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락 작전 (민국 38)

[ 문서 보기 ]
[ 세계관 설명 ]
[ 세계관 설명 ]
중국이 제국주의에 의해서 망한다면
중국인은 망국의 인간으로 살아가게 될 것이다.
그러나 중국이 공산주의에 의해서 망한다면
중국인은 노예로도 살아갈 수 없을 것이다.
민국 38(民國三十八)은 가장 대표적인 대체역사 소재 중 하나인 중화민국국공내전 승리를 가정한 세계관 입니다.
민국 38년(1949년) 중화민국의 국공내전 승리 이후 중국과 동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변화한 여러 정치, 사회, 문화, 역사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투 목록 | 아시아/태평양
[ 펼치기 · 접기 ]
※문서가 생성된 전투만 기재
둘러보기 : 유럽 및 아프리카 전선 전투목록
전투 이름 교전국
공격 측 방어 측
1937년
중일전쟁 일본 제국
만주국
몽강연합자치정부
위명국
중국 (민국 38) 중국
중국공산당
대영제국
미국 미국
소련 (민국 38) 소련
몽골 인민 공화국
나치 독일
루거오차오 사건 일본 제국 중국 (민국 38) 중국
제2차 상하이 사변 일본 제국 중국 (민국 38) 중국
장인 전투 일본 제국 중국 (민국 38) 중국
우쑹 전투 일본 제국 중국 (민국 38) 중국
제1차 난징 전투 일본 제국 중국 (민국 38) 중국
1938년
충칭 대공습 일본 제국 중국 (민국 38) 중국
1939년
1939년 동계공세작전 중국 (민국 38) 중국 일본 제국
할힌골 전투 일본 제국
만주국
소련 (민국 38) 소련
몽골 인민 공화국
창사 전투 일본 제국 중국 (민국 38) 중국
1940년
백단대전 중국 (민국 38) 중국 일본 제국
1941년
코 창 해전 비시 프랑스 태국 (민국 38) 태국
진주만 공습 일본 제국 미국 미국
남방작전 일본 제국 미국 미국
대영제국
호주
제1차 괌 전투 일본 제국 미국 미국
웨이크 섬 전투 일본 제국 미국 미국
싱가포르 전투 일본 제국 대영제국
말레이 해전 일본 제국 대영제국
1942년
마셜-길버트 공습 미국 미국 일본 제국
다윈 공습 일본 제국 호주
로스엔젤레스 전투 공격측 불명 미국 미국
자바 해전 일본 제국 미국 미국
대영제국
네덜란드
호주
엘우드 포격 일본 제국 미국 미국
실론 해전 일본 제국 대영제국
둘리틀 특공대 미국 미국 일본 제국
산호해 해전 일본 제국 미국 미국
미드웨이 해전 일본 제국 미국 미국
알류샨 열도 전역 일본 제국 미국 미국
코코다 트랙 전투 일본 제국 미국 미국
호주
과달카날 전역 일본 제국 미국 미국
대영제국
영연방
테나루 전투 일본 제국 미국 미국
대영제국
사보섬 해전 일본 제국 미국 미국
호주
동부 솔로몬 해전 일본 제국 미국 미국
에스페란스 곶 해전 미국 미국 일본 제국
산타크루즈 해전 미국 미국 일본 제국
과달카날 해전 일본 제국 미국 미국
타사파롱가 해전 미국 미국 일본 제국
1943년
비스마르크해 해전 미국 미국 일본 제국
다윈 공습 나치 독일
일본 제국
미국 미국
대영제국
영연방
타라와 전투 미국 미국 일본 제국
콜롬방가라 해전 미국 미국 일본 제국
창더 전투 일본 제국 중국 (민국 38) 중국
부건빌 전역 미국 미국
호주
일본 제국
1944년
글로스터 곶 전투 미국 미국
대영제국
호주
일본 제국
헤일스톤 작전 미국 미국 일본 제국
임팔 전투 일본 제국
자유 인도 임시정부
버마국
대영제국
인도 제국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륙타통작전 일본 제국 중국 (민국 38) 중국
사이판 전투 미국 미국 일본 제국
필리핀 해 해전 미국 미국 일본 제국
제2차 괌 전투 미국 미국 일본 제국
펠렐리우 전투 미국 미국 일본 제국
앙가우르 전투 미국 미국 일본 제국
오보에 작전 미국 미국
대영제국
호주
네덜란드
일본 제국
대만 항공전 미국 미국 일본 제국
필리핀 탈환전 미국 미국 일본 제국
레이테 만 해전 일본 제국 미국 미국
호주
일본 본토 공습 미국 미국 일본 제국
풍선폭탄 공격 일본 제국 미국 미국
1945년
람리 섬 전투 대영제국 일본 제국
페낭 해전 대영제국 일본 제국
도쿄 대공습 미국 미국 일본 제국
이오지마 전투 미국 미국 일본 제국
오키나와 전투 미국 미국
대영제국
일본 제국
구레 군항 공습 미국 미국 일본 제국
시탕 굽이 전투 일본 제국 대영제국
카보네이드 작전 중국 (민국 38) 중국 일본 제국
안후이 공세 중국 (민국 38) 중국 일본 제국
몰락 작전 일본 제국
만주국
몽강연합자치정부
위명국
미국 미국
대영제국
영연방
자유 프랑스
중국 (민국 38) 중국
중국공산당
소련 (민국 38) 소련
몽골 인민 공화국
대한민국 임시정부
열도 대공습 미국 미국 일본 제국
초왜 작전 중국 (민국 38) 중국 일본 제국
쉬저우 공략 작전 중국 (민국 38) 중국 일본 제국
제2차 난징 전투 중국 (민국 38) 중국 일본 제국
위명국
상하이 봉기 중국 (민국 38) 중국
상하이 봉기군
일본 제국
위명국
휴가 작전 소련 (민국 38) 소련
몽골 인민 공화국
일본 제국
만주국
몽강연합자치정부
만주 전략 공세 작전 소련 (민국 38) 소련
몽골 인민 공화국
일본 제국
만주국
남사할린 침공 소련 (민국 38) 소련 일본 제국
만주국
화베이 탈환 작전 중국 (민국 38) 중국 일본 제국
위명국
화베이 국민위원회
반도 진공 작전 소련 (민국 38) 소련
중국 (민국 38) 중국
대한민국 임시정부
일본 제국
가고시마·미야자키 원자폭탄 투하 미국 미국 일본 제국
올림픽 작전 미국 미국 일본 제국
파스텔 작전 미국 미국 일본 제국
홋카이도 진공 소련 (민국 38) 소련 일본 제국
1946년
도호쿠 진공 소련 (민국 38) 소련 일본 제국
코로넷 작전 미국 미국 일본 제국
궁성 사건 일본 제국 육군 항전파 일본 제국
일본 제국 육군 진압파
일본 제국 해군
도쿄 공방전 미국 미국 일본 제국
마츠에 소요 사건 항전파 일본인 폭도 미국 미국
※시기 구분은 전투 및 교전 발생 일자 기준, 전투 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제2차 세계 대전 | 주요 사건
[ 펼치기 · 접기 ]
연표 사건
1936년 3월 라인란트 재무장 | 7월 스페인 내전 발발 | 12월 방공 협정
1937년 7월 루거우차오 사건(중일전쟁 발발) | 8월 상하이 전투 | 12월 난징 전투(난징 대학살) · 파나이 호 사건
1938년 4월~6월 오스트리아 병합 · 1938년 황허 홍수 | 7월~11월 하산 호 전투 · 뮌헨 협정
1939년 5월 할힌골 전투 | 8월 독소 불가침조약 | 9월 폴란드 침공(제2차 세계 대전 발발) · 가짜 전쟁 | 11월 겨울전쟁
1940년 4월 노르웨이 침공 | 5월 프랑스 침공 · 됭케르크 철수작전 | 7월 영국 본토 항공전 | 10월 그리스 침공
1941년 5월 비스마르크 추격전 | 6월 바르바로사 작전(독소전쟁 발발) · 계속전쟁 | 10월 모스크바 공방전 | 12월 진주만 공습(태평양 전쟁 발발) · 말레이 해전 · 남방작전
1942년 4월 둘리틀 특공대 | 6월 청색 작전 · 미드웨이 해전 | 7월 엘 알라메인 전투 | 8월 스탈린그라드 전투 · 과달카날 전역 | 11월 과달카날 해전 · 횃불 작전 · 노르웨이 중수 사건
1943년 1월 카사블랑카 회담 | 2월 제3차 하르코프 공방전 | 4월 바르샤바 게토 봉기 | 7월 쿠르스크 전투 ·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 | 9월 이탈리아 왕국의 항복 및 연합국 전향 | 11월 카이로 회담 · 테헤란 회담
1944년 4월 대륙타통작전 | 6월 바그라티온 작전 · 노르망디 상륙작전(오버로드 작전) · 필리핀 해 해전 · 사이판 전투 | 7월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발퀴레 작전) | 8월 바르샤바 봉기 | 9월 마켓 가든 작전 | 10월 레이테 만 해전 | 12월 벌지 전투
1945년 2월 얄타 회담 · 드레스덴 폭격 · 이오지마 전투 | 3월 도쿄 대공습 · 연합군의 독일 본토 침공 | 4월 베를린 공방전 · 오키나와 전투 | 5월 나치 독일의 항복 | 6월 카보네이드 작전 | 8월 만주 전략 공세 작전 · 열도 대공습 | 9월 반도 진공 작전 | 10월 가고시마·미야자키 원자폭탄 투하 | 11월 올림픽 작전 · 파스텔 작전 | 12월 홋카이도 진공
1946년 3월 도호쿠 진공 | 5월 코로넷 작전 | 8월 도쿄 공방전 · 일본의 항복 | 9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 매년 전황·추세 등 상세한 내용은 연표 해당 연도 참고
몰락 작전
ダウンフォール作戦
Operation Downfall
▲ 몰락 작전 전개도
기간
1945년 8월 17일[1] ~ 1946년 8월 15일[2]
장소
한반도, 만주, 류큐 등을 포함한 일본 제국 전역
원인
일본 제국의 포츠담 선언 거부
트리니티 실험의 실패로 인한 원자폭탄 투하 연기[3]
교전국
[ 펼치기 · 접기 ]
미국의 기 미국
필리핀 자치령
영국
인도 제국
캐나다 자치령
오스트레일리아 자치령
뉴질랜드 자치령
자유 프랑스

