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큐 (민국 38)

[ 문서 보기 ]
[ 세계관 설명 ]
[ 세계관 설명 ]
중국이 제국주의에 의해서 망한다면
중국인은 망국의 인간으로 살아가게 될 것이다.
그러나 중국이 공산주의에 의해서 망한다면
중국인은 노예로도 살아갈 수 없을 것이다.
민국 38(民國三十八)은 가장 대표적인 대체역사 소재 중 하나인 중화민국국공내전 승리를 가정한 세계관 입니다.
민국 38년(1949년) 중화민국의 국공내전 승리 이후 중국과 동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변화한 여러 정치, 사회, 문화, 역사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틀:류큐 관련 문서 (민국 38)


류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류큐의 역사
琉球ぬ歴史
[ 펼치기 · 접기 ]
선사시대 선사시대
패총시대
구스쿠시대 천손씨
리유
류큐 왕국(슌텐 왕조)
류큐 왕국(에이소 왕조)
삼산시대 북산 중산 남산
류큐 왕국
(제1쇼씨 왕조)
류큐 왕국(제1쇼씨 왕조)
류큐 왕국 류큐 왕국
(제1쇼씨 왕조)
류큐 왕국
(제2쇼씨 왕조)
사쓰마 류큐 왕국(사쓰마번)
류큐 왕국(가고시마현)
일본 제국 일본 제국(류큐번)
일본 제국(오키나와현)
미국 미국 통치기 류큐 열도
현대 류큐공화국

동아시아의 국가 및 지역
[ 펼치기 · 접기 ]

류큐공화국
琉球共和国 | Republic of Ryukyu
국기 국장
守禮之邦 萬人世土[1]
예의를 지키는 나라 만인이 다스리는 땅
상징
국가 틴사구누하나[2]
국화 상아화
국목 유구송
국조 오키나와딱따구리
역사
[ 펼치기 · 접기 ]
• 류큐 열도 미국군정부 수립 1945년 4월 1일
• 류큐 열도 미국민정부 수립 1950년 12월 15일
• 류큐 정부 수립 1952년 4월 1일
• 독립 1972년 11월 21일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나하부
북위 26°12′47.1″ 동경 127°40′41″
최대도시
면적 2,280.98m2 | 세계 173위
인접국 일본국 (민국 38)의 기 일본국
중국 (민국 38)의 기 중국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 인구 1,492,640명(2029년) | 세계 152위
민족 구성
류큐 민족 (89.6%)
야마토 민족 (7.9%)
기타 (0.5%)
인구 밀도
654.4명/km2
출산율 1.83명 (2028년)
기대수명
73.95세 (2028년)
언어 공용어 오키나와어, 쿠니가미어, 미야코어, 야에야마어, 요나구니어
국민어 일본어
공용문자
한자(신자체), 가나 문자
종교 국교 없음 (정교 분리)
분포 류큐 신토 및 전통신앙 50.8%
불교 42.1%
기독교 3.2%
기타 및 무종교 3.9%
자국군 자위대(사실상)[3]
주둔군 주류미군[4]
인간개발지수 0.801(2028년) | very high | 세계 67위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갑급자치단체 11부 5현
을급자치단체 11정 19촌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단일국가, 대통령제, 공화제, 단원제, 대륙법계
민주주의 지수 7.16점, 결함 있는 민주주의 (2028년)
(167개국 중 45위, 아시아 8위)
주석
(국가원수)
(정부수반)
사키마 아츠시
정부
요인
입법원 의장
나카가와 쿄우키
행정원장 긴조 야스쿠니
최고재판소장
무라코시 이치히로
여당 민주당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 체제 자본주의시장 경제
GDP
(PPP)
전체 $530억 4,544만(2029년 IMF 기준) | 세계 105위
1인당 $35,538(2029년 IMF 기준) | 세계 37위
GDP
(명목)
전체 $420억 8,946만(2029년 IMF 기준) | 세계 94위
1인당 $28,198(2029년 IMF 기준) | 세계 37위
국부 $430억 2,160만(2028년) | 세계 107위
무역 수출 $103억 1,200만(2028년)
수입 $364억 8,000만(2028년)
외환보유액 $490억 9,700만(2028년)
신용 등급 무디스 A2
S&P A-
Fitch A+
화폐
공식 화폐
류큐 달러($, 円)
ISO 4217
RKD
국가
예산
1년 세입
$19억 8,790만(2028년)
1년 세출
$22억 2,130만(2028년)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연호 서력기원
시간대 UTC+9 (일본 표준시)
도량형 SI 단위
외교
[ 펼치기 · 접기 ]
대한수교현황 1973년 1월 7일
유엔 가입 1979년 6월 23일
무비자입국 양측 모두 90일
주한류큐대사관 서울특별시 중구 무교로21
ccTLD
.rk, .琉球
국가 코드
332, RYK, RK
국제전화코드
+889
차량 통행 방향
오른쪽
위치

지도를 불러오는 중...

