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카오 (민국 38)

[ 문서 보기 ]
[ 세계관 설명 ]
[ 세계관 설명 ]
중국이 제국주의에 의해서 망한다면
중국인은 망국의 인간으로 살아가게 될 것이다.
그러나 중국이 공산주의에 의해서 망한다면
중국인은 노예로도 살아갈 수 없을 것이다.
민국 38(民國三十八)은 가장 대표적인 대체역사 소재 중 하나인 중화민국국공내전 승리를 가정한 세계관 입니다.
민국 38년(1949년) 중화민국의 국공내전 승리 이후 중국과 동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변화한 여러 정치, 사회, 문화, 역사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중화민국
[ 펼치기 · 접기 ]

마카오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중국 (민국 38)의 기 중국의 특별행정구
중화민국 마카오 특별행정구
中華民國澳門特別行政區
Região Administrativa Especial de Macau
da República da China
깃발 휘장
璀璨的荷花之都
빛나는 연꽃의 도시
상징
국가 중화민국 국가
국화 연꽃
역사
[ 펼치기 · 접기 ]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노사세뇨라드파티마 당구
최대도시
면적 31.3km2 | 세계 182위
내수면 비율 4.6%
접경국 중국 (민국 38)의 기 중국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 인구 682,300명(2022년) | 세계 163위
민족 구성
중국인 (88.4%)
필리핀인 (4.6%)
베트남인 (2.4%)
포르투갈인 (1.7%)
기타 (2.8%)
인구 밀도
21,340명/km2
출산율 0.89명 (2021년)
기대수명
83.3세 (2021년)
언어 공용어 포르투갈어, 중국어(사실상 광둥어)
공용문자
로마자, 한자
종교 국교 없음 (정교 분리)
분포 민속 종교 58.9%
불교 17.3%
기독교 7.2%
이슬람 0.2%
기타 종교 1.0%
무종교 15.4%
군대 없음[1]
인간개발지수 0.922(2020년) | very high | 세계 17위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당구 8개 당구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중화민국의 특별행정구, 단일제, 의원내각제, 단원제, 대륙법계
민주주의 지수 7.18점, 결함있는 민주주의 (2021년)
(167개국 중 40위, 아시아 7위)
중국 총통
(국가원수)
후춘화
정부
요인
행정장관
(정부수반)
호얏셍
입법회 주석
쿠호이인
행정법무부
장관
안드레 정웽촌
여당 틀:건제파(마카오) (민국 38)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 체제 자본주의시장 경제
GDP
(PPP)
전체 $468억 3,000만(2022년 IMF 기준) | 세계 116위
1인당 $67,475(2022년 IMF 기준) | 세계 13위
GDP
(명목)
전체 $292억 2,300만(2022년 IMF 기준) | 세계 102위
1인당 $42,107(2022년 IMF 기준) | 세계 25위
국부 $603억 2,700만(2020년) | 세계 50위
무역 수출 $14억 5,000만(2020년)
수입 $115억 5,000만(2020년)
외환보유액 $201억 7,000만(2020년)
신용 등급 무디스 Aa3
S&P AA
Fitch AA+
화폐
공식 화폐
마카오 파타카(MOP$, 澳門幣)
ISO 4217
MOP
국가
예산
1년 세입
$27억 504만(2020년)
1년 세출
$10억 6,933만(2020년)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연호 서력기원[2]
시간대 UTC+8 (마카오 시간)
도량형 SI 단위
외교
[ 펼치기 · 접기 ]
유엔 가입 2000년 10월 10일 (참관국)[3]
무비자입국 양측 모두 90일
주한중국대사관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2길 27
ccTLD
.mo, .mo.cn, .澳門
국가 코드
MO, MAC
행정구역 한자 약칭
국제전화코드
+853
차량 통행 방향
왼쪽
위치

지도를 불러오는 중...

개요

8K로 촬영된 마카오의 모습

중화민국 마카오 특별행정구(中華民國澳門特別行政區, Região Administrativa Especial de Macau), 약칭 마카오(澳門, Macau)는 동아시아의 도시이자 중화민국에 속한 특별행정구이다. 전신은 포르투갈의 식민지였던 포르투갈령 마카오였다. 수백 년 전부터 포르투갈인들이 지어온 남유럽풍 고건축과 문화가 남아있어 이색적인 분위기를 간직하고 있어 여러모로 관광객들을 끌어들여 관광 산업이 발달해 있다. 이베리아 반도와 중국을 동시에 느낄 수 있다. 역사적인 이유로 인해 마카오는 중국 영토이지만 일국양제가 시행되어 많은 부분에서 본토인 중국 대륙과 분리되어 있다. 마카오는 몇몇 국가 대표팀도 중국과는 별도로 가지고 있고 국제기구에도 중국과는 별도로 가입할 자격이 주어진다.

상징

명칭

깃발

휘장

상징가

역사

자연환경

인문환경

행정구역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단위

창작물

  1. 주마카오 중화민국 해군이 방위를 전담하고 있으며 이외의 무장경찰과 국경경찰등의 준군사 조직은 마카오 행정부가 운용 중이다.
  2. 영내의 일부 본토계 주민들을 중심으로 민국기년이 쓰이기도 한다.
  3. 홍콩, 청나라 소조정, 간덴포드랑과 동시 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