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습장:쿠리오/5: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7번째 줄: 7번째 줄:
*[[연습장:쿠리오/5]] (개화 단체)
*[[연습장:쿠리오/5]] (개화 단체)
{{개화}}
{{개화}}
{{글 숨김}}
{{목차}}
{{목차}}
{{글 숨김 끝}}
'''{{글씨 크기|25|아쎄이! 이 문서에 들어왔다면 희망을 버려라!!}}'''
'''{{글씨 크기|25|아쎄이! 이 문서에 들어왔다면 희망을 버려라!!}}'''
=총리=
=탐라=
 
=.=
{| class="wikitable" style="float:center;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max-width:500px; min-width:330px ; border:2px solid #005BBB; background:#fff; color:#000" |
|-
! width=47% style="background:#008000; color:#005BBB; text-align:right;" | [[파일:녹우크라이나 국장 (개화).svg|75px|link=틀:녹우크라이나의 행정구역 (개화)]]
! style="background:linear-gradient(180deg, #005BBB 48%, #FFD500 48%); color:#005BBB; text-align:left;" | {{글씨 색|#FFD500|녹우크라이나의}}<br>{{글씨 크기|15|1급 행정구역}}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fff;" |
<div class="mw-customtoggle-greenukraine1staddi"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fff; color:#000;"><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greenukraine1staddi"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style="font-size:10.5pt; 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 colspan="6" style="background:#005BBB; color:#FFD500;" | 직할시
|-
| colspan="3" width="50%" | [[파일:볼로디보스토크 문장 (개화).svg|x50px|link=볼로디보스토크 (개화)]]<br>[[볼로디보스토크 (개화)|볼로디보스토크]]
| colspan="3" | [[파일:하바리우스크 문장 (개화).svg|x50px|link=하바리우스크 (개화)]]<br>[[하바리우스크 (개화)|하바리우스크]]
|-
! colspan="6" style="background:#005BBB; color:#FFD500;" | 주
|-
| colspan="2" width="33%" | [[파일:아무르스카 문장 (개화).svg|x50px|link=아무르스카 (개화)]]<br>[[아무르스카 주 (개화)|아무르스카]]
| colspan="2" width="33%" | [[파일:비라이스카 문장 (개화).svg|x50px|link=비라이스카 (개화)]]<br>[[비라이스카 주 (개화)|비라이스카]]
| colspan="2" width="33%" | [[파일:부레이스카 문장 (개화).svg|x50px|link=부레이스카 (개화)]]<br>[[부레이스카 주 (개화)|부레이스카]]
|-
| colspan="2" | [[파일:제이스카 문장 (개화).svg|x50px|link=제이스카 (개화)]]<br>[[제이스카 주 (개화)|제이스카]]
| colspan="2" | [[파일:모바스카 문장 (개화).svg|x50px|link=모바스카 (개화)]]<br>[[모바스카 주 (개화)|모바스카]]
| colspan="2" | [[파일:프리모르스카 문장 (개화).svg|x50px|link=프리모르스카 (개화)]]<br>[[프리모르스카 주 (개화)|프리모르스카]]
|-
| colspan="2" | [[파일:사할린스카 문장 (개화).svg|x50px|link=사할린스카 (개화)]]<br>[[사할린스카 주 (개화)|사할린스카]]
| colspan="2" | [[파일:티흐리호르스카 문장 (개화).svg|x50px|link=스카 (개화)]]<br>[[티흐라호르스카 주 (개화)|티흐리호르스카]]
| colspan="2" | [[파일:우다이스카 문장 (개화).svg|x50px|link=우다이스카 (개화)]]<br>[[우다이스카 주 (개화)|우다이스카]]
|-
| colspan="3" width="50%" | [[파일:우수리스카 문장 (개화).svg|x50px|link=스카 (개화)]]<br>[[우수리스카 주 (개화)|우수리스카]]
| colspan="3" | [[파일:하바리우스카 문장 (개화).svg|x50px|link=하바리우스카 (개화)]]<br>[[하바리우스카 주 (개화)|하바리우스카]]
|-
|}</div></div>
|}
.
 