카보네이드 작전
중국 (민국 38)의 기 중국
중국공산당

휴가 작전
소련 (민국 38)의 기 소련
몽골 인민 공화국

반도 진공 작전
대한민국 임시정부
[ 펼치기 · 접기 ]
일본 제국
만주국
위명국
지휘관[4]
[ 펼치기 · 접기 ]
미국 해리 S. 트루먼
미국 더글라스 맥아더
미국 체스터 니미츠
미국 어니스트 킹
미국 윌리엄 다니엘 레이히
미국 커티스 르메이
미국 칼 스파츠
미국 월터 크루거
미국 로버트 아이첼버거
미국 조지 마셜
미국 코트니 호지스
미국 윌리엄 홀시 주니어
미국 앨버트 웨드마이어
미국 레이먼드 스프루언스
미국 마크 밋처
미국 클립튼 스프라그
미국 헨리 H. 아놀드
조지 6세
클레멘트 애틀리
루이 마운트배튼
브루스 프레이저
버나드 롤링스

중국 (민국 38) 장제스
중국 (민국 38) 허잉친
중국 (민국 38) 천청
중국 (민국 38) 리쭝런
중국 (민국 38) 쑨리런
중국 (민국 38) 바이충시
중국 (민국 38) 탕언보
중국 (민국 38) 쉐웨
장궈타오
펑더화이
린뱌오
주더

소련 (민국 38) 이오시프 스탈린
소련 (민국 38)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소련 (민국 38) 키릴 메레츠코프
소련 (민국 38) 로디온 말리놉스키
소련 (민국 38) 이반 치스차코프
허를러깅 처이발상

김구
지청천
김원봉
이범석
최용덕
[ 펼치기 · 접기 ]
히로히토
도조 히데키
고이소 구니아키
스즈키 간타로
도요다 소에무
요나이 미쓰마사
오자와 지사부로
오카무라 야스지
하타 슌로쿠
우메즈 요시지로
스기야마 하지메
아나미 고레치카
히구치 기이치로
야마다 오토조
히가시쿠 왕자
장징후이
주융린
병력
[ 펼치기 · 접기 ]
미국 1,877,202명
84,198명[5]
중국 (민국 38) 1,800,000명 이상
소련 (민국 38) 1,747,823명
16,000명
300명
[ 펼치기 · 접기 ]
2,000,000명 이상
170,000명 이상
44,000명 이상
피해 규모
[ 펼치기 · 접기 ]
미국의 기 미국
237,912명 전사 및 실종
390,000여명 부상
영국
12,281명 전사 및 실종
26,000여명 부상
중국 (민국 38)의 기 중국
430,000명 이상 전사 및 실종
민간인 210,000명 이상 사망
소련 (민국 38)의 기 소련
80,372명 전사 및 실종
124,425명 부상
몽골 인민 공화국
93명 전사
205명 부상
대한민국 임시정부
10명 전사
13명 부상
[ 펼치기 · 접기 ]
일본 제국
820,000명 이상 전사 및 실종
1,100,000명 이상 부상
민간인 13,400,000명 이상 사망
만주국
20,000여명 전사
위명국
7,000여명 전사
결과
연합군의 승리
영향
일본의 항복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연합국 3개국의 일본 분할

