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펼치기 · 접기 ]
|
대한민국의 제3지대·진보정당 | ||||
---|---|---|---|---|
진보당 (개별 합류)
|
→ | 새진보통합연대 | → | 현재 |
새진보통합연대 | |
---|---|
영문 명칭 | United Solidarity for New Progress |
등록 약칭 | 통연, 새통연 |
슬로건 | 좌도 우도 아닌 앞으로 진보의 마지막 불씨 |
고유번호 | 107-82-16814 |
등록일 | 2024년 2월 4일 |
주소 |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70길 7 동아빌딩 5층 | |
대표 | 이기중 / 초선 (21대) |
원내대표 | 이혁재 / 3선 (19·21-22대) |
사무총장 | 최재연 |
정책위의장 | 박원석 / 재선 (19·21대) |
국회의원 | 1석[1] / 300석 (0.3%) |
광역단체장 | 0석 / 17석 (0.0%) |
기초단체장 | 0석 / 226석 (0.0%) |
광역의회의원 | 4석[2] / 872석 (0.4%) |
기초의회의원 | 8석[3] / 2,988석 (0.3%) |
당색 | 노란색 (#FFED00) |
황금색 (#FFCC00) | |
이념 | 사회민주주의 제3의길 중도주의 |
정치적 스펙트럼 | 중도 ~ 중도좌파 |
정책연구소 | 정의정치연구소 |
청년조직 | 청년통합연대 |
당원 수 | 33,271명 (2024년 5월 기준) |
진성당원 수 | 7,400명 (2024년 5월 기준) |
1.개요
대한민국의 제3지대, 진보 정당이다.
2024년 22대 총선을 앞두고 심상정 의원과 그를 주축으로 한 일부 현역의원들이 공천에 번복하며 진보당에서 탈당해 창당하였다.
2.역사
2.1.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심상정 공동대표는 목표는 제1당이라 호기롭게 부르짖으며 노동자들이 밀집한 지역구인 울산 북구 출마를 선언했다. 홍영표, 류호정, 박원석, 신동근 등 전현직 의원들이 입당해 50석 이상을 확보하겠다는 다짐도 가졌다.
그러나 창당 이후 "진보당에서 권력투쟁에 밀린 사람들"에서부터 "겉은 빨갛고 속은 푸르딩딩한 사과"라는 등 부정적인 반응이 쏟아졌고, 초기 5%에 달하던 지지율도 2%대로 주저앉아 반등하지 못했다.
결국 심상정은 자신의 지역구에서 13%에 불과한 득표를 해 참패했으며, 당선가능성이 있다고 분석된 신동근, 홍영표 역시 30%대의 장벽을 넘지 못하며 낙선했다. 배복주, 류호정 등도 모두 지역구 한자릿수 득표에 그치며 낙선했다.
그나마 세종시 갑 선거구에 출마한 이혁재 의원만이 유일하게 당선되었지만, 이 지역구는 진보당 이영선 후보의 부동산 허위신고로 인해 당에서 제명되며 어부지리 승리를 얻은 것에 가깝다. 더구나 이혁재 의원은 당선되자마자 진보당 의원들과 행보를 함께하는 등 탈당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3.성향
4.정파
[ 펼치기 · 접기 ]
|
현재 새진보통합연대 중앙당에 등록된 정파는 다음과 같다.
5.상징
6.다른 정당과의 관계
7.역대 지도부
7.1.창당준비위원회
2024년 1월 16일 ~ 2024년 2월 3일
7.2.초대 지도부
2024년 2월 4일 ~ 2024년 4월 18일
7.3.비상대책위원회
2024년 4월 18일 ~ 2024년 7월 14일
7.4.제2대 지도부
2024년 7월 14일 ~
8.역대 전당대회
9.소속 인물
9.1.국회의원
9.2.인재영입
10.역대 선거
10.1.제22대 국회의원 선거
10.1.1.후보자 목록
10.2.202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10.2.1.후보자 목록
11.소속 의원
12.논란
13.지지 기반
14.지지율
댓글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