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습장:에러/4

에러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1.선배!마라탕 사주세요선배!혹시..탕후루도 같이..(뭐?탕후루도?)그럼 제가 선배 맘에탕탕 후루후루탕탕탕 후루루루루탕탕 후루후루내 맘이 단짠단짠(으~캬!)탕탕 후루후루탕탕탕 후루루루루탕탕 후루후루마라탕탕탕탕 후루루루루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현대 대한국 군경 보병장비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현대의 대한국 국군 / 경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대한식 소총
돌격소총 STG44, 25식 소총, 25식 소총 나-3형, 25식 소총 라-1형, 28식 소총, 28식 소총 다-1형, 시제 15식 복합소총
저격소총 SSG82, 18식 저격소총, SSG16
기관단총 27식 기관단총
산탄총 M4 슈퍼 90EOD, M3 슈퍼 90BAT, 베레타 686BAT, 34식 산탄총
권총 자동권총 P38, USP, GLOCK, 33식 권총, KP-52P, DH-380PP
리볼버 나강 M1895P, CAL-38, M10P, STRV9P
군도 국군도, 4식 총검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30식 경기관총, 26식 경기관총,
다목적기관총 MG60, 26식 다목적 기관총, MG70, PKT
중기관총 MG50, 31식 중기관총, NSVT
유탄발사기 AG40-1, AG36-2, 29식 유탄발사기, 37식 고속유탄기관총
대전차화기 19식 무반동포, 판처파우스트 150, 판처파우스트 250, PzF 44, 판처파우스트 3, 메티스-M, 현궁, 스파이크
박격포 28식 60mm 박격포, 1식 81mm 박격포, 26식 81mm 박격포, 24식 120mm 박격포
견인포 7식 105mm 견인포, 23식 155mm 견인포
맨패즈 플리거파우스트, 플리거파우스트 2, 플리거파우스트 3, 이글라, 신궁
수류탄 21식 수류탄, 15식 수류탄, 1식 수류탄
지뢰 1식 발목지뢰, 24식 대전차지뢰, 19식 도약지뢰, 6식 수평세열지향성지뢰, 14식 대전차지뢰
특수전화기 소총 돌격소총 HK416, HK416A5, SCAR-L, SIG516, CAR816, M11P,
저격소총
기관단총
산탄총
권총
특수화기
도검
의장
※ 윗첨자P: 경찰/해양경찰/의정국무대신경호처/금위군에서만 운용
※ 윗첨자BAT: 공군에서 조류퇴치용으로 일부 사용
※ 윗첨자EOD: 군 폭발물처리반에서 제한적으로 사용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 윗첨자RF: 라이히스팍트 극동군사령부 의장대에서 무상대여로 운용
※ 윗첨자C: 적성화기
※ 27식 기관단총, DSAR-15PC는 국방규격 상 기관단총으로 분류
※ 둘러보기 : 대한국 국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2.덴노헤이카반자이!!!!!덴노헤이카반자이!!!!!덴노헤이카반자이!!!!!덴노헤이카반자이!!!!!덴노헤이카반자이!!!!!덴노헤이카반자이!!!!!덴노헤이카반자이!!!!!덴노헤이카반자이!!!!!덴노헤이카반자이!!!!!덴노헤이카반자이!!!!!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일본 제국 제124대 천황
쇼와 천황
昭和天皇
출생 1901년 4월 29일
도쿄부 도쿄시 아카사카구 아오야마 어소
(現 도쿄도 미나토구 아카사카 어용지)
즉위식 1928년 11월 10일
미국 하와이주 호놀룰루 카운티 호놀룰루시
카이무키구 마우타네리아 대일본제국 망명 정부 청사
사망 1989년 1월 7일 (향년 87세)
도쿄도 치요다구 고쿄 후키아게 어소
(吹上仙洞御所)
재위기간 제124대 천황
1926년 12월 25일[3] ~ 1989년 1월 7일
서명
[ 펼치기 · 접기 ]
히로히토(裕仁 (유인))[4]
부모 부황 다이쇼 천황
모후 데이메이 황후
형제자매 4남 중 장남
배우자 고준 황후
자녀
2남 5녀 [ 펼치기 · 접기 ]
학력 가쿠슈인 초등과 (졸업)
동궁어학문소(東宮御學問所) (수료)
종교 신토
신체 165cm, AB형
어칭호 미치노미야(迪宮 (적궁))
시호 쇼와 천황(昭和天皇 (소화천황))
연호 쇼와(昭和 (소화), 1926년[5] ~ 1989년)
최종 계급 대일본제국 육군 대원수
대일본제국 해군 대원수
대일본제국 공군 대원수
즉위식 당시 천황의 전통 관복 '고로젠노고호(黄櫨染御袍)'를 입은 쇼와 천황

