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신단/연습장}} | {{신단/연습장}} | ||
{{인용문|이 나라에 베랴시나<ref>Бериящина, "베리야의 범죄"라는 뜻의 러시아어 단어로 '''문화대혁명'''을 의미한다.</ref>의 시대가 점점 다가오고 있음은 확실하다.|니콜라이 수슬로프, 사망 몇 시간 전인 9일 오후 4시에 신문사인 노바야 가제타(Новая Газета)에 기고한 마지막 칼럼의 말미에서.}} | |||
= 몽골 령도자 = | = 몽골 령도자 = | ||
327번째 줄: | 329번째 줄: | ||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이타현, 그중에서도 히타시에서 20년 동안 활동한 지역 정치가인 자신의 지지기반을 바탕으로 히타시 의회와 시장을 모두 야권인물로 당선시키는 등 건재함을 입증하였으며 교육조례 개정안에 대하여 열변을 토하는 등<ref>이 당시 본인도 중고등학생 자녀들을 둔 아버지로써의 면모를 보이며 학부모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ref> 열정적인 정치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이타현, 그중에서도 히타시에서 20년 동안 활동한 지역 정치가인 자신의 지지기반을 바탕으로 히타시 의회와 시장을 모두 야권인물로 당선시키는 등 건재함을 입증하였으며 교육조례 개정안에 대하여 열변을 토하는 등<ref>이 당시 본인도 중고등학생 자녀들을 둔 아버지로써의 면모를 보이며 학부모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ref> 열정적인 정치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 ||
2028년 3월 21일 사토 현지사가 비리 의혹으로 인해 사임하자 6월에 있을 재보궐선거에서 '''차기 오이타현지사에 출마함을 공식적으로 선언하였다.''' 이번 재보궐선거가 중의원 의원 총선거와 동시에 치뤄지는 만큼 야권 공투가 총선뿐만 아니라 지방선거에서도 영향을 미칠것이라는 관측이 있기에 범야권 후보들과의 단일화 여부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일각에서는 그가 소수정당인 녹색당 소속이라는 점을 들어 민주당 등 거대 야당이 밀어주는 후보들에 눌려 후보로 선출되지 못할 것이라는 비관적인 관측도 많았으나 상대 후보인 아다치 기요시를 11.08%p 차이로 넉넉하게 제치면서 | 2028년 3월 21일 사토 현지사가 비리 의혹으로 인해 사임하자 6월에 있을 재보궐선거에서 '''차기 오이타현지사에 출마함을 공식적으로 선언하였다.''' 이번 재보궐선거가 중의원 의원 총선거와 동시에 치뤄지는 만큼 야권 공투가 총선뿐만 아니라 지방선거에서도 영향을 미칠것이라는 관측이 있기에 범야권 후보들과의 단일화 여부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일각에서는 그가 소수정당인 녹색당 소속이라는 점을 들어 민주당 등 거대 야당이 밀어주는 후보들에 눌려 후보로 선출되지 못할 것이라는 비관적인 관측도 많았으나 상대 후보인 아다치 기요시를 11.08%p 차이로 넉넉하게 제치면서 야권 단일 후보로 선출되었다. | ||
그는 이소자키 요스케 자유당 후보의 여러 논란들을 집요하게 물고 늘어짐과 동시에 그의 발언들을 공격했고 교육혁신과 지역 공단들에 대한 온실가스 저감시설 의무화 및 설치비용 지원등을 공약하며 치열한 선거 운동을 벌였고 그 결과 51.34%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46.91%를 얻은 이소자키 요스케 자유당 후보를 밀어내고 제36대 오이타현지사로 당선되었다. | 그는 이소자키 요스케 자유당 후보의 여러 논란들을 집요하게 물고 늘어짐과 동시에 그의 발언들을 공격했고 교육혁신과 지역 공단들에 대한 온실가스 저감시설 의무화 및 설치비용 지원등을 공약하며 치열한 선거 운동을 벌였고 그 결과 51.34%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46.91%를 얻은 이소자키 요스케 자유당 후보를 밀어내고 제36대 오이타현지사로 당선되었다. | ||
338번째 줄: | 340번째 줄: | ||
|- | |- | ||
|} | |} | ||
== 논란 == | |||
=== 2021년 도지코인 폭락사태 당시 일론 머스크 비하발언 === | |||
[https://www.youtube.com/watch?v=Rq16tblvGc0 "미국의 늙다리 미치광이를 불로 다스릴 것" 한국계 日 정치인 도지코인 폭락에 망언] | |||
== 선거 이력 == | == 선거 이력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10pt; float: center;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border: 2px solid #be0428"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10pt; float: center;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border: 2px solid #be0428" |
2023년 5월 26일 (금) 22:49 판
| ||
[ 펼치기 · 접기 ] |
- 연습장:Sindan:허브 · 종합
- 연습장:Sindan/1:민국 38/1
- 연습장:Sindan/2:민국 38/2
- 연습장:Sindan/3:민국 38/인물
- 연습장:Sindan/4:보관소
- 연습장:Sindan/5:카게사가시 - 빌펠
이 나라에 베랴시나[1]의 시대가 점점 다가오고 있음은 확실하다. 니콜라이 수슬로프, 사망 몇 시간 전인 9일 오후 4시에 신문사인 노바야 가제타(Новая Газета)에 기고한 마지막 칼럼의 말미에서. |
몽골 령도자
아사드
김촌정은
장면
역대 총리
- ↑ Бериящина, "베리야의 범죄"라는 뜻의 러시아어 단어로 문화대혁명을 의미한다.