=만주 총리=
{{글 숨김}}
{{글 숨김}}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float: right; text-align: center ; border:2px solid #02639D; max-width:700px ; min-width:330px; font-size: 10pt;"
{{개화}}[[분류:개화/한국]]{{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 (개화)}}
! colspan="10" style="background: #02639D; color: #fff; font-size: 13pt; height: 40px;" | [[파일:만주 총리 휘장.png|70px]]<br>만주국 내각총리대신
{| class="wikitable" style="max-width: 430px; width: 100%; text-align: center; font-size: 10.5pt; border: 2px solid #8d473d; float: right;"
|-
|-
! style="background: #F5F5F5; color: #000000" | 대수
! colspan="4" style="background: #; color:#; border: none;" |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개화)|대한민국]]의 자치도
! style="background: #F5F5F5; color: #000000" | 이름
! Colspan="1"; style="background: #F5F5F5; color: #000000" | 임기
! colspan="2" style="background: #F5F5F5; color: #000000" | 정당
! colspan="1" style="background: #F5F5F5; color: #000000" | 총선
|-
|-
| rowspan="3" style="background: #fff 50%"| 1
| colspan="4" style="background: #; border: none;" |
| rowspan="3"| [[파일:정샤오쉬 4-3.png|x105px|]]{{선}}'''[[정샤오쉬 (개화)|정샤오쉬]]'''<br>{{글씨 크기|8|(1860~1939)}}
{| style="margin-right: auto; margin-left: auto; max-width: 430px; width: 100%; font-size: 9.5pt; background: #; border: 5px solid transparent; line-height: 160%;"
| rowspan="3"| 1927년 3월 9일 ~ 1939년 11월 24일<br>('''11년 261일''')
| style="text-align: right; background: #;" | [[파일:탐라자치도 CI (개화).png|x60px|link=]]
| rowspan="3"| [[민주건국회 (개화)|민주건국회]]
| style="background: #; color: #; text-align: left;" | '''{{글씨 크기|14|탐라자치도}}'''<br>耽羅自治道<br><small>Tamna Autonomous Province</small>
| rowspan="3"; style="background: #009259"|  
|}</div>
| rowspan="1"| [[제1회 만주 입법원 의원 선거 (개화)|1928]]
|-
|-
| rowspan="1"| [[제2회 만주 입법원 의원 선거 (개화)|1932]]
! colspan="4" style="background: #8d473d;" | <div style="margin: -5px -9px;">{{#multimaps: 35.18, 129.078 | height = 200px | zoom=9}}</div>
|-
|-
| rowspan="1"| [[제3회 만주 입법원 의원 선거 (개화)|1935]]
! colspan="2" style="background: #8d473d; color: #FFF;" | 하위 행정구역
| colspan="2" | 8자치구
|-
|-
| rowspan="1" style="background: #fff 50%"| 2
! colspan="2" style="background: #8d473d; color: #FFF;" | 면적
| rowspan="1"| [[파일:시치아 4-3.png|x105px|]]{{선}}'''[[아이신기오로 시치아 (개화)|시치아]]'''<br>{{글씨 크기|8|(1860~1939)}}
| colspan="2" | 771.3㎢
| rowspan="1"| 1939년 11월 25일 ~ 1940년 7월 23일<br>(240일)
| rowspan="1"| [[민주건국회 (개화)|민주건국회]]
| rowspan="1"; style="background: #009259"|  
| rowspan="1"| [[제4회 만주 입법원 의원 선거 (개화)|1939]]
|-
|-
| rowspan="2" style="background: #fff 50%"| 3
! colspan="2" style="background: #8d473d; color: #FFF;" | 인구
| rowspan="2"| [[파일:장징후이 4-3.png|x105px|]]{{선}}'''[[장징후이 (개화)|장징후이]]'''<br>{{글씨 크기|8|(1871~1960)}}
| colspan="2" | 432만 명
| rowspan="2"| 1940년 7월 24일 ~ 1951년 1월 14일<br>('''10년 175일''')
| rowspan="2"| [[협화회 (개화)|협화회]]
| rowspan="2"; style="background: #FFC600"|  
| rowspan="1"| [[제5회 만주 입법원 의원 선거 (개화)|1945]]
|-
|-
| rowspan="1"| [[제6회 만주 입법원 의원 선거 (개화)|1948]]
! colspan="2" style="background: #8d473d; color: #FFF;" | <div style="margin: -0px -9px;">인구밀도
| colspan="2" | 5603.1명/㎢
|-
|-
| rowspan="1" style="background: #fff 50%"| 4
! rowspan="2" style="background: #8d473d; color: #FFF;" | GRDP
| rowspan="1"| [[파일:차이윈성 4-3.png|x105px|]]{{선}}'''[[차이윈성 (개화)|차이윈성]]'''<br>{{글씨 크기|8|(1879~1954)}}
! style="background: #8d473d; color: #FFF;" |
| rowspan="1"| 1951년 1월 15일 ~ 1954년 5월 9일<br>(3년 115일)
| colspan="2" | $1,616억 <small>(2022년)</small>
| rowspan="1"| [[민주건국회 (개화)|민주건국회]]
| rowspan="1"; style="background: #009259"|  
| rowspan="1"| [[제7회 만주 입법원 의원 선거 (개화)|1951]]
|-
|-
| rowspan="1" style="background: #fff 50%"| 5
! style="background: #8d473d; color: #FFF;" | <div style="margin: -0px -9px;">1인당
| rowspan="1"| [[파일:롼전둬 4-3.png|x105px|]]{{선}}'''[[롼전둬 (개화)|롼전둬]]'''<br>{{글씨 크기|8|(1885~1962)}}
| colspan="2" | $24,940 <small>(2022년)</small>
| rowspan="1"| 1954년 1월 일 ~ 1956년 2월 1일<br>(년 267일)
| rowspan="1"| [[협화회 (개화)|협화회]]
| rowspan="1"; style="background: #FFC600"| -
|-
|-
| rowspan="2" style="background: #fff 50%"| 6
! colspan="2" style="background: #8d473d; color: #FFF;" | 판윤
| rowspan="2"| [[파일:한광 4-3.png|x105px|]]{{선}}'''[[한광 (개화)|한광]]'''<br>{{글씨 크기|8|(1912~2008)}}
| width=120px | {{민국당 (개화)/행정구역}}
| rowspan="2"| 1956년 2월 2일 ~ 1962년 6월 20일<br>(6년 109일)
| [[원희룡 (개화)|원희룡]] <small>(3선)</small>
| rowspan="2"| [[민주건국회 (개화)|민주건국회]]
| rowspan="2"; style="background: #009259"|
| rowspan="1"| [[제8회 만주 입법원 의원 선거 (개화)|1956]]
|-
|-
| rowspan="1"| [[제9회 만주 입법원 의원 선거 (개화)|1958]]
! rowspan="2" style="background: #8d473d; color: #FFF;" | <div style="margin: -0px -9px;">참윤
! style="background: #8d473d; color: #FFF;" | 사무
| rowspan="1" | {{무소속/행정구역}}
| [[(개화)|]] <small>(20대)</small>
|-
|-
| rowspan="3" style="background: #fff 50%"| 7
! style="background: #8d473d; color: #FFF;" | 정무
| rowspan="3"| [[파일:리판워 4-3.png|x105px|]]{{선}}'''[[리판워 (개화)|리판워]]'''<br>{{글씨 크기|8|(1912~1987)}}
| {{민국당 (개화)/행정구역}}
| rowspan="3"| 1962년 6월 21일 ~ 1970년 3월 9일<br>(7년 263일)
| [[(개화)|]] <small>(23대)</small>
| rowspan="3"| [[협화회 (개화)|협화회]]
| rowspan="3"; style="background: #FFC600"|
| rowspan="1"| [[제10회 만주 입법원 의원 선거 (개화)|1962]]
|-
|-
| rowspan="1"| [[제11회 만주 입법원 의원 선거 (개화)|1965]]
! colspan="2" style="background: #8d473d; color: #FFF;" | 부의회
| colspan="2" style="background: #; color: #;"| <div class="mw-customtoggle-1"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transparent; color:#;"><div style="margin: -2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1"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4.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2px;width: calc(100% + 4px); 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
| rowspan="1"| [[제12회 만주 입법원 의원 선거 (개화)|1968]]
| style="border-left:transparent; width: 120px;" | {{민국당 (개화)/행정구역}}
| 27석
|-
|-
| rowspan="2" style="background: #fff 50%"| 8
| {{정당 해오름 (개화)/행정구역}}
| rowspan="2"| [[파일:한광 4-3.png|x105px|]]{{선}}'''[[한광 (개화)|한광]]'''<br>{{글씨 크기|8|(1912~2008)}}
| 11석
| rowspan="2"| 1970년 3월 10일 ~ 1975년 7월 6일<br>(5년 122일)
| rowspan="2"| [[민주건국회 (개화)|민주건국회]]
| rowspan="2"; style="background: #009259"|
| rowspan="1"| [[제13회 만주 입법원 의원 선거 (개화)|1970]]
|-
|-
| rowspan="1"| [[제14회 만주 입법원 의원 선거 (개화)|1972]]
| style="border-left:transparent" | {{통일노동당 (개화)/행정구역}}
| 1석
|-
|-
| rowspan="3" style="background: #fff 50%"| 9
| style="border-left:transparent" | {{무소속/행정구역}}
| rowspan="3"| [[파일:자오더준 4-3.png|x105px|]]{{선}}'''[[자오더준 (개화)|자오더준]]'''<br>{{글씨 크기|8|(1913~2012)}}
| 1석
| rowspan="3"| 1975년 7월 7일 ~ 1982년 9월 24일<br>(7년 80일)
| rowspan="3"| [[협화회 (개화)|협화회]]
| rowspan="3"; style="background: #FFC600"|
| rowspan="1"| [[제15회 만주 입법원 의원 선거 (개화)|1975]]
|-
|-
| rowspan="1"| [[제16회 만주 입법원 의원 선거 (개화)|1977]]
|}</div></div>
|-
|-
| rowspan="1"| [[제17회 만주 입법원 의원 선거 (개화)|1981]]
! colspan="2" style="background: #8d473d; color: #FFF;" | [[대한민국 중추원 (개화)|{{글씨 색|#fff|중추원}}]] 의원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2"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transparent; color:#;"><div style="margin: -2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2"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4.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2px;width: calc(100% + 4px); 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
| rowspan="1" style="background: #fff 50%"| 10
| style="border-left:transparent; width: 120px;" | {{민국당 (개화)/행정구역}}
| rowspan="1"| [[파일:천쥔성 4-3.png|x105px|]]{{선}}'''[[천쥔성 (개화)|천쥔성]]'''<br>{{글씨 크기|8|(1885~1962)}}
| 6석
| rowspan="1"| 1982년 9월 25일 ~ 1986년 10월 2일<br>(4년 8일)
| rowspan="1"| [[협화회 (개화)|협화회]]
| rowspan="1"; style="background: #FFC600"|
| rowspan="1"| [[제18회 만주 입법원 의원 선거 (개화)|1984]]
|-
|-
| rowspan="2" style="background: #fff 50%"| 11
| {{정당 해오름 (개화)/행정구역}}
| rowspan="2"| [[파일:한주빈 4-3.png|x105px|]]{{선}}'''[[한주빈 (개화)|한주빈]]'''<br>{{글씨 크기|8|(1932~)}}
| 2석
| rowspan="2"| 1986년 10월 3일 ~ 1993년 6월 20일<br>(6년 262일)
| rowspan="2"| [[민주건국회 (개화)|민주건국회]]
| rowspan="2"; style="background: #009259"|
| rowspan="1"| [[제19회 만주 입법원 의원 선거 (개화)|1986]]
|-
|-
| rowspan="1"| [[제20회 만주 입법원 의원 선거 (개화)|1990]]
|}</div></div>
|-
|-
| rowspan="1" style="background: #fff 50%"| 12
! rowspan="4" style="background: #8d473d; color: #FFF;" | 상징
| rowspan="1"| [[파일:푸톄강 4-3.png|x105px|]]{{선}}'''[[푸톄강 (개화)|푸톄강]]'''<br>{{글씨 크기|8|(1953~)}}
! style="background: #8d473d; color: #FFF;" | <div style="margin: -0px -9px;">슬로건
| rowspan="1"| 1993년 6월 21일 ~ 1993년 12월 1일<br>(164일)
| colspan="2" | '''{{글씨 |#8d473d|몰?루}}'''
| rowspan="1"| [[민주건국회 (개화)|민주건국회]]
| rowspan="1"; style="background: #009259"|
| rowspan="1"| -
|-
|-
| rowspan="1" style="background: #fff 50%"| 13
! style="background: #8d473d; color: #FFF;" | 부화
| rowspan="1"| [[파일:푸지후안 4-3.png|x105px|]]{{선}}'''[[푸지후안 (개화)|푸지후안]]'''<br>{{글씨 크기|8|(1938~)}}
| colspan="2" | [[동백꽃]]
| rowspan="1"| 1993년 12월 2일 ~ 1996년 4월 10일<br>(2년 152일)
| rowspan="1"| [[협화회 (개화)|협화회]]
| rowspan="1"; style="background: #FFC600"|  
| rowspan="1"| [[제21회 만주 입법원 의원 선거 (개화)|1993]]
|-
|-
| rowspan="2" style="background: #fff 50%"| 14
! style="background: #8d473d; color: #FFF;" | 부목
| rowspan="2"| [[파일:뤼푸위안 4-3.png|x105px|]]{{선}}'''[[뤼푸위안 (개화)|뤼푸위안]]'''<br>{{글씨 크기|8|(1945~2002)}}
| colspan="2" | [[동백나무]]
| rowspan="2"| 1996년 4월 11일 ~ 2001년 8월 9일<br>(5년 121일)
| rowspan="2"| [[민주건국회 (개화)|민주건국회]]
| rowspan="2"; style="background: #009259"|  
| rowspan="1"| [[제22회 만주 입법원 의원 선거 (개화)|1996]]
|-
|-
| rowspan="1"| [[제23회 만주 입법원 의원 선거 (개화)|1999]]
! style="background: #8d473d; color: #FFF;" | 부조
| colspan="2" | [[갈매기]]
|-
|-
| rowspan="1" style="background: #fff 50%"| 15
! colspan="2" style="background: #8d473d; color: #FFF;" | 지역번호
| rowspan="1"| [[파일:두칭린 4-3.png|x105px|]]{{선}}'''[[두칭린 (개화)|두칭린]]'''<br>{{글씨 크기|8|(1946~)}}
| colspan="2" | '''051'''
| rowspan="1"| 2001년 8월 10일 ~ 2003년 월 일<br>(년 일)
| rowspan="1"| [[협화회 (개화)|협화회]]
| rowspan="1"; style="background: #FFC600"|
| rowspan="1"| [[제24회 만주 입법원 의원 선거 (개화)|2001]]
|-
|-
| rowspan="1" style="background: #fff 50%"| 15
! colspan="2" style="background: #8d473d; color: #FFF;" | 행정구역코드
| rowspan="1"| [[파일:후이량유 4-3.png|x105px|]]{{선}}'''[[후이량유 (개화)|후이랑유]]'''<br>{{글씨 크기|8|(1946~)}}
| colspan="2" | '''KR-21'''
| rowspan="1"| 2001년 8월 10일 ~ 2003년 월 일<br>(년 일)
| rowspan="1"| [[협화회 (개화)|협화회]]
| rowspan="1"; style="background: #FFC600"|
| rowspan="1"| [[제25회 만주 입법원 의원 선거 (개화)|200]]
|-
|-
| rowspan="1" style="background: #fff 50%"| 15
! colspan="2" style="background: #8d473d; color: #FFF;" | <div style="margin: -0px -9px;">IATA 도시 코드
| rowspan="1"| [[파일:리쉐융 4-3.png|x105px|]]{{선}}'''[[리쉐융 (개화)|리쉐융]]'''<br>{{글씨 크기|8|(1946~)}}
| colspan="2" | '''DGL'''
| rowspan="1"| 2001년 8월 10일 ~ 2003년 월 일<br>(년 일)
| rowspan="1"| [[협화회 (개화)|협화회]]
| rowspan="1"; style="background: #FFC600"|
| rowspan="1"| [[제26회 만주 입법원 의원 선거 (개화)|200]]
|-
|-
|}
| colspan="4" style="color: #DDD;" | [[파일:홈페이지_아이콘.svg|23px]]|[[파일:네이버_블로그_아이콘.svg|23px]]|[[파일:인스타그램_아이콘.png|23px]]|[[파일:페이스북_아이콘.svg|23px]]|[[파일:트위터_아이콘.png|23px]]|[[파일:유튜브_아이콘.png|23px]]|[[파일:카카오톡채널_아이콘.svg|23px]]
{{글 숨김 끝}}
 
