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펼치기 · 접기 ] |
- 연습장:Sindan:허브 · 종합
- 연습장:Sindan/1:민국 38/1
- 연습장:Sindan/2:민국 38/2
- 연습장:Sindan/3:민국 38/인물
- 연습장:Sindan/4:보관소
- 연습장:Sindan/5:카게사가시 - 빌펠
목차
- 1 민주자유당
- 2 청우당
- 3 국민의힘
- 4 일본 민주당
- 5 류큐 사회대중당
- 6 50회 중원선
[ 펼치기 · 접기 ]
|
냉전 | ||||||||||||||||||||||||||||||||||
---|---|---|---|---|---|---|---|---|---|---|---|---|---|---|---|---|---|---|---|---|---|---|---|---|---|---|---|---|---|---|---|---|---|---|
[ 펼치기 · 접기 ]
|
1.민주자유당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
---|---|---|---|---|---|---|---|---|---|---|---|---|---|---|---|---|---|---|---|---|---|---|---|---|---|---|---|---|---|---|---|---|---|---|---|---|---|---|---|---|---|---|---|---|---|---|---|---|---|---|---|---|---|---|---|---|---|---|---|---|---|---|---|---|---|---|---|---|---|---|---|---|---|---|---|---|---|---|---|---|---|---|---|---|---|---|---|---|---|---|---|---|---|---|---|---|
[ 문서 보기 ] [ 세계관 설명 ]
1.1.개요한국독립당 제NN차 전당대회에서의 당대표 후보들 민주자유당은 대한민국의 보수정당으로 현재 국무총리를 배출한 대한민국의 여당이다. 1.2.기원1.3.현황1.4.성향1.5.정강·정책1.5.1.정강1.5.2.정책1.6.상징1.6.1.당명1.6.2.당색 및 로고
1.6.3.당가1.7.당사1.8.역사1.8.1.약력1.8.1.1.창당 배경1.8.1.2.1960년대1.8.1.3.1970년대1.8.2.역대 전당대회1.8.3.역대 지도부1.8.4.역대 선거1.8.5.인재영입1.9.비판 및 논란1.10.소속 인원1.10.1.국회의원1.10.2.광역자치단체장1.10.3.기초자치단체장1.11.계파1.12.지지 기반1.13.다른 정당과의 관계1.14.산하 기관1.14.1.여의도연구원1.14.2.상임고문단1.14.3.청년민자당1.15.출신 대통령1.16.출신 국무총리1.17.여담1.18.지지율1.19.둘러보기
|
2.청우당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
---|---|---|---|---|---|---|---|---|---|---|---|---|---|---|---|---|---|---|---|---|---|---|---|---|---|---|---|---|---|---|---|---|---|---|---|---|---|---|---|---|---|---|---|---|---|---|---|---|---|---|---|---|---|---|---|---|---|---|---|---|---|---|---|---|---|---|---|---|
[ 문서 보기 ] [ 세계관 설명 ]
2.1.개요2.2.기원2.3.현황2.4.성향2.5.정강·정책2.5.1.정강2.5.2.정책2.6.상징2.6.1.당명2.6.2.당색 및 로고
2.6.3.당가2.7.당사2.8.역사2.8.1.역대 전당대회2.8.2.역대 지도부2.8.3.역대 선거2.8.4.인재영입2.9.비판 및 논란2.10.소속 인원2.10.1.국회의원2.10.2.기초자치단체장2.11.계파2.12.지지 기반2.13.다른 정당과의 관계2.14.산하 기관2.14.1.청우정책연구원2.14.2.상임고문단2.14.3.청년청우당2.15.여담2.16.천도교와의 관계2.16.1.정교일치?2.17.지지율2.18.둘러보기
|
3.국민의힘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
