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습장:쿠리오/4: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5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3번째 줄: 23번째 줄:
{{개화}}[[분류:개화/사건]][[분류:개화/군사]]
{{개화}}[[분류:개화/사건]][[분류:개화/군사]]
{{현대 한국의 전쟁·전투 (개화)}}
{{현대 한국의 전쟁·전투 (개화)}}
{| class="wikitable" style="float:right; max-width:450px; border:2px solid #030; color:#000;"
{| class="wikitable" style="float:right; max-width:450px; border:2px solid #030; color:#;"
! colspan="3" style="width:450px; background:#030; color:#fff;" | {{large|시베리아 전쟁}}<br>Siberian War<br>Сибирская война
! colspan="3" style="width:450px; background:#030; color:#;" | {{large|시베리아 전쟁}}<br>Siberian War<br>Сибирская война
|-
|-
| colspan="3" align=center | <div style="margin: -5px -9px">[[파일:북방 출병.jpg|450px]]<small>▲ 연해주로 진입하는 대한민국 국군</div>
| colspan="3" align=center | <div style="margin: -5px -9px">[[파일:북방 출병.jpg|450px]]<small>▲ 연해주로 진입하는 대한민국 국군</div>
|-
|-
! width=20% style="background:#030; color:#fff;" | 날짜
! width=20% style="background:#030; color:#fff;" | 날짜
| colspan="3" | 1918년 8월 ~ 1921년 3월
| colspan="3" | 1918년 1월 12일 ~ 1921년 3월
|-
|-
! rowspan="1"; style="background:#030; color:#fff;" | 장소
! rowspan="1"; style="background:#030; color:#fff;" | 장소
| colspan="2"| 시베리아, 연해주
| colspan="2"| 동시베리아, 연해주
|-
|-
|-
|-
! style="background:#030; color:#fff;" | 결과
! style="background:#030; color:#fff;" | 결과
| colspan="3" | '''무승부'''
| colspan="3" | '''무승부'''<br>[[하바리우스크 조약 (개화)|하바리우스크 조약]] 체결
|-
|-
! style="background:#030; color:#fff;" | 영향
! style="background:#030; color:#fff;" | 영향
49번째 줄: 49번째 줄:
|-
|-
! colspan="1" rowspan="1" style="background:#030; color:#fff;" | 지휘관
! colspan="1" rowspan="1" style="background:#030; color:#fff;" | 지휘관
| colspan="2" style="background:#030; color:#fff;" | <div class="mw-customtoggle-leaders"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 transparent; color:#fff;"><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 colspan="2" style="background:#; color:#;" | <div class="mw-customtoggle-leaders"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 transparent; color:#fff;"><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leaders"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left;">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leaders" style="background:;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left;">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left; ">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left; ">
{| style="background:#fff; 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left;margin-top:-2px; font-size:10.5pt; "
{| style="background:transparent; 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left;margin-top:-2px; font-size:10.5pt; "
|-
|-
| style="width:50%; color:#000; vertical-align:top;" | {{국기그림|소비에트 연방}} 레프 트로츠키<br>{{국기그림|소비에트 연방}} 유쿰스 바시에티스<br>{{국기그림|소비에트 연방}} 그리고리세르게이 카메네프<br>{{국기그림|소비에트 연방}} 미하일 투하쳅스키<br>{{국기그림|몽골 인민공화국}} 허를러깅 처이발상
| style="width:50%; color:#; vertical-align:top;" | {{국기그림|소비에트 연방}} 레프 트로츠키<br>{{국기그림|소비에트 연방}} 유쿰스 바시에티스<br>{{국기그림|소비에트 연방}} 그리고리세르게이 카메네프<br>{{국기그림|소비에트 연방}} 미하일 투하쳅스키<br>{{국기그림|몽골 인민공화국}} 허를러깅 처이발상
| style="width:50%; color:#000; vertical-align:top;" | {{국기그림|러시아}} 알렉산드르 콜차크<br>{{국기그림|대한민국}} [[박승환 (개화)|박승환]]<br>{{국기그림|대한민국}} [[노백린 (개화)|노백린]]<br>{{국기그림|대한민국}} [[홍범도 (개화)|홍범도]]<br>{{국기그림|녹우크라이나}} [[보리스 흐레샤티츠키 (개화)|보리스 흐레샤티츠키]]<br>{{국기그림|녹우크라이나}} [[흐리호리 세메노우 (개화)|흐리호리 세메노우]]
| style="width:50%; color:#; vertical-align:top;" | {{국기그림|러시아}} 알렉산드르 콜차크<br> {{국기그림|러시아}} 그리고리 세묘노프<br>{{국기그림|대한민국}} [[박승환 (개화)|박승환]]<br>{{국기그림|대한민국}} [[노백린 (개화)|노백린]]<br>{{국기그림|대한민국}} [[홍범도 (개화)|홍범도]]<br>{{국기그림|녹우크라이나}} [[보리스 흐레샤티츠키 (개화)|보리스 흐레샤티츠키]]<br>{{국기그림|녹우크라이나}} [[레오니드 슬리셴코 (개화)|레오니드 슬리셴코]]
|-
|-
|}</div></div>
|}</div></div>
|-
|-
! colspan="1" rowspan="1" style="background:#030; color:#fff;" | 전력
! colspan="1" rowspan="1" style="background:#030; color:#fff;" | 전력