개요

8K로 촬영된 류큐의 모습

류큐공화국(琉球共和国), 약칭 류큐(琉球)는 동아시아의 류큐 제도에 위치한 국가이다.

1945년 태평양 전쟁 당시 미군이 오키나와 일대를 점령하면서 류큐 열도 미국군정부가 수립되었고 종전 이후에는 미국민 정부로 전환되었다. 본래 류큐 내부에서는 일본국으로의 복귀를 주장하는 여론이 대다수였으나 1961년 남일본 전역에 비상사태가 선포되면서 독립 지지로 여론이 전환되었고 이후 류큐 정부의 수반인 주석에 대한 직선제가 실시되었다.

그러나 류큐 정부는 미국의 영향을 강하게 받으며 무능한 모습들을 보여주었고 1968년에 아시아 혁명의 여파로 1968년 류큐 사회투쟁이 일어나자 민정 당국은 류큐 정부를 현재 류큐 행정원의 전신인 류큐 행정부로 대체하였다. 이후 1970년에 1972년까지 류큐를 독립시킨다는 "류큐 관계법"이 통과되어 1972년 11월 21일 독립을 선언하게 되었다.

상징

국명

언어별 명칭
영어 Republic of RyuKyu
오키나와어 (るー) (ちゅー) (きょ) (うわ) (こく)
(るー) (ちゅー)
한국어 류큐공화국
류큐
표준중국어 (Liú) (qiú) (Gòng) () (guó)
(Liú) (qiú)
일본어 (りゅう) (きゅう) (きょ) (うわ) (こく)
(りゅう) (きゅう)
프랑스어 République de Ryūkyū
러시아어 Республика Рюкю
스페인어 República de Ryukyu
아랍어 جمهورية ريوكيو

"류큐"라는 이름이 맨 처음 나타난 것은 수나라의 역사서인 수서이며 "流求"혹은 드물게 "琉求"라고 표기되었다. 류큐 왕국이 명나라에 의해 공인된 후에는 표기가 현재와 같은 "琉球"로 고정되었다.

다만 수서에서 가리키는 "流求"는 현재의 류큐가 아니라 타이완 섬을 가리키는 명칭이었다는 게 정설이다. 중국인들의 지리 인식이 빈약하여 타이완 섬과 류큐를 구분하지 못하다가 명나라 초기에 "流求"의 표기를 고쳐 "琉球"를 오키나와 일대의 왕국의 이름으로 공인하게 되었다. 流求의 어원은 불명이나, 당시의 대만 원주민 언어 중 하나에서 쓰이는 단어를 듣고 적당히 음역(音譯)했을 가능성이 있다.

표제어인 "류큐"는 일본어 발음이며, 오키나와어로 발음한다면 "루추"이다.

국기

류큐삼색기
(るー) (ちゅー) (さん) (しょく) ()
지위 류큐의 국기
채택일 1972년 5월 15일
근거법령 류큐공화국 헌법 제7조
류큐공화국 상징에 관한 법률
비율 2: 3

류큐의 국기는 류큐삼색기이며 오키나와 민정부에 의하여 제작되었다. 1972년 5월 15일 류큐 정부에 의해서 공인되었다.

본래는 "오키나와기(沖縄旗)"라는 이름으로 제작되었으며 오키나와 민정부가 류큐 전체가 아닌 오키나와 민정부의 행정 범위인 "오키나와 제도"를 상징하는 깃발로 1950년 기획·제작한 것이다. 발표 당시에는 별다른 호응을 얻지 못한 채 묻혔으나 1972년 류큐 정부가 독립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입법원을 통해 "류큐공화국 상징에 관한 법률"을 통과 시킴에 따라 정식 국기로 제정되었다.

