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238번째 줄: | 238번째 줄: | ||
|- | |- | ||
! style="background:#be0428; color: #fff" | 현직 | ! style="background:#be0428; color: #fff" | 현직 | ||
| 민선 제22대 오이타현지사 | | 민선 제22대 오이타현지사 | ||
|- | |- | ||
! style="background:#be0428; color: #fff" | 서명 | ! style="background:#be0428; color: #fff" | 서명 | ||
311번째 줄: | 311번째 줄: | ||
현의원으로써 가네무라는 당시 현지사이던 히로세 카츠사다의 경산성 사무차관 시절 원전 옹호를 강력하게 비판하였으며 현정부의 비호아래 오염 물질을 방출하던 공단에 대한 제재를 요구하여 관련법안 통과를 주도하였다. 물론 오이타현 경제의 대부분을 지역공단이 책임지고 있었기 때문에 그에 대한 비판적인 여론이 대두되기도 하였으나 "오이타현 암환자 연합회"와 "공단 오염물질의 진실을 밝히는 모임"등이 그를 적극적으로 지지함에 따라 여론 방어에 성공하였고 결정적으로 오염물질로 인한 피해 사례가 알려짐에 따라 자신의 정치적 지위를 수호함은 물론 지위를 높이는데에도 성공하게 되었다. | 현의원으로써 가네무라는 당시 현지사이던 히로세 카츠사다의 경산성 사무차관 시절 원전 옹호를 강력하게 비판하였으며 현정부의 비호아래 오염 물질을 방출하던 공단에 대한 제재를 요구하여 관련법안 통과를 주도하였다. 물론 오이타현 경제의 대부분을 지역공단이 책임지고 있었기 때문에 그에 대한 비판적인 여론이 대두되기도 하였으나 "오이타현 암환자 연합회"와 "공단 오염물질의 진실을 밝히는 모임"등이 그를 적극적으로 지지함에 따라 여론 방어에 성공하였고 결정적으로 오염물질로 인한 피해 사례가 알려짐에 따라 자신의 정치적 지위를 수호함은 물론 지위를 높이는데에도 성공하게 되었다. | ||
2019년 제19회 통일지방선거에서 3인 선거구 내 1위로 현의원에 재선하였으며 직후 녹색당 간사장에 취임하였다 | 2018년 4월에 중국 타이베이에서 개최된 아시아 원전 제로회의에 일본 대표로 참여하였다. 2019년 제19회 통일지방선거에서 3인 선거구 내 1위로 현의원에 재선하였으며 직후 녹색당 간사장에 취임하였다. 이후 2022년 연말 자유당 기시다 후미오 총리가 내각불신임 결의로 인해 불명예스럽게 퇴임하자 2023년 연초에 있을 중의원 의원 선거에 출마를 선언하였다. | ||
본선에서 사민당과 민주당의 지지를 받아 두명의 야권 단일후보<ref>한명은 사민당 후보.</ref>중 한명으로 출마하였으나 정의당 후보에게 밀려 간발의 차이로 3위로 낙선하였다. 그러나 동년 4월의 제20회 통일지방선거에서 다시금 현의원으로 출마해 종전보다 높은 득표율을 끌어내며 당선되었다. 당선 이후 지역 정가에서 거론되는 오이타현지사 혹은 히타시장 출마설에 대하여 "현민을 위한 어떤 형태의 봉사도 가능하다."라는 상당히 애매한 발언으로 화답하였다. | 본선에서 사민당과 민주당의 지지를 받아 두명의 야권 단일후보<ref>한명은 사민당 후보.</ref>중 한명으로 출마하였으나 정의당 후보에게 밀려 간발의 차이로 3위로 낙선하였다. 그러나 동년 4월의 제20회 통일지방선거에서 다시금 현의원으로 출마해 종전보다 높은 득표율을 끌어내며 당선되었다. 당선 이후 지역 정가에서 거론되는 오이타현지사 혹은 히타시장 출마설에 대하여 "현민을 위한 어떤 형태의 봉사도 가능하다."라는 상당히 애매한 발언으로 화답하였다. | ||
330번째 줄: | 330번째 줄: | ||
|- | |- | ||
|} | |} | ||
== 선거 이력 == | == 선거 이력 == | ||
448번째 줄: | 447번째 줄: | ||
|- | |- | ||
|} | |} | ||
== 여담 == | |||
== 어록 == | |||
{{인용문|경제 건설의 성과는 시민 생활에서 나타나야 합니다.|시의원 시절 히타시의회 시정질의 中}} | |||
{{인용문|새로운 역사는 이제부터. 녹색의 시대, 역사의 출발점에서.|2018년 타이베이 아시아 원전 제로회의 당시 방명록에 남긴 글}} | |||
{{인용문|[[일론 머스크 (민국 38)|미국의 늙다리 미치광이]]를 반드시, 반드시 불로 다스릴 것이다.|자신의 도지 코인이 폭락하자}} | |||
{{인용문|그런 의지가 없다면 여기 오지 않았을 것입니다.|현자사 토론 중 자신의 각오를 밝히며}} | |||
{{인용문|우리 현민이 다시는 허리띠를 조이지 않고 풍요롭게 부귀영화를 마음껏 누리게 하자는 것이 우리 현정의 확고한 결심입니다.|현지사 당선 이후 첫 회의에서}} | |||
{{인용문|제육을 위하여, 햄버거를 위하여, 빵을 위하여.|현청 구내식당 식단의 부실함을 지적하며}} | |||
{{인용문|제육을 더욱 장기적으로|제육볶음이 1달에 2번 밖에 나오지 않는 구내식당 식단표가 공개되자}} | |||
== 둘러보기 == | |||
{{일본국의 도도부현지사 (민국 38)}} | |||
---- | ---- | ||
[[분류:민국 38/인물]][[분류:민국 38/정치]] | [[분류:민국 38/인물]][[분류:민국 38/정치]] |
2023년 5월 6일 (토) 08:40 판
| ||
[ 펼치기 · 접기 ] |
- 연습장:Sindan:허브 · 종합
- 연습장:Sindan/1:민국 38/1
- 연습장:Sindan/2:민국 38/2
- 연습장:Sindan/3:민국 38/인물
- 연습장:Sindan/4:보관소
- 연습장:Sindan/5:카게사가시 - 빌펠
몽골 령도자
아사드
김촌정은
장면
역대 총리
- ↑ 몽골어로는 ᠵᠧᠴᠦᠨ ᠯᠣᠪᠠᠰᠤᠨ ᠢ ᠺᠠᠮᠫᠠ ᡀᠦᠨᠵᠦᠪ ᠴᠣᠺ ᠤᠢ ᠭᠧᠯᠫᠣ 이다.