| colspan="2" style="background:#030; color:#fff;" | <div class="mw-customtoggle-strength"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 transparent; color:#fff;"><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 colspan="2" style="background:#; color:#;" | <div class="mw-customtoggle-strength"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 transparent; color:#;"><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strength"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left;">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strength"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left;">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left; ">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left; ">
{| style="background:#fff; 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left;margin-top:-2px; font-size:10.5pt; "
{| style="background:#; 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left;margin-top:-2px; font-size:10.5pt; "
|-
|-
| style="width:50%; color:#000; vertical-align:top;" | 병력 7만 8천 명<br>전차 520대<br>장갑차 500대<br>야포 600문<br>항공기 700기
| style="width:50%; color:#; vertical-align:top;" |
| style="width:50%; color:#000; vertical-align:top;" | 병력 6만 5천 명<br>전차 450대<br>장갑차 378대<br>야포 530문<br>항공기 830기
| style="width:50%; color:#; vertical-align:top;" |
|-
|-
|}</div></div>
|}</div></div>
|-
|-
! colspan="1" rowspan="1" style="background:#030; color:#fff;" | 피해
! colspan="1" rowspan="1" style="background:#030; color:#;" | 피해
| colspan="2" style="background:#030; color:#fff;" | <div class="mw-customtoggle-damage"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 transparent; color:#fff;"><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 colspan="2" style="background:#; color:#;" | <div class="mw-customtoggle-damage"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 transparent; color:#;"><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damage"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left;">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damage"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left;">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left; ">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left; ">
{| style="background:#fff; 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left;margin-top:-2px; font-size:10.5pt; "
{| style="background:#; 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left;margin-top:-2px; font-size:10.5pt; "
|-
|-
| style="width:50%; color:#000; vertical-align:top;" | '''◇병력손실'''<br>사망 6천 5백 명<br>포로 2천 4백 명<br>부상 8천 명{{구분선}}'''◇장비손실'''<br>전차 283대<br>장갑차 216대<br>야포 134문<br>항공기 285기
| style="width:50%; color:#; vertical-align:top;" | '''◇병력손실'''<br>{{구분선}}'''◇장비손실'''<br>
| style="width:50%; color:#000; vertical-align:top;" | '''◇병력손실'''<br>사망 2천 8백 명<br>포로 2백 명<br>부상 5천 9백 명{{구분선}}'''◇장비손실'''<br>전차 126대<br>장갑차 78대<br>야포 89문<br>항공기 233기
| style="width:50%; color:#; vertical-align:top;" | '''◇병력손실'''<br>{구분선}}'''◇장비손실'''<br>
|-
|-
|}</div></div>
|}</div></div>
|-
|-
| colspan="3" |<div class="mw-customtoggle-19187456"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 transparent; color:#000;"><div style="margin: -3px 0px">'''[ 각주 펼치기 · 접기 ]'''</div></div>
| colspan="3" |<div class="mw-customtoggle-19187456"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 transparent; color:#;"><div style="margin: -3px 0px">'''[ 각주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19187456"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left;">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19187456"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left;">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left; ">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left; ">
{| style="background:#fff; 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left;margin-top:-2px; font-size:10.5pt; "
{| style="background:#; 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left;margin-top:-2px; font-size:10.5pt; "
|-
|-
| colspan="3" |{{각주}}
| colspan="3" |{{각주}}
93번째 줄: 93번째 줄:
{{목차}}
{{목차}}
{{-}}  
{{-}}  
 