3.'나는 하느님께 엄숙히 맹세하오니, 독일과 국민의 지도자이며 독일 국방군의 최고통수권자이신 아돌프 히틀러에게 무조건적인 복종을 바치며, 언제든지 이 맹세를 지키기 위해 나의 목숨을 바칠 준비가 된 군인이 될 것을 맹세합니다.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독일 수상
[ 펼치기 · 접기 ]

4.인간은 미쳤다! 현 사태를 지속한다는 것은 미친 것임에 틀림없다. 이 지독한 살육전이라니! 이 끔찍한 공포와 즐비한 시체를 보라! 내가 받은 인상을 전달할 말을 찾을 수가 없다. 지옥도 이렇게 끔찍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인간은 미쳤다!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제1차 벨트크리그 | 대전쟁
第一次世界大戰 | 大戰爭
Erster Weltkrieg | Großer Krieg
날짜 1914년 7월 28일~1918년 11월 11일
장소 유럽, 지중해, 중동, 아프리카, 카리브해, 동북아시아, 태평양
원인 사라예보 사건과 그 사건으로 폭발한, 오랜 시간 축적되던 열강들 간의 갈등과 민족주의의 충돌 등의 복합적 원인
결과 동맹국의 승리
영향 독일과 동맹국의 패권 장악
협상국 국가 적화
유럽 국가 독립, 중동과 아시아와 아프리카 국가 독립선언
전제군주제의 몰락 및 공화제의 대두[6][7]
생디칼리즘 열풍의 시작
미텔오이로파, 라이히스팍트 창설
제2차 벨트크리그의 원인[8]
교전국
동맹국
협상국
[ 펼치기 · 접기 ]

독일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대한국
오스만 제국
불가리아 차르국
중화민국[9]
시암 왕국

[ 펼치기 · 접기 ]

대영제국
러시아 제국[10]
프랑스
벨기에
세르비아 왕국
몬테네그로 왕국
일본 제국
이탈리아 왕국
포르투갈
루마니아 왕국[11]
미국[12][13]
헤자즈 왕국
그리스 왕국
라이베리아

병력
동맹국
협상국
약 3000만명 이상 약 4700만명 이상
피해규모
동맹국
협상국
사망(군 병력) 5,386,000명
부상(군 병력) 10,388,000명
실종 4,029,000명
총 사상자 19,803,000명
사망(군 병력) 6,525,000명
부상(군 병력) 14,831,500명
실종 4,621,000명
총 사상자 25,977,500명
지휘관
[ 펼치기 · 접기 ]