=사민=
{{글 숨김}}
{{개화 배너}}
{{대한민국 중추원의 원내 구성 (개화)}}[[분류:개화]][[분류:개화/정치]][[분류:개화/정당 및 단체]][[분류:개화/만주]]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0pt; color:#000; max-width:420px; float:right; border:2px solid #D52C4A;"
|-
| colspan="3"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 width:420px; height:95px;" | [[파일:사회민주당 로고 (개화).png]]
|-
! colspan="3" style="background-color:#D52C4A ; color:#fff;" | {{large|사회민주당}}
|-
! style="width: 110px; color:#D52C4A;" | 영문명
| colspan="2" |Social Democratic Party of Korea, '''SDPK'''
|-
! style="color:#D52C4A;" | 표어
| colspan="2" |'''{{글씨 색|#D52C4A|모두가 행복스럽게 잘 사는 복지사회}}'''
|-
! style="color:#D52C4A;" | 창당일
| colspan="2" |[[1935년]] [[6월 4일]]
|-
! style="color:#D52C4A;" | 선행 조직
| colspan="2" ;rowspan="1" | {{한인사회당 (개화)}} <sub>/ 당내 노선갈등으로 분열</sub>
|-
! style="color:#D52C4A;" | 비변위의정
| colspan="2" ;rowspan="1" | ''공석''
|-
! style="color:#D52C4A;" | 원무영임
| colspan="2" | [[김기현 (개화)|김기현]]
|-
! style="color:#D52C4A;" | 사무총관
| colspan="2" | [[정호진 (개화)|정호진]]
|-
! style="color:#D52C4A;" | 정책위의정
| colspan="2" |[[권성동 (개화)|권성동]]
|-
! style="color:#D52C4A;" | 이념
| colspan="2" |'''[[사회민주주의]]'''{{구분선}}'''내부 계파'''<br>• [[좌익민족주의]], [[사회보수주의]]<sup> ([[현장파 (개화)|현장파]])</sup><br>• [[제3의 길]], [[중도개혁주의]]<sup> ([[화요파 (개화)|화요파]]·[[새길파 (개화)|새길파]])</sup><br>• [[진보주의]]<sup> ([[정의파 (개화)|정의파]])</sup>, [[민주사회주의]]<sup> ([[민사파 (개화)|민사파]])</sup>
|-
! style="color:#D52C4A;" | 스펙트럼
| colspan="2" | '''[[중도좌파]]''' (중도~좌익)
|-
! style="color:#D52C4A;" | 중추원의원
| colspan="2";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52C4A 37.9%, #aaa 37.9%); color:#fff;" | '''284석 / 750석 (37.9%)'''
|-
! rowspan="1" style="color:#D52C4A;" | 당색
| colspan="2" |<div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5px 3px; border-radius: 3.5px; color: #fff; background-color:#D52C4A; font-size: 0.95em; max-width=70px;">'''라즈베리색''' {{글씨 크기|9|(#D52C4A)}}</div>
|-
! style="color:#D52C4A;" | 당원 수
| colspan="2" |75만 명
|-
! rowspan="2"; style="color:#D52C4A;" | 국제조직
| colspan="2"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
| colspan="2" |{{진보동맹}}
|-
! style="color:#D52C4A;" | 청년조직
| width="110px"; colspan="1"| [[파일:청년사회민주당 로고 (개화).png|link=청년사회민주당 (개화)]]
|
|-
! style="color:#D52C4A;" | 공식 사이트
| colspan="1" |[[파일:사회민주당 로고 (개화).png|link=]]
|
|-
! style="color:#D52C4A;" | SNS
| colspan="2" |[[파일:트위터 아이콘.svg|22px|link=]]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22px|link=]]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22px|link=]]
|-
|-
|}
|}
{{목차}}
{{목차}}
==개요==
==개요==
대한민국의 제1야당. 대한민국에 현존하는 정당 중 가장 역사가 긴 정당이다. [[신한국당 (개화)|신한국당]]-[[국민의당 (개화)|국민의당]]으로 이어지는 보수정당과 함께 한국의 양대 수권정당 중 하나이며, 동아시아 지역의 대표적인 온건좌파 정당으로 일컬어진다.
'''동래부'''(東萊府)는 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이자 [[한성부 (개화)|한성]], [[평양부 (개화)|평양]]을 잇는 제3의 도시다.
 
1930년대 [[한인사회당 (개화)|사회당]] 내부의 노선 투쟁의 결과로 탄생하였으며, 사회민주주의 국민정당을 표방한다. 궁극적으로는 민주적 복지국가 건설을 목표로 삼고 있다.
==역사==
==역사==
==지리==


==성향==
==정치==
==지도부==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max-width:350px; border:2px solid #013F99; float:left"
*비변위의정: ''공석''
*원무영임: [[김기현 (개화)|김기현]]<ref>비변위의정 대행</ref>
**원무부영임:
*사무총관: [[정호진 (개화)|정호진]]
**사무참관:
*정책위의정: [[권성동 (개화)|권성동]]
 
==내부 계파==
{{사회민주당의 계파 분류 (개화)}}
{{사회민주당의 계파 역사 (개화)}}
 
==역대 선거 결과==
{{글 숨김 끝}}
 
=KNA=
{{글 숨김}}
{{개화 배너}}[[분류:개화]][[분류:개화/정치]][[분류:개화/정치]][[분류:보수주의 정당]][[분류:국민주의 정당]]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0pt; color:#000; max-width:420px; float:right; border:2px solid #254170;"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 width:420px; height:125px;" | [[파일:대한국민회 (개화) 로고.png]]
! colspan="4" | <div style="margin: -5px -9px">[[파일:동래부의회.jpg]]</div>
|-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254170 ; color:#fff;" | {{large|대한국민회}}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013F99; color:#fff;" | '''{{글씨 |#fff|동래부의회 본회의장}}
|-
! width=30% style="color:#254170;" | 한문명
| 大韓國民會
|-
! style="color:#254170;" | 영문명
| Korean Nationalist Assembly (KNA)
|-
! style="color:#254170;" | 창당일
| [[1918년]] [[1월 10일]]
|-
! style="color:#254170;" | 전신
| {{개화당 (개화)}}
|-
! style="color:#254170" | 흡수한 정당
| {{보수당 (개화)}} <sub>/ 1919년 흡수합당</sub>
|-
! style="color:#254170" | 분리된 정당
| {{대한민주당 (개화)}} <sub>/ 19■■년 분당</sub>
|-
! style="color:#254170;" | 해산일
| [[195■년]] [[■월 ■일]]
|-
! style="color:#254170" | 후신
| {{신한국당 (개화)}}
|-
! style="color:#254170;" | 역대 총리
| [[이승만 (개화)|이승만]] <sub>/ 제8대 •  1918~1925</sub><br>[[손정도 (개화)|손정도]] <sub>/ 제9대 • 1925</sub><br>[[김창암 (개화)|김창암]] <sub>/ 제15대 • 1940~1944</sub>
|-
! style="color:#254170;" | 총재
| [[이승만 (개화)|이승만]] <sub>/ 초대</sub><br>[[윤보선 (개화)|윤보선]] <sub>/ 말대</sub>
|-
! style="color:#254170;" | 이념
| [[보수주의]]<br>[[일민주의]]<ref>민족주의+사회자본주의</ref><br>[[중도실용주의]]{{구분선}}'''내부 계파'''<br>[[보수자유주의]]<br>[[자유방임주의]]<br>[[기독교 민주주의]]
|-
! style="color:#254170;" | 스펙트럼
| '''우파 빅텐트''' (중도 - 우익)
|-
! style="color:#254170;" | 국민의원
|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254170 22.67%, #aaa 22.67%); color:#fff;" | '''68석 / 300석 (22.7%)'''<ref>해산 당시 기준</ref>
|-
! style="color:#254170" | 당기
| [[파일:대한국민회 당기 (개화).png|200px|왼쪽]]
|-
! rowspan="1" style="color:#254170;" | 당색
| <div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5px 3px; border-radius: 3.5px; color: #fff; background-color:#254170; font-size: 0.95em; max-width=70px;">'''남색''' {{글씨 크기|9|(#254170)}}'''</div>
|-
|-
|}
|}
{{목차}}
좌파와 우파의 접전지이면서 사회민주당의 약우세 지역이다.
{{-}}
 
==개요==
예로부터 빠른 공업화로 공장이 많던 영남 지방이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좌익 계열 정당의 텃밭이었던 만큼 공장 밀집지역이었던 동래도 [[한인사회당 (개화)|사회당]], [[사회민주당 (개화)|사민당]] 등 좌익 계열 정당들이 높은 지지를 받아왔다. 하지만 도시화로 영남 외의 타지 인구가 유입되고 경공업의 쇠퇴로 공장 수가 줄면서 다른 영남지방에 비해 좌익 계열 정당의 세가 상당히 약해졌고 70년대 이후로는 보수정당 출신 판윤도 당선되는 등 경합지화 되었다.
1918년부터 19년까지 존재했던 [[대한민국 (개화)|대한민국]]의 [[보수주의]] 정당.  
 
다만 여전히 [[사회민주당 (개화)|사회민주당]]의 조직력이 [[국민의당 (개화)|국민의당]]의 조직력보다 강하고 당의 조직력이 많은 영향을 미치는 부의원 선거에서 사회민주당이 약간의 우세를 점하는 등 사회민주당 등 좌익 정당이 조금 더 강세를 보이는 접전지라고 할 수 있다.


==역사==
특기할 점이라면 [[대구부 (개화)|대구]][[경상북도 (개화)|경북]] 지역과 마찬가지로 사민당이 사회적으로 상당히 보수적이어서, 대경권 만큼은 아니지만 이 지역 사민당 정치인들은 대부분 [[사회민주당 현장파 (개화)|사민당 현장파]]에 속해있다. 마찬가지로 동래부 국민의당 역시 사회문제에 있어 국민의당 평균보다 조금 더 보수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font-size:10pt; border: 2px solid #254170; float: left;"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254170; border:1px solid #254170; text-align: center;" | <div style="margin: -4px -9px">[[파일:대한국민회 창립대회.png|500px]]</div>
|-
| colspan="1" style="color:#fff; background-color:#254170; text-align: center; width: 280px; font-size: 10pt;" | '''대한국민회 창립대회'''<ref>오른쪽 열 한 번째가 이승만.</ref>
|-
|}
1910년대 당시 외무성장관이자 개화당의 유력 정치인이었던 [[이승만 (개화)|이승만]]은 그의 스승이자 같은 개화당 소속이며 당시 총리였던 [[서재필 (개화)|서재필]]과 여러 분야에서 의견 충돌을 벌였다. 이로 인해 개화당은 현직 총재인 서재필을 따르는 파벌과 신흥 중진인 이승만을 따르는 파벌로 분열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이승만이 친서재필 성향의 당 지도부를 향해 '바보같은 지도부'라고 공개 비난하는 이른바 [[바보 사건 (개화)|바보 사건]]이 벌어진다. 이에 당 지도부가 이승만에 대한 징계안을 회부하자 이승만은 자기 파벌 인사들과 함께 탈당했다.