파란색은 평화, 흰색은 자유, 빨간색은 열성, 별은 희망을 상징한다. 여담이지만 동남아시아의 민족인 카렌족의 민족상징기 혹은 범슬라브 색을 활용한 여러 국기들과 디자인이 유사하다.

국장

휘쟈이구문
(ふぃじゃい) () (むん)
지위 류큐의 국장
채택일 2012년 3월 18일
근거법령 류큐공화국 상징에 관한 법률
사용처 국가기관
국가문서
여권
훈장
해외공관

휘쟈이구문(左御紋), 혹은 미츠도모에(三つ巴)는 류큐의 국장이다.

류큐 왕국 시대부터 미츠도모에를 휘쟈이구문이라 부르며 왕실의 상징으로 사용하였으며 류큐일치시기와 전후에도 류큐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다. 1972년 독립 이후에도 관습상의 국장으로서 여권이나 정부 상징으로 사용되었으며 2012년 "류큐공화국 상징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공식적인 국장으로 제정되었다.

국가

틴사구누하나
てぃんさぐぬ花
지위 류큐의 국가
채택일 2012년 3월 18일
근거법령 류큐공화국 상징에 관한 법률
작사 불명[5]
작곡
[ 펼치기 · 접기 ]
봉숭아꽃은
てぃんさぐぬ花や
손톱 끝에 물들이고
爪先 (ちみさち) ()
부모의 교훈은
(うや) () (ぐとぅ)
마음을 물들이네
(ちむ)に染みり
천상에 모여드는 별들은
(てぃん) () (ぶし)
세면 셀 수 있어도
()みば ()まりしが
부모의 교훈은
(うや) () (ぐとぅ)
셀 수 없는 것이네
()みやならぬ
밤에 달리는 배는
(ゆる) ()らす (ふに)
북극성에 의지하고
()方星 (ふぁぶし)目当 (みあ)てぃ
나를 낳은 부모님은
() ()ちぇる (うや)
나를 의지하시네
()んどぅ目当 (みあ)
보옥이라 할지라도
宝玉 (たからだま)やてぃん
닦지 않으면 녹이 스니
(みが)かにば (さび)
밤낮으로 마음을 가다듬고
朝夕 (あさゆ)肝磨 (ちむみが)
속세를 건너자
浮世 (うちゆ) (わた)
정직한 사람은
(まくとぅす)る人や
훗날의 언제까지
後や何時 (いち) (までぃ)
꿈이 이루어지고
思事 (うむくとぅ) (かな)てぃ
오랫동안 번영하네
千代 (ちゆ) (さかい)
무슨 일이든 하면
なしば何事 (なんぐとぅ)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なゆる (くとぅ)やしが
하지 않는 탓이기에
なさぬ (ゆい)からどぅ
되지 않을 것이니
ならぬ定み
닿지 않는 것은
() ()らん (くとぅ)
서로 돕고
一人 (ちゅい) ()れー ()れー
서로 보완해야
(たげ) (うじな)てぃどぅ
나이를 먹네
年や寄ゆる
있어도 기뻐하지 마라
あてぃん (ゆるく)ぶな
잃어도 한탄하지 마라
失てぃん泣くな
사람의 옳고 그름은
(ひとぅ)ぬよしあしや
나중에야 알 수 있으니
(あとぅ)どぅ知ゆる
번창해 갈 때에
(さか)てぃゆく中に
겸허함을 잊어서는 안 된다
(ちち)しまななゆみ
잘 익을수록 벼 이삭은
ゆかるふどぅ (ぅんに)
논두렁 길을 베개 삼으니
あぶし枕
노인의 아침저녁 말에는
朝夕 (あさゆ) () (ぐとぅ)
진지하게 귀를 기울여라
他所 (よそ)の上も見ちょてぃ
여생이 얼마 남지 않은 노인의 말을
老いのい言葉 (くとぅば)
업신여겨서는 안 된다
余いとぅ (うむ)

틴사구누하나(てぃんさぐぬ花)는 류큐의 국가이다.

제목 자체는 "봉선화(봉숭아)"라는 뜻이며 손톱에 봉선화물을 들이는 것이 마지문(マジムン, 악령)을 쫒아 낼 수 있다는 류큐의 믿음에서 유래되었다. 가사는 효도와 성실 등 유교적 가치를 강조하는 내용으로 국가로 지정된 공식 가사 이외에도 여러 버전에 가사가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류카에서 쓰이는 8/8/8/6자의 음수율을 지키고 있다. 한국의 아리랑과 비슷한 지위에 놓여있는 곡이다. 공식적으로는 10절까지가 있으나 보통은 최대 3절에서 4절까지가 불려진다.