---|---|---|---|---|---|---|---|---|---|---|---|---|---|---|---|---|---|---|---|---|---|---|---|---|---|---|---|---|---|---|---|---|---|---|---|---|---|---|---|---|---|---|---|---|---|---|---|---|---|---|---|---|---|---|---|---|---|---|---|---|---|
[ 문서 보기 ] [ 세계관 설명 ]
3.1.개요대한민국의 극우 정당. 윤석열 전 검찰총장을 중심으로 공정과 상식, 자유민주주의와 개혁등을 주장하며 창당되었으며 뉴라이트 민족주의 성향 극우 정당인 자유개혁당과 합당하며 세를 불렸다. 202n년 총선에서 온건보수 성향의 유승민 총리가 이끄는 민주자유당과 대비되는 강성보수 성향을 보이며 선전하였으며 202n+4년 총선에서 두자릿수 의석을 얻는데 성공하며 과반 확보에 실패한 민자당-청우당 연합과 연정하며 현재 연립 여당으로 내각에 참여하고 있다. 3.2.현황3.3.성향3.4.정강·정책3.4.1.정강3.4.2.정책3.5.상징3.5.1.당명
창당 초기에는 윤석열 총재가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단어인 "자유"가 들어간 당명이 유력하게 검토되었으며 당시 언론에는 "자유민주당(자민당)", "자유당", "다함께자유당"등이 당명 후보로 거론되었다. 그러나 "자유민주당"의 경우 주요 양당 중 하나이자 주류 보수 정당인 민주자유당과의 혼동이 우려된다는 이유로 선관위에서 불허하였고 "자유당" 계열 당명들의 경우에는 당시 별개의 극우 정당으로 존재하던 자유당(2021년)의 존재로 인해 불허되었다. 이후 "자유한국당"이라는 당명이 최종 결정되었다는 보도가 있었으나 역시나 별개의 극우 정당으로 존재하던 자유한국21과의 유사성을 이유로 불허되었으며 결국 "자유"라는 단어를 배제한 뒤 자체 조사에서 선호도가 높았던 단어인 "국민"과 "한국"을 중점으로 한 새로운 당명을 만들기로 결정하였고 최종적으로 국민의힘, 한국의당, 위하다 3개의 후보 중 현재의 국민의힘이라는 당명이 채택되었다. 3.5.2.당색 및 로고3.5.3.당가3.6.당사3.7.역사3.7.1.역대 전당대회3.7.2.역대 지도부3.7.3.역대 선거3.7.4.인재영입3.8.비판 및 논란3.9.소속 인원3.9.1.국회의원3.9.2.기초자치단체장3.10.계파3.11.지지 기반3.12.다른 정당과의 관계3.13.산하 기관3.13.1.살리는정책연구원3.13.2.상임고문단3.13.3.새시대청년3.14.여담3.15.지지율3.16.둘러보기 |
4.일본 민주당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
---|---|---|---|---|---|---|---|---|---|---|---|---|---|---|---|---|---|---|---|---|---|---|---|---|---|---|---|---|---|---|---|---|---|---|---|---|---|---|---|---|---|---|---|---|---|---|---|---|---|---|---|---|---|---|---|---|---|---|---|---|---|---|---|---|---|---|---|---|---|---|---|---|---|---|---|---|---|---|---|---|---|---|---|---|---|
[ 문서 보기 ] [ 세계관 설명 ]
4.1.개요
자유당은 일본국의 보수주의 정당으로 현재 일본국의 제3야당이자 제5당이다. 1950년 일본사회당과의 연립정권 수립에 반대하여 민주당에서 분당한 요시다 시게루의 '민주자유당'에서 아시다 히토시의 '민주당' 연립파 의원들이 당내 갈등으로 갈라져 나와 입당하여 창당된 정당되었다. 창당 직후에는 친미-자유보수주의 성향을 보이며 기시 노부스케 총리 재임기와 총리들이 당적을 가지지 않았던 쇼와 경찰막부 시기를 제외한다면 줄곧 여당으로 있어왔다. 1990년대 이후 하토야마 유키오 총재의 주도하에 강성우파 성향의 민주당이 좌경화 되고 사회당 탈당파들의 민생당과 합당하여 진보성향이 짙어지자 강성우익 성향의 인물들이 자유당으로 입당하기 시작하여 그 반대급부로 더욱 보수화 되었다. 2020년대 초반까지는 민주당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며 수권정당으로서 기능하였으나 통일교 게이트 이후 상당수의 인원들이 정의당으로 이탈하고 50대 중원선과 27대 참원선 등 이어지는 선거에서 모조리 참패하며 급속도로 붕괴되었다. 2023년 전당대회에서 변호사 출신의 야스다 히로시 총재에 당선되면서 변화의 조짐이 보이고 있다.