5.좋은 저녁입니다, 여러분. 당대표가 여기 있습니다. 대통령 비서실장이 여기 있습니다. 시미할 총리가 여기 있습니다. 포돌랴크가 여기 있습니다. 대통령이 여기 있습니다. 우리는 모두 여기 있습니다. 우리 군이 여기 있습니다. 사회의 시민들이 여기 있습니다. 우리는 모두 여기 있습니다. 우리는 우리의 독립과 조국을 수호합니다. 앞으로도 계속 그럴 것입니다. 우리의 수호자들에게 영광을! 우크라이나에 영광을!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우크라이나군
Збро́йні си́ли Украї́ни (ЗСУ)
Вооруженные силы Украины (ВСУ)
Streitkräfte der Ukraine(SDU)
깃발 휘장
국가 우크라이나
소속 우크라이나 국방부
통수권자[14] 블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
지휘·감독권자[15] 루스템 우메로우 (국방장관)
군령권자 육군 대장 올렉산드르 시르스키 (총참모장)
상비군 14만여 명[16]
예비군 🤔만여 명
병역제도 모병제
육군력
[ 펼치기 · 접기 ]
3.5세대 전차 1,977대[17]
3세대 전차 1,051대[18]
2세대 전차 0대
1세대 전차 0대
중형전차 251대[19]
전차 총합 3273대
병력수송장갑차 7,021대[20]
보병전투차 2,005대[21]
소형전술차 10,000대[22]
견인포 3,500문 [23]
박격포 14,900문+[24]
자주포 3,150문[25]
야포 총합 5,600문[26]
다연장로켓 310문+[27]
지대지 유도무기 60기
해군력
[ 펼치기 · 접기 ]
해군 함정 총합 286척
전투함정 총합 152척
상륙함정 총합 27척
소해정 총합 20척
지원함정 총합 30척
잠수함정 총합 52척
주력 수상함
10,000톤 이상-15,000톤 미만
방공구축함
7척[28]
8,000톤 이상-9,000톤 미만
방공구축함
14척[29]
5,000톤 이상-6,000톤 미만
구축함
12척[30]
3,000톤 이상-4,000톤 미만
구축함
15척[31]
6,000톤 이상-7,000톤 미만
아스널십
1척(+2척)[32]
4,000톤 이상-6,000톤 미만
방공호위함
8척(+6척)[33]
2,500톤 이상-4,000톤 미만
호위함
14척[34]
1,000톤 이상-1,500톤 미만
초계함
3척(-3척)[35]
500톤 이상-600톤 미만
미사일 고속함
24척[36]
200톤 이상-300톤 미만
미사일 고속정
22척(+18척)[37]
100톤 이상-200톤 미만
고속정
56척(-56척)[38]
항공모함, 상륙함, 군수지원함, 수송함, 지휘함
60,000톤 이상 ~ 75,000톤 미만
항공모함
1척[39]
30,000톤 이상-45,000톤 미만
경항공모함
2척[40]
15,000톤 이상-20,000톤 미만
강습상륙함
3척[41]
20,000톤 이상-25,000톤 미만
군수지원함
3척[42]
8,000톤 이상-10,000톤 미만
군수지원함
4척[43]
5,000톤 이상-10,000톤 미만
LPD, LSD
4척[44]
3,000톤 이상-5,000톤 미만
LST
4척[45]
3,000톤 이상-5,000톤 미만
기뢰부설함
2척[46]
100톤 이상-200톤 미만
공기부양정
24척[47]
잠수함
16,000톤 이상-18,000톤 미만
탄도 미사일 원자력 잠수함
5척[48]
10,000톤 이상-12,000톤 미만
순항 미사일 원자력 잠수함
3척[49]
7,000톤 이상-8,000톤 미만
공격 원자력 잠수함
15척[50]
3,000톤 이상-5,000톤 미만
재래식 잠수함
11척[51]
1,700톤 이상-1,800톤 미만
재래식 잠수함
9척[52]
1,100톤 이상-1,200톤 미만
재래식 잠수함
9척[53]
공군력
[ 펼치기 · 접기 ]
5세대 전투기 225기(+100기)[54]
4.5세대 전투기 426기(+50기)[55]
4세대 전투기 351기[56]
3세대 전투기 98기[57]
조기경보통제기 (AEW&C) 18기[58]
해상초계기 26기[59]
공중급유기 20기[60]
고고도 무인 정찰기 6기[61]
전투임무기 총합 1100기
공중기동기 총합 100기
감시통제기 총합 140기[62]
훈련기 총합 400기
공군기 총합 1740기
헬리콥터 1400기[63]
항공기 총합 3140기
예산
국방비 (GDP의 약 2.2%)