개요

이 전쟁이 끝나기 전에, 일본어는 지옥에서나 쓰는 언어가 될 것이다.
Before we're through with them, the Japanese language will be spoken only in hell.
윌리엄 홀시[6]
전 포로가 되었어요. 우린 여기 와버렸어요, 그들이 우릴 속인 거에요.
私は捕虜に成りました。 私たちは此處に來てしまひました、彼らが私たちを騙したんです。
수용소에서 아사한 어느 신원 미상의 일본군 병사의 일기 中

몰락 작전(Operation Downfall, ダウンフォール作戦)은 제2차 세계대전 후반기 태평양 전쟁의 종결과 일본 제국의 멸망을 위한 연합군의 총공격 작전이다. 제2차 세계대전의 마지막 작전으로 이 작전 이후 일본이 항복하며 태평양 전쟁과 중일전쟁을 비롯한 제2차 세계대전은 일본의 항복으로서 끝을 맺게 되었다.

연합군 총합 약 5,500,000명, 미군 단일로 봐도 약 1,900,000명에 달하는 엄청난 규모의 병력이 동원된 대작전으로 2030년 현재까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실행된 작전 중 최대 규모의 작전이자 가장 많은 사상자를 기록한 작전으로 남아있다.

배경

1942년에 있었던 미드웨이 해전이후 일본 해군 항공대의 정예병력은 완전히 소멸되었고 1943년 과달카날 작전의 대실패와 1944년 사이판 전투의 패배로 인한 절대방위선의 붕괴 및 연합함대와 일본 해군의 붕괴라는 악재 속에서 일본 제국의 패전은 사실상 예정된 수순이었다. 그러나 이오지마가 함락되고 일본 본토 공습으로 인해 일본 열도 전체가 불바다가 되는 와중에도 일본 정부는 항복은 커녕 협상의 뜻 조차도 밝히지 않았다.

그러던 와중 타이완이 함락당하고 중국군이 난징을 넘어 베이징을 향해 가기 시작하자 미군의 공습은 더욱더 강해지기 시작했고 소련이 참전을 고민하는 상황에서 일본의 국운이 풍전등화를 넘어 수내등화(水內燈火)의 수준에 이르게 되자 미중영 3개국은 당시로써는 굉장히 관대한 내용의 포츠담 선언을 발표하여 일본의 자발적인 항복을 유도하였다. 그러나 일본은 포츠담 선언을 "묵살"[7]했고 이에 미군은 맨해튼 계획을 통하여 제작된 신형 폭탄인 원자폭탄을 일본에 투하하여 전쟁을 단축시키고 일본 본토 상륙으로서 비롯될 막대한 규모의 피해를 줄여보고자 하였다.

그러나 당시 실험용 가젯의 폭발이 알 수 없는 이유로 불발하여 트리니티 실험이 실패하였고 원자폭탄의 사용이 불가능해진 상황에서 8월 6일 대본영 발표를 통해 일본이 항전의 뜻을 밝히며 유사 이래 아시아 최대규모의 군사작전이 그 서막을 열게 되었다.

전개

열도 대공습

공습으로 인해 파괴된 도쿄 국회의사당

몰락 작전은 커티스 르메이 장군의 육군항공대가 시작을 알렸다. 본격적인 상륙 작전을 전개하기에 앞서 미군 사령부는 일본 열도 전역에 대한 대규모 폭격을 지시했는데 이는 당연하게도 아직 열도에 남아있는 산업 기반시설과 군 병력들을 절멸시키려는 의도였고 동시에 일본의 전투의지를 꺾어놓기 위한 시도였다. 8월 17일을 기점으로 중국과 대만에서 발진한 폭격기 800여대가 규슈를 시작으로 일본 열도를 불바다로 만들기 시작했다.

이전의 도쿄 대공습과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폭격은 소이탄을 통해 진행되었는데 르메이 장군의 설명에 따르자면 전쟁 물자를 생산하는 공장 뿐만이 아니라 그 공장에서 일하는 전쟁 수행원, 즉 민간인 노동자들의 제거를 의도했기 때문이었다. 하루에 1,000톤 이상의 소이탄 폭격이 규슈를 시작으로 시코쿠와 도호쿠 이남 일본에 진행되었는데 이전의 일본 본토 공습과는 달리 대도시, 중소도시는 물론 산업시설이 이전된 일부 농촌에도 폭격이 전개된 까닭에 천문학적인 규모의 사상자가 발생했고 학계에서는 열도 대공습 이후로 일본의 산업생산 능력이 완전히 사라졌다고 파악하고 있다.

이 폭격으로 인하여 도쿄, 오사카, 교토 등의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대도시들은 잿더미로 전락하였고 이외에도 후쿠오카, 시즈오카, 구레, 구마모토, 나고야 등의 주요 도시들 역시도 통곡과 화약 냄새만이 가득한 폐허로 변해벼리게 되었다. 폭격으로 인한 사망자는 대략 200만 명 대로 추산되나 사망자를 추산할 때 추산 할 때 폭격의 "직접적인" 피해자, 즉 폭탄에 의하여 숨진 사망자들만을 추산하기 때문에 일부 전문가들은 폭격의 간접적인 피해자[8]들까지 합산한다면 최대 500만 명대의 사상자가 나왔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런 대규모 폭격은 8월 17일에 시작하여 9월에 절정을 이루다가 10월 초부터 잦아들기 시작하더니 10월 중순에는 전략폭격으로 전환되었는데 그 이유는 바로 아래 설명될 핵폭격 때문이었다.

인류 역사상 최초이자 최악의 핵폭격

가고시마와 미야자키에 투하 된 원자폭탄[9]

1945년 10월 24일 가고시마, 미야자키에 인류 최초의 원자폭탄 두 발이 투하되었다. 처음에는 항상 밤에만 오던 공습이 대낮에, 그것도 폭격기 여러대가 아닌 단 7대의 폭격기만이 나타난 것을 본 해당 지역의 시민들은 처음에는 의아함을 나타내었으나 불과 30분도 채 지나지 않아서 그런 생각은 생각을 하던 당사자들과 함께 외마디 비명으로 기화되어 사라졌다. 미군 일부에서는 폭탄의 불발을 우려하는 의견도 있었으나 다행인지 불행인지 두 발 모두 불발되는 일은 없었다.