|
5.류큐 사회대중당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
---|---|---|---|---|---|---|---|---|---|---|---|---|---|---|---|---|---|---|---|---|---|---|---|---|---|---|---|---|---|---|---|---|---|---|---|---|---|---|---|---|---|---|---|---|---|---|---|---|---|---|---|---|---|---|---|---|---|---|---|---|---|---|---|---|---|---|---|---|---|---|---|---|---|---|---|---|---|---|---|---|---|
[ 문서 보기 ] [ 세계관 설명 ]
5.1.개요
사회대중당은 류큐의 진보정당으로 현재 류큐 입법원의 제1당이자 연립여당이다. 5.2.역사사회대중당의 직접적인 전신은 1950년 미국 통치기에 창당되었던 오키나와 사회대중당이다. 오키나와 사회대중당은 친미와 보수를 표방하는 민주당에 대항하는 혁신세력의 주축이 되는 정당이었고 때문에 미군의 류큐 주둔에 반대하여 인민당, 사회당등의 기타 혁신정당 및 재야 세력과 함께 조국복귀운동(祖国復帰運動), 즉 일본국으로의 복귀를 주장하는 사회운동을 전개하였으나 1960년 제5회 입법원 의원 총선거를 앞둔 시점에서 일본국 전역에 국가비상사태와 계엄령이 선포되며 지지율이 크게 추락하는 악재를 겪게되었다. 또한 타 혁신정당과의 단일화까지 불발되면서 입법원 선거에 참패하게 되었고[31] 이에 류큐의 혁신세력들은 통합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게 되었다. 그렇게 1962년 5월, 11월의 입법원 의원 총선거를 앞두고 오키나와 사회대중당을 중심으로 오키나와 인민당, 오키나와 사회당의 3당 합당이 성사되며 혁신계 통합신당을 창당하니 그것이 현재의 사회대중당이다. 통합의 결과 사회대중당은 6회 입원선에서 9석을 차지하며 기존보다 의석을 늘리는 데에 성공했고 류큐 국민당 소속 오기미 아사토쿠(大宜味朝徳)[32]를 초대 직선제 행정주석으로 지지하여 민주당 소속 오타 세이사쿠(大田政作)[33] 전임 주석의 당선을 저지하는 쾌거를 이루어내기도 하였다. 이후 인니전(인도네시아 전쟁)으로 인해 미민정(美民政)에 대한 지지도가 바닥을 치자 1965년 7회 입법원 선거 당시 친미 민주당을 꺾고 입법원 내 1당을 차지하며 승승장구하였으나 이듬해인 1966년 주석 선거에서 민주당 소속 마츠오카 세이호(松岡政保)[34]가 당선되며 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또한 1968년 류큐 사회투쟁 당시 마츠오카 정부가 유연한 대처를 하고 미국과의 협상으로 국민정부의 수립과 5년 이내 독립을 확정시키면서 오히려 의석이 줄어드는 참사가 일어나게 되었다. 그나마 다행으로 인니전의 참상이 류큐로 전해지자 반미 기조가 강해지며 1970년 주석 선거에서 혁신계 단일후보 야라 조묘(屋良朝苗)[35] 후보가 당선되었고 코자 폭동으로 류큐내 반미정서가 폭발하자 미국 닉슨 행정부가 독립을 부채질하며 지지도를 높일 수 있었다. 그 결과 1972년 치뤄진 초대 독립 류큐 입원선과 주석선에서 연이어 승리하며 다시금 전성기를 맞이하게 되었고 야라 조묘는 76년 재선하여 1980년까지 집권하며 사회대중당 역시 여당의 지위를 지켰으나 지지부진한 미군기지 문제와 혁신 10년의 장기집권에 피로감을 느낀 국민여론으로 인하여 한때 자당 소속이던[36][37] 민주당 소속 니시메 준지(西銘順治)[38]에게 패배하였고 이후 주석, 입법원 의원 선거에서도 한때 자신들이 낙선시켰던 민주당 오타 세이사쿠에게 2연패하고 전체 입법원 의석 225석 중 8~90석대의 의석만을 차지하며 1996년까지 일명 잃어버린 16년을 겪게 되었다. 1995년 후텐마 기지에 주둔하던 미군에 의한 여학생 성폭행 사건이 일어나자 민주당의 지지도는 수직 하락했고 이듬해 선거에서 오타 마사히데(大田昌秀)[39] 후보가 당선되며 기사회생하였다. 