==개요==
시베리아 전쟁은 러시아 내전의 일부로, 시베리아에서 러시아 적군과 러시아 백군 및 간섭군 사이에서 벌어진 전쟁이다. 하바리우스크 전쟁을 통해 마무리되었으며, 러시아 적군은 동시베리아 대부분의 지역을 합병했고 녹우크라이나는 연해주 지방을 영토로 하여 독립하였다.
{{글 숨김 끝}}
{{글 숨김 끝}}


=만주 갑오군란=
=만주 갑오군란=
178번째 줄: 178번째 줄:
{{개화}}[[분류:개화/사건]][[분류:개화/군사]]
{{개화}}[[분류:개화/사건]][[분류:개화/군사]]
{| class="wikitable" style="float:right; max-width:450px; border:2px solid #030; color:#000;"
{| class="wikitable" style="float:right; max-width:450px; border:2px solid #030; color:#000;"
! colspan="3" style="width:450px; background:#030; color:#fff;" | {{large|갑오내란}}<br>Manchurian Coup 1954
! colspan="3" style="width:450px; background:#030; color:#fff;" | {{large|갑오내란}}<br>甲午內亂<br>Manchurian Civil War
|-
|-
| colspan="3" align=center | <div style="margin: -5px -9px">[[파일:갑오내란.jpg]]<small>▲   (1954...)</div>
| colspan="3" align=center | <div style="margin: -5px -9px">[[파일:갑오내란.png]]<small>▲ 만주내전 관련 사진들<ref>좌상단부터 시계방향으로: 행군하는 정부군, 착검 후 일제히 돌격하는 공산당군, 구성연군을 향해 무반동포로 포격하는 정부군, 내전으로 폐허가 된 [[치치하르 (개화)|치치하르]]</ref></div>
|-
|-
! width=15% style="background:#030; color:#fff;" | 날짜
! width=15% style="background:#030; color:#fff;" | 날짜
190번째 줄: 190번째 줄:
|-
|-
! style="background:#030; color:#fff;" | 결과
! style="background:#030; color:#fff;" | 결과
| colspan="3" | '''반란 실패'''
| colspan="3" | '''정부군의 승리, 반군 진압'''
|-
|-
! style="background:#030; color:#fff;" | 영향
! style="background:#030; color:#fff;" | 영향
| colspan="3" | [[만주 내전 (개화)|만주 내전]] 촉발
| colspan="3" |  
|-
|-
! Width="14%"; colspan="1"; rowspan="2" style="background:#030; color:#fff;" | 교전세력
! Width="14%"; colspan="1"; rowspan="2" style="background:#030; color:#fff;" | 교전세력
200번째 줄: 200번째 줄:
|-
|-
| colspan="1" width=40% style="vertical-align:top;" | {{국기그림|만주 (개화)}} [[만주 (개화)|만주국 정부]]<br>{{글씨 색|transparent|...}}{{국기그림|만주 경찰 (개화)}} 만주국 경찰<br>{{국기그림|만주군 (개화)}} [[만주군 (개화)|만주국 국군]]<br>{{글씨 색|transparent|...}}{{국기그림|만주 육군 (개화)}} 만주국 육군<br>{{글씨 색|transparent|...}}{{국기그림|만주 공군 (개화)}} 만주국 공군<br>{{글씨 색|transparent|...}}{{국기그림|만주 내군 (개화)}} 만주국 내군<br>{{글씨 색|transparent|...}}{{국기그림|녹우크라이나}} 오극란 민병대<br>{{글씨 색|transparent|...}}{{국기그림|러시아}} 노서아 민병대
| colspan="1" width=40% style="vertical-align:top;" | {{국기그림|만주 (개화)}} [[만주 (개화)|만주국 정부]]<br>{{글씨 색|transparent|...}}{{국기그림|만주 경찰 (개화)}} 만주국 경찰<br>{{국기그림|만주군 (개화)}} [[만주군 (개화)|만주국 국군]]<br>{{글씨 색|transparent|...}}{{국기그림|만주 육군 (개화)}} 만주국 육군<br>{{글씨 색|transparent|...}}{{국기그림|만주 공군 (개화)}} 만주국 공군<br>{{글씨 색|transparent|...}}{{국기그림|만주 내군 (개화)}} 만주국 내군<br>{{글씨 색|transparent|...}}{{국기그림|녹우크라이나}} 오극란 민병대<br>{{글씨 색|transparent|...}}{{국기그림|러시아}} 노서아 민병대
| width="40%" style="vertical-align:top;" | {{국기그림|만주공산당 (개화)}} [[만주공산당 (개화)|만주공산당]]<br>{{국기그림|동몽골 군사정부 (개화)}} [[동몽골 군사정부 (개화)|동몽골 군사정부]]<br>{{국기그림|중화해방군단 (개화)}} [[중화해방군 (개화)|중화해방군]]
| width="40%" style="vertical-align:top;" | {{국기그림|만주공산당 (개화)}} [[만주공산당 (개화)|만주공산당]]<br>{{국기그림|동몽고 군사정부 (개화)}} [[동몽고 군사정부 (개화)|동몽고 군사정부]]<br>{{국기그림|중화해방군단 (개화)}} [[동북구성연군 (개화)|동북구성연군]]<br>{{국기그림|만주인민혁명당 (개화)}} [[만주인민혁명당 (개화)|만주인민혁명당]]<br>기타 소규모 민병대