이승만은 바보 사건 이전부터 신당 창당 준비를 꾸준히 해왔다. 여기에다가 신속한 탈당과 신당 창당은 이승만이 '지도부로부터 탄압받는 정직한 정치인'이라는 이미지를 만들고 탈당 명분을 얻기 위해 일부러 바보 사건을 일으키고 자신에 대한 지도부의 징계를 유도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현직 판윤은 사회민주당 소속 [[장제원 (개화)|장제원]]으로, 사민당 내에서는 [[사회민주당 현장파 (개화)|현장파]]에 속하는 인물이다.
{{-}}
{{-}}
===역대 판윤===
{{역대 동래부 판윤 (개화)}}


==이념 및 성향==
==경제==
대한국민회는 보수주의 빅텐트 정당이었다. 좌로는 보수자유주의자부터 우로는 국민보수주의자까지 넓은 스펙트럼의 정치인들이 분포해 있었으며 자유보수주의 성향의 대한민주당과 함께 193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대한민국 (개화)|대한민국]]의 보수정당을 대표했다.  
조선시대에도 동래는 일본과의 교역 중심지이자 영남 지방 물산이 모이는 주요 도시였다.  


국민회는 애국심 강조, 사회 체제의 안정 추구, 겅경한 반공정책 실시 등 사회보수주의, 민족주의적 성향을 보였으나 여성 인권 신장과 취업훈련 지원 등을 주장하는 등 진보적인 정책들도 일부 지지했다.
19세기 중후반 조선이 개화정책을 실시하면서 무역항으로의 입지가 강해졌고, 지리적인 이점과 산업화를 목표로 한 국가의 집중적인 투자로 대구모 공업단지가 들어섰다. 초기에는 경공업 위주의 공업구조를 보였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중공업 역시 빠르게 성장했고 1940년대 이후로는 중공업이 부 산업의 주를 차지하였다.
===일민주의===
대한국민회는 '''일민주의'''(一民主義/Ilminism)라는 이념을 당 강령에 명시해두었다. 일민주의는 1918년 이승만이 8회 총선 직전에 창시한 이념으로, 대한국민회가 [[대한민주당 (개화)|대한민주당]]과 합당해 [[신한국당 (개화)|신한국당]]을 창당할 때까지 당의 공식 이념이었다.  


일민주의는 (시민)민족주의에 사회자본주의를 결합시킨 이념으로, 하나의 국민(一民)은 모두가 인간적인 삶을 누릴 자격이 있다는 사상이었다. 주로 이승만의 기독교 민주주의적 사상에서 기원했다고 평가받는다. 일민주의는 1920년대까지는 경제적으로 중도좌파적인 사상이었으나 사회주의 정당인 [[한인사회당 (개화)|한인사회당]]의 등장으로 다소 우경화되어 1930년대부터는 중도적인 이념이 되었다.
동래는 무역항으로서의 입지 역시 강한데, 아시아에서 네 번째로 큰 동래항을 가지고 있으며 1972년에는 [[인천부 (개화)|인천]], [[남포부 (개화)|남포]], [[비사부 (개화)|비사]]과 함께 경제자유지구로 지정되어 동아시아의 대표적인 물류 허브의 역할을 하고 있다. 덕분에 해운업이 극도로 발달하여 있고 몇몇 대형 물류사의 본사가 동래에 위치해있다.


==역대 지도부==
1970년대 이후로는 경공업이 쇠퇴하면서 그 자리를 IT산업, 서비스업이 차지하였다. 다만 다른 부들에 비해 중공업과 해운업에 밀려 부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작은 편이다.
{{틀:역대 대한국민회 총재 (개화)}}
 
==역대 선거 결과==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border:2px solid #254170;"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254170;" | 연도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254170;" | 지도자
! colspan="1" style="width: 30%; 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254170;" | 의석수 (의석율)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254170;" | 의석증감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254170;" | 지위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254170;" | 비고
|-
| [[제8회 대한민국 중추원 의원 선거|1918]]
| rowspan="3"| [[이승만 (개화)|이승만]]
| {{정당 정보/의석|92|200|#254170|per=2|width=100%}}
| -
| rowspan="1"; style="background:#eeffee;" | 여당
|-
| [[제9회 대한민국 중추원 의원 선거|1919]]
| {{정당 정보/의석|139|250|#254170|per=2|width=100%}}
| {{증가}} 47석<br>{{증가 소}}<small> 9.4%</small>
| rowspan="1"; style="background:#EEFFEE;" | 여당
|
|-
| [[제10회 대한민국 국민의원 선거|1923]]
| {{정당 정보/의석|122|250|#254170|per=2|width=100%}}
| {{감소}} 17석<br>{{감소 소}}<small> 6.8%</small>
| rowspan="1"; style="background:#eeffee;" | 여당
|
|-
| [[제11회 대한민국 중추원 의원 선거|1926]]
| rowspan="1"| [[손정도 (개화)|손정도]]
| {{정당 정보/의석|80|250|#254170|per=2|width=100%}}
| {{감소}} 42석<br>{{감소 소}}<small> 16.8%</small>
| rowspan="1"; style="background:#FDE3E2;" | 야당
|
|-
| [[제12회 대한민국 중추원 의원 선거|1930]]
| rowspan="2"| [[이시영 (개화)|이시영]]
| {{정당 정보/의석|87|250|#254170|per=2|width=100%}}
| {{증가}} 5석<br>{{증가 소}}<small> 2.8%</small>
| rowspan="1"; style="background:#FDE3E2;" | 야당
|
|-
| [[제13회 대한민국 중추원 의원 선거|1934]]
| {{정당 정보/의석|63|250|#254170|per=2|width=100%}}
| {{감소}} 24석<br>{{감소 소}}<small> 9.6%</small>
| rowspan="1"; style="background:#FDE3E2;" | 야당
|
|-
| [[제14회 대한민국 중추원 의원 선거|1935]]
| rowspan="1"| [[함태영 (개화)|함태영]]
| {{정당 정보/의석|74|300|#254170|per=2|width=100%}}
| {{증가}} 11석<br>{{감소 소}}<small> 0.5%</small>
| rowspan="1"; style="background:#EEFFEE;" | 연립여당
| <ref name=a>[[대한민주당 (개화)|대한민주당]]과 선거연대</ref>
|-
| [[제15회 대한민국 중추원 의원 선거|1938]]
| rowspan="1"| [[김창암 (개화)|김창암]]
| {{정당 정보/의석|80|300|#254170|per=2|width=100%}}
| {{증가}} 6석<br>{{증가 소}}<small> 2%</small>
| rowspan="1"; style="background:#EEFFEE;" | 연립여당
| <ref name=a>[[대한민주당 (개화)|대한민주당]]과 선거연대</ref>
|-
| [[제16회 대한민국 중추원 의원 선거|1945]]
| rowspan="1"| [[윤치영 (개화)|윤치영]]
| {{정당 정보/의석|65|300|#254170|per=2|width=100%}}
| {{감소}} 15석<br>{{감소 소}}<small> 5%</small>
| rowspan="1"; style="background:#FDE3E2;" | 야당
| <ref name=a>[[대한민주당 (개화)|대한민주당]]과 선거연대</ref>
|-
| [[제17회 대한민국 중추원 의원 선거|1947]]
| rowspan="2"| [[이범석(1900) (개화)|이범석]]
| {{정당 정보/의석|72|300|#254170|per=2|width=100%}}
| {{증가}} 7석<br>{{증가 소}}<small> 2.3%</small>
| rowspan="1"; style="background:#FDE3E2;" | 야당
| <ref name=a>[[대한민주당 (개화)|대한민주당]]과 선거연대</ref>
|-
| [[제18회 대한민국 중추원 의원 선거|1951]]
| {{정당 정보/의석|61|300|#254170|per=2|width=100%}}
| {{감소}} 11석<br>{{감소 소}}<small> 3.7%</small>
| rowspan="1"; style="background:#FDE3E2;" | 야당
| <ref name=a>[[대한민주당 (개화)|대한민주당]]과 선거연대</ref>
|-
| [[제19회 대한민국 중추원 의원 선거|1954]]
| rowspan="2"| [[윤보선 (개화)|윤보선]]
| {{정당 정보/의석|90|400|#254170|per=2|width=100%}}
| {{증가}} 29석<br>{{증가 소}}<small> 2.3%</small>
| rowspan="1"; style="background:#FDE3E2;" | 야당
| <ref name=a>[[대한민주당 (개화)|대한민주당]]과 선거연대</ref>
|-
|}


==교통==
==각주==
==각주==
{{글 숨김 끝}}
{{글 숨김 끝}}
=만총2=
[https://en.m.wikipedia.org/wiki/Bao_Guancheng 바오구안청]
[https://baike.baidu.com/item/%E6%9D%A8%E6%98%93%E8%BE%B0/1896565?fr=ge_ala 양이천]
[https://zh.m.wikipedia.org/zh-cn/%E9%9F%A9%E5%85%89_(1912%E5%B9%B4) 한광]
[https://baike.baidu.com/item/%E9%9F%A9%E5%85%89/4423845 한광]
[https://zh.m.wikipedia.org/zh-cn/%E8%B5%B5%E5%BE%B7%E5%B0%8A 자오더쥔]
[https://baike.baidu.com/item/%E8%B5%B5%E5%BE%B7%E5%B0%8A/5535251 자오더쥔]
[https://zh.m.wikipedia.org/zh-hant/%E9%99%86%E5%B9%B3 뤼핑]
[https://baike.baidu.com/item/%E9%99%86%E5%B9%B3?timestamp=1726542276931&fromModule=search_box 뤼핑]
[https://en.m.wikipedia.org/wiki/Chen_Junsheng 천쥔성 영]
[https://zh.m.wikipedia.org/wiki/%E9%99%88%E4%BF%8A%E7%94%9F_(%E6%94%BF%E6%B2%BB%E4%BA%BA%E7%89%A9) 천쥔성]
[https://baike.baidu.com/item/%E9%99%88%E4%BF%8A%E7%94%9F/2976305?fr=aladdin 천쥔성]
[https://zh.m.wikipedia.org/zh-tw/%E9%9F%A9%E6%9D%BC%E6%BB%A8 한주빈]
[https://baike.baidu.com/item/%E9%9F%A9%E6%9D%BC%E6%BB%A8/5513319 한주빈]
[https://zh.m.wikipedia.org/zh-cn/%E8%AE%B8%E5%8B%A4_(1928%E5%B9%B4) 쉬친]
[https://baike.baidu.com/item/%E8%AE%B8%E5%8B%A4/901184 쉬친]
[https://baike.baidu.com/item/%E9%97%BB%E4%B8%96%E9%9C%87/5522478 원시전]
[https://baike.baidu.com/item/%E6%88%BF%E7%BB%B4%E4%B8%AD/5785763 팡웨이중]
[https://zh.m.wikipedia.org/zh-cn/%E7%8E%8B%E9%87%91%E5%B1%B1_(1945%E5%B9%B4) 왕진샨]
[https://baike.baidu.com/item/%E7%8E%8B%E8%BF%9E%E9%93%AE/5679244?fr=ge_ala 왕랸정]
=만주 총리=
1946<br>화평<br>1947<br>화평-자유-대동<br>1948<br>자유-노동-대동-추풍<br>대동-자유-노동<br>1951<br>협진-자유-대동<br>1953<br>화평-노동-자유<br>노동-화평-자유<br>거국내각<br>1957<br>노동-자유-대동<br>1959<br>협화
=.=


