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실용 문서입니다. 사실에 기반하지 않은 편집은 할 수 없습니다. | ×
|
이 문서는 그람시 재단의 관리 하에 있는 실용 문서입니다.
해당 문서는 그람시 재단의 소속 인원 외의 인원도 자유로이 편집할 수 있습니다.
해당 문서는 그람시 재단의 소속 인원 외의 인원도 자유로이 편집할 수 있습니다.
1.개요
마르크스주의 철학(영어: Marxist school)은 카를 마르크스가 남긴 철학적인 저작들을 바탕으로 현대 사회, 특히 자본주의 체제를 비판적으로 분석, 비판하여 공산주의 사회로 나아가는데 아이디어를 제공하기 위해 발흥한 대륙철학의 한 조류이다.
현재는 비교적 비주류로 밀려난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이나 정치적인 의미의 공산주의와 달리, 철학계에서는 여전히 마르크스주의가 주류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마르크스의 영향을 받은 철학자들은 더욱 많기 때문에 큰 변수가 없다면 대학 강단에서 마르크스주의 철학은 지속적으로 쥬류를 유지할 것으로 보여진다.
2.원류 마르크스주의의 개념
하나의 유령이 유럽을 배회하고 있다. 공산주의라는 이름의 유령이. 구유럽의 모든 세력들, 즉 교황과 차르, 메테르니히와 기조, 프랑스의 급진파와 독일의 경찰이 이 유령을 사냥하려고 신성 동맹을 맺었다. 반정부당치고, 정권을 잡고 있는 자신의 적들로부터 공산당이라는 비난을 받지 않은 경우가 어디 있는가? 또 반정부당치고, 더 진보적인 반정부당이나 반동적인 적들에 대해 거꾸로 공산주의라고 낙인 찍으며 비난한지 않는 경우가 어디 있는가? 이 사실로부터 두 가지 결론이 나온다. 공산주의는 이미 유럽의 모든 세력들에게서 하나의 세력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제 공산주의자들이 전세계를 향해 자신의 견해와 자신의 목적과 자신의 경향을 공개적으로 표명함으로써, 공산주의의 유령이라는 소문을 당 자체의 선언으로 대치해야 할 절호의 시기가 닥쳐왔다. 이러한 목적으로 다양한 국적을 가진 공산주의자들이 런던에 모여서 다음과 같은 『선언』 을 입안하고 그것을 영어, 프랑스 어, 독일어, 이탈리아 어, 플랑드르 어와 덴마크 어로 발간한다. 카를 마르크스, <공산당 선언> (1848) 中 |
2.1.노동과 유물론
2.2.역사발전 오단계론
2.3.인간소외
2.4.이데올로기
2.5.계급투쟁
2.6.공산주의 사회
3.마르크스 사후의 흐름
3.1.19세기~20세기 초 마르크스주의 사상
3.2.서구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대두
3.3.프랑크푸르트 학파와 비판이론
3.4.68혁명과 포스트마르크스주의
3.5.탈냉전기와 현재
4.주요 분파
- 원류 마르크스-레닌주의
- 비판이론
- 68혁명 이후 프랑스 마르크스주의
- 이탈리아 자율주의
- 여타 서구마르크스주의
- 영미 분석마르크스주의
5.비판
5.1.루이 알튀세르의 문제 제기
5.2.테오도어 아도르노의 문제 제기
5.3.발터 벤야민의 역사철학테제
5.4.칼 포퍼의 열린사회론
5.5.한나 아렌트의 전체주의론
5.6.포스트모더니즘의 문제 제기
6.오해
7.주요 인물
- 카를 마르크스
- 프리드리히 엥겔스
- 카를 카우츠키
- 블라디미르 레닌
- 레프 트로츠키
- 로자 룩셈부르크
- 표트르 크로포트킨
- 안토니오 그람시
- 게오르크 루카치
- 발터 벤야민
- 장폴 사르트르
- 시몬 드 보부아르
- 알베르 카뮈
- 테오도어 아도르노
- 막스 호르크하이머
- 에리히 프롬
- 루이 알튀세르
- 헤르베르트 마르쿠제
- 위르겐 하버마스
- 알랭 바디우
- 자크 랑시에르
- 에티엔 발리바르
- 안토니오 네그리
- 마리오 트론티
- 악셀 호네트
- 롤랑 바르트
- 피에르 부르디외
-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
- 장 보드리야르
- 질 들뢰즈
- 펠릭스 가타리
- 샹탈 무페
- 에르네스토 라클라우
- 슬라보예 지젝
- 조르조 아감벤
- 주디스 버틀러
- 강신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