|-
|-
! colspan="1" rowspan="1" style="background:#030; color:#fff;" | 지휘관
! colspan="1" rowspan="1" style="background:#030; color:#fff;" | 지휘관
208번째 줄: 208번째 줄:
{| style="background:#fff; 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left;margin-top:-2px; font-size:10.5pt; "
{| style="background:#fff; 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left;margin-top:-2px; font-size:10.5pt; "
|-
|-
| style="width:50%; color:#000; vertical-align:top;" | {{국기그림|만주 (개화)}} [[강덕제 (개화)|강덕제 푸이]]<br>{{국기그림|만주 (개화)}} [[만주국 내각총리대신 (개화)|수상]] [[차이윈성 (개화)|차이윈성]] †<br> {{국기그림|만주 (개화)}} 부수상 [[롼전둬 (개화)|롼전둬]]<br> {{국기그림|만주군 (개화)}} 수위상 [[류천청 (개화)|류천청]] †<br>{{국기그림|만주군 (개화)}} 국군총감 <sub>육군대장</sub> [[장원주 (개화)|장원주]]
| style="width:50%; color:#000; vertical-align:top;" | {{국기그림|만주 (개화)}} [[강덕제 (개화)|강덕제 푸이]]<br>{{국기그림|만주 (개화)}} [[만주국 내각총리대신 (개화)|수상]] [[롼전둬 (개화)|롼전둬]]<br>{{국기그림|만주군 (개화)}} 국군총감 [[장원주 (개화)|장원주]]
| style="width:50%; color:#000; vertical-align:top;" | {{국기그림|만주 (개화)}} [[강덕제 (개화)|강덕제 푸이]]<br>{{국기그림|만주 (개화)}} [[만주국 내각총리대신 (개화)|수상]] [[차이윈성 (개화)|차이윈성]] †<br> {{국기그림|만주 (개화)}} 부수상 [[롼전둬 (개화)|롼전둬]]<br> {{국기그림|만주군 (개화)}} 수위상 [[류천청 (개화)|류천청]] <br>{{국기그림|만주군 (개화)}} 국군총감 <sub>육군대장</sub> [[장원주 (개화)|장원주]]
| style="width:50%; color:#000; vertical-align:top;" | {{국기그림|만주공산당 (개화)}} [[린뱌오 (개화)|린뱌오]]<br>{{국기그림|만주공산당 (개화)}} [[저우바오중 (개화)|저우바오중]]<br>{{국기그림|중화해방군단 (개화)}} [[양위팅 (개화)|양위팅]]<br> {{국기그림|만주인민혁명당 (개화)}} [[천러이 (개화)|천러이]]
|-
|-
|}</div></div>
|}</div></div>
232번째 줄: 232번째 줄:
| style="width:50%; color:#000; vertical-align:top;" | 사망 134명<br>부상 196 명
| style="width:50%; color:#000; vertical-align:top;" | 사망 134명<br>부상 196 명
| style="width:50%; color:#000; vertical-align:top;" | 사망 56명<br>부상 142명
| style="width:50%; color:#000; vertical-align:top;" | 사망 56명<br>부상 142명
|-
|}</div></div>
|-
| colspan="3" |<div class="mw-customtoggle-19187456"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 transparent; color:#000;"><div style="margin: -3px 0px">'''[ 각주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19187456"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left;">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left; ">
{| style="background:#fff; 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left;margin-top:-2px; font-size:10.5pt; "
|-
| colspan="3" |{{각주}}
|-
|-
|}</div></div>
|}</div></div>
247번째 줄: 238번째 줄:
{{목차}}
{{목차}}
{{-}}
{{-}}
{{목차}}
==개요==
==개요==
[[대한민국 국군 (개화)|대한민국 국군]]의 극우 전체주의 사조직인 [[흑우회 (개화)|흑우회]]정부 전복을 목적으로 일으킨 쿠데타. 쿠데타군은 청와대와 방송국 등 몇몇 국가중요시설을 점거하는 데에는 성공했으나 국군 지휘 체계 차단에 실패해 실패하였다. 소령 [[최용건 (개화)|최용건]]을 비롯한 주모자들은 사살되거나 자살했다.
1954년부터 1956년까지 만주에서 일어난 내전. [[1954년 만주 쿠데타 (개화)|군부 쿠데타]][[차이윈성 (개화)|차이윈성]] 수상 등 여러 정부 요인들이 쿠데타 세력에 의해 목숨을 잃고 사회 혼란이 가중되자 일부 급진적 사회주의 세력, 한족 민족주의자들, 몽골 왕공족 그리고 기타 소규모 반정부 세력이 봉기하여 발생하였다. 만주 정부는 1956년 공식적으로 내전의 종료와 반군 토벌의 완성을 선언하였으나 1960년대까지 일부 반군 세력이 잔존해 테러 활동을 이어갔다.
 