=HHH=
=HHH=
{{글 숨김}}
{{글 1숨김}}
{{개화 배너}}[[분류:개화]][[분류:개화/정치]][[분류:개화/만주]][[분류:보수주의 정당]][[분류:국민주의 정당]]
{{개화 배너}}[[분류:개화]][[분류:개화/정치]][[분류:개화/만주]][[분류:보수주의 정당]][[분류:국민주의 정당]]
{{만주 입법원의 원내 구성 (개화)ㄴ}}
{{만주 입법원의 원내 구성 (개화)ㄴ}}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0pt; color:#000; max-width:420px; float:right; border:2px solid #FFC600;"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0pt; color:#000; max-width:420px; float:right; border:2px solid #007483;"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 width:420px; height:95p;" | [[파일:협화회 로고 (개화).png|x200px]]
| colspan="2"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 width:420px; height:95p;" | [[파일:협화당 로고 (개화).svg|x200px]]
|-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FFC600 ; color:#02276C;" | {{large|협화회}}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007483 ; color:#fff;" | {{large|협화당}}
|-
|-
! width=30% style="color:#02276C;" | 한문명
! width=30% style="color:#007483;" | 한문명
| 協和會
| 協和黨
|-
|-
! width=30% style="color:#02276C;" | 만문명
! width=30% style="color:#007483;" | 만문명
| ᠠᡳᠰ᠊ᡳᠯᠠᠨ ᡨᠠᡳᡶᡳᠨ ᠰ᠌ᠠᡨ᠋᠊ᠠᢇ<ref>'''발음''' : 아이실란 타이핀 사타아</ref>
| ᡥᡡᠸᠠᠯᡳᠶᠠᠨ ᡥᠣᡴᡳ<ref>'''발음''' : 후와리얀 호키</ref>
|-
|-
! style="color:#02276C;" | 영문명
! style="color:#007483;" | 영문명
| Concordia Association of Manchuria, '''CAM'''
| Concordia Party
|-
|-
! style="color:#02276C;" | 창당일
! style="color:#007483;" | 창당일
| [[1927년]] [[모월 모일]]
| [[1937년]] [[모월 모일]]
|-
|-
! style="color:#02276C;" | 역대 총리
! style="color:#007483;" | 주석
| [[장징후이 (개화)|장징후이]] <sub>/ 제3대 •  1940~1952</sub><br>
| [[류궈중 (개화)|류궈중]]<ref>[[만주국 총리대신 (개화)|만주국 총리대신]]</ref><sub> / 5선</sub> 장칭웨이?
|-
|-
! style="color:#02276C;" | 주석
! style="color:#007483;" | 부주석
| [[장칭웨이 (개화)|장칭웨이]]
| [[쿵쉬안유 (개화)|쿵쉬안유]] <sub>/ 6선</sub>
|-
|-
! style="color:#02276C;" | 원무서기<ref>원내대표</ref>
! style="color:#007483;" | 의원단장
| [[ (개화)| ]]
| [[ (개화)| ]]
|-
|-
! style="color:#02276C;" | 당무서기<ref>사무총장</ref>
! style="color:#007483;" | 비서장
| [[ (개화)| ]]
| [[ (개화)| ]]
|-
|-
! style="color:#02276C;" | 이념
! style="color:#007483;" | 이념
| [[사회보수주의]]<br>[[경제적 자유주의]]<br>[[만주 국민주의]]<br>[[반공주의]]{{구분선}}[[자유보수주의]] (진보파)<br>[[국민보수주의]] (보수파)<br>[[온정적 보수주의]] (연합파)<br>[[자유지상보수주의]] (신자유파)
| 보수주의 ([[만주의 보수주의 (개화)|만주]])<br>[[만주의 내셔널리즘 (개화)|만주 내셔널리즘]]
|-
! style="color:#007483;" | 스펙트럼
| 우익
|-
|-
! style="color:#02276C;" | 스펙트럼
! style="color:#007483;" | 입법의원
| '''[[우익 빅텐트]]'''{{구분선}}중도우파 - 극우 (주류: 우익)
|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07483 56.3%, #aaa 56.3%); color:#fff;" | '''338석 / 600석 (56.3%)'''
|-
|-
! style="color:#02276C;" | 입법의원
! style="color:#007483;" | 성급의회의원
|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FFC600 42.6%, #aaa 42.6%); color:#02276C;" | '''213석 / 500석 (42.6%)'''
|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07483 51.7%, #aaa 51.7%); color:#fff;" | '''652석 / 1262석 (51.7%)'''
|-
|-
! style="color:#02276C;" | 성급의회의원
! style="color:#007483;" | 현급의회의원
|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FFC600 56.4%, #aaa 56.4%); color:#02276C;" | '''486석 / 862석 (56.4%)'''
|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07483 36.6%, #aaa 36.6%); color:#fff;" | '''1677석 / 4584석 (36.6%)'''
|-
|-
! style="color:#02276C;" | 현급의회의원
! rowspan="2" style="color:#007483;" | 당색
|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FFC600 49.8%, #aaa 49.8%); color:#02276C;" | '''1237석 / 2484석 (49.8%)'''
| <div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5px 3px; border-radius: 3.5px; color: #fff; background-color:#007483; font-size: 0.95em; max-width=70px;">'''청록색''' {{글씨 크기|9|(#007483)}}</div>
|-
|-
! rowspan="1" style="color:#02276C;" | 당색
|<div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5px 3px; border-radius: 3.5px; color: #fff; background-color:#00C5DF; font-size: 0.95em; max-width=70px;">'''민트색''' {{글씨 크기|9|(#00C5DF)}}</div>
| <div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5px 3px; border-radius: 3.5px; color: #02276C; background-color:#FFC600; font-size: 0.95em; max-width=70px;">'''황색''' {{글씨 크기|9|(#FFC600)}}</div><br><div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5px 3px; border-radius: 3.5px; color: #FFC600; background-color:#02276C; font-size: 0.95em; max-width=70px;">'''남색''' {{글씨 크기|9|(#02276C)}}</div>
|-
|-
! style="color:#02276C;" | 당원 수
! style="color:#007483;" | 당원 수
| 13만 6천 명
| 13만 6천 명
|-
|-
! rowspan="2"; style="color:#02276C;" | 국제조직  
! rowspan="1"; style="color:#007483;" | 국제조직  
| {{국제민주연합}}
| {{국제민주연합}}
|-
|-
| {{중도민주 인터내셔널}}
! style="color:#007483;" | 청년조직
|-
| [[청년협화당 (개화)|청년협화당]]
! style="color:#02276C;" | 청년조직
| [[청년협화 (개화)|청년협화]]
|-
|-
! style="color:#02276C" | 당기
! style="color:#007483" | 당기
| [[파일:협화회 당기 (개화).png|200px|왼쪽]]
| [[파일:협화당 당기 (개화).png|200px|왼쪽]]
|-
|-
! style="color:#02276C;" | 공식 사이트
! style="color:#007483;" | 공식 사이트
| [[파일:협화회 로고 (개화).png|x22px]]
| [[파일:협화당 로고 (개화).svg|x22px]]
|-
|-
! style="color:#02276C;" | SNS
! style="color:#007483;" | SNS
| [[파일:트위터 아이콘.svg|22px|link=]]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22px|link=]]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22px|link=]]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22px|link=]] | [[파일:트위터 아이콘.svg|22px|link=]]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22px|link=]]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22px|link=]]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22px|link=]]
|-
|-
|}
|}
546번째 줄: 258번째 줄:
{{-}}
{{-}}
==개요==
==개요==
'''협화회'''[[만주 (개화)|만주]]의  보수주의 우익 정당이다. 만주에서 [[민주건국회 (개화)|민건회]] 다음으로 역사가 길다. 현재 제1야당으로, 민건회와 대립하고 있다.  
'''협화당'''[[만주 (개화)|만주]]의 [[만주의 보수주의 (개화)|보수주의 정당]]이다. 현존하는 만주 정당 중 역사가 가장 길다.
 
[[59년 체제 (개화)|59년 체제]]를 성립해 1959년부터 장장 38년간 집권하였으며, 59년 체제 붕괴 이후로도 [[만주의 자유주의 (개화)|리버럴 세력]]에 비해 전반적인 우세를 점하고 있다. 현재 입법원 단독 과반을 확보하여 집권중이며, 당주석 겸 총리는 류궈중이다.


==역사==
==역사==
==성향==
==성향==
[[사회보수주의|사회적으로는 강력한 보수주의 성향]]을 띈다. 낙태와 동성결혼 합법화에 반대하며 전통적 가족 가치관을 지지한다. 다만 계파에 따라 온도차가 있다. 또한 [[만주어]]의 제2국어화를 통해 만주 민족주의를 부흥시켜 민족적 가치관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협화당의 이념과 성향으로 꼽히는 것에는 보수주의, 사회보수주의, 국민보수주의, 신보수주의, 가부장적 보수주의, 전통적 보수주의, 만주 내셔널리즘 등이 있다.
 
황제주권주의를 옹호하는 보수 왕당파 정당이다. 한 설문조사에서는 협화당 지지자의 97%가 황정을 지지한다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사회보수주의|사회적으로는 강력한 보수주의 성향]]을 띤다. 전통적인 가치를 존중하며, 공동체의 유교적 윤리와 문화적 기반을 유지하려는 보수적 관점을 지닌다. 낙태와 동성결혼 합법화에 반대하며 전통적 가족 가치관을 지지한다. 다만 계파에 따라 온도차가 있다. 또한 [[만주어]]의 제2국어화를 통해 [[만주 국민주의 (개화)|만주 국민주의]]를 부흥시켜 민족적 가치관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경제적으로는 신자유주의 성향의 강경우파부터 독일식 사회적 시장경제를 지지하는 온건 중도파까지 넓은 스펙트럼으로 퍼져 있다.


[[실용:자유주의#신자유주의|경제적으로는 자유주의 성향]]을 띄어 친기업, 친시장적 포지션을 취하고 있다. 법인세, 소득세 감세와 작은 정부, 공기업 민영화, 민간 부문의 일자리 창출을 지지한다. 다만 온정적 보수주의 계파인 연합파는 복지에 상당히 우호적인 모습을 보인다.  
외교적으로는 강한 친[[대한민국 (개화)|]] 성향을 보이며 극동의 [[극동협력기구 (개화)|경제적 통합]]과 [[극동조약기구 (개화)|공동방위]]를 강력하게 지지한다. 반중, 반소 성향도 있지만 계파에 따라 그 농도가 상이하다. 미국과 서방 세계에는 기본적으로 지지도 적대도 아닌 중립적인 입장을 보이지만 서구 세계가 만주의 인권 문제나 강력한 황제권을 지적하면 "내정간섭"이라며 신경질적인 반응을 내비친다.