6.우리의 위대한 지도자이자, 우리의 보즈드인 사빈코프는 러시아에 단결을 가져다주고 우리가 잃어버린 정당한 조국을 되찾을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이오. 그러니, 러시아는 우리를 마비시킬지도 모를 반대파로부터 정화되어야 하오. 지도자께서는 가장 충실한 당원인, 우리 형제들에게 이 일을 맡기셨소. 우리는 그분의 팔이자, 어둠 속의 칼날이며, 우리를 통해서 그분의 뜻이 이루어질 것이오.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러시아국 초대 보즈드
보리스 사빈코프
Бори́с Са́винков | Boris Sawinkow
본명 보리스 빅토로비치 사빈코프
Бори́с Ви́кторович Са́винков
출생 1879년 1월 19일
러시아 제국 하리코프
(現 우크라이나 하르키우)
사망 1945년 4월 30일 (향년 66세)
러시아국 모스크바 보즈드 벙커
(現 러시아 모스크바)
재임기간 제6대 대통령
1934년 1월 30일 ~ 1936년 8월 2일
초대 보즈드
1936년 8월 2일 ~ 1945년 4월 30일
[ 펼치기 · 접기 ]
부모 빅토르 미하일로비치 사빈코프
소피야 알렉산드로브나 사빈코바
형제자매 누나 나데즈다, 베라
형 알렉산드르
남동생 빅토르 빅토로비치 사빈코프
여동생 소피아
배우자 베라 글레보브나 우스펜스카야(이혼)
예브게니아 이바노브나 사빈코바(재혼)
자녀 아들 빅토르 보리소비치 우스펜스키, 레프 보리소비치 사빈코프
딸 타티아나 보리소브나 우스펜스카야-보리소바
학력 상트페테르부르크 황립대학교 (퇴학)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종교 정교회 → 불명
소속 정당 (1903 ~ 1917)
(1918 ~1945)
수훈 알렉산드르 넵스키훈장
수보로프 훈장
사도 성 안드레이 훈장
러시아 영웅 훈장

7.엘자스로트링겐

7.1.스트라스부르대성당위에우리의아름다운삼색기가흩날리는날까지귀관들은무기를내려놓지않을것이다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제1차 슈트라스부르크 전투
Schlacht bei Straßburg
Bataille de Strasbourg
제2차 벨트크리그엘자스-로트링겐 전역의 일부
날짜 1939년 10월 17일~1939년 10월 29일
장소 독일국 엘자스-로트링겐 제국영토
결과 프랑스의 승리
영향 라인강 전투 시작
교전국
라이히스팍트
독일국
인터내셔널
프랑스 코뮌
병력
32,000명 58,000명
피해규모
전사 3,251명
부상 7,051명
전사 5,072명
부상 10,015명
지휘관
빌헬름 리터 폰 레프
에르빈 폰 비츨레벤
클레망 블랑
조제프 퓌츠
슈트라스부르크를 향한 프랑스군의 돌진

7.2.외침은 우레처럼, 검이 달가닥거리는 소리와 노도처럼 울려 퍼지네. 라인강으로, 라인강으로, 독일의 라인강으로, 누가 강의 수호자가 될 것인가? 사랑하는 조국이여, 안심하라. 사랑하는 조국이여, 안심하라. 수비는 굳건히, 충실히 유지하고 있다. 라인강의 수비가! 수비는 굳건히, 충실히 유지하고 있다. 라인강의 수비가!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제2차 슈트라스부르크 전투
Schlacht bei Straßburg
Bataille de Strasbourg
제2차 벨트크리그북풍 작전의 일부
날짜 1944년 1월 10일~1944년 1월 25일
장소 독일국 엘자스-로트링겐 제국영토
결과 독일의 승리
영향 낫질작전에 대한 프랑스군의 방어 약화
프랑스 내부 여론 악화
교전국
라이히스팍트
도나우 연방
독일제국
자유 우크라이나 망명 정부
모스크바 협정
러시아국
루마니아 왕국
병력
초기 627,000명 1,250,000명
피해규모
480,000명의 포로를 포함하여 616,304명 전사 또는 실종
부상자 및 병자 84,240명
총 700,544명
전사 246,856명
부상자 396,796명
실종 15,018명
총 658,670명
지휘관
독일군의 슈트라스부르크 수복

