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산1968 | 리조니 | Arrondissments | 레스 어틀라 |
이 문서는 리좀 세계관의 공식 설정입니다. 해당 문서의 내용은 CC-0 (퍼블릭 도메인)으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서의 모든 내용은 허구입니다. |
| ||||
---|---|---|---|---|
[ 펼치기 · 접기 ] |
공화당 | |
---|---|
약칭 | 공화당 |
슬로건 | 다함께 미래로! |
창당 | 1966년 2월 26일 |
한문 명칭 | 共和黨 |
영문 명칭 | Republican Party; RP |
총재 | 안상수 / 5선 (국, 28~29·32~36대) |
사무총장 | 홍문표 / 14선 (국, 23~36대) |
참사원 원내대표 | 정홍원 / 재선 (24~27대) |
국민원 원내대표 | 김무성 / 10선 (27~36대) |
이념 | 보수주의 경제적 자유주의 자유보수주의 사회보수주의 |
스펙트럼 | 중도우파 ~ 우익 |
참사원 의석 | 27석[1] / 348석 (7.8%) |
국민원 의석 | 50석 / 577석 (10.2%) |
광역자치단체장 | 3석[2] / 27석 (7.4%) |
기초자치단체장 | n석 / n석 (n.n%) |
광역자치의회 | 181석 / 2298석 (7.9%) |
당색 | 태극양색 (#D91B33) (공식적) |
태극음색 (#0D395A) (공식적) | |
파란색 (#0066CC) (관례적) | |
정책연구소 | |
정당후원회 | 공화당중앙당후원회 |
당원 | ![]() (2023년 1월 추산) |
국제 조직 | 국제민주연합 |
참사원 교섭단체 | ![]() |
국민원 교섭단체 | |
청년조직 | |
당인 | |
당가 | 반다송 |
공식 사이트 | |
공식 유튜브 채널 | |
SNS |
1.개요
대한공화국의 중도우파 성향의 정당이다. 1966년 박정희 대통령이 정당으로서 우익의 구심점을 만들고자, 기존의 민주공화회의에 중도우익 성향의 문민 인사들을 영입하여 창당하였다.
전통적인 우익 정당으로서 한인사회당, 대한공산당, 민주당에 이어 현존하는 정당 중 대한공화국에서 4번째로 오래된 정당이다. 대통령으로 박정희와 김종필, 박근혜를 배출했으며, 총리로는 박찬종, 이회창, 이명박, 홍준표 등을 배출했다. 이처럼 보수진영에서 중진이나 시대를 풍미했던 인물들이 속했던 역사깊은 정당이다.
그러나 박근혜-최순실게이트에 연루되며 지지율이 급격하게 하락했으며, 2020년대에 들어서는 국민의힘과 같은 신생 우익 정당에게도 지지율이 밀리게 되었다. 결국, 제16회 대통령 선거에서 오세훈 후보가 10%도 되지 않는 득표율을 얻으며 1차 투표에서 낙선하는 충격적인 결과를 얻었다. 뒤이어 치러진 제35회 총선거, 제36회 총선거, 제27회 통상선거 등에서 완패하며 당의 존립 자체가 위태로워졌다.
2.강령과 정책
3.상징
3.1.로고
3.2.로고
컬러 로고 | 흑백 로고 |
---|
영문로고 대신 흑백과 컬러가 있다. 흑백로고가 있는 이유는 예전엔 선관위에서 배포하는 배포물은 다 흑백으로 나가서 흑백버전의 로고가 있어야 했기 때문이다.
3.3.당가
반다송 (반성과 다짐의 노래) | |
[가사 펼치기·접기]
|
3.4.슬로건
다함께 미래로! |
---|
3.5.정시(政是)
내一生 祖國과 民族을 爲하여. |
---|
정시란 정당의 주된 방침과 각오를 의미한다. 해당 항아리는 총재 집무실에 전시되어 있다.
3.6.당훈(黨訓)
중단하는자 승리하지 못한다. |
당훈이란 당원들이 행해야할 마음가짐을 의미한다. 당사 모든 방과 지방당사에 모두 액자로 만들어져 걸려있는게 특징이다.
3.7.당인
당인은 박정희 시대부터 있는것으로, 원래 박정희의 아버지인 박성빈이 대한제국 시절 고종에게 하사받은 도장으로, 원래 어떤 내용이 각인되어 있었는지는 알 수 없다. 형 박상희에게, 박상희가 죽자 박정희에게 전달된 이 도장은 박정희 대에 기존 각인을 지우고 총재장으로 쓰려고 아랫부분을 자르게 되었고, 김종필 대에 문양을 각인해서 지금에 이른다.
이 도장은 당대 어새라고 불릴만큼 권위를 상징한 상징적인 공화당의 물건이자, 구시대의 산물이라고도 일컫어진다. 이 도장이 찍혀야만 공화당의 당론이나 당무가 최종적으로 결재되기 때문에 김무성 총재는 결의를 막기위해 직인을 들고 부산의 영도대교로 도망간적도 있었다.
4.역사
4.1.정일권 총재 체제 (1966~1968)
4.2.김홍일 총재 체제 (1968~1972)
4.3.제1차 김종필 총재 체제 (1972~1976)
4.4.최규하 총재 체제 (1976~1981)
4.5.제2차 김종필 총재 체제 (1981~1997)
4.6.이회창 총재 체제 (1997~2002)
4.7.최병렬 총재 체제 (2002~2006)
4.8.이명박 총재 체제 (2006~2011)
4.9.박근혜 총재 체제 (2011~2017)
4.10.김종인 총재 체제 (2017~2018)
4.11.황교안 총재 체제 (2018~2022)
4.12.안상수 총재 체제 (2022~現)
5.성향
6.계파
7.논란 및 사건사고
7.1.박근혜-최순실게이트
50년이 넘는 세월동안 우익의 대표주자로 군림하던 공화당을 군소정당급으로 전락하게 한 엄청난 사건이다.
8.역대 총재
9.역대 선거
10.여담
11.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