당시 폭격지의 시민들은 매우 밝은 섬광을 목격하였으며 섬광을 뒤이어 천지를 집어삼키는 것만 같은 엄청난 폭발음과 음속에 달하는 폭풍이 도시를 집어삼켰다. 엄청난 충격파는 폭풍과 일체되어 근방의 모든 건물들을 파괴하였는데 이미 상단에 언급된 열도 대공습으로 인하여 목조 건물은 모두 날아간 상황에서 그나마 남아있던 석조 및 콘크리트 건물 대부분도 완전히 파괴되어 도시를 쑥대밭 이하의 황무지로 만들어 버렸다.

그다음으로 시민들을 찾아온 것은 폭풍의 영향으로 만들어진 거대한 들불이었다. 화재는 시내 중심부 11㎢를 모두 삼켜버렸고 폭풍은 절망에 찬 비명소리와 함께 불씨를 도시 곳곳으로 실어날렀다. 태양마저 가려버린 잿빛 대기는 도시 전체를 암흑 세계로 만들어 버렸으며 그와중에 화염 폭풍이 도시를 뒤덮었고 거리라고 부를 수도 없는 황무지 곳곳에는 비명소리만이 난무한 그야말로 지옥도가 도시 전역에 펼쳐졌다.

그 지옥도 속에서 피폭자들의 피부는 마치 양탄자 조각처럼 흘러내리고 수천가닥의 머리카락은 열기로 인해 하나로 용접되어 버렸으며 그조차도 없는 많은 사람들, 즉 피부 가죽 하나 남지않은 사람들은 괴물과 같은 몰골로 거리를 떠돌고 있었다. 이윽고 모든 피폭자들은 검게 물들어 버린 하늘을 보며 일심동체가 되어 단 한 단어 만을 간곡히 외치게 되었으니, 바로 물이라는 단어였다. 불길속에서 누군가가 시작한 외침은 곧 도시 전체의 절망섞인 비명으로 바뀌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서 물을 요구하던 그들의 눈앞에는 빗물이 떨어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빗물의 색깔은 마치 타르와도 같은 검은색이었고 비의 정체는 바로 방사성 분진이 응축된 폐기물 그 자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끊이지 않는 갈증을 참지 못한 이들은 입을 벌리고 검은 빗물을 받아먹었고 방사능 덩어리를 식도에 받아들인 이들의 말로는 죽음뿐이었다.

이는 매우 끔찍한 피해를 초래하였으며 수십만의 직접적 피해자와 백만 이상의 간접적 피해자가 발생하였으나 결과적으로 이 핵폭격으로 미군의 일본 상륙 준비는 완료되었다.

올림픽-파스텔 작전

핵폭격의 여운이 조금은 가신 1945년 11월 1일 오전 6시, 오키나와에서 출발한 340,000명 규모의 미군 병력이 규슈 남부 해안 지역에 일제히 상륙했다(올림픽 작전). 결호작전 제6호에 의하여 규슈지역의 방위는 제16방면군이 맡고 있었으나 전일까지도 진행된 전략폭격과 일전의 핵폭격으로 인하여 포를 쏠 수 있는 거의 모든 선박과 장비들이 파괴된 상황에서 16방면군이 할 수 있는 일은 그저 인력을 갈아넣어서 미군의 출혈을 최대한 강요하는 것 뿐이었다.

장비의 절대적인 열세에도 불구하고 규슈 남부가 미야자키현을 제외한다면 산이 상당히 많은, 방어 측에 상당히 유리한 지형과 말 그대로 인명을 전혀 생각하지 않은 돌격으로 인하여 16방면군은 상륙을 시도하는 미군에게 예상보다 많은 20,000여명의 사상자를 발생시켰으나 그 대가는 참혹했다. 제57군은 괴멸적인 피해를 입고 내륙으로 후퇴하였으며 직접적인 상륙 방어를 맡았던 제25, 212사단과 고사 제4사단은 전멸에 가까운 피해를 입었다.

요코야마 이사미 당시 제16방면군 사령관은 살아남은 제57군의 패잔병들과 미군의 상륙대상에서 제외되어 병력을 보존한 제56, 40군 및 제57, 77, 206, 216사단을 모아 규슈 동남부에 상륙한 미군의 섬멸을 시도했으나 심각한 수준의 보급부족으로 인해 실패하였고 결과적으로 제16방면군 전력의 대부분이 그나마 보급이 되던 대도시이자 핵폭탄이 떨어지지 않았던 구마모토에 모여있었던 탓에 미군이 구마모토에 대규모 폭격을 실시하면서 병력 상당수가 와해되고 말았으며 잔존병력 대부분은 미군에 항복했다. 놀라운 점은 당시 규슈에 규슈에 주둔하던 16방면군의 공식적인 병력수가 1945년 기준 916,828명이었다는 점으로 이런 대군을 가지고도 자신들 병력의 3/1 정도 수준의 미군에게 처참하게 패배했다는 점에서 당시 일본군의 병참 수준을 가늠할 수 있다.

한편 올림픽 작전을 은폐하기 위한 기만 작전의 일환으로 시코쿠에 또다른 상륙작전인 파스텔 작전이 시작되었다. 사실 말이 가만책이지 파스텔 작전 역시도 총 8만명 규모의 대규모 작전으로 당시 시코쿠에 주둔하던 제15방면군 소속 제55군의 총원이 다합쳐도 9만명 정도였기에 당시로서는 최첨단 장비를 앞세운 미군의 공격을 막아낼 수 없었고 결과적으로 기만 작전이라는 설명과는 달리 시코쿠 전역을 점령하는 성과를 내게 되었다.

어찌되었든 간에 목표치보다 훨씬 큰 성과를 올린 올림픽 작전과 파스텔 작전의 결과로 미군과 연합군은 차후 도쿄 상륙에 있어서 더 안정적인 위치에 놓이게 되었다.

진격의 지연

본래 미국의 목표는 규슈 남부의 평야지대와 공항을 차지하여 이후 있을 코로넷 작전의 교두보를 마련하는 것이었지만 예상보다도 더 부실한 일본군의 전력 탓에 규슈와 시코쿠 전역을 점령하는 목표치를 초과 달성하는 성과를 내게 되었던 미군이었으나 이는 곧 미군에게 족쇄로 작용하게 되었다.