8.승리가 노래를 부르고 있소. 우리는 방벽을 뚫고 나아가니 자유가 우리의 발걸음을 인도하오. 전쟁의 나팔이 북쪽 끝부터 남쪽 끝까지 전투의 시간을 알리고 있소. 벌벌 떨어라, 프랑스의 적들이여! 피와 오만에 취한 왕실이여! 주권자인 인민들이 나아가니 압제자들은 무덤 속으로 들어갈지어다. 공화국이 우리를 부르고 있다. 우리는 이기거나 아니면 망하리, 프랑스인은 그녀를 위해 살아야 하며, 프랑스인은 그녀를 위해 죽어야 하네.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프랑스 공화국
République française
Französische Republik
국기 국장
Liberté, Égalité, Fraternité
자유, 평등, 우애
국가 La Marseillaise
라 마르세예즈
국화 붓꽃
국조 수탉
역사
[ 펼치기 · 접기 ]
제1공화국 성립 1792년 9월 22일
제1제국 성립 1804년 12월 2일
제2공화국 성립 1848년 2월 24일
제2제국 성립 1852년 12월 2일
제3공화국 성립 1870년 9월 4일
프랑스 코뮌 성립 1919년 9월 5일
알제 정부의 본토 수복 1944년 10월 10일
제4공화국 성립 1946년 10월 27일
제5공화국 성립 1958년 10월 5일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파리
최대 도시
면적 543,940km² (본토)
- (해외 영토 포함)
접경국 덴마크 왕국
네덜란드
벨기에
프랑스
스위스
도나우 연방
폴란드
리투아니아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 인구 102,781,326명 (2024년)
인구 밀도 237명/㎢ (2023년)
출산율 1.58명 (2020년)
기대수명 82세 (2022년)
민족 구성 독일인 92.05%, 폴란드인 5.48%, 소르브인 및 기타 2.47%
공용 언어 독일어
종교 국교 없음 (정교분리)
분포 개신교 32%, 가톨릭 26%, 유대교 1.24%, 무종교 40% 등
자국군 독일제국군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제국영토 6주
제후국 4왕국, 7대공국, 2공국, 3후국, 3자유시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입헌군주제, 연방제, 의원내각제, 양원제
민주주의 지수 8.80점 | 완전한 민주주의
카이저린
(국가원수)
프리데리케 1세
수상
(정부수반)
올라프 숄츠
연방참사원 의장
(상원)
제국의회 의장
(하원)
베르벨 바스
여당 사민당
연립여당 녹색당, 민주당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 체제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GDP
(명목)
$10조 4,298억 / 세계 2위(2023년 10월)
1인당 $101,476 / 세계 4위(2022년 04월)
GDP
(PPP)
$11조 2,699억 / 세계 2위(2022년 04월)
1인당 $109,649 / 세계 5위(2022년 04월)
무역 수입량 $1조 1,666억(2017년)
수출량 $1조 4,479억(2017년)
외환보유고 $2,003억 9,400만(2016년)
신용 등급 무디스 Aaa (2021년 5월)
S&P AAA (2021년 4월)
Fitch AAA (2023년 3월)
공식 화폐 오이로파 (€)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 연호 서력기원
도량형 SI 단위
시간대 UTC+01:00(서머타임 적용)
외교
[ 펼치기 · 접기 ]
대한수교현황 1877년 11월 26일
국제연합 가입 1945년 10월 24일[64]
무비자 입국 양국 모두 90일
주한대사관 / 총영사관
[ 펼치기 · 접기 ]
주한독일대사관 한성부 사대문구 세종대로 188
주부산독일영사관 부산부 부산진구 중앙대로993번길 612
ccTLD
.de
국가 코드
276, DEU, DE
전화 코드
+49
  1. 부화뇌동에 편입
  2. 연재 예정
  3. 다만 1926년 부터 1945년까지는 망명 정부 신세였으므로 군림하지 못하였고, 45년 부터 48년까지는 군정이었으므로 실질적인 통치기간은 1948년 8월 15일 단독 정부 수립 이후 부터다.
