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습장:에러/3

에러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1.박헌영계의 마지막 후예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제144대 외무대신
태영호
太永浩 | Tae yong ho
출생 1962년 7월 25일 (62세)
서경 평양부 중구 관후동
거주지 서경 평양부 중구 관후동
재임기간 제144대 외무대신
2022년 5월 16일 ~ 현재
서명
사이트 [3] | | | | |
[ 펼치기 · 접기 ]


2.일본전쟁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공지
| 빌레펠트 연재부
빌레펠트는 현재 노후문서재정비촉진사업을 진행중입니다. 현재 설정과 맞지 않는 문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본전쟁[4]
6.25戦争/祖国解放戦争
Japanese War
날짜 1950년 6월 25일~1953년 7월 27일 (사실상)
1950년 6월 25일~현재 (명목상)
장소 일본열도 전역
원인 기시 노부스케의 일본 열도 무력통일 야욕에 따른 기습 동습
결과 정전 중
영향 미독 주도의 칼터크리그 체제 가속화
분단 고착화와 남북 갈등 심화
동서 독립국가 체제 수립
정전선 형성
이산가족 발생
동일본의 징병제 실시
미일상호방위조약의 체결

동일본의 나고야 확보, 서일본의 북, 중부 전선 동진

교전국
  • 라이히스팍트
일본민국
대한국
독일국
도나우 연방
벨기에
오스만 제국
불가리아 차르국
스웨덴 왕국
노르웨이 왕국
네덜란드
아일랜드
폴란드 왕국
우크라이나
핀란드 왕국
스페인 왕국
에티오피아 제국
태국
발트연방
  • 협정국
대일본제국
미합중국
대영제국
캐나다 자치령
프랑스 공화국
남 이탈리아 왕국
오스트랄라시야 연방
남아프리카 연방
그리스 공화국
포르투갈
브라질
필리핀
지원국
  • 라이히스팍트
덴마크 왕국
벨로루시아
리투아니아
북 이탈리아 공화국
루마니아 왕국
조지아 왕국
아제르바이잔
페루-볼리비아 연방
파라과이
만주국
류큐열도 한국민정부
제3국 지원
인도
러시아 공화국
중화민국
  • 협정국
몬테네그로 왕국
세르비아
칠레
우루과이
쿠바
아르헨티나
북해열도 미국민정부
제3국 지원
인도
이란
병력
  • 라이히스팍트
    총 2,832,400+명

일본민국 537,000+명[5]
대한국 1,170,251명
독일국 641,004명
도나우 연방 262,325명
벨기에 2,005명
오스만 제국 161,000명
불가리아 차르국 21,205명
스웨덴 왕국 120명
노르웨이 왕국 23명
네덜란드 8,712명
아일랜드 1,055명
폴란드 왕국 3,571명
우크라이나 3,521명
핀란드 왕국 311명
스페인 왕국 921명
에티오피아 제국 3,518명
태국 6,326명
발트연방 1,021명

  • 협정국
    총 3,087,814명

대일본제국 702,902명
미합중국 2,172,235명
대영제국 56,000명
캐나다 자치령 56,791명
프랑스 공화국 3,421명
남 이탈리아 왕국 128명
오스트랄라시야 연방 40,958명
남아프리카 연방 1,826명
그리스 공화국
4,992명
포르투갈 5520명
브라질 25,621명
필리핀 17,420명

피해규모
대한제국군
31,227명 전사
17만 2561명 부상
만주군
12만 4712명 전사
37만 8446명 부상
청군
24만 4554명 전사
62만 2213명 부상
만주반군
58만 5861명 전사
102만 1301명 부상
지휘관

3.바르바로사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제2차 동방 전쟁
Vierte Ostfront[6]
Вторая Западная война[7]
날짜 1975년 6월 22일~1978년 4월 6일
장소 동유럽 전역
원인 제2차 벨트크리그 이후 실지회복주의 및 러시아에 대한 복수
결과 독일제국의 승리
영향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선의 복구
제3차 러시아 내전
교전국
제2차 유럽동맹군
독일제국
폴란드 지하국
연합유격조직
헝가리
불가리아 차르국
사라토프 조약
러시아 제3제국
폴란드 공화국
유고슬라비아 왕국
체코
슬로바키아
루마니아 왕국
그리스국
지원국
미합중국
터키
대한민국
핀란드
병력
290만명 370만명
피해규모
297만명 282만명
지휘관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에르빈 롬멜
하인츠 구데리안
에리히 폰 만슈타인
발터 모델
프리츠 바이에를라인
한스 슈파이델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니콜라이 바투틴
안드레이 블라소프
세묜 보그다노프

대시련이기다린다!!!!!!!!!!!!!!!!!!!!!!!!!!!

실험용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동방 전쟁
Krieg im Osten • западная война
날짜 1955년 7월 5일 ~ 1957년 2월 25일
장소 독일 동부 및 동유럽 황폐지대
원인 제2차 벨트크리그 이후의 혼돈
러시아 경제파탄과 내핍정책
결과 사라토프 조약의 피로스적 승리
영향 독일 일부 지역 재탈환
동독의 붕괴와 무정부 상태 지속
잔존 세력 간 내전 격화
교전국
유럽 저항 연합
독일군사위원회
독일망명정부
흑적금 국기단
체코슬로바키아 군단
폴란드 지하국
우크라이나 국내군
백위군
사라토프 조약군
러시아 제3제국
돌격대
폴란드 공화국
유고슬라비아 왕국
슬로바키아
루마니아 왕국
지원국
미합중국
프랑스 코뮌[8]
그리스국
불가리아 차르국
병력
290만 명 370만 명
피해 규모
297만 명 (전사·실종 포함) 282만 명 (전사·실종 포함)
주요 지휘관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에르빈 롬멜
에리히 폰 만슈타인
발터 모델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니콜라이 바투틴
안드레이 블라소프


김제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김제 전차전
Die Schlacht von Gimje
金堤戦闘
제2차 벨트크리그전광 작전의 일부
날짜
1943년 11월 1일~1943년 11월 3일
장소
대한국 전라북도 김제시
교전국 대한국 일본인민공화국
지휘관 권준[9]
류경수[10]
신철휴[11]
박일우[12]
이종건[13]
요시다 신[14]
호시노 도시모토[15]
오카다 다스쿠[16]
토아먀 히로미치[17]
오자키 요시하루[18]
병력 44,200명
전차 208대
자주포 72문
장갑차 206대
포 152문
대전차포 17문
45,920명
전차 256대
포전차 32문
장갑차 225대
포 72문
속사포 52문
피해규모 전사 1,052명
부상 2,785명
전차/자주포 92대
장갑차 51대
각종 포 52문
항공기 4대
전사 1,281명
부상 3,052명
전차/포전차 145대
장갑차 81대
각종 포 85문
항공기 2대
결과
대한국의 승리
영향
일본의 전라도 전선 붕괴
105 전차 사단의 221호차 '대호'.
  1. 부화뇌동에 편입
  2. 연재 예정
  3. 외무부 사이트
  4. 抗美援日戰爭 항미원일 전쟁
  5. 전쟁 중 점령지에서 계속 징집을 했기에 정확한 추산 불가
  6. 네번째 동부전선
  7. 제2차 서부 전쟁
  8. 공식적 지원은 부인됨
  9. 7기동군단장
  10. 105 전차사단장 대리
  11. 수도기계화보병사단장
  12. 20전차사단장
  13. 제2공정사단장
  14. 기갑군단장
  15. 1전차사단장
  16. 2전차사단장
  17. 교도전차여단장
  18. 19보병사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