그러나 당시 16년만에 집권한 사대당은 정무 감각이 부족했고 성급한 반미 정책은 오히려 1997년 아시아 경제위기 당시 미국의 지원 거부를 초래하며 대대적인 불경기를 초래하는 결과를 맞이하게 되었으며 자유당[40]과의 연대가 붕괴되며 결과적으로 2000년 선거에서 민주당 소속 이나미네 게이치(稲嶺惠一)[41]에게 패배하여 다시 야당으로 돌아가게 되었다. 그러나 2008년 다시 한 번 미국발 경제위기가 일어나고 민주당의 신자유주의 정책으로 인해 류큐 경제가 큰 타격을 입고 민주당의 지지도가 폭락하자 당내 좌파로 강경한 반신자유주의자이던 데루야 간토쿠를 공천하여 69.3%의 득표율을 기록하였고 신생당과의 연대를 통하여 입법원 의석 113석 중 74석을 차지하며 압도적인 재집권을 하게 되었다. 이후 2016년 민주당내 온건파[42]에 속하던 시모지 미키오가 당선되며 잠시 야당 생활을 하기도 하였으나 2019년 시모지 주석의 뇌물 스캔들로 인하여 민주당의 지지율이 폭락하자 2020년 선거에서 신생당 소속 다마키 데니 후보를 지지하였고 연립여당이자 입법원 내 제1당으로써 집권하게 되었다.
|
6.50회 중원선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
---|---|---|---|---|---|---|---|---|---|---|---|---|---|---|---|---|---|---|---|---|---|---|---|---|---|---|---|---|---|---|---|---|---|---|---|---|---|---|---|---|---|---|---|---|---|---|---|---|---|---|---|---|---|---|---|---|---|---|---|---|---|---|---|---|---|---|---|---|---|---|---|---|---|---|---|---|---|---|---|---|---|---|---|---|---|---|---|---|---|---|---|---|---|---|---|---|---|---|---|---|---|---|---|---|---|---|---|---|---|---|---|---|---|---|---|---|---|---|---|---|---|---|---|---|---|---|---|---|---|---|---|---|---|---|---|---|---|---|---|---|---|---|---|---|---|---|---|---|---|---|---|---|---|---|---|---|---|---|---|---|---|---|---|---|---|---|---|---|---|---|---|---|---|---|---|---|---|---|---|---|---|---|---|---|---|---|---|---|---|---|---|---|---|---|---|---|---|---|---|---|---|---|---|---|---|---|---|---|---|---|---|---|---|---|---|---|---|---|---|---|---|---|---|---|---|---|---|---|---|---|---|---|---|---|---|---|---|---|---|---|---|---|---|---|---|---|---|---|---|---|---|---|---|---|---|---|---|---|---|---|---|---|---|---|---|---|---|---|---|---|---|---|---|---|---|---|
[ 문서 보기 ] [ 세계관 설명 ]
6.1.개요