만주에서는 갑오년에 일어난 내부의 환란이라고 하여 갑오내란(甲午內亂)이라고 부르며, 영어로는 만주 내전(Manchurian Civil War)이라고 한다. 한국 정부는 만주 정부의 요청에 따라 만주 내란이라고 표현한다.
==배경==
==반란 세력==
* {{국기그림|만주공산당 (개화)}} 만주 공산당
* {{국기그림|중화해방군단 (개화)}} 동북구성연군
* {{국기그림|만주인민혁명당 (개화)}} 만주인민혁명당
* {{국기그림|동몽고 군사정부 (개화)}} 동몽고 군사정부
 
==전개==
==종전과 그 후==
==피해==
==인식==
===만주 국내의 인식===
===국제사회의 인식===
==대중매체에서==
{{글 숨김 끝}}
{{글 숨김 끝}}


285번째 줄: 293번째 줄:
{| style="background:#fff; 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left;margin-top:-2px; font-size:10.5pt; "
{| style="background:#fff; 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left;margin-top:-2px; font-size:10.5pt; "
|-
|-
| style="width:50%; color:#000; vertical-align:top;" | {{국기그림|흑우회 (개화)}} 최용건☠<br>{{국기그림|흑우회 (개화)}} 김봉완 †<br>{{국기그림|흑우회 (개화)}} 재병을☠<br>{{국기그림|흑우회 (개화)}} 김강☠<br>{{국기그림|흑우회 (개화)}} 백서죽 †
| style="width:50%; color:#000; vertical-align:top;" | {{국기그림|흑우회 (개화)}} 최용건 ☠<br>{{국기그림|흑우회 (개화)}} 김홍계 †<br>{{국기그림|흑우회 (개화)}} 안길 ☠<br>{{국기그림|흑우회 (개화)}} 최현 ☠
| style="width:50%; color:#000; vertical-align:top;" | {{국기그림|대한민국}} [[양기탁 (개화)|양기탁]]<br>{{국기그림|대한민국}} [[이동휘 (개화)|이동휘]]<br>{{국기그림|대한민국}} [[홍범도 (개화)|홍범도]]<br>{{국기그림|대한민국}} [[김좌진 (개화)|김좌진]]<br>{{국기그림|대한민국}} [[조성환 (개화)|조성환]]<br>{{국기그림|대한민국}} [[송호성 (개화)|송호성]]
| style="width:50%; color:#000; vertical-align:top;" | {{국기그림|대한민국}} [[양기탁 (개화)|양기탁]]<br>{{국기그림|대한민국}} [[이동휘 (개화)|이동휘]]<br>{{국기그림|대한민국}} [[홍범도 (개화)|홍범도]]<br>{{국기그림|대한민국}} [[김좌진 (개화)|김좌진]]<br>{{국기그림|대한민국}} [[조성환 (개화)|조성환]]<br>{{국기그림|대한민국}} [[송호성 (개화)|송호성]]
|-
|-
326번째 줄: 334번째 줄:
==개요==
==개요==
[[대한민국 국군 (개화)|대한민국 국군]]의 극우 전체주의 사조직인 [[흑우회 (개화)|흑우회]]가 정부 전복을 목적으로 일으킨 쿠데타. 쿠데타군은 청와대와 방송국 등 몇몇 국가중요시설을 점거하는 데에는 성공했으나 국군 지휘 체계 차단에 실패해 실패하였다. 소령 [[최용건 (개화)|최용건]]을 비롯한 주모자들은 사살되거나 자살했다.
[[대한민국 국군 (개화)|대한민국 국군]]의 극우 전체주의 사조직인 [[흑우회 (개화)|흑우회]]가 정부 전복을 목적으로 일으킨 쿠데타. 쿠데타군은 청와대와 방송국 등 몇몇 국가중요시설을 점거하는 데에는 성공했으나 국군 지휘 체계 차단에 실패해 실패하였다. 소령 [[최용건 (개화)|최용건]]을 비롯한 주모자들은 사살되거나 자살했다.
{{글 숨김 끝}}  
{{글 숨김 끝}}


=김구 피살=
=김구 피살=
385번째 줄: 393번째 줄:
{{글 숨김}}
{{글 숨김}}
{{개화 배너}}
{{개화 배너}}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fff; color:#000; float:right; max-width:500px; border: 2px solid #580009; text-align:center;"
{| class="wikitable" style=" color:#000; float:right; max-width:500px; border: 2px solid #FFC600; text-align:center;"
! colspan="5" style="background:#580009; color:#fff; width:500px;" | [[파일:대한민국 국회 구로고.png|40px]]<br>{{large|제2회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 colspan="5"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C600 0%, #FFF7B7 23%, #FFF7B7 77%, #FFC600);; color:#000; width:500px" | [[파일:만주 입법원 로고.svg|70px|link=만주국 입법원 (개화)]]<br>{{large|제5회 만주국 입법의원 선거}}
|-
|-
! colspan="5" style="background:#580009; color:#fff;" |
! colspan="5" style="background:#FFC600; color:#fff;" |
|-
|-
| colspan="5" |
| colspan="5" |
399번째 줄: 407번째 줄:
|}
|}
|-
|-
! colspan="5" style="background:#580009; color:#fff;" | 선거 결과
! colspan="5" style="background:#FFC600; color:#000;" | 선거 결과
|-
|-
| colspan="5" | [[파일:제5회 만주 입법원 의원 선거.svg|450px]]<br><div style="margin: -5px -9px">{{글씨 크기|7.5|▼}}</div>
| colspan="5" | [[파일:제5회 만주 입법원 의원 선거.svg|450px]]<br><div style="margin: -5px -9px">{{글씨 크기|7.5|▼}}</div>
412번째 줄: 420번째 줄:
! width=20% style="color:#2D3865;" | 비율
! width=20% style="color:#2D3865;" | 비율
|-
|-
| {{협화회 (개화)}}</span>
| {{협화당 (개화)}}</span>
| colspan="2"|[[장징후이 (개화)|장징후이]]
| colspan="2"|[[장징후이 (개화)|장징후이]]
| '''석'''
| '''석'''
| '''41.6%'''
| '''41.6%'''
|-
|-
| {{만주인민당 (개화)}}
| {{인민전선 (개화)}}
| colspan="2"| [[저우바오중 (개화)|저우바오중]]
| colspan="2"| [[저우바오중 (개화)|저우바오중]]<br>[[천러이 (개화)|천러이]]<br>[[자오신보 (개화)|자오신보]]
| 석
| 석
| 30.5%
| 30.5%