- ↑ 몽골어로는 ᠵᠧᠴᠦᠨ ᠯᠣᠪᠠᠰᠤᠨ ᠢ ᠺᠠᠮᠫᠠ ᡀᠦᠨᠵᠦᠪ ᠴᠣᠺ ᠤᠢ ᠭᠧᠯᠫᠣ 이다.
- ↑ 2005년 출생, 2017년 사망
- ↑ 몽골어로는 자간 바담량화.
- ↑ 이전까지의 젭춘담바 후툭투들은 모두 티베트 태생의 티베트인이었다.
- ↑ 당시 점지된 풍경이 보얀트구에 위치한 "보얀트 강"이었다고 한다.
- ↑ 그녀의 집은 게르였으며 당연하게도 원룸이었다.
- ↑ 1960년 출생
- ↑ 1962년 출생, 1994년 사망
- ↑ 1966년 출생, 2009년 사망
- ↑ 1967년 출생
- ↑ 조선공산당 반란사태 당시 제3군의 사령관이었다.
- ↑ 기타리스트라고 한다
- ↑ 법적인 이름은 남편의 성을 따서 가네무라 히메이지만 활동명은 결혼 이전의 성인 다카다를 유지했다.
- ↑ 현대 일본에서 범 자유주의 계열을 대표하는 민주당은 이전에는 반미 민족주의 성향의 정당이었고 지속적인 군비확충을 지지하였기에 올림픽 작전의 영향을 직격으로 맞은 오이타현에서 현재까지도 별 맥을 못추고 있다.
- ↑ 차후 이 사민당계 무소속 후보는 가네무라 후보를 지지하며 사퇴하였다.
- ↑ 여담이지만 해당 통일지방선거에서 가네무라의 후임으로 히타시의원에 당선된 인물이 일전의 사민당계 무소속 후보(사민당에 복당함) 였다고 한다.
- ↑ 한명은 사민당 후보.
- ↑ 이 당시 본인도 중고등학생 자녀들을 둔 아버지로써의 면모를 보이며 학부모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 ↑ 민주당, 사회민주당 지지
- ↑ 종로구
- ↑ 종로구 을
- ↑ 단, 어릴 때 인천으로 이주해서 살았기에, 실질적 고향은 경기도 인천부(현 인천광역시)였다.
- ↑ 황상(凰顙)파 14세. 인동 장씨 31세.
- ↑ 주 교황청 대사 겸임
- ↑ 조선인민당 (1948. 5. 31. ~ 1950. 5. 30.).
- ↑ 한국독립당 (1950. 5. 31. ~ 1954. 5. 30.).
- ↑ 한국사회당 (1954. 2. 16. ~ 1956. 9. 20.).
- ↑ 한국독립당 (1956. 9. 21. ~ 1962. 9. 11.).
- ↑ 한국독립당 (1962. 9. 11. ~ 1965. 4. 16.).
- ↑ 한국독립당 (1965. 4. 16. ~ 1966. 3. 5.).
- ↑ 한국사회당 (1968. 8. 16. ~ 1979. 10. 26.).
- ↑ 한국사회당 (1979. 10. 26. ~ 1981. 1. 24.).
- ↑ 한국독립당 (1981. 1. 25. ~ 1989. 7. 4.).
- ↑ 한국독립당 (1989. 7. 5. ~ 1993. 1. 16.).
- ↑ 한국독립당 (1996. 1. 24. ~ 2000. 1. 23.).
- ↑ 한국사회당 (2000. 1. 24. ~ 2003. 2. 27.).
- ↑ 한국사회당 (2003. 2. 27. ~ 2007. 8. 18.).
- ↑ 한국독립당 (2007. 8. 19. ~ 2013. 3. 4.).
- ↑ 한국사회당 (2013. 3. 5. ~ 2014. 7. 13.).
- ↑ 한국독립당 (2014. 7. 14. ~ 2016. 3. 27.).
- ↑ 한국사회당 (2016. 3. 28. ~ 2019. 10. 22.).
- ↑ 한국사회당 (2019. 10. 22. ~ 2021. 9. 25.).
- ↑ 한국독립당 (2021. 9. 26. ~ 2023. 3. 18.).
- ↑ 한국독립당 (2023. 3. 18. ~ 2026. 4. 16.).
- ↑ 한국독립당 (2023. 4. 16. ~ 2027. 9. 3.).
- ↑ 한국사회당 (2027. 9. 4. ~ 2029. 5. 22.).
- ↑ 한국독립당 (2029. 5. 23. ~ 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