독립 이후 국가제정 논의가 끊임 없이 있어왔고 실제로 1972년 류큐 국민의 노래(琉球国民の歌)가 국가로 지정 될 뻔 했으나 별 지지를 얻지 못한채 묻혔다. 이후 류큐의 전통가요인 틴사구누하나가 국민애창가(国民愛唱歌)라는 어정쩡한 지위로 국가 공식행사에서 연주되었으며 2012년 독립 40주년을 기념하여 공식 국가로 지정되었다.

역사

류큐의 역사
琉球ぬ歴史
[ 펼치기 · 접기 ]
선사시대 선사시대
패총시대
구스쿠시대 천손씨
리유
류큐 왕국(슌텐 왕조)
류큐 왕국(에이소 왕조)
삼산시대 북산 중산 남산
류큐 왕국
(제1쇼씨 왕조)
류큐 왕국(제1쇼씨 왕조)
류큐 왕국 류큐 왕국
(제1쇼씨 왕조)
류큐 왕국
(제2쇼씨 왕조)
사쓰마 류큐 왕국(사쓰마번)
류큐 왕국(가고시마현)
일본 제국 일본 제국(류큐번)
일본 제국(오키나와현)
미국 미국 통치기 류큐 열도
현대 류큐공화국

자연환경

류큐의 해변가

일반적으로 동아시아 국가로 분류되지만 위도가 낮은 탓에 아열대기후(오키나와 제도), 혹은 열대기후(사키시마 제도)가 나타난다. 대략 중국 남부의 광둥이나 하이난, 타이완과 비슷한 수준이다. 다만 일반적인 인식과는 달리 여름에는 그렇게 덥지 않은 편이며 실제로 2021년에는 최고 기온이 35도를 넘어간 날이 하루도 없었다. 또한 크기가 작은 섬나라이기 때문에 겨울에는 꽤나 쌀쌀한 편이며 눈만 내리지 않을 뿐이지[6] 생각보다 추운 날씨를 경험 할 수 있다. 다만 바람이 심하고 해가 나지 않아서 쌀쌀하게 느껴질 뿐이지, 온도 자체는 아무리 겨울이라도 최저 10도 이상은 보장된다. 여담이지만 같은 섬나라인 영국과 마찬가지로 상당히 변덕스러운 날씨를 보여준다.

류큐를 구성하는 각각의 섬들 주위에는 해안 단구와 산호초 지대가 발달하였으며 특히 산호초 지대에서 비롯된 일명 "류큐 석회암(琉球石灰岩)"이 지층을 형성하고 있기도 하다. 류큐의 주도(主島)인 오키나와 섬은 남서쪽으로 긴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섬의 지협부(地峽部)를 경계로 지형 및 지질이 다르다. 섬의 북부 지역은 중·고생대의 암석이 주요 기반으로 남부 지역에 비하여 급준(急峻)한 지형을 보이는 반면 남부 지역은 비교적 젊은 암석과 넓은 류큐 석회암 지대로 지형이 이루어져 있으며 북부에 비하여 평탄한 지형을 보여준다.

