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5대 충칭시장 보시라이 | |
---|---|
출생 | 1949년 7월 3일 (80세) |
베이핑시 중앙병원 (現 베이핑시 시청구 서직문남대가11호 베이징대학제2병원) | |
현직 | |
재임기간 | 제4대 충칭시장 |
2006년 12월 25일 ~ 2010년 12월 24일 | |
제5대 충칭시장 | |
2010년 12월 25일 ~ 2012년 3월 15일[2] | |
서명 | |
링크 | |
[ 펼치기 · 접기 ]
|
1.개요
중국의 정치인, 범죄자. nn대 다롄 시장, 입법위원, 재선 충칭시장, 중국공산당 총서기 등을 역임하였다.
중국공산당 "8대 원로"인 보이보의 아들로 다롄시장, 충칭시장으로 재임하면서 펼친 과감한 좌파 정책을 통해 엄청난 인기를 구사하였고 마잉주 정부 하에서 실시된 제5대 지방공직인원선거를 대승으로 이끌었으며 당 내외에서 뉴트 깅리치의 "공화당 혁명"에 비견되는 이른바 "구구홍풍(九九紅風, 민국 99년의 홍풍)"이라는 평을 받으며 차기 총서기와 대권주자로 급부상하였다.
그러나 강경한 좌익 포퓰리즘 행보와 수많은 논란으로 인해 전통적인 우당(友黨)인 중국민주당이 1960년 선거연대 시작 이래 최초로 선거 연대를 거부한 상황에서 대선에서 생각보다 큰 표차로 패배하였으며 동시에 치뤄진 제19대 입법위원 선거, 제nn대 국민대회 대표 선거 역시 참패하였다.
총통 선거 패배 이후 심복 왕리쥔이 청두 미국 대사관으로 도피하자 치안 관할권과 외교적 결례를 무시하고 충칭시 경찰 병력으로 쓰촨 청두 미 대사관을 포위하는 왕리쥔 사건을 일으켰으며 결국 그와 그의 아내 구카이라이의 권력남용, 부패, 살인교사 등의 행적이 폭로됨에 따라 시장직을 내려놓고 당에서 제명되었다.
2013년 9월 부패 혐의로 무기징역이 선고되었으나 2017년 가석방되었고 2024년 사면 및 복권되었다.[11] 출소 이후에는 정치적 발언이나 행동을 삼가고 있으며 지지자들이 창당한 중국지헌당이나 보시라이의 무고를 밝히는 모임 등에도 관여하지 않는것으로 알려졌다.
2.약력
3.생애
4.평가
5.비판 및 논란
5.1.보시라이 게이트
6.여담
7.어록
8.선거 이력
9.소속 정당
10.둘러보기
보시라이 관련 틀 |
---|
[ 펼치기 · 접기 ]
|
틀:제17대 입법위원/랴오닝성 (민국 38) 틀:제17대 입법위원/중국공산당 (민국 38) 틀:중국 사회주의 관련 문서 (민국 38) 틀:중국 신좌파 관련 문서 (민국 38)
- ↑ 보시라이의 지지자들이 창당한 정당으로 종신주석으로 추대되었으나 수락 및 입당 수락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다.
- ↑ 보시라이 게이트(중국식으로는 보시라이 사건(薄熙來事件)으로 인해 사임. 정상적으로 임기를 마쳤을 시의 퇴임일은 2014년 12월 24일.
- ↑ 희(熙) 항렬.
- ↑ 보시잉은 아버지 보이보의 전처 리루밍의 소생으로 배다른 남매이고 유수친은 보이보의 수양딸이다.
- ↑ 1950년생으로 산시성(산서성) 출신 중공 고위 간부 리쉐펑의 딸이다. 1976년 보시라이와 결혼하여 1977년에 아들 보왕즈(나중에 리왕즈로 개명)을 낳았고, 1984년에 이혼했다.
- ↑ 1958년생으로 12.9 운동의 주도자 중 한명인 중공 간부 구징성의 딸이다. 1986년 결혼하여 1987년 아들인 보과과를 낳았다.
- ↑ 종종 자신을 관부성을 써서 보구카이라이(薄谷開來)라고 칭하기도 한다.
- ↑ 리단위 소생으로 본명은 보왕즈이나 어머니를 버린 아버지를 증오하여 성을 어머니를 따라 리씨로 바꿨다.
- ↑ 구카이라이 소생으로 현재 캐나다에 거주하고 있다.
- ↑ 2012년에 중국공산당에서 제명되었으며 2013년 그의 지지자들이 창당한 중국지헌당의 주석으로 추대되었으나 입당 여부는 불명이다.
- ↑ 이에 대해 당내 중도파이자 후진타오 전 총통의 직계인 후춘화 총통이 공산당 재집권으로 인한 피로감과 지지율 하락에 대응하여 당내 좌파를 자신의 편으로 끌어들임과 동시에 당내 우파이자 보시라이와 사이가 나쁜 왕양 입법원장과 그 계파를 견제하려 했다는 평이있다.
- ↑ 의원직 사퇴(충칭시장 출마).
- ↑ 보궐선거에 의한 당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