2024년 9월 27일 (금) 20:54 기준 최신판

목록

1차극동

일본은 애당초 조선을 식민지화할 구상을 가지고 있었으나 조선의 근대화가 빠르게 이루어지며 조선의 식민화가 불가능할 것이라고 판단하고 해군의 의견을 따라 남방으로 진출하기로 결정했다. 때마침 조선은 북방으로 진출하기를 희망하고 있었는데, 북방으로 진출하려는 조선과 남방으로 진출하려는 일본은 공통적으로 청나라를 상대해야만 했다. 양측의 공동의 적이 생기면서, 조선과 일본은 1892년 비밀리에 동맹조약을 체결했다.[1]

새로운 농경기술은 조선에서의 식량 생산량을 크게 늘렸으나 인구가 천만이 훌쩍 넘어가며 한반도의 인구압은 극한에 도달했다. 이로 인해 많은 조선인들이 압록강과 두만강을 넘어 청나라 영토인 간도에 정착했다.

간도의 조선인들은 청국인들과 농토를 두고 마찰을 빚었다. 이에 청나라는 지역 치안을 유지하기 위해 여러 개의 영[2]을 파견하였고 조선 역시 간도의 조선인들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2개 육군연대를 파견했다. 간도방어사로 임명된 참장(소장) 이용익이 간도에 주둔한 청군을 기습공격해 간도 밖으로 몰아내자 청이 대규모 병력을 동원하여 대응하며 조선 정부에 최후통첩을 보냈다.

조선 정부는 일본 정부와 합의를 거친 뒤 청에 공동으로 선전포고했다. 동시에 청과의 사대관계를 완전히 폐지하고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바꿨다.

한국의 예상치 못한 행동에 청나라는 당황하였으나 곧 대규모 병력을 준비해 간도를 공격한다.

시베리아 전쟁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현대 한국의 전쟁·전투
[ 펼치기 · 접기 ]
전쟁·전투 교전국
제1차 극동전쟁
(1894-1895)
청나라의 기 청나라
의화단 운동
(1900-1901)
의화단
청나라의 기 청나라
제2차 극동전쟁
(1904-1905)
러시아 제국의 기 러시아 제국
제1차 세계대전 (태평양전역)
(1914)
독일 제국의 기 독일 제국
북방 출병
(1918-1921)
소비에트 러시아
극동 공화국의 기 극동 공화국
몽골 인민공화국의 기 몽골 빨치산 → 몽골 인민군
만주 출병
(1927)
봉천군벌
치올코우스키 전투
(1936)
소비에트 연방의 기 소비에트 연방
제3차 극동전쟁
(1940-1941)
소비에트 연방의 기 소비에트 연방
일본의 기 일본 제국
제2차 세계대전 (태평양전쟁)
(1941-1945)
일본의 기 일본 제국과 친구들
한중전쟁
(1956-1957)
타이완의 기 중화민국
베트남 전쟁
(1967-1975)
베트남의 기 월맹
베트콩
걸프 전쟁
(1990-1991)
이라크의 기 이라크
시베리아 전쟁
Siberian War
Сибирская война
▲ 연해주로 진입하는 대한민국 국군
날짜 1918년 1월 12일 ~ 1921년 3월
장소 동시베리아, 연해주
결과 무승부
하바리우스크 조약 체결
영향 녹우크라이나 독립
소련의 동시베리아 병합
교전국
적군
백군·간섭군
소비에트 연방의 기 소련
극동 공화국의 기 극동 공화국
몽골 인민공화국의 기 몽골 인민혁명당
러시아의 기 러시아국 (-1921)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녹우크라이나의 기 녹우크라이나
기타 간섭군 (-1918)
지휘관
[ 펼치기 · 접기 ]
소비에트 연방의 기 레프 트로츠키
소비에트 연방의 기 유쿰스 바시에티스
소비에트 연방의 기 그리고리세르게이 카메네프
소비에트 연방의 기 미하일 투하쳅스키
몽골 인민공화국의 기 허를러깅 처이발상
러시아의 기 알렉산드르 콜차크
러시아의 기 그리고리 세묘노프
대한민국의 기 박승환
대한민국의 기 노백린
대한민국의 기 홍범도
녹우크라이나의 기 보리스 흐레샤티츠키
녹우크라이나의 기 레오니드 슬리셴코
전력
[ 펼치기 · 접기 ]
피해
[ 펼치기 · 접기 ]
◇병력손실

◇장비손실
◇병력손실
{구분선}}◇장비손실
[ 각주 펼치기 · 접기 ]
  1. 조선은 당시까지는 명목상으로 청나라의 조공국이었기에 공개적으로 조일동맹을 체결할 수 없었다.
  2. 청나라군이 쓰던 부대 단위. 1개 영은 약 1,500명에서 2,000명 정도로 구성됐다.