2023년 1월 12일에 실시한 일본국의 중의원 의원 총선거. 당초 가미교구 정가는 2024년에서 25년 무렵 해산을 생각하고 있었으나 통일교 게이트 이후 내각 지지율의 폭락과 자유당의 붕괴로 인하여 국정동력을 상실한 기시다 후미오 총리가 2022년 12월 19일 중의원을 해산하면서 예상보다 1~2년 더 빨리 총선거가 치뤄지게 되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중의원을 해산하면서 "지금까지의 낡은 정치를 리셋하는 선거"라고 했고, 그 이후 이번 총선의 별명은 정치리셋 총선이 되었다. 6.2.상세2021년 아베 신조 전 총리의 뒤를 이어 자유당 총재에 선출 된 기시다 후미오 총리는 2020년 도쿄 올림픽의 성공과 같은 호재를 바탕으로 높은 인기를 구사하며 꽃길을 걷고 있었고 22년 7월 아베 신조 전 총리가 암살되자 오히려 동정론이 일어 지지율이 급상승해 64.81%에 달하는 지지율과 참의원 선거 압승을 바탕으로 차기총선에서의 우위를 점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통일교 게이트 이후 자유당이 공중분해 되고 내각 지지율이 한자릿 수 대에 도달하자 이에 버티지 못한 이시바 시게루 총리가 중의원을 해산하여 선거가 실시되었다. 기본적으로 자유당이 해산직전의 위기에 몰린상태에다가 통일교와 연루되어 있지 않은 당내 개혁파 인사들은 집단탈당하여 정의당을 창당한 상황에서 무조건적으로 민주당에 유리하다고 여겨지는 선거이나 민주당 역시 다마키 유이치로 대표가 통일교에 연루되어 사임하고 오카다 가쓰야 대표대행 체제에서 치뤄지기에 제3세력의 급부상도 예측되고 있다. 당연하게도 이번 총선거에서의 주요의제는 통일교 게이트로 여론조사 결과 남일본 국민의 83.7% 가량이 이번 선거에 영향을 미친 사건이나 주제로 '통일교의 정치개입'을 뽑았으며 이외에는 여계 덴노 찬반논쟁, 가부키초 살인사건, 일본인민공화국과의 연방제 통일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특이점으로는 기존 주요양당이 모두 대표 대행(총재 대행)체제로 선거를 치룬다는 사실인데 양당의 기존 대표인 기시다 후미오(자유당)과 다마키 유이치로(민주당) 모두가 통일교에 연루되어 각각 모테기 도시미쓰와 오카다 가쓰야 의원의 대행체제로 선거를 진행하데 되었다. 이같은 상황 덕분에 기성 정당이 아닌 비교적 개혁적인 성향의 새시대회, 혹은 야마모토 타로의 퓨처포워드가 선전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6.3.결과
6.3.1.주요 정치인 당락6.3.1.1.민주당
6.3.1.2.사회민주당
6.3.1.3.정의당
6.3.1.4.공명당
6.3.1.5.자유당
6.3.1.6.새시대회
6.3.1.7.퓨처포워드
6.3.1.8.기타 정당
6.3.1.9.무소속
|
- ↑ 납세자번호. 비법인사단에 대해 사업자등록번호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 ↑ 지역구 n석, 비례대표 n석
- ↑ 지역구 n석, 비례대표 n석
- ↑ n도 n석
- ↑ 지역구 n석, 비례대표 n석
- ↑ 지역구 n석, 비례대표 n석
- ↑ 포스터 속 인물은 한국독립당 대표이자 대한민국 제33대 국무총리인 나경원.
- ↑ 천도교청우당 시절에는 "Chondoist Chongu Party"를 영문 당명으로 사용하였다.
- ↑ 지역구 n석, 비례대표 n석
- ↑ 지역구 n석, 비례대표 n석
- ↑ n도 n석
- ↑ 지역구 n석, 비례대표 n석
- ↑ 지역구 n석, 비례대표 n석
- ↑ 11월 경제위기로 인해 나경원 총리의 지지율이 폭락한 직후 발표된 슬로건으로 나경원 내각 탈퇴를 염두에 둔 표어라는 의견이 있다.
- ↑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는 3월 15일에 등록되었다.