외교적으로는 강력한 친서방주의, 태평양주의를 표방한다. [[대한민국 (개화)|한]][[만주 (개화)|]][[녹우크라이나 (개화)|]] 동맹 강화를 주장하고 미국 등 서방 세계와의 협력 증진을 지지하지만 중국과 러시아에는 상당히 부정적이다.  
[[59년 체제 (개화)|59년 체제]] 당시 협화당에는 중도파가 상당히 거대한 주류 계파로 존재하였으나 중도파의 축을 담당했던 [[자유당(만주) (개화)|자유당]] 계열의 보수자유주의 계파가 59년 체제 붕괴 당시 [[만주신당 (개화)|만주신당]][[민본당 (개화)|민본당]] 등으로 이탈하면서 현재 당에 엄밀한 의미의 중도주의 계파는 당내에 별로 남아있지 않다. 또한 협화당은 풀뿌리 민주주의나 대중주의와는 거리가 먼 엘리트주의적인 모습을 보이며, 따라서 일반적인 의미의 극우 포퓰리즘도 당 내에서 힘을 쓰지 못한다.


==역대 선거 결과==
==역대 선거 결과==
==각주==
==각주==
{{글 숨김 끝}}
{{글 1숨김 끝}}


=옥균's 내각=
=옥균's 내각=
613번째 줄: 329번째 줄:


=현장파=
=현장파=
{{글 숨김}}
{{사회민주당의 계파 분류 (개화)}}
{{사회민주당의 계파 분류 (개화)}}
{| class="wikitable" style="width:345px; font-size:10pt; color:#000; max-width:418px; float:right; border:2px solid #D52C4A;"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font-size:10pt; color:#000; max-width:418px; float:right; border:2px solid #D52C4A;"
|-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D52C4A ; color:#fff;" | <div style="margin: 1px 0px">{{글씨 크기|14|현장파}}<br><div style="margin: -6px 0px">{{글씨 크기|10|SDPK Fieldists}} | {{글씨 크기|10|중추원 평등사회 포럼}}<div style="margin: 6px 0px">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D52C4A ; color:#fff;" | <div style="margin: 1px 0px">{{글씨 크기|14|현장파}}<br><div style="margin: -6px 0px">{{글씨 크기|10|SDPK Fieldists}} | {{글씨 크기|10|중추원 평등사회 포럼}}<div style="margin: 6px 0px">
624번째 줄: 339번째 줄:
| 1999년<ref>중추원 의원연구단체 등록</ref>
| 1999년<ref>중추원 의원연구단체 등록</ref>
|-
|-
! Rowspan="3"; width=30% style="color:#D52C4A;" | 전신
! Rowspan="2"; width=30% style="color:#D52C4A;" | 전신
| [[당산파 (개화)|당산파]]<ref>국무총리를 역임한 [[김철 (개화)|당산 김철]]이 이끌던 계파</ref>
| [[진보연석회의 (개화)|영암계]]
|-
|-
| [[영암파 (개화)|영암파]]<ref>사회민주당 부영임을 역임한 [[박용만 (개화)|영암 박용만]]이 이끌던 계파</ref>
| [[청조회 (개화)|거산계]] (일부)
|-
| [[세명파 (개화)|세명파]]<ref>[[김영삼 내각 (개화)|김영삼 내각]] 초기 당시 부총리 겸 국토건설성장관를 역임한 [[제정구 (개화)|세명 제정구]]가 이끌던 계파</ref>
|-
|-
! style="color:#D52C4A;" | 표어
! style="color:#D52C4A;" | 표어
635번째 줄: 348번째 줄:
|-
|-
! style="color:#D52C4A;" | 의정
! style="color:#D52C4A;" | 의정
| [[김기현 (개화)|김기현]]
| [[ㅇㅇ (개화)|ㅇㅇ]]
|-
|-
! style="color:#D52C4A;" | 좌장
! style="color:#D52C4A;" | 좌장
641번째 줄: 354번째 줄:
|-
|-
! style="color:#D52C4A;" | 역대 총리  
! style="color:#D52C4A;" | 역대 총리  
| [[김철 (개화)|김철]] <sub>/ 제23대 •  1972~1973</sub><ref>김철은 총리 재임 당시에는 [[양산파 (개화)|양산파]] 소속이었다.</ref><br>[[김문수 (개화)|김문수]] <sub>/ 제30대 •  2007~2016</sub>
| [[김철 (개화)|김철]] <sub>/ 제23대 •  1972~1973</sub><ref>김철은 총리 재임 당시에는 현장파 소속은 아니었다.</ref><br>[[김문수 (개화)|김문수]] <sub>/ 제30대 •  2007~2016</sub>
|-
|-
! style="color:#D52C4A;" | 이념
! style="color:#D52C4A;" | 이념
| '''사회민주주의'''<br>구좌파
| '''사회민주주의'''<br>구좌파<br>반신자유주의<br> 좌익 내셔널리즘<br>사회보수주의<br>보호무역주의<br>자국우선주의 ([[김철 독트린 (개화)|김철 독트린]])
|-
! style="color:#D52C4A;" | 경제 이념
| 고전적 사회민주주의<br>반신자유주의<br>보호무역주의
|-
! style="color:#D52C4A;" | 사회 이념
| 좌익 내셔널리즘<br>사회보수주의<br>공화주의
|-
! style="color:#D52C4A;" | 외교 노선
| 중립외교<br>자국우선주의
|-
|-
! style="color:#D52C4A;" | 스펙트럼
! style="color:#D52C4A;" | 스펙트럼
| 중도좌파<ref>경제적으로는 중도좌파와 좌익에 걸쳐져있다는 평가를 받으나 사회적으로는 상당히 보수적이면서도 민족주의적인 스탠스를 취하고 있다.</ref>
| 중도좌파 ~ 좌익
|-
|-
! style="color:#D52C4A;" | <div style="margin: -4px 0px">중추원의원<br><div style="margin: -10px 0px"><small>'''(사민당 의석)'''<br><div style="margin: 4px 0px">
! style="color:#D52C4A;" | <div style="margin: -4px 0px">중추원의원<br><div style="margin: -10px 0px"><small>'''(사민당 의석)'''<br><div style="margin: 4px 0px">
|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52C4A 38.7%, #aaa 38.7%); color:#fff;" | '''110석 / 284석 (38.7%)'''
|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52C4A 32.6%, #aaa 32.6%); color:#fff;" | '''93석 / 285석 (32.6%)'''
|-
! Rowspan="1"; style="color:#D52C4A;" | 주요 인물
| [[김기현 (개화)|김기현]]<br>[[김문수 (개화)|김문수]]<br>[[추미애 (개화)|추미애]]<br>[[장제원 (개화)|장제원]]<br>[[권성동 (개화)|권성동]]<br>[[이진교 (개화)|이진교]]<br>[[홍성열 (개화)|홍성열]]<br>[[김재원 (개화)|김재원]]
|-
|-
! Rowspan="1"; style="color:#D52C4A;" | 외곽조직
! Rowspan="1"; style="color:#D52C4A;" | 외곽조직
| 평등사회연대
| 평등사회연대
|-
! Rowspan="1"; style="color:#D52C4A;" | 유관단체
| 전국노동조합총연맹<br>전국농민회총연맹
|-
|-
|}
|}
{{목차}}
{{목차}}
==개요==
==개요==
'''현장파'''는 [[사회민주당 (개화)|사회민주당]]의 내부 계파이다. 보수적 사회민주주의 및 구좌파 성격을 띄고 있으며, 온건 세력인 [[화요파 (개화)|화요파]]와 사민당 내 양대 계파를 이루고 있었으나 화요파의 [[새길파 (개화)|분열]] 이후로는 사민당 내 최대 계파가 되었다.
'''현장파'''는 [[사회민주당 (개화)|사회민주당]]의 내부 계파이다. 보수적 사회민주주의 및 좌익 내셔널리즘의 성격을 띠고 있으며, 사회민주당 좌파로 통한다.


==역사==
==역사==
==성향==
==성향==
==지지 기반==
현장파의 핵심 지지기반은 노조다. 한국의 양대 노조 중 강경파로 분류되는 전국노동조합총연맹(전노총)의 지지를 받는다. 덕분에 현장파는 전노총의 조직력을 쏠쏠하게 활용하고 있는데, 대규모 장외 집회나 지방선거 등에서 전노총의 조직력이 현장파에게 큰 도움이 된다고 한다. 현장파도 이에 맞춰 전노총의 요구를 상당수 수용하며 전노총 주도의 파업이 단행될 경우 앞장서서 달려가 지지를 표한다.


==주요 인사==
전통적으로 공단이 있어 블루카라 노동자의 비율이 높은 울산, 대구, 원산 같은 지역에서의 지지율이 높다. 또한 사민당의 소규모 자영농 지원과 농산물 수입 제한 정책 덕에 농촌 지역에서의 득표율도 성당히 높으며, 전국농민회총연맹의 지원을 받는다. 이외에도 좌익 민족주의 성향의 단체들과 일부 환뽕단체()로부터 지지받고 있다.
===원내===
*'''[[김기현 (개화)|김기현]]''' (현 중의원, 전 경상남도의원, 전 울산시지사, 전 법무성장관, 전 상공성장관, 전 [[울산부 (개화)|울산부]]판윤, 전 당정책위 의정, 전 당사무총관, 전 당원무영임, 전 당비변위 의정 권한대행)
*'''[[김문수 (개화)|김문수]]''' (현 중의원, 현 [[한국노동연구재단 (개화)|한국노동연구재단]] 제학, 현 당참의, 전 한성부참윤, 전 노동성장관, 전 [[경기도 (개화)|경기도]]판윤, 전 [[경제사회노동위원회 (개화)|경사노위]] 의정, 전 당원무영임, 전 당영임, 전 [[대한민국 국무총리 (개화)|총리]])
*'''[[홍성열 (개화)|홍성열]]''' (현 [[중추원 (개화)|중추원]] 참정, 현 중의원, 현 당참의, 전 증평군지사, 전 [[충청북도 (개화)|충북도]]판윤, 전 건설성장관, 전 당원무부영임 전 당정책위 의정, 전 당원무영임, 전 당비변위 의정)
*'''[[추미애 (개화)|추미애]]''' (현 중의원, 현 당참의, 전 달성군지사, 전 경상북도참윤, 전 [[사회민주연구원 (개화)|사회민주연구원]] 제학, 전 당공보관, 전 농림성장관, 전 법무성장관, 전 환경성장관, 전 당전국위 의정, 전 부총리, 전 당영임)
*'''[[권성동 (개화)|권성동]]''' (현 중의원, 현 당정책위 의정, 전 강원도의원, 전 강원도의회 의정, 전 과학기술성장관, 전 내각성장관, 전 당조직위 의정, 전 [[강원도 (개화)|강원도]]판윤, 전 당원무영임)
*'''[[김재원 (개화)|김재원]]''' (현 중의원, 전 내무성차관, 전 건설성장관, 전 내무성장관, 전 당정책위 의정, 전 당사무총관)
* '''[[김병민 (개화)|김병민]]''' (현 당정책위 참정, 현 중의원, 전 한성부 중랑구지사, 전 당공보관, 전 당정책위 참정)
 