개요

시베리아 전쟁은 러시아 내전의 일부로, 시베리아에서 러시아 적군과 러시아 백군 및 간섭군 사이에서 벌어진 전쟁이다. 하바리우스크 전쟁을 통해 마무리되었으며, 러시아 적군은 동시베리아 대부분의 지역을 합병했고 녹우크라이나는 연해주 지방을 영토로 하여 독립하였다.

만주 갑오군란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갑오군란
Manchurian Coup 1954
▲ 정부청사를 향하는 반란군 전차 (1954.1..)
날짜 1954년 1월 일 ~ 1954년 1월 일
장소 만주 (개화)의 기 만주국 하르빈 특별시
결과 반란 실패
영향 만주 내전 촉발
교전세력
반란군
진압군
신군부 (개화)의 기 신군부 만주 (개화)의 기 만주국 정부
만주군의 기 만주국 국군
지휘관
[ 펼치기 · 접기 ]
신군부 (개화)의 기 국군정보사장 내군중장 촨더우환
신군부 (개화)의 기 제9보병사단장 육군중장 루타이유 †
신군부 (개화)의 기 국군군수사부장 육군상장 류쉐셩 ☠
만주 (개화)의 기 강덕제 푸이
만주 (개화)의 기 수상 차이윈성
만주 (개화)의 기 부수상 롼전둬
만주군의 기 수위상 류천청
만주군의 기 국군총감 육군대장 장원주
전력
[ 펼치기 · 접기 ]
병력 약 1천 3백 명
야포 2문
장깁차 4대
병력 1만 5천 명
전차 39대
장갑차 50대
야포 32문
피해
[ 펼치기 · 접기 ]
사망 134명
부상 196 명
사망 56명
부상 142명
[ 각주 펼치기 · 접기 ]

개요

대한민국 국군의 극우 전체주의 사조직인 흑우회가 정부 전복을 목적으로 일으킨 쿠데타. 쿠데타군은 청와대와 방송국 등 몇몇 국가중요시설을 점거하는 데에는 성공했으나 국군 지휘 체계 차단에 실패해 실패하였다. 소령 최용건을 비롯한 주모자들은 사살되거나 자살했다.

만주 갑오내란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갑오내란
甲午內亂
Manchurian Civil War
▲ 만주내전 관련 사진들[1]
날짜 1954년 2월 일 ~ 1956년 월 일
장소 만주 (개화)의 기 만주국 전역
결과 정부군의 승리, 반군 진압
영향
교전세력
정부군
반란군[2]
만주 (개화)의 기 만주국 정부
...만주 경찰 (개화)의 기 만주국 경찰
만주군의 기 만주국 국군
...만주 육군 (개화)의 기 만주국 육군
...만주 공군 (개화)의 기 만주국 공군
...만주 내군 (개화)의 기 만주국 내군
...녹우크라이나의 기 오극란 민병대
...러시아의 기 노서아 민병대
만주공산당 (개화)의 기 만주공산당
동몽고 군사정부의 기 동몽고 군사정부
만주의 기 동북구성연군
만주인민혁명당 (개화)의 기 만주인민혁명당
기타 소규모 민병대
지휘관
[ 펼치기 · 접기 ]
전력
[ 펼치기 · 접기 ]
병력 약 1천 3백 명
야포 2문
장깁차 4대
병력 1만 5천 명
전차 39대
장갑차 50대
야포 32문
피해
[ 펼치기 · 접기 ]
사망 134명
부상 196 명
사망 56명
부상 142명

개요

1954년부터 1956년까지 만주에서 일어난 내전. 군부 쿠데타차이윈성 수상 등 여러 정부 요인들이 쿠데타 세력에 의해 목숨을 잃고 사회 혼란이 가중되자 일부 급진적 사회주의 세력, 한족 민족주의자들, 몽골 왕공족 그리고 기타 소규모 반정부 세력이 봉기하여 발생하였다. 만주 정부는 1956년 공식적으로 내전의 종료와 반군 토벌의 완성을 선언하였으나 1960년대까지 일부 반군 세력이 잔존해 테러 활동을 이어갔다.

만주에서는 갑오년에 일어난 내부의 환란이라고 하여 갑오내란(甲午內亂)이라고 부르며, 영어로는 만주 내전(Manchurian Civil War)이라고 한다. 한국 정부는 만주 정부의 요청에 따라 만주 내란이라고 표현한다.

