿠 대지진의 여파로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가 폭발하는 사고가 일어나자 반(反) 원전을 주장하던 녹색당과 가네무라 세이온의 지지율이 큰 폭으로 상승하기 시작했다. | |||
특히 가네무라 세이온은 그의 아버지인 가네무라 쇼이치 감독부터가 줄기차게 반 원전을 주장하던 인물이었고 본인 또한 후쿠시마 이전부터 원전의 위험성을 줄기차게 강조해온 덕에 사고이후 주가가 급격하게 오르기 시작하였다. 이후 그는 여러 방송사의 토론 프로그램에 패널로 출연하는등의 행보를 보이며 체급을 급격하게 불려나갔고 그 체급으로 제18회 통일지방선거에서 오히타현의회 3인 선거구에 출마하여 3위로 당선되게 되었다.<ref>여담이지만 해당 통일지방선거에서 가네무라의 후임으로 히타시의원에 당선된 인물이 일전의 사민당계 무소속 후보(사민당에 복당함) 였다고 한다.</ref> | |||
현의원으로써 가네무라는 당시 현지사이던 히로세 카츠사다의 경산성 사무차관 시절 원전 옹호를 강력하게 비판하였으며 현정부의 비호아래 오염 물질을 방출하던 공단에 대한 제재를 요구하여 관련법안 통과를 주도하였다. 물론 오이타현 경제의 대부분을 지역공단이 책임지고 있었기 때문에 그에 대한 비판적인 여론이 대두되기도 하였으나 "오이타현 암환자 연합회"와 "공단 오염물질의 진실을 밝히는 모임"등이 그를 적극적으로 지지함에 따라 여론 방어에 성공하였고 결정적으로 오염물질로 인한 피해 사례가 알려짐에 따라 자신의 정치적 지위를 수호함은 물론 지위를 높이는데에도 성공하게 되었다. | |||
2019년 제19회 통일지방선거에서 3인 선거구 내 1위로 현의원에 재선하였으며 직후 녹색당 간사장에 취임하였다. 또한 동년 6월에 중국 타이베이에서 개최된 아시아 원전 제로회의에 일본 대표로 참여하였다. 이후 2022년 연말 자유당 기시다 후미오 총리가 내각불신임 결의로 인해 불명예스럽게 퇴임하자 2023년 연초에 있을 중의원 의원 선거에 출마를 선언하였다. | |||
본선에서 사민당과 민주당의 지지를 받아 두명의 야권 단일후보<ref>한명은 사민당 후보</ref>중 한명으로 출마하였으나 정의당 후보에게 밀려 간발의 차이로 3위로 낙선하였다. 그러나 동년 4월의 제20회 통일지방선거에서 다시금 현의원으로 출마해 종전보다 높은 득표율을 끌어내며 당선되었다. 현재 지역정가에서는 차기 중의원 의원이나 오이타현지사 출마설이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으나 본인은 별 의견을 표명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 |||
== 여담 == | |||
== 선거 이력 == | == 선거 이력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10pt; float: center;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border: 2px solid #5dbd3f"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10pt; float: center;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border: 2px solid #5dbd3f" | ||
334번째 줄: | 350번째 줄: | ||
|- | |- | ||
| colspan="1" | 2023 | | colspan="1" | 2023 | ||
| colspan="1" | [[ | | colspan="1" | [[제nn대 일본국 중의원 의원 총선거 (민국 38)|제nn대 중의원 의원 총선거]] | ||
| colspan="1" | [[오이타현 제2선거구 (민국 38)|오이타현 제2선거구]] | | colspan="1" | [[오이타현 제2선거구 (민국 38)|오이타현 제2선거구]] | ||
| colspan="1" | 103,158 (27.99%) | | colspan="1" | 103,158 (27.99%) | ||
| colspan="1" | 낙선 (3위) | | colspan="1" | 낙선 (3위) | ||
| colspan="1" | | | colspan="1" | <ref>{{민주당(일본국) (민국 38)}}, {{사회민주당(일본국) (민국 38)}} 지지</ref> | ||
|- | |- | ||
| colspan="1" | 2023 | | colspan="1" | 2023 | ||
373번째 줄: | 389번째 줄: | ||
| colspan="1" | <div style="margin: -4px -9px">[[파일:20회 오이타현의회 선거 가네무라 세이온 벽보.png ]]</div> | | colspan="1" | <div style="margin: -4px -9px">[[파일:20회 오이타현의회 선거 가네무라 세이온 벽보.png ]]</div> | ||
|- | |- | ||
| colspan="1"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 ''' | | colspan="1"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 '''nn회 중원선''' | ||
| colspan="1"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 '''20회 통일지방선거''' | | colspan="1"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 '''20회 통일지방선거''' | ||
|- | |- |
2023년 4월 8일 (토) 21:57 판
| ||
[ 펼치기 · 접기 ] |
- 연습장:Sindan:허브 · 종합
- 연습장:Sindan/1:민국 38/1
- 연습장:Sindan/2:민국 38/2
- 연습장:Sindan/3:민국 38/인물
- 연습장:Sindan/4:보관소
- 연습장:Sindan/5:카게사가시 - 빌펠
몽골 령도자
아사드
김촌정은
장면
역대 총리
- ↑ 몽골어로는 ᠵᠧᠴᠦᠨ ᠯᠣᠪᠠᠰᠤᠨ ᠢ ᠺᠠᠮᠫᠠ ᡀᠦᠨᠵᠦᠪ ᠴᠣᠺ ᠤᠢ ᠭᠧᠯᠫᠣ 이다.