===원외===
* '''[[이재오 (개화)|이재오]]''' (현 당참의, 전 명주군차사, 전 강원도참윤, 전 중의원, 전 당정책위 의정, 전 당사무참관, 전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의정, 전 농림성장관, 전 상공성장관, 전 당전국위 참정)
* '''[[송영길 (개화)|송영길]]''' (현 한월우호증진협회 공동의정, 현 시사연구소 '망치와 돈봉투' 제학, 전 인천부의원, 전 인천부참윤, 전 중의원, 전 외무성장관, 전 당원무부영임, 전 인천부판윤)
* '''[[장예찬 (개화)|장예찬]]''' (전 동래부의원, 현 당공보관)
* '''[[왕성택 (개화)|왕성택]]''' (전 비사부의원, 전 비사부 남구지사, 현 [[한국노동연구재단 (개화)|한국노동연구재단]] 부제학)
 
===지자체장===
* '''[[장제원 (개화)|장제원]]''' (현 [[동래부 (개화)|동래부]]판윤, 전 동래부의원, 동래부 사상구지사, 전 중의원, 전 당공보관, 전 [[사회민주연구원 (개화)|사회민주연구원]] 부제학, 전 문화성장관, 전 내각성장관, 전 당전국위 의정)
* '''[[이진교 (개화)|이진교]]''' (현 [[함경남도 (개화)|함경남도]]판윤, 현 당참의, 전 함경남도의원, 전 함경남도의회 의정, 전 중의원, 전 [[사회민주연구원 (개화)|사회민주연구원]] 부제학, 전 노동성장관, 전 상공성장관, 전 당전국위 의정)


==역대 수장==
==역대 수장==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float: left; text-align: center ; border:2px solid #D52C4A; max-width:700px ; min-width:330px; font-size: 10pt;"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float: left; text-align: center ; border:2px solid #D52C4A; max-width:700px ; min-width:330px; font-size: 10pt;"
! colspan="10" style="background: #D52C4A; color: #fff; font-size: 11pt;" | 현장파 역대 수장
! colspan="3" style="background: #D52C4A; color: #fff; font-size: 11pt;" | 현장파 역대 수장
|-
|-
! style="background: #F5F5F5; color: #000000" | 대수
! style="background: #F5F5F5; color: #000000" | 대수
747번째 줄: 435번째 줄:
==둘러보기==
==둘러보기==
{{사회민주당의 계파 역사 (개화)}}
{{사회민주당의 계파 역사 (개화)}}
{{글 숨김 끝}}


=화요파=
=화요파=
756번째 줄: 443번째 줄: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D52C4A ; color:#fff;" | <div style="margin: 1px 0px">{{글씨 크기|14|화요파}}<br><div style="margin: -6px 0px">{{글씨 크기|10|SDPK Tuesdayists}} | {{글씨 크기|10|중추원 새로운진보 포럼}}<div style="margin: 6px 0px">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D52C4A ; color:#fff;" | <div style="margin: 1px 0px">{{글씨 크기|14|화요파}}<br><div style="margin: -6px 0px">{{글씨 크기|10|SDPK Tuesdayists}} | {{글씨 크기|10|중추원 새로운진보 포럼}}<div style="margin: 6px 0px">
|-
|-
! colspan="4" | <div style="margin: -5px -9px">[[파일:새로운진보 (개화).png]]</div>
! colspan="2" | <div style="margin: -5px -9px">[[파일:새로운진보 (개화).png]]</div>
|-
|-
! Rowspan="2"; style="color:#D52C4A;" | 형성일
! Rowspan="2"; style="color:#D52C4A;" | 형성일
816번째 줄: 503번째 줄:
*'''[[홍성열 (개화)|홍성열]]''' (현 [[중추원 (개화)|중추원]] 참정, 현 중의원, 현 당참의, 전 증평군지사, 전 [[충청북도 (개화)|충북도]]판윤, 전 건설성장관, 전 당원무부영임 전 당정책위 의정, 전 당원무영임, 전 당비변위 의정)
*'''[[홍성열 (개화)|홍성열]]''' (현 [[중추원 (개화)|중추원]] 참정, 현 중의원, 현 당참의, 전 증평군지사, 전 [[충청북도 (개화)|충북도]]판윤, 전 건설성장관, 전 당원무부영임 전 당정책위 의정, 전 당원무영임, 전 당비변위 의정)
*'''[[추미애 (개화)|추미애]]''' (현 중의원, 현 당참의, 전 [[사회민주연구원 (개화)|사회민주연구원]] 제학, 전 당공보관, 전 농림성장관, 전 법무성장관, 전 환경성장관, 전 당전국위 의정, 전 부총리, 전 당영임)
*'''[[추미애 (개화)|추미애]]''' (현 중의원, 현 당참의, 전 [[사회민주연구원 (개화)|사회민주연구원]] 제학, 전 당공보관, 전 농림성장관, 전 법무성장관, 전 환경성장관, 전 당전국위 의정, 전 부총리, 전 당영임)
*'''[[권성동 (개화)|권성동]]''' (현 중의원, 현 당정책위 의정, 전 과학기술성장관, 전 내각성장관, 전 당조직위 의정, 전 [[강원도 (개화)|강원도]]판윤, 전 당원무영임)
*'''[[김재원 (개화)|김재원]]''' (현 중의원, 전 건설성장관, 전 내무성장관, 전 당정책위 의정, 전 당사무총관)
* '''[[김병민 (개화)|김병민]]''' (현 비변위 위원, 현 중의원, 전 당공보관, 전 당정책위 참정)
* '''[[김병민 (개화)|김병민]]''' (현 비변위 위원, 현 중의원, 전 당공보관, 전 당정책위 참정)


832번째 줄: 517번째 줄:
==역대 수장==
==역대 수장==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float: left; text-align: center ; border:2px solid #D52C4A; max-width:700px ; min-width:330px; font-size: 10pt;"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float: left; text-align: center ; border:2px solid #D52C4A; max-width:700px ; min-width:330px; font-size: 10pt;"
! colspan="10" style="background: #D52C4A; color: #fff; font-size: 11pt;" | 현장파 역대 수장
! colspan="3" style="background: #D52C4A; color: #fff; font-size: 11pt;" | 현장파 역대 수장
|-
|-
! style="background: #F5F5F5; color: #000000" | 대수
! style="background: #F5F5F5; color: #000000" | 대수
896번째 줄: 581번째 줄: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D52C4A ; color:#fff;" | <div style="margin: 1px 0px">{{글씨 크기|14|새길파}}<br><div style="margin: -6px 0px">{{글씨 크기|10|SDPK Frontierists}} | {{글씨 크기|10|정치유니온 세 번째 권력}}<div style="margin: 6px 0px">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D52C4A ; color:#fff;" | <div style="margin: 1px 0px">{{글씨 크기|14|새길파}}<br><div style="margin: -6px 0px">{{글씨 크기|10|SDPK Frontierists}} | {{글씨 크기|10|정치유니온 세 번째 권력}}<div style="margin: 6px 0px">
|-
|-
! colspan="4" | <div style="margin: -5px -9px">[[파일:세 번째 권력 (개화).png]]</div>
! colspan="2" | <div style="margin: -5px -9px">[[파일:세 번째 권력 (개화).png]]</div>
|-
|-
! Rowspan="1"; style="color:#D52C4A;" | 형성일
! Rowspan="1"; style="color:#D52C4A;" | 형성일
923번째 줄: 608번째 줄:
|-
|-
! style="color:#D52C4A;" | 사회 이념
! style="color:#D52C4A;" | 사회 이념
| 사회자유주의<br>시민 내셔널리즘
| 문화적 자유주의<br>시민 내셔널리즘
|-
|-
! style="color:#D52C4A;" | 외교 노선
! style="color:#D52C4A;" | 외교 노선
929번째 줄: 614번째 줄:
|-
|-
! style="color:#D52C4A;" | 스펙트럼
! style="color:#D52C4A;" | 스펙트럼
| 중도
| 중도 - 중도좌파
|-
|-
! style="color:#D52C4A;" | <div style="margin: -4px 0px">중추원의원<br><div style="margin: -10px 0px"><small>'''(사민당 의석)'''<br><div style="margin: 4px 0px">
! style="color:#D52C4A;" | <div style="margin: -4px 0px">중추원의원<br><div style="margin: -10px 0px"><small>'''(사민당 의석)'''<br><div style="margin: 4px 0px">
970번째 줄: 655번째 줄:
==역대 수장==
==역대 수장==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float: left; text-align: center ; border:2px solid #D52C4A; max-width:700px ; min-width:330px; font-size: 10pt;"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float: left; text-align: center ; border:2px solid #D52C4A; max-width:700px ; min-width:330px; font-size: 10pt;"
! colspan="10" style="background: #D52C4A; color: #fff; font-size: 11pt;" | 세 번째 권력 역대 수장
! colspan="3" style="background: #D52C4A; color: #fff; font-size: 11pt;" | 세 번째 권력 역대 수장
|-
|-
! style="background: #F5F5F5; color: #000000" | 대수
! style="background: #F5F5F5; color: #000000" | 대수
1,030번째 줄: 715번째 줄:
{{글 숨김 끝}}
{{글 숨김 끝}}


=?=
=은항=
{{글 숨김}}
{{글 숨김}}
{개화 배너}}[[분류:개화]][[분류:개화/경제]][[분류:개화/정당 및 단체]][[분류:개화/만주]]
{개화 배너}}[[분류:개화]][[분류:개화/경제]][[분류:개화/정당 및 단체]][[분류:개화/만주]]
{{만주 입법원의 원내 구성 (개화)}}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0pt; color:#000; max-width:420px; float:right; border:2px solid #FFCD00;"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0pt; color:#000; max-width:420px; float:right; border:2px solid #FFCD00;"
|-
|-
1,071번째 줄: 755번째 줄:
{{글 숨김 끝}}
{{글 숨김 끝}}