사기가 떨어질대로 떨어진 일본군 몇십만을 포로로 잡게되어 수송해야 하는 식량의 비중이 크게 늘어난 데다가 졸지에 통제해야 하는 영역도 예상치의 4~5배 이상으로 늘어버려 치안 유지에 들어갈 병력들이 크게 늘게 되었다. 물론 위에서 언급된 바와 마찬가지로 조직적으로 미군에 대항할 군사조직은 완전히 소멸하여 원 계획에서처럼 산맥을 방어선으로 일본군과 밀당을 할 필요는 없어졌으나 빈곤으로 들끓던 섬 두개를 통제하는 것은 굉장히 많은 치안력을 필요로 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문제들은 미국의 최종 필살기와도 같은 물량 공세를 통해 해결이 가능했지만 진짜 큰 문제는 따로 있었으니, 바로 방사능에 의한 피폭이었다. 원폭 투하 일주일 만에 있었던 폭심지로의 상륙작전 덕분에 미군 상당수는 방사능에 피폭되었고 주둔한지 1주일 가량의 시간이 지나자 피폭의 결과가 조금씩 나타나기 시작했다. 당시 미국 정부는 방사선 피폭의 위험성을 훨씬 과소평가 하고 있는 상황이었기에 미군의 피해는 날이 갈수록 심해져만 갔고 결과적으로 이는 공군 기지의 활용을 어렵게 만들어 코로넷 작전의 시작을 늦추는데에 일조하였다.

미군의 움직임이 느려지자 홋카이도를 점령한 소련군은 도호쿠 일대로 빠르게 남하하기 시작했고 이에 위기감을 느낀 미군은 몇달을 늦춰왔던 코로넷 작전의 시작을 결심하니 1946년 5월이었다.

코로넷 작전과 전쟁의 끝

고쿄[10] 후시미야구라에 성조기를 게양하는 미군 장병

소련의 도호쿠 점령이 생각보다 더 빠른 속도로 이루어 짐에 따라서 미군 사령부는 방사성 피폭의 영향으로 인해 사용이 어려워진 규슈의 공군 기지를 사용하는 것을 포기하고 차선책으로 본래 기만 작전이었지만 본의 아니게 점령한 시코쿠의 공군 기지를 사용하는 쪽으로 계획의 방향을 틀어버렸다.

어찌되었든 간에 준비를 마친 미군은 1946년 5월 1일에 720,000명의 병력과 약 3,000기의 항공기를 동원하여 간토에 들이닥쳤다, 원 계획보다 2달이나 늦은 뒤였다. 치바 현 쿠쥬쿠리 해안과 가나가와 현 사가미 만을 주 상륙지로 하여 대규모 병력을 상륙시킨 미군은 예상보다 많은 일본군 병력에 생각보다 고전했으나 압도적인 제공권을 앞세운 미군의 공격에 말그대로 머릿수 말고는 가진 것이 없던 사실상의 예비군 집단이던 제1총군 제12방면군 산하 도쿄만 병단은 전멸에 가까운 사상자를 내고 패배하였다.

여기까지는 좋았으나 도쿄 함락을 막기위해 일본군이 근처에 있던 병력들 전체를 끌고오자 사상자가 늘어나기 시작한다. 아무리 최첨단 무기와 공군력을 가지고 있다 한들 수십만 단위의 물량 공세에는 어느정도 고전 할 수 밖에 없었고 특히 제36군을 위시로한 일부 정예군 세력은 연합군에게 꽤나 큰 출혈을 유도하였다. 또한 일선에서는 일부 극단적인 장교들을 중심으로 생화학 무기와 민간인 자폭 돌격이 사용되자 미군은 경악하였다.

그러나 최소한의 인륜도 무시한 무자비한 군사작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병력이 비숙련병 혹은 칼 든 민간인 수준이었던 일본군은 미군에게 점차 밀릴 수 밖에 없었고 결과적으로 1946년 8월 6일에 미군이 도쿄에 진입하고 8월 9일 도쿄 공방전에서 도이하라 겐지 제12방면군 사령관이 미군에게 항복 의사를 밝히면서 도쿄도 전역에서의 모든 전투 행위는 중단되었다. 이후 8월 15일 히로히토 덴노가 옥음방송으로 종전을 선언하면서 전쟁은 사실상 종료되었다.

이로써 7년이라는 세월동안 8,000만명 이상의 생명을 앗아간 인류 역사상 최악의 전쟁인 제2차 세계대전은 수많은 핏자국들을 남긴채 그 끝을 맺었다.

타국과의 합동 작전

카보네이드 작전

카보네이드 작전(Operation Carbonado, 東方反攻作戰[11])은 중국의 화둥, 화베이 지역 탈환작전으로 일본군의 대륙타통작전이 실패로 끝난 이후 본격적으로 실행되었다.

1944년 말 일본 육군은 중국 내부의 미군 비행장을 점령하여 무력화 시키기 위한 대륙타통작전을 기획하였으나 미군의 지원을 받은 중국군 병력의 방어로 인하여 처참하게 실패하였고 이후 대륙 일본군의 전력은 심각하게 약화되었다. 이에 중국 전선의 미군 사령관인 코트니 호지스의 지휘하에 난징, 상하이, 베이핑과 톈진 등 중국 동부를 탈환하기 위한 작전인 카보네이드 작전이 준비되었다.

카보네이드 작전은 1945년 6월 7일 중국군의 안후이 공세로 시작되었으며 이는 장쑤와 후베이를 잇는 안후이 회랑을 끊어 후베이 일본군의 고립을 유도하기 위함이었다. 안후이 공세는 안후이 회랑의 단절과 더불어 난징이 중국군의 포 사정거리에 안착하게 하는 성공적인 결과를 마련하였다. 이후 중국군은 초왜(剿倭) 작전을 통하여 후베이의 일본군을 성공적으로 섬멸하였으며 후방을 안정시킨 중국군은 쉬저우 공략 작전을 통해 다시한번 산둥의 일본군과 장쑤-푸젠의 일본군의 연결을 끊어버렸다.

결과적으로 서로 연결이 끊긴 산둥과 장쑤의 일본군은 중국군에 의해 각계격파 당했으며 일본군의 영역은 1937년 중일전쟁 직전의 영역으로 축소되고 말았다. 이후 소련군의 만주 전략 공세 작전의 결과로 만주지역이 소련군에 의해 힘없이 무너지자 위협을 느낀 일본군이 보급선의 완전한 붕괴를 우려하여 남만주와 조선으로의 후퇴를 결정하면서 비어버린 화베이를 손쉽게 중국군이 탈환하면서 카보네이드 작전은 1945년 9월 경 성공적으로 끝나게 되었다.

휴가 작전

휴가 작전(Operation Vacation, Операция «Отпуск»)은 소련 및 몽골 인민 공화국군의 만주 및 일본 북부지역 점령 작전으로 만주와 북일본 지역이 소련인들의 거주지이던 북방 지역보다 비교적 날씨가 온화하기 때문에 마치 휴가를 가는 듯한 작전이라는 의미로[12] 붙여진 이름이었다.