- ↑ 형식상으로는 자유한국21이 정당을 해산하고 대한보수당으로 개별 합류하는 형식이다.
- ↑ 2024년 1월 5일 '당대당 통합'으로 합당 선언 후 1월 24일에 흡수합당.
- ↑ 지역구 n석, 비례대표 n석
- ↑ 지역구 n석, 비례대표 n석
- ↑ n도 n석
- ↑ 지역구 n석, 비례대표 n석
- ↑ 지역구 n석, 비례대표 n석
- ↑ 아베 신조, 다카이치 사나에 등으로 대표되는 강성 우파 계열과 하토야마 유키오 등의 소수 리버럴, 가메이 시즈카, 노다 세이코로 대표되는 협동조합주의 계열이 혼재해있다. 다만 당의 주류는 강성우익 계열과 우익 사회주의 계열이다.
- ↑ 지역구 nn석, 비례대표 nn석
- ↑ 지역구 nn석, 비례대표 nn석
- ↑ 한국의 광역의회에 해당한다.
- ↑ 한국의 기초의회에 해당한다.
- ↑ 포스터 속 인물은 민주당 총재 노다 세이코.
- ↑ 지역구 n석, 비례대표 n석
- ↑ 포스터 속 인물은 사회대중당 중앙위원장 아라가키 구니오.
- ↑ 당시 전체의석 29석 중 혁신세력은 고작 6석 밖에 차지하지 못한 반면 민주당은 22석을 차지하는 대승을 거두었다.
- ↑ 류큐의 온건 반미·보수 정치인이자 사업가로 미군정 시기 오키나와 민주동맹, 제1차 오키나와 사회당, 류큐 국민당 등을 이끌었으며 류큐 독립과 의회민주주의를 주장했다.
- ↑ 류큐의 친미·보수 정치인이자 사업가로 미군정기 제3대 류큐 정부 행정주석을 지냈으나 당내 파벌경쟁으로 인해 사임하였다. 이후 제5·6대 독립 류큐국 주석을 지냈다.
- ↑ 류큐의 친미·보수 정치인이자 사업가로 제5대 류큐 정부 행정 주석을 지냈으며 미국 유학파로써 민주당내 미국통으로 이름이 높았다.
- ↑ 류큐의 혁신 정치인이자 교육자로 초대이자 마지막 류큐 국민정부 주석과 제1·2대 류큐국 주석을 지냈다.
- ↑ 정확히는 사회대중당의 전신 중 하나인 "오키나와 사회대중당" 소속이었다.
- ↑ 창당 초기의 오키나와 사회대중당은 보수 성향의 인물들도 다수 포함되어 있었으나 1950년대 중반기를 뒤로하여 대부분 탈당하였다.
- ↑ 류큐의 정치가로 제18·19대 나하 시장, 제3·4대 류큐국 주석을 지냈다.
- ↑ 류큐의 혁신 정치가이자 사회학자로 제7대 류큐국 주석을 지냈다.
- ↑ 오기미 아사토쿠 전 류큐 정부 행정주석의 공화당이 민주당 탈당파인 신민당과 합당하여 만든 정당으로 2001년 신생당으로 당명을 개정하였다.
- ↑ 류큐의 보수 정치가이자 사업가로 제8·9대 류큐국 주석을 지냈다.
- ↑ 후텐마 기지의 이전이 아닌 점진적인 반환 혹은 적극적인 축소를 주장하는 계파.
- ↑ 모델은 배우 후쿠모토 리코(福本莉子), 고이즈미 고타로(小泉孝太郎)
- ↑ 좋아, 빠르게 가! 집에서도, 학교에서도, 직장에서도, 어디에서든 행복한 일본을 향해.(よし、早く行け! 家でも、学校でも、職場でも、どこでも幸せな日本に向かっています。)
- ↑ 전후 최고 투표율
- ↑ 마츠모토 나미호, 하시모토 히사오, 나카야마 히토시
- ↑ 민주당, 사회민주당
제2의 몽골제국 원하면 개추
뭔가 장의사 하실 것 같은 너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