  4. 본인의 증손자인 히사히토 친왕도 한국 한자음(유인)이 같다.
  5. 실제로 본토에서 쓰인 것은 1948년 부터다.
  6. 전쟁은 전제군주제 국가로 이루어진 동맹국이 승리하였지만, 협상국 국가들에서 연쇄적으로 혁명 및 왕정의 붕괴가 일어나면서 이 시점 부터 공화제가 왕정을 밀어냈다.
  7. 전제군주제 국가던 동맹국 국가들도 전후 입헌주의 개혁에 나섰다. 대표적으론 독일의 3월 개혁과 한국의 융희민권운동이 있다.
  8. 1차 벨트크리그에서의 참상으로 인한 전쟁에 대한 공포와 협상국에 대한 징벌의식의 부조화는 2차 벨트크리그 발발의 단초를 강하게 제공했다.
  9. 비전투 노무자(노동자) 25만명을 서부전선과 한국전선에 보내는 수준으로만 참전했다.
  10.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에 따라 협상국 이탈
  11. 부쿠레슈티 조약에 따라 협상국 이탈
  12. 1917~
  13. 독일 U보트의 무차별 공격과 치머만 전보 사건으로 인해 1917년 4월에 독일 측에 선전포고하여 참전함.
  14. 국가원수의 권한으로서 군에 관한 모든 것을 통솔할 수 있다.
  15. 군정권을 지휘한다.
  16. 육군 9.5만 해군 2.5만 공군 2만
  17. 33식 3호 주력전차 E2형 1027대, 33식 3호 주력전차 A3형 484대, 29식 4호 주력전차 흑표 466대.
  18. 33식 3호 주력전차.
  19. 12식 보병전투차량 120mm.
  20. 29식 장갑차, 23식 장갑차 806, 43식 상륙돌격장갑차.
  21. 12식 보병전투차량, 23식 장갑차 808, 23식 장갑차 808 120mm.
  22. 23식 소형전술차량 현마.
  23. 24식 155mm 견인포.
  24. 29식 60mm 박격포, 2식 81mm 박격포, 25식 120mm 박격포.
  25. 5식 자주곡사포 A1, 30식 자주곡사포 A1, 23식 차륜형 자주곡사포 풍익.
  26. 해병대 포함
  27. 해병 포함. GMARS, 1식 다연장로켓 구룡, 19식 다연장로켓 천무.
  28. 세종대왕급 3척, 정조대제급 3척, 성조대제급 1척.
  29. 시경신순성급 10척, 문약민영환급 4.
  30. 충무공이순신급.
  31. 광개토대왕급
  32. 태조대제급 합동화력함, 2척 추가 건조 예정.
  33. 충남급 8척, FFX Batch-IV 계획.
  34. 인천급 6척, 대구급 8척.
  35. 포항급, 2030년까지 전량 퇴역 예정.
  36. 윤영하급
  37. PKX-B, 초기형과 후기형 각각 16 + 18척 예정.
  38. 참수리급, 2030년까지 전량 퇴역 예정.
  39. 백두급 정규항공모함.
  40. 한라급 경항공모함 한라, 태백.
  41. 독도급 대형수송함 독도, 마라도, 이어도.
  42. 소양급 군수지원함 소양, 백록, 시화.
  43. 천지급 군수지원함 천지, 대청, 화천, 의암.
  44. 천왕봉급 상륙함 천왕봉, 천자봉, 일출봉, 노적봉.
  45. 고준봉급 상륙함 고준봉, 비로봉, 향로봉, 성인봉.
  46. 남포급 기뢰부설함 남포, 원산.
  47. 솔개 631급 고속상륙정
  48. 백야김좌진급 잠수함
  49. 충장공양헌수급 잠수함
  50. 여옥이범윤급 잠수함
  51. 도산안창호급 잠수함.
  52. 손원일급 잠수함.
  53. 장보고급 잠수함.
  54. Me 357 빈샤트 120기, 21식 전투기 KF-21 보라매 105기 및 추가 100기 예정
  55. 24식 전투기 KF-24U 참매 추가 50기 예정
  56. Fw 224 슈반 42기,24식 전투기 KF-24 참매 120기, 16식 다목적 전투기 FA-16 전투독수리 189기.
  57. 9식 전투기 KF-9 제공호.
  58. 1식 조기경보통제기 KA-1
  59. 37식 해상초계기 KA-37, 18식 해상초계기 KA-18.
  60. 21식 공중급유기 KC-21.
  61. He 105 4기, 26식 고고도 무인 정찰기 KQ-26 2기.
  62. 해군 포함
  63. 육군 해군 포함
  64. VN 상임이사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