휴가 작전은 크게 중국 만주를 탈환한 만주 전략 공세 작전과 훗카이도 등의 북일본 지역을 점령한 북부 일본 진공 작전으로 나뉜다. 만주 전략 공세 작전(이하 만주 작전)은 1945년 8월 9일 소련의 대일 선전포고로 시작되었으며 제1극동 전선군은 만주 동부의 공세를 통하여, 자바이칼 전선군은 만주 서부에서의 공세를 통하여 신징(現 중국 창춘), 하얼빈, 지린 등을 빠른 속도로 점령하였으며 그동안 제2극동 전선군은 소수의 몽골 인민 공화국군과 함께 만주 북부에서 조공을 가해 하얼빈과 치치하얼로 진격하였다.

일본 관동군의 극렬한 저항으로 인하여 소련군 또한 일정부분 손실을 입었으나 도미나가 교지등의 상당수의 관동군 지휘관들이 항전대신 항복을 택하고 화북 지역에서의 중국군의 맹공으로 인하여 남만주 일대가 무방비 상태에 노출됨에 따라 만주 작전은 성공적으로 끝을 맺었다.

이후 소련군은 남사할린을 공략한 뒤 홋카이도 진공작전을 통하여 일본 내지로 진입했다. 소련 역사상 거의 처음으로 진행되는 상륙작전이었기에 작전 자체에 대하여 의문을 표하는 이들이 많았지만 당시까지만 하더라도 건제했던 강철의 대원수 스탈린의 명령하에 작전은 속행되었다. 다행히도 일본 해군 자체가 거의 붕괴 되있었으며 일본군의 주요 정예병력 역시 간토에 몰려있었기에 홋카이도 진공은 성황리에 진행되었고 소련군 전차부대의 기동전에 홋카이도 주둔 일본군은 맥없이 붕괴되었다.

홋카이도가 함락되자 소련군은 혼슈로의 상륙을 계획하였다. 홋카이도에 비해서 일본군 병력들이 많이 응집해 있었기에 상륙과정에서 다소 사상자가 늘었으나 소련군은 안정적으로 아오모리현에 거점을 마련하는 데에 성공했으며 소련군 전차부대는 도호쿠 평원에서 전격전을 펼치며 빠른속도로 일본 북부를 점령하기 시작하였고 원래 목표였던 도호쿠를 넘어 니가타현과 간토 북부를 점령하는 등 목표의 초과달성을 이루어내는데 성공하였다.

이는 위에 언급된 것과 같이 미군이 코로넷 작전의 실시를 지속적으로 연기한 덕분에 도출된 결과였으며 역설적으로 간토 지방의 일부 공업시설이 일본인민공화국에 편입되어 일공이 소련과의 결렬을 안정적으로 진행시키는 결과를 낳게되었다.

반도 진공 작전

10월 10일 경성 해방이후 환호하는 시민들

반도 진공 작전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한국광복군이 중국 국민혁명군 및 소련 붉은 군대와 함께 한반도 내부로 진격하여 한반도를 해방시킨 군사작전으로 일부에서는 카보네이드 작전 혹은 만주 전략 공세 작전의 일부로 간주하기도 한다.

만주 전략 공세 작전 이후 일본군 병력 상당수는 조선 반도로 후퇴했다. 이에 연합군은 조선 반도를 해방하고 반도 내의 일본군 병력들을 섬멸하기 위하여 조선 진공을 결정한다. 병력의 4/7 가량은 소련군이었으며 나머지는 중국군이 차지했고 미군 병력은 소수의 특수부대(공수부대 등)과 해군 위주로 참여했다. 또한 임시정부의 한국광복군이 참여하였는데 이는 한국광복군의 사실상 유일한 실전경험으로써 임시정부 연구에 있어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부분이기도 하다.

1945년 9월 초 연합군과 한국광복군은 압록강을 넘었으며 이때 잔존 관동군 병력에 의하여 산발적인 전투가 일어났으나 피해는 미미했고 오히려 저항을 택한 관동군 부대 대다수가 몰살당하는 참사가 벌어지면서 국경지대에서의 전투 이후에는 별다른 전투가 벌어지지 않았다. 실질적으로 반도 진공 작전 와중에 벌어진 그나마 규모있는 전투는 9월 21일에 벌어진 평양 전투가 유일하다. 문서 상단의 표에 언급된 광복군 전사자 10인 및 부상자 13인도 평양 전투때 발생한 것이다.

평양 전투는 평양에 진입을 시도하던 소련군 부대가 그들의 지휘관이 평양부청에서 당시 평양부지사와 면담을 나누던 사이 평양신사[13]의 토리이에 소변을 보는등의 행동을 하자 근처에 있던 일본 군경과의 마찰이 생겼고 이후 총격전으로 번진것으로 이 전투로 인하여 양측 도합 78,000여명의 사상자가 나왔고 민간인 320여명이 숨졌다고 기록되어 있다.

어쨋든 이틀간 진행된 위 전투로 인하여 평양 내 일본군 병력은 거의 다 전멸했고[14] 이 이후로 경성에 진입 할 때까지 일본군은 별다른 저항을 하지 않았으며 1945년 10월 15일 당시 조선 총독 아베 노부유키가 연합군에 대한 항복문서에 조인하면서 조선내의 일본군(제주도의 제58군 제외[15])은 완전히 항복하여 무장해제 되었으며 여운형을 비롯한 온건 좌익 정치인들을 중심으로 한 건국준비위원회 산하 인민위원회가 지방의 행정을 담당하게 되었다.

결과

All powers, supreme command, state, local autonomy,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 and administrative agencies owned by the Emperor and the Japanese government are owned by the Supreme Commander for the Allied Powers.
천황과 일본 정부가 소유한 모든 권한, 최고 사령부, 국가, 지방 자치, 정부 또는 지방 정부, 행정 기관은 연합국 최고 사령부가 소유한다.
항복 문서(Instrument of Surrender)의 일부, 1945년 9월 2일
전후 분할된 일본 제국 내지(內地)[16]

몰락 작전의 결과 일본은 연합국에 대한 무조건적인 항복을 선언했으며 마지막 추축국이던 일본의 항복으로 인하여 제2차 세계대전은 종결되었다. 일본 열도는 연합국 3개국(미국, 소련, 중국)에 의해 분할되었으며 점령지의 모든 행정 권한은 각국 점령군 사령관에게 위임되었다. 전전(戰前) 내지(内地, ないち)라고 불리던 일본 본토를 제외한 일본의 점령지들은 즉각 해당 영토의 원 주권자에게 반환되었으며 준 내지 취급을 받던 조선은 미중소 3개국 신탁통치하에 들어갔다.