배경

반란 세력

  • 만주공산당 (개화)의 기 만주 공산당
  • 만주의 기 동북구성연군
  • 만주인민혁명당 (개화)의 기 만주인민혁명당
  • 동몽고 군사정부의 기 동몽고 군사정부

전개

종전과 그 후

피해

인식

만주 국내의 인식

국제사회의 인식

대중매체에서

12.5 반란사건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12.5 반란사건
December 5 Coup
▲ 병사들을 선동하는 최용건
날짜 1933년 12월 5일 ~ 1933년 12월 6일
장소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한성부
결과 반란 실패
영향 양기탁 총리 사퇴
대대적인 숙군
교전세력
반란군
진압군
흑우회 (새화)의 기 흑우회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정부
지휘관
[ 펼치기 · 접기 ]
흑우회 (새화)의 기 최용건 ☠
흑우회 (새화)의 기 김홍계 †
흑우회 (새화)의 기 안길 ☠
흑우회 (새화)의 기 최현 ☠
대한민국의 기 양기탁
대한민국의 기 이동휘
대한민국의 기 홍범도
대한민국의 기 김좌진
대한민국의 기 조성환
대한민국의 기 송호성
전력
[ 펼치기 · 접기 ]
병력 약 1천 3백 명
야포 2문
장깁차 4대
병력 1만 5천 명
전차 39대
장갑차 50대
야포 32문
피해
[ 펼치기 · 접기 ]
사망 134명
부상 196 명
사망 56명
부상 142명
[ 각주 펼치기 · 접기 ]
  1. 좌상단부터 시계방향으로: 행군하는 정부군, 착검 후 일제히 돌격하는 공산당군, 구성연군을 향해 무반동포로 포격하는 정부군, 내전으로 폐허가 된 치치하르
  2. 이 항목의 세력들이 한 편이었던 것은 아니며, 서로 싸우기도 하고 때로는 협력하기도 하며 이합집산을 벌인 세력들이다. 다만 이들은 모두 만주국 중앙정부와 싸웠다는 공통점이 있어 반란군으로 묶는다.

개요

대한민국 국군의 극우 전체주의 사조직인 흑우회가 정부 전복을 목적으로 일으킨 쿠데타. 쿠데타군은 청와대와 방송국 등 몇몇 국가중요시설을 점거하는 데에는 성공했으나 국군 지휘 체계 차단에 실패해 실패하였다. 소령 최용건을 비롯한 주모자들은 사살되거나 자살했다.

김구 피살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김창암 총리 피살사건
金昌巖總理被殺事件
Assassination of Prime Minister Kim Chang-am
▲ 당시 조선일보 기사[1]
발생일시 1944년 11월 20일 오전 7시 40분 경
유형 살인, 적색테러
발생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피의자 김천호 (金天浩, 26세) 등 4인[2]
동기 대한공산당 잔여세력의 대한민국 체제전복 기도
피해자 김창암 (제15대 대한민국 국무총리) 등 3인

개요

1944년 11월 20일, 태평양전쟁 도중 대한민국의 제18대 국무총리김창암대한청년전위대 단원 김천호 일당에게 백주대낮에 살해된 사건.

전개

1944년 11월 20일, 제2차 세계대전과 태평양전쟁은 막바지로 달려가고 있었다.

그날 역시 김창암 총리는 관저에서 나와 기자들과 짧은 질의응답을 하고 총리부 청사로 출근하기 위해 집 앞에서 대기하던 관용차를 탔다.

차가 이동하던 중 다른 차 한 대가 김참암이 타고 있던 차를 들이박았다. 다행히도 김칭암 총리와 운전기사가 가벼운 부상을 입은 걸로 끝났고 사고 직후 두 명의 청년이 사고 현장에 모여든 인파 속에서 나와 차로 접근하더니 김창암 총리와 일행이 차 밖으로 나올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고맙네, 자네들.
김창암이 자신을 도와준 청년들에게 한 말.[3] 이 말이 사실상 그의 유언이 되었다.

그 순간, 그 두 명의 청년은 품 속에서 기관단총을 꺼내 김창암과 김창암의 보좌관인 선우진[4], 운전기사에게 총을 난사했다. 특히 암살범들은 김창암에게만 최소 30여 발을 쏘았다.

사람들이 급작스러운 총격에 놀라 흩어지자 암살범들은 도망쳤다. 보좌관 선우진과 운전기사는 구사일생으로 목숨을 구했으나 김창암 총리는 현장에서 즉사했다.

김창암을 살해한 범인 2명은 도주하였으나 사건현장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서 무장경찰들의 총격을 받고 사살되었다.

범인과 배후

경찰은 사살된 남자들의 지문을 통해 그들이 과거 대한공산당 산하조직인 대한청년전위대에서 활동하다가 수감되었었던 이들이라는 것을 확인했고, 곧 대한공산당을 사건의 배후라고 판단, 수사를 시작하였다.

영향

각주

만5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파일:만주 입법원 로고.svg
제5회 만주국 입법의원 선거
선거 결과
파일:제5회 만주 입법원 의원 선거.svg
정당 지도자 의석 비율
장징후이 41.6%
저우바오중
천러이
자오신보
30.5%
틀:민주건국회 (개화) 27석 26.0%
무소속 - 10석 4%
  1. 기사 제목은 '김총리 급서에 각계애도'
  2. 실제로 암살을 실행한 인원 수. 준비와 계획 과정에 연루된 사람의 수는 더 많다.
  3. 보좌관 선우진과 운전기사의 증언.
  4. 성이 선우고 이름이 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