- ↑ 2005년 출생, 2017년 사망
- ↑ 몽골어로는 자간 바담량화.
- ↑ 이전까지의 젭춘담바 후툭투들은 모두 티베트 태생의 티베트인이었다.
- ↑ 당시 점지된 풍경이 보얀트구에 위치한 "보얀트 강"이었다고 한다.
- ↑ 그녀의 집은 게르였으며 당연하게도 원룸이었다.
- ↑ 1960년 출생
- ↑ 1962년 출생, 1994년 사망
- ↑ 1966년 출생, 2009년 사망
- ↑ 1967년 출생
- ↑ 조선공산당 반란사태 당시 제3군의 사령관이었다.
- ↑ 기타리스트라고 한다
- ↑ 법적인 이름은 남편의 성을 따서 가네무라 히메이지만 활동명은 결혼 이전의 성인 다카다를 유지했다.
- ↑ 현대 일본에서 범 자유주의 계열을 대표하는 민주당은 이전에는 반미 민족주의 성향의 정당이었고 지속적인 군비확충을 지지하였기에 올림픽 작전의 영향을 직격으로 맞은 오이타현에서 현재까지도 별 맥을 못추고 있다.
- ↑ 차후 이 사민당계 무소속 후보는 가네무라 후보를 지지하며 사퇴하였다.
- ↑ 여담이지만 해당 통일지방선거에서 가네무라의 후임으로 히타시의원에 당선된 인물이 일전의 사민당계 무소속 후보(사민당에 복당함) 였다고 한다.
- ↑ 한명은 사민당 후보.
- ↑ 이 당시 본인도 중고등학생 자녀들을 둔 아버지로써의 면모를 보이며 학부모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 ↑ 민주당, 사회민주당 지지
- ↑ 종로구
- ↑ 종로구 을
- ↑ 단, 어릴 때 인천으로 이주해서 살았기에, 실질적 고향은 경기도 인천부(현 인천광역시)였다.
- ↑ 황상(凰顙)파 14세. 인동 장씨 31세.
- ↑ 주 교황청 대사 겸임
- ↑ 조선인민당 (1948. 5. 31. ~ 1950. 5. 30.).
- ↑ 한국독립당 (1950. 5. 31. ~ 1954. 5. 30.).
- ↑ 한국사회당 (1954. 2. 16. ~ 1956. 9. 20.).
- ↑ 한국독립당 (1956. 9. 21. ~ 1962. 9. 11.).
- ↑ 한국독립당 (1962. 9. 11. ~ 1965. 4. 16.).
- ↑ 한국독립당 (1965. 4. 16. ~ 1966. 3. 5.).
- ↑ 한국사회당 (1968. 8. 16. ~ 1979. 10. 26.).
- ↑ 한국사회당 (1979. 10. 26. ~ 1981. 1. 24.).
- ↑ 한국독립당 (1981. 1. 25. ~ 1989. 7. 4.).
- ↑ 한국독립당 (1989. 7. 5. ~ 1993. 1. 16.).
- ↑ 한국독립당 (1996. 1. 24. ~ 2000. 1. 23.).
- ↑ 한국사회당 (2000. 1. 24. ~ 2003. 2. 27.).
- ↑ 한국사회당 (2003. 2. 27. ~ 2007. 8. 18.).
- ↑ 한국독립당 (2007. 8. 19. ~ 2013. 3. 4.).
- ↑ 한국사회당 (2013. 3. 5. ~ 2014. 7. 13.).
- ↑ 한국독립당 (2014. 7. 14. ~ 2016. 3. 27.).
- ↑ 한국사회당 (2016. 3. 28. ~ 2019. 10. 22.).
- ↑ 한국사회당 (2019. 10. 22. ~ 2021. 9. 25.).
- ↑ 한국독립당 (2021. 9. 26. ~ 2023. 3. 18.).
- ↑ 한국독립당 (2023. 3. 18. ~ 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