일본 정부와 국회는 완전히 해체되었으며 모든 일본인의 정치 활동은 전면 금지되었다. 미중소 3개국이 참여한 연합군 최고 사령부가 오키나와(미국 단독군정)와 남사할린(소련 편입)을 제외한 구 일본 내지의 모든 입법·행정·사법의 3권을 독점하였으며 1950년 일본국 정부(미국·중국 점령지)와 일본인민공화국 정부(소련 점령지)가 수립 될 때 까지 일본인에 의한 정부수립은 이루어지지 못했고 "일본 민족의 통일정부의 수립"은 아직까지도 요원한 상황이다.

또한 위에서 언급되었듯 류큐(오키나와)와 남사할린 등 내지로 취급되던 일부 영토들은 일본으로부터 영구히 이탈하였다. 류큐의 경우에는 1972년까지도 미국의 통치하에 있다가 아예 독립국으로써 일본에서 분리되었으며 남사할린과 도쿄도 도서부라고 불리던 미국령 난포 제도는 각각 소련과 미국으로 귀속되는 등 일본의 영토는 전쟁 전은 고사하고 한일합방 이전보다도 줄어버리게 되었다.

영토 이외에도 인구 및 산업·경제적 측면에 있어서도 일본은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었다. 몰락 작전 시행 당시 미군의 공습과 일본군 강경파의 화학무기 사용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농지는 황폐화 되었고 특히 미중 점령하의 남일본 지역의 경우 전후 대부분의 농지가 소련 점령하의 도호쿠와 홋카이도에 몰려있다는 점과 남일본 농지의 총체적인 황폐화로 인하여 극심한 식량난을 겪어야 했다. 이로 인하여 1943년 약 7,400만명 가량의 인구를 자랑하던 일본은 1946년 종전당시 5,200만 명이라는 충격적인 수준의 인구감소와 마주해야 했고 이는 전후 재건과정에 있어서 큰 어려움을 야기할 중대한 위협이었으나 다행스럽게도 전후 베이비 붐 덕분에 극복 할 수 있었다.

경제 분야에 있어서도 몰락 작전으로 인한 일본의 손실은 막심했다. 농지와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산업시설이 미군의 폭격으로 인해 초토화 되었고 그나마 남아있던 산업시설 조차도 전쟁 방지를 명목으로 상당수가 해체되었다가 냉전이 임박해서야 중단되었다. 때문에 일본 산업의 재건은 굉장히 오랜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남일본의 경우는 인니전 발발전까지, 북일본은 다나카 가쿠에이 집권전까지 동아시아의 환자라는 오명을 가져야 했다.

영향

몰락 작전은 일본 열도뿐만이 아니라 동아시아와 세계 곳곳에 걸쳐서 많은 영향을 가져왔다.

몰락 작전의 결과 제주도를 제외한 한반도 전역은 해방되었으며 중국과 소련의 직접적인 군정 통치를 받게되었다. 당시 한반도에 대하여 무지했던 미국과는 달리 소련과 중국은 각각 항일 빨치산과 임시정부와 연결되어 있었기에 비교적 한반도 내부 사정에 대하여 잘 파악하고 있었고 인종적인 면에 있어서도 중국인들은 백인종이 주축이 된 소련인들이나 미국인들보다는 동질성이 높았기에 한반도는 빠른 속도로 안정을 되찾을 수 있었다.

당시 소련은 한국보다는 유럽과 북일본, 만주 일대에 관심을 보이고 있었고 때문에 한반도의 군정은 실질적으로 중국군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는 전후 국내에서 별다른 영향력이 없던 임시정부를 해방정국에서 우익의 중심으로 부상시키는 데에 큰 역할을 하였다. 또한 중국 정부가 한반도 내의 안정을 위하여 지방 인민위원회와의 협치를 선택하면서 동아시아에 무지했던 미국이 담당했던 남부 일본 지역과는 달리 행정공백과 정치혼란이 최소화 되었고 결과적으로 정부 수립 이후 대한민국이 안정적으로 운영 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게 되었다.

중국의 경우 소련과 더불어 몰락 작전의 수혜를 가장 많이 받은 국가이다. 원래 중국은 연합국의 일원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특유의 낙후된 산업과 질낮은 군대로 인하여 제대로 된 대접을 받고 있지 못하는 상황이었다.[17] 그러나 몰락 작전의 개시는 중국으로 하여금 더 많은 출혈을 강요함과 동시에 작전의 수행에 있어서 중국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구하였고 중국에 대하여 비우호적인 시선이 강하던 영국이 몰락 작전의 수행에 별다른 영향력을 수행하지 못함에 따라 전후 국제사회에서 중국의 발언권을 크게 확대시키는 데에 일조하였다.

소련은 오랜 기간동안 대일전에 참전을 하지 않고 있었으며 때문에 전후 동아시아 질서에 있어서 영향력을 거의 거세당할 것이라는 의견이 대다수였다. 이런 예상은 몰락 작전 초기까지 이어져 소련이 최대 홋카이도 일대를 점령하는 것으로 진군을 멈출 것이라는 것이 주류 의견으로 남아있었다. 그러나 미군의 작전 수행이 늦어짐에 따라 일본 내 소련의 점령지는 계속 확대되었고 결과적으로 홋카이도에서 도쿄 이북에 이르는 넓은 영토를 점령함으로써 동아시아 내의 영향력을 확보 할 수 있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본다면 이 당시 확보된 넓은 영토는 1960년대 일본인민공화국 정부가 안정적으로 탈소련을 진행 할 수 있게 하는 기반이 되었기에 죽 쒀서 개 준 꼴이 되어버렸다.

구미권의 경우 몰락 작전의 실행으로 인해 동아시아에 대한 영향력이 크게 감소하였다. 영국과 프랑스의 경우에는 동아시아에서 중국의 발언권이 확대되고 인도차이나 반도 식민지들이 중국군에 의해 점령됨에 따라 식민주의 퇴조의 기류와 맞물려 사실상 동부 아시아에서의 영향력이 거의 거세당했다.[18] 미국 역시도 일본 열도 절반의 통치권을 상실함에 따라 동아시아에 대한 영향력 투사를 매우 제한적인 범위로 시행하는 수 밖에 없었다.

대중 매체에서

미국의 실화기반 영화인 《사쿠라》의 배경이 몰락 작전의 일부인 코로넷 작전이 실행중이던 1946년이다. 작중 주인공인 데이비드 상병이 몰락 작전에 참여한 군인으로 나오며 여주인 사쿠라는 몰락 작전와중 열도 대공습으로 인해 부모를 잃은 여자아이이다.

