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펼치기 · 접기 ] |
1.개요
조선 중앙인민위원회에서 수여하는 상훈제도의 일종. 칭호, 훈장, 상, 메달, 휘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2.역사
조선의 근대적 훈장 제도는 리조 말기 대한제국 시기였던 1900년 4월 17일, 고종이 대한제국 칙령 제13호 훈장조례(勳章條例)을 반포하며 실시되었다.
리조의 훈장 제도는 일본의 훈장 제도에 큰 영향을 받았다. 총 7종의 훈장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각 훈장에는 훈위(勳位)와 훈등(勳等)을 제정하여 그 순위와 등급에 맞춰 공로를 매기고 그것에 맞춰 훈장을 수여하였다. 훈등은 크게 3가지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훈등 중에서 가장 높은 등급은 대훈위(大勳位)였으며 그 아래에는 총 8등급의 훈(勳), 공(功)이 있었다. 이러한 훈장 제도는 1910년 8월 29일 경술국치를 기점으로 폐지되었다.
1948년 10월 2일, 조선 최초의 훈장인 국기훈장이 제정되면서 시작된 현대 조선의 훈장 제도는 조선 건국 당시 큰 영향을 끼친 소련의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1950년 6월 30일 조선전쟁 발발 직후 제정된 조선 최초의 영웅칭호 공화국영웅은 소련의 소비에트 연방 영웅에 영향을 받아 제정되었다. 그 영향 탓에 현재도 공화국영웅은 크나큰 공훈을 세운 민간인을 제외하면 대부분 군인들을 대상으로 수여되고 있으며 민간인들은 주로 소련의 사회주의노력영웅에 영향을 받아 제정된 로력영웅을 주로 수여받는다.
1995년 8월 3일에는 초대 조선 국가주석인 박헌영의 이름이 들어간 최초의 훈장인 박헌영훈장이 제정되었으며 같은 날짜에 박헌영상 또한 함께 제정되었다. 2년 뒤인 1997년 5월 8일에는 청년들과 사로청 단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수여되는 박헌영청년영예상과 어린이들과 조선소년단 단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수여되는 박헌영소년영예상이 새롭게 제정되었다.
3.영웅칭호
3.1.공화국영웅
공화국영웅의 금별 |
---|
조선 최고의 훈장 겸 칭호. 1950년 6월 30일 조선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 '최고의 영예인 조선 인민 공화국 영웅 칭호를 재정함에 관하여'를 통해 제정되었다. 동년 7월 15일 12명이 최초로 수여받았으며 현재 3,876명이 공화국영웅 칭호를 수여받았다.
3.2.로력영웅
로력영웅의 금별 |
---|
공화국영웅 다음 가는 조선의 훈장 겸 칭호. 1951년 7월 17일 제정되었다.
4.훈장
4.1.박헌영훈장
4.2.국기훈장
4.3.로력훈장
4.4.자유독립훈장
4.5.전사의 영예훈장
4.6.리순신장군훈장
4.7.군사복무영예훈장
4.8.군수복무영예훈장
4.9.철도복무영예훈장
4.10.석탄광업복무영예훈장
4.11.수산복무영예훈장
4.12.기타 훈장
5.상
5.1.박헌영상
5.2.박헌영청년영예상
5.3.박헌영소년영예상
5.4.조국통일상
6.메달
6.1.군공메달
6.2.공로메달
6.3.군사복무영예메달
6.4.농업공로메달
6.5.기타 메달
7.휘장
7.1.조선인민군창건 20주년 기념휘장
7.2.천리마휘장
7.3.새마을휘장
8.기타 칭호
8.1.명예칭호
- 명예배우
- 명예예술가
8.2.공훈칭호
- 공훈배우
- 공훈체육인
- 공훈예술가
- 공훈의사
- 공훈어부
- 공훈기자
- 공훈광부
- 공훈약제사
- 공훈철도수송원
- 공훈설계가
- 공훈교원
8.3.인민칭호
- 인민배우
- 인민예술가
- 인민방송원
- 인민체육인
- 인민설계가
- 인민기자
- 인민과학자
- 인민교원
- 인민의사
- 인민약제사
9.관련 문서
10.둘러보기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