- ↑ 2005년 출생, 2017년 사망
- ↑ 몽골어로는 자간 바담량화.
- ↑ 이전까지의 젭춘담바 후툭투들은 모두 티베트 태생의 티베트인이었다.
- ↑ 당시 점지된 풍경이 보얀트구에 위치한 "보얀트 강"이었다고 한다.
- ↑ 그녀의 집은 게르였으며 당연하게도 원룸이었다.
- ↑ 1960년 출생
- ↑ 1962년 출생, 1994년 사망
- ↑ 1966년 출생, 2009년 사망
- ↑ 1967년 출생
- ↑ 조선공산당 반란사태 당시 제3군의 사령관이었다.
- ↑ 기타리스트라고 한다
- ↑ 법적인 이름은 남편의 성을 따서 가네무라 히메이지만 활동명은 결혼 이전의 성인 다카다를 유지했다.
- ↑ 현대 일본에서 범 자유주의 계열을 대표하는 민주당은 이전에는 반미 민족주의 성향의 정당이었고 지속적인 군비확충을 지지하였기에 올림픽 작전의 영향을 직격으로 맞은 오이타현에서 현재까지도 별 맥을 못추고 있다.
- ↑ 차후 이 사민당계 무소속 후보는 가네무라 후보를 지지하며 사퇴하였다.
- ↑ 여담이지만 해당 통일지방선거에서 가네무라의 후임으로 히타시의원에 당선된 인물이 일전의 사민당계 무소속 후보(사민당에 복당함) 였다고 한다.
- ↑ 한명은 사민당 후보
- ↑ 민주당, 사회민주당 지지
- ↑ 종로구
- ↑ 종로구 을
- ↑ 단, 어릴 때 인천으로 이주해서 살았기에, 실질적 고향은 경기도 인천부(현 인천광역시)였다.
- ↑ 황상(凰顙)파 14세. 인동 장씨 31세.
- ↑ 주 교황청 대사 겸임
- ↑ 조선인민당 (1948. 5. 31. ~ 1950. 5. 30.).
- ↑ 한국독립당 (1950. 5. 31. ~ 1954. 5. 30.).
- ↑ 한국사회당 (1954. 2. 16. ~ 1956. 9. 20.).
- ↑ 한국독립당 (1956. 9. 21. ~ 1962. 9. 11.).
- ↑ 한국독립당 (1962. 9. 11. ~ 1965. 4. 16.).
- ↑ 한국독립당 (1965. 4. 16. ~ 1966. 3. 5.).
- ↑ 한국사회당 (1968. 8. 16. ~ 1979. 10. 26.).
- ↑ 한국사회당 (1979. 10. 26. ~ 1981. 1. 24.).
- ↑ 한국독립당 (1981. 1. 25. ~ 1989. 7. 4.).
- ↑ 한국독립당 (1989. 7. 5. ~ 1993. 1. 16.).
- ↑ 한국독립당 (1996. 1. 24. ~ 2000. 1. 23.).
- ↑ 한국사회당 (2000. 1. 24. ~ 2003. 2. 27.).
- ↑ 한국사회당 (2003. 2. 27. ~ 2007. 8. 18.).
- ↑ 한국독립당 (2007. 8. 19. ~ 2013. 3. 4.).
- ↑ 한국사회당 (2013. 3. 5. ~ 2014. 7. 13.).
- ↑ 한국독립당 (2014. 7. 14. ~ 2016. 3. 27.).
- ↑ 한국사회당 (2016. 3. 28. ~ 2019. 10. 22.).
- ↑ 한국사회당 (2019. 10. 22. ~ 2021. 9. 25.).
- ↑ 한국독립당 (2021. 9. 26. ~ 2023. 3. 18.).
- ↑ 한국독립당 (2023. 3. 18. ~ 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