일본국의 가공전기인 《다이와민코쿠》[19]에서는 몰락 작전이 실행됨과 동시에 일본 전역에 11발의 원자탄이 투하되어 일본이 항복한다. 이후 일본 열도는 "대화민국(大和民国, 미군정)", "일본민주주의인민공화국(日本民主主義人民共和国, 소군정)", "남해민주공화국(南海民主共和国, 중국군정)", "서일본 자유국(西日本自由国, 영국군정)" 및 소련령 홋카이도와 미국령 오키나와로 분할된다.

대한민국의 대체역사 소설 시리즈인 《1949 신중국》에서는 트리니티 실험이 성공하여 히로시마와 고쿠라에 원자폭탄이 투하되고 일본이 항복하여 몰락 작전이 실행되지 않았다. 이후 일본은 미군정기를 거친 후[20] 분단이 되지 않은 채 국권을 회복하였으며 작중 시점인 2022년을 기준으로 세계 3위의 선진국으로 묘사된다. [21]

인용구

본인은 여러분들에게 요구한 13개조로 이루어진 관대한 조항을 신속히 받아들여, 평화를 사랑하는 새로운 일본의 건설을 종용하는 바이다. 따라서 일본 국민 여러분은 즉시 무력저항을 중지해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미국은 단호히 원자폭탄을 비롯한 우수한 무기들을 사용하여 이 전쟁을 신속하고 강제적으로 종결시킬 것이다.
해리 S. 트루먼
이런 일이 일어날 것 같은 조짐을 느꼈지. 이렇게까지 안 되었으면 했는데.
히로히토[22]
도쿄는 불바다가 되었고, 궁성은 잿더미가 되었지. 북에서는 적군(赤軍)이 몰려오고 남에서는 미군이 몰려오는데 폐하는 무슨 면목으로 신민 앞에 서십니까?
노부히토[23]
거봐, 내가 안된다고 했잖아.
고노에 후미마로
나는 전장에서 소리없이 생을 마감한 모든 군인들을 대리해서 이 기도를 전합니다.
젊은이들이 더 이상 이유없이 피를 흘리지 않기를, 자식을 잃은 부모들의 통곡이 더 이상 들리지 않기를.
더글라스 맥아더
범죄적 정권과 그 동조자들 사이에는 차이가 없다.
따라서 정권을 죽이는 것과 동조자들을 죽이는 것 역시도 차이가 없다.
커티스 르메이
투쟁은 끝이 났다. 우리는 제국주의와의 투쟁에서 승리했다. 우리는 조국을 수호했다.
장제스
9년 간의 항쟁에서 우리가 쟁취한 승리는 단연코 인민의 의지로써 이루어낸 것이다.
이제 우리는 인민을 위로하고 상처를 치료하여 국가를 복구하는 데에 총력을 다해야 한다.
왕징웨이
오늘을 기하여 대한은 왜적들에게서 해방되었으니 우리는 기필고 자주국가를 세워 민족의 정기를 바로 세워야 할 것이다.
김구
2천 3백만 인민의 염원인 독립이 오늘에야 실현되었다. 이제 우리는 앞으로 세워질 우리 민족의 자유민주국가를 위하여 분투해야 한다.
이승만
36년간의 억압의 시기는 이제 끝났다. 조선 반도는 다시 조선 민중의 것이 되었다.
여운형

  1. 열도 대공습의 시작 일자로 일각에서는 미군의 규슈 상륙이 시작된 동년 11월 1일을 시작 일자로 주장하기도 한다.
  2. 1946년 8월 15일 히로히토 덴노가 옥음 방송을 통하여 항복을 선언하면서 종료되었고 이후 9월 2일 공식적인 항복 협정이 조인되었다.
  3. 실제로 미국 정부는 트리니티 실험이 성공했을 경우 히로시마, 고쿠라(현 기타큐슈), 요코하마, 니가타, 교토 중 두 도시에 원자폭탄을 투하시킬 예정이었으며 많은 역사학자들이 당시 일본의 상황을 고려 할 때 트리니티 실험이 성공했을 경우 훨씬 적은 사상자로 제2차 세계대전을 끝낼 수도 있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4. 볼드체는 국가원수 및 정부수반이다.
  5. 인도,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 영국군 지휘 하 식민지 병력 포함.
  6. 사실 이 발언은 진주만 공습 직후에 한 발언이다.
  7. 일본 측은 묵살의 의미를 "무시"가 아닌 "보류"로 해석하였으나 연합국이 "무시"로 해석하였다는 이야기도 있으나 포츠담 선언 5조에 "... 우리는 어떤 지연도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라는 조항이 있었기 때문에 무시가 아닌 보류로 해석되었어도 별 의미가 없었을 것이다.
  8. 산업시설 폭격으로 및 그로인한 식량, 물자 부족으로 인한 사망 등
  9. 좌측이 가고시마에 투하 된 리틀보이, 우측이 미야자키에 투하 된 팻 맨.
  10. 당시에는 궁성(宮成)
  11. 동방반공작전, 의역한다면 동방탈환작전.
  12. 혹은 일본군이 너무나도 부실하여 일본군의 공격이 있다한들 휴가처럼 편안하게 작전을 진행 할 수 있다는 점에서
  13. 현재 평양광역시 모란봉구에 위치해 있었으며 아마테라스와 국혼신을 모시고 있었다.
  14. 당시 전투에서 살아남은 일본군 병사인 마쓰야마 히로후미(松山宏文, 1922~2021)에 다르면 본인 중대에서 본인포함 4명만이 살아 남았었다고 한다.
  15. 이들은 전후 제주도에 상륙한 미군에게 따로 항복했다.
  16. 남사할린 또한 1943년 이후 내지로 편입되었으나 1943년부터 1846년까지 3년 남짓이었기에 포함되지 않았다.
  17. 특히 영국의 처칠 수상이 중국에 대하여 가장 부정적인 시선을 가지고 있었다.
  18. 거의라고 하는 이유는 영국이 중국의 홍콩 식민지를 유지하였기 때문이다.
  19. 大和民国, 한국어 독음으로는 "대화민국"으로 일본 민족을 의미하는 "야마토(大和)" 뒤에 민국을 붙혔다.
  20. 현실처럼 연합군 공동군정이 아닌 미군 단일군정을 겪었다.
  21. 여담으로 해당 소설은 마오쩌둥(1920-30년대 중국공산당의 지도자, 6차 초공으로 인해 사망하였다.)가 살아남아 중국이 공산화되고 한국이 일본 대신 분단되거나 소련이 붕괴되는 등 다소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을 받고있다.
  22. 이후 쇼와 덴노
  23. 이후 아이와 덴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