인문환경

류큐 전통 의상을 입은 류큐인들

좁은 국토에 비하여 굉장히 많은 인구를 자랑하며 실제로 인구 밀도 기준 세계 12위에 해당할 정도로 높은 인구 밀도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명목상의 인구 밀도는 세계 12위이지만 인구 상당수가 수도인 나하시와 오키나와 섬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류큐의 인구 분포 상황과 여러 무인도들의 존재를 고려해 볼 때 실질적인 인구 밀도는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국민의 90% 가량을 류큐 민족이 차지하고 있으며 류큐 사회의 주류를 차지하고 있다. 일본 민족 혹은 야마토 민족의 일부로 취급되는 경우도 있으나 언어와 문화면에서 야마토 민족과 명백한 차이를 보이기에 야먀토 민족과는 구분된다. 류큐에서 두번째로 많은 인구를 가지고 있는 민족 집단은 야마토 민족이다. 기본적으로 류큐 민족에 상당히 동화된 모습을 보이기에 류큐 민족과의 차이점을 찾기는 어려우나 언어의 사용에 있어서 대부분이 류큐어족에 속하는 언어를 사용하지 못하고 일본어 만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흔히들 류큐의 공용어를 "류큐어"라고 칭하는 사람들이 많으나 엄밀히 말해서 "류큐어"라는 개념은 마치 "중국어"와 같이 실질적으로는 존재하지 않는 개념이다. 민간에서 "중국어"의 "방언"으로 취급되는 베이핑 관화와 광둥어, 오어 등이 서로 대화가 통하지 않는 외국어 수준의 개별적인 "언어"인 것과 마찬가지로 "류큐어"에 속하는 "방언"들 역시 실상은 서로 소통이 되지 않는 외국어 수준의 언어이다. 대체로 오키나와 제도에서 사용되는 "북류큐어"와 사키시마 제도에서 사용되는 "남류큐어"로 나뉘며 북류큐어와 남류큐어의 화자는 서로 대화를 할 수 없는 수준이다. 내부적으로는 훨씬 많은 방언이 존재한다. 때문에 류큐 정부는 이러한 "류큐어족"에 속하는 언어 5개를 모두 공용어로 지정하고 있으나 표준 일본어를 "국민어"로 지정함으로써 공문서, 교육 및 각기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국민들의 소통에 사용하고 있다.

국민의 대부분은 류큐 신토를 비롯한 전통 신앙과 불교를 믿는다. 류큐 신토는 일본에서 붙혀진 명칭으로 일본 제국 시절의 민속학자들이 류큐의 전통 종교에 고대 일본 신토의 요소들이 남아있다는 결론을 내리면서 붙은 이름이다. 일본의 신토에 비해 샤머니즘과 조상 숭배의 요소가 강하다는 점이 특징이다.

행정구역

류큐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한국의 광역자치단체급인 갑급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급인 을급자치단체로 나뉘어진다. 갑급자치단체는 부(府)와 현(県)으로 나뉘며 부는 도시 지역, 현은 시골 지역에 설치된다. 또한 부는 단층제 행정구역으로 하위에 을급자치단체가 설치되지 않는다. 을급자치단체는 갑급자치단체 중 현 하위에 설치되는 행정구역으로 정(町)과 촌(村)으로 나뉜다.

정치

주석


류큐공화국 주석
[ 펼치기 · 접기 ]

역대 주석

류큐공화국 주석
이름 임기 선거 정당
시작일 종료일
1

야라 초뵤
屋良朝苗
(1902 ~ 1997)
1 1972년 5월 15일 1976년 5월 14일 1972년 [7]
2

오타 세이사쿠
大田政作
(1904 ~ 1999)
2 1976년 5월 15일 1980년 5월 14일 1976년 [8]
3 1980년 5월 15일 1984년 5월 14일 1980년
3

니시메 준지
西銘順治
(1921 ~ 2001)
4 1984년 5월 15일 1988년 5월 14일 1984년 [9]
5 1988년 5월 15일 1992년 5월 14일 1988년
4

오타 마사히데
大田昌秀
(1925 ~ 2017)
6 1992년 5월 15일 1996년 5월 14일 1992년 [10]
5

이나미네 게이치
稲嶺惠一
(1933 ~ )
7 1996년 5월 15일 2000년 5월 14일 1996년 [11]
6

데루야 간토쿠
照屋寛徳
(1945 ~ 2022)
8 2000년 5월 15일 2004년 5월 14일 2000년 [12]
9 2004년 5월 15일 2008년 5월 14일 2004년
7

니시메 고사부로
西銘恒三郎
(1954 ~ )
10 2008년 5월 15일 2012년 5월 14일 2008년 [13]
11 2012년 5월 15일 2016년 5월 14일 2012년
8

다마키 데니
玉城デニー
(1959 ~ )
12 2016년 5월 15일 2020년 5월 14일 2016년 [14]
13 2020년 5월 15일 2024년 5월 14일 2020년
9

사키마 아츠시
佐喜眞淳
(1964 ~ )
14 2024년 5월 15일 2028년 5월 14일 2024년 [15]
15 2028년 5월 15일 2032년 5월 14일
(예정)
2028년

행정원

입법원

류큐 입법원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여당

민주당
54석
야당

류큐 사회대중당
42석

사키시마 유신회
3석

류큐의 해방을 목표로 노동자당
1석
무소속 13석
재적 113석 | 공석 0석

주요 정당

외교

한류관계

오영훈 국무총리 특사와 데루야 요시미 당시 류큐 행정원장

한국과 류큐의 교류는 신라 시대부터 시작되었으나 이후 조선 시대에 이르러서는 쓰시마의 방해로 인하여 양국 관계가 쇠퇴하였고 20세기 초반에는 한국과 류큐 양국이 모두 일본의 식민 통치 하에 들어가면서 조선인 노동자들이 류큐(당시에는 오키나와현)으로 징용당했던것 이외에는 별다른 교류가 없었다. 1946년 일본이 항복하고 1948년에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자 당시 대통령이던 이승만은 류큐의 독립을 지지하였고 아세아민족반공연맹에 류큐 대표를 초청하는 등의 활동을 통해 간접적으로 류큐 독립을 지지하였다.

1961년 남일본에 국가비상사태가 선포되고 류큐과 남일본의 관계가 냉각되자 반대 급부로 한국과 류큐 간의 교류는 점차 확대되었으며 이후 류큐가 독립하자 다섯 번째로 류큐와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 현재 한국과 류큐의 관계는 우호적인 편으로 주로 제주도를 중심으로 한 민간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류큐는 한국인들의 관광지로 각광받고 있으며 일자리를 찾아 한국을 방문하는 류큐인들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남류관계

다마키 류큐 주석과 기시다 일본 총리, 니시메 전 주석

그럭저럭 괜찮은 편이다. 과거부터 양국은 서로 많은 교류를 주고 받던 국가였으나 1609년 사쓰마 번의 침공 이래 류큐는 일본의 준 속국 취급을 받아왔고 1870년대에 이르러서는 류큐 처분을 통해 완전히 일본에 병합되었다. 류큐일치시기에 류큐는 경제적인 수탈과 더불어 노동 착취를 당했으며 "황민화 정책"이라는 이름으로 류큐 전통문화는 많은 탄압을 받았다.

1945년 오키나와 전투를 통해 인구의 1/4에 달하는 주민들을 잃은 뒤 류큐는 일본의 지배에서 벗어나는데 성공하였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미국 통치기 류큐에서는 미군 기지 문제로 인하여 남일본으로 복귀하고자 하는 일명 "조국복귀운동(祖国復帰運動)"이 성행하였으며 이러한 기조는 약 15년간 이어졌다. 그러나 1961년 남일본에 국가비상사태가 선포되고 군정이 들어서자 조국복귀운동은 원동력을 잃었고 일본과의 관계도 시들해지며 류큐는 1972년 독립하게 되었다.

21세기 현재 류큐는 남일본과 그럭저럭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물론 과거사 문제 관련해서는 영 껄끄러운 관계이지만 경제적·문화적으로 류큐는 남일본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남일본 정부는 류큐에 대하여 비자나 관세등에 있어서 준 본토 취급을 하고 있다.

미류관계

우루마부 강간 살인 사건 당시의 항의 시위[16]

좋지 않은 편이다. 1945년 오키나와 전투 직전까지만 하더라도 류큐 내부에서는 미군을 "해방군"으로 여기는 풍조가 강했으나 미국 통치 시기 시민권의 제약과 여러 인권 침해, 주둔 미군의 횡포로 인하여 반미 정서가 확산되었고 한때는 조국복귀운동이 일어나며 남일본 복귀 여론이 다수가 된 적이 있을 정도로 미국에 대한 여론이 크게 악화되었다.

21세기 들어서도 미군기지 문제는 전혀 해결되지 않고 있으며 특히 2016년에는 미군 기지의 군무원에 의해 류큐 현지인 여성이 성폭행 당한 뒤 살해 된 초유의 사건이 벌어지면서 반미 정서는 정점을 찍었으며 2030년대 현재까지도 동아시아 제2의 규모의 미군 기지인 후텐마 기지의 철거 문제는 류큐 정계의 주요 의제로 남아있다.

그러나 미국 정부의 강한 반대와 1만명의 미군 기지 관련 산업 종사자의 생계 문제, 안보 공백등의 이유로 후텐마 기지의 철거는 지지부진한 상황이며 특히 미국 정부의 강한 반대로 인하여 기지 철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평가된다.

중류관계

2012년 유쿤쿠바지마 열도에 상륙한 중국인들 및 류큐 경찰

영토 문제와 더불어 미국과 함께 좋지 않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미중결렬 이전까지는 그럭저럭 괜찮은 관계를 유지하였으나 미중결렬 이후에는 관계가 급속히 냉각되었다. 애초에 동아시아의 패권국가를 자처하는 중국의 입장에서 대규모 미군기지가 들어서 있는 류큐는 눈엣가시였기 때문이다. 때문에 장제스 정권은 류큐 국민당 등 친중 정당을 지원하는 등의 막후 공작을 통해 류큐 내의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시도를 시속하였으나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또한 유쿤쿠바지마 열도(혹은 댜오위다오 열도) 분쟁 역시 양국 관계를 악화시키는데 일조하고 있으며 2010년 유쿤쿠바지마 열도 중국 어선 충돌 사건과 2012년 유쿤쿠바지마 열도 중국인 상륙 사건으로 인해 류큐의 반중 감정은 극에 달했으며 중국에서도 마찬가지로 반미·반류큐 시위가 벌어지는 등 중류 관계가 크게 악화되었다.

다만 이와 별개로 중국의 부속도서인 하이난성 및 타이완성과 류큐는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제주도, 하와이와 류큐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비슷한 환경을 가진 양자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졌기 때문이며 주기적으로 교류를 이어가고 있다.

경제

사회

문화

군사

미군과의 합동 훈련을 진행중인 류큐 자위대

공식적으로 류큐는 군대를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미류안보협정에 의거하여 주류미군이 류큐의 국방을 책임진다. 그러나 1974년 유쿤쿠바지마 열도 위기 이후 중국과의 관계가 악화되자 국방을 완전히 미국에 위임 할 수 만은 없다는 여론이 강해지기 시작했다. 때문에 1977년 이후로 자위대라는 이름의 일종의 공공부대(공안군)을 두고 있다. 비무장 국가인 코스타리카나 파나마의 군대를 생각한다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다만 경찰의 성격이 강한 코스타리카보다는 파나마의 공공부대와 좀 더 가까운 편인데 그 이유는 1970년대 유쿤쿠바지마 열도 위기 당시 미중관계가 험악해지면서 양국 간의 전면전까지는 아니더라도 국지전 수준의 전쟁은 충분히 발생 할 가능성이 있다는 평가가 나오던 시기였기 때문이다.

또한 위에 설명된 양국의 공공부대가 주로 육군(육상부대) 위주인 것과는 달리 류큐 자위대는 해군(해상부대) 중심인 것을 넘어 아예 육군이 존재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당연하게도 류큐가 4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섬나라이며 육군에 해당하는 업무는 경찰 소속 전투경찰이 대신하기 때문이다.

단위

창작물


  1. 신체자가 아닌 구체자로 되어있다.
  2. てぃんさぐぬ花, 봉선화라는 뜻이다.
  3. 미류안보협정에 의해 정식 군대는 두지 않기에 자위대 역시 법적으로 군대가 아닌 준군사조직이지만 사실상 군대에 준하는 대우를 받고있다.
  4. 미류안보협정에 따라 미군이 류큐의 안보를 책임진다.
  5. 원래는 민요로 구전되었던 곡이기에 작사 및 작곡가는 불명이다.
  6. 기상 관측이 시작된 이래 오키나와에 눈이 내린 적은 1977년과 2021년 단 두 번, 그것도 진눈깨비가 전부였다.
  7. 류큐 사회대중당 (1972. 5. 15. ~ 1976. 5. 14.).
  8. 민주당 (1976. 5. 15. ~ 1984. 5. 14.).
  9. 민주당 (1984. 5. 15. ~ 1992. 5. 14.).
  10. 류큐 사회대중당 (1992. 5. 15. ~ 1996. 5. 14.).
  11. 민주당 (1996. 5. 15. ~ 2000. 5. 14.).
  12. 류큐 사회대중당 (2000. 5. 15. ~ 2008. 5. 14.).
  13. 민주당 (2008. 5. 15. ~ 2016. 5. 14.).
  14. 류큐 사회대중당 (2016. 5. 15. ~ 2024. 5. 14.).
  15. 민주당 (2024. 5. 15. ~ 현재).
  16. 우루마부 강간 살인 사건은 류큐 주둔 미군 관계자가 우루마부의 한 류큐인 여성을 강간, 살해 및 유기 한 뒤 체포된 사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