=고쿠민토=
=어떻게 된 거야 무서워=
 
=네놈들의 지도는 망했어!=
 
=감독선생=
{{글 숨김}}
{{글 숨김}}
{{개화 배너}}[[분류:개화]][[분류:개화/정치]][[분류:개화/정당 및 단체]][[분류:개화/녹우크라이나]][[분류:보수주의 정당]][[분류:민족주의 정당]]
{{개화 배너}}[[분류:개화/인물]][[분류:개화/문화]] [[분류:개화/녹우크라이나]]
{{녹우크라이나 최고의회의 원내 구성 (개화)}}
{| class="wikitable" style="max-width: 420px; width: 100%; text-align: left; font-size: 10.5pt; border: 2px solid #000; float: right;"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0pt; color:#000; max-width:420px; float:right; border:2px solid #023AA7;"
|-
! colspan="2" style="width:420px; background-image:linear-gradient(90deg, #000 40%, #a09e90 100%); color: #FFD700;" |{{글씨 크기|14|레오니드 요비치 하이다이}}<br>Леонид Иович Гайдай
|-
! colspan="2" style="background: #000;" | <div style="margin: -5px -9px;">[[파일:하이다이 프로필.png]]</div>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 width:420px; height:95px;" | [[파일:우크라이나 국민당 로고 (개화).png]]
! rowspan="2" style="width: 100px; background:#000; color: #FFD700 ;" | 출생
| 1923년 1월 30일
|-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023AA7 ; color:#fff;" | {{large|우크라이나 국민당}}
| {{국기그림|녹우크라이나}} [[녹우크라이나 제1공화국 (개화)|녹우크라이나 제1공화국]] [[블라호비셴스카 주 (개화)|블라호비셴스카 주]] [[스보보드니 (개화)|스보보드니]]
|-
|-
! width=36% style="color:#023AA7;" | 영어명
! rowspan="2" style="width: 100px; background:#000; color: #FFD700 ;" | 사망
| Ukrainian Nationalist Party / UNP
| 1997년 2월 29일 (향년 74세)
|-
|-
! style="color:#023AA7;" | 오어명
| {{국기그림|녹우크라이나}} [[녹우크라이나 (개화)|녹우크라이나 제2공화국]] [[볼로디스히드 (개화)|볼로디스히드]]
| Українська Націоналістична Партія<ref>'''발음 :''' 우크라인스카 나치오날리스티치나 파르티야</ref> / УНAПA<ref>'''발음 :''' 우나파</ref>
|-
|-
! style="color:#023AA7;" | 창당일
! rowspan="1" style="width: 100px; background:#000; color: #FFD700 ;" | 직업
| [[1931년]] [[모월 모일]]
| 영화감독, 각본가, 배우
|-
|-
! style="color:#023AA7;" | 전신
! rowspan="1" style="width: 100px; background:#000; color: #FFD700 ;" | 활동 시기
| 진보당<ref>온건 보수주의 성향의 정당</ref>, 기독교 사회연합<ref>기독교 민주주의 성향의 원내 회파</ref>, 국민혁명동맹<ref>급진적 국민주의 성향의 원내 회파</ref>
| 1955년 - 1997년
|-
|-
! style="color:#023AA7;" | 당대표
! rowspan="1" style="width: 100px; background:#000; color: #FFD700 ;" | 데뷔작
| [[미하일로 데흐탸로우 (개화)|미하일로 데흐탸로우]]
| 《이세계 신랑》<ref>[https://ru.m.wikipedia.org/wiki/%D0%96%D0%B5%D0%BD%D0%B8%D1%85_%D1%81_%D1%82%D0%BE%D0%B3%D0%BE_%D1%81%D0%B2%D0%B5%D1%82%D0%B0]</ref> (1955)
|-
|-
! style="color:#023AA7;" | 원내대표
| colspan="2" |
| [[ (개화)| ]]
<div class="mw-customtoggle-hmm"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10.5pt; color: #;"><div style="margin: -2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hmm" style="border: 1px solid transparent;">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margin: 0px -15px 0px; 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left;">
{| style="text-align: left; font-size: 10.5pt; margin-left: -2px; margin-right: -15px; margin-bottom: -13px; width: calc(100% + 5px);"
! style="width: 100px; background:#000; color: #FFD700 ;" | 부모
| 아버지 요우 하이다이<br>어머니 마리아 하이다이
|-
|-
! style="color:#023AA7;" | 이념
! style="background:#000; color: #FFD700 ;;" | 형제자매
| [[보수주의]] ([[녹우크라이나의 보수주의 (개화)|녹오]])<br>[[우크라이나 민족주의 (개화)|오극란 민족주의]]<br>[[정교회 우파]]<br>[[태평양주의 (개화)|태평양주의]]<br>[[반공주의]]{{구분선}}'''역사적 :'''<br>[[온건 보수주의]] (-1940s)<br>[[자유민주주의]] (1950s-1980s)<br>[[자유보수주의]] (1990s-2000s)
| 형 올렉산드르<br>누나 아우구스티나
|-
|-
! style="color:#023AA7;" | 스펙트럼
! style="background:#000; color: #FFD700 ;;" | 배우자
| '''[[우익]]'''{{구분선}}'''역사적:''' <br>[[중도우파]] (-1940s)<br>[[빅텐트]] (1950s-1980s)<br>[[중도우파]] (1990s-2000s)
|  
|-
|-
! style="color:#023AA7;" | 입법의원
! style="background:#000; color: #FFD700 ;;" | 자녀
|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23AA7 31.7%, #aaa 31.7%); color:#fff;" | '''95석 / 300석 (31.7%)'''
| 슬하 2남 1녀
|-
|-
! rowspan="1" style="color:#023AA7;" | 당색
! style="background:#000; color: #FFD700 ;;" | 학력
| <div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5px 3px; border-radius: 3.5px; color: #fff; background-color:#023AA7; font-size: 0.95em; max-width=70px;">'''청색''' {{글씨 크기|9|(#023AA7)}}</div>
| [[우크라이나 자유대학교 (개화)|우크라이나 자유대학교]] <sub>(연극영화학 / 학사)</sub>
|-
|-
! style="color:#023AA7;" | 당원 수
! style="background:#000; color: #FFD700 ;;" | 종교
| 13만 6천 명
| [[녹우크라이나 정교회 (개화)|녹우크라이나 정교회]]
|-
|-
! style="color:#023AA7;" | 국제조직
! style="background:#000; color: #FFD700 ;;" | 신체
| {{국제민주연합}}
|  
|-
|-
! style="color:#023AA7;" | 공식 사이트
! style="background:#000; color: #FFD700 ;;" | 소속 정당
| [[파일:우크라이나 국민당 로고 (개화).png|x22px]]
| {{무소속2}}
|-
|-
! style="color:#023AA7;" | SNS
! style="background:#000; color: #FFD700 ;;" | 주요 수상 이력
| [[파일:트위터 아이콘.svg|22px|link=]]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22px|link=]]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22px|link=]]
| 스코로파즈키 영화제 감독상<br>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감독상<br>골든글로브 외국어영화상<br>스코로파즈키 영화제 최우수영화상<br>칸 영화제 황금종려상<br>아카데미 감독상{{구분선}}녹우크라이나 제3급 공로훈장 <sub>/ 1966년</sub><br>녹우크라이나 제2급 공로훈장 <sub>/ 1986년</sub><br>녹우크라이나 제1급 공로훈장 <sub>/ 1997년 (사후 추서)</sub>
|-
|-
|} </div></div>
|}
|}
{{목차}}
{{목차}}
==개요==
==개요==
[[녹우크라이나 (개화)|녹우크라이나]]의 보수주의 우익 정당. 1931년 창당된, 녹우크라이나의 최고(最古) 정당으로, 녹우크라이나의 굴곡진 현대사를 모두 경험한 역사의 산증인(?)이다. 현 [[녹우크라이나 대통령 (개화)|대통령]]인 [[세르히 푸르할 (개화)|세르히 푸르할]]이 속해있는 집권여당이기도 하다. 국회에서는 자유주의 우파 정당인 [[우크라이나 민주연합 (개화)|민주연합]]과 공동교섭단체를 형성하고 있다.
[[녹우크라이나 (개화)|녹우크라이나]]의 예술가이자 문화 부문 국가유공자. 영화감독 겸 각본가였으며, 현재까지도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는 영화들을 만들어낸 존경받는 감독이다.
 
==생애==
==작품==
===작품 특징===
실향민, 망명객이었는데다가 시대가 시대였던지라 반공주의적 색채가 들어간 영화를 많이 찍었다. 하지만 그러면서도 작품에 해학과 풍자를 넣는 것을 빼먹지 않았으며, 이러한 해학과 풍자는 그의 후기 작품이 될 수록 점점 더 짙어졌다. 순수 코미디 영화도 적게나마 몇 편을 만들었다.
 
그의 영화 대부분은 우크라이나어 영화였으며, 자유 러시아 국민정부 측에서 의뢰한 영화 몇 편은 러시아어로 찍었다.
 
==여담==
* 혈통 자체는 러시아계이고 부모님이 러시아어 화자였기에 하이다이는 러시아어와 우크라이나어 모두를 쓸 줄 알았다. 보통 집에서와 친한 사람들과는 러시아어를 쓰고 집 밖에서 영화 감독 등의 공적인 일을 할 때는 우크라이나어를 썼다고 한다. 또 영어도 나름 유창했으나 한국에서 50여년 동안 살았음에도 죽을 때까지 한국어는 서툴렀다고 한다. 한 인터뷰에서 “내가 한국어를 잘 하는 것보다는 백 살까지 사는 게 더 쉬울 것 같다.”라는 말을 한 적도 있었다.
{{글 숨김 끝}}


==역사==
=민국정보=
===[[녹우크라이나 제1공화국 (개화)|제1공화국]]===
[[분류:개화/정치]][[분류:개화/정당 및 단체]][[분류:개화/한국]]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max-width:340px; border:2px solid #023AA7; float:right"
{{틀:대한민국 중추원의 원내 구성 (개화)}}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border: 1px solid #ddd; width:100%; max-width:500px; text-align: center"
| colspan="6" style="color:#fff;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FF0055 0%, #FF0055 100%" | '''한국의 진보 정당'''
|-
| rowspan="1" colspan="1" width=30% style="background:#; color:#" |(창당)
| rowspan="3" colspan="1" style="background:#; color:#" | →
| rowspan="3" colspan="1" width=23% style="background:#599848; color:#fff" | '''녹색당'''
| rowspan="3" colspan="1" style="background:#; color:#" | →
| rowspan="3" width=30% style="background:#; color:#" | (현재)
|-
|-
! colspan="4" | <div style="margin: -5px -9px">[[파일:우크라이나 국민당 지지집회 1935.jpg]]</div>
| rowspan="1" colspan="1" width=30% style="background:#; color:#" |<div style="margin: -7px 0px>'''[[사회민주당 (개화)|{{글씨 색|#D52C4A |사회민주당}}]]'''<br></div><div style="margin: -7px 0px><small>(개별 합류)</small></div>
|-
|-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023AA7; color:#fff;" | '''우크라이나 국민당 지지 집회 (1935년, 볼로디보스토크)'''
| rowspan="1" colspan="1" width=33% style="background:#; color:#" | <div style="margin: -7px 0px; color:#fefefe; text-shadow: 0.7px 0px #13171F, 0px 0.7px #13171F, -0.7px 0px #13171F, 0px -0.7px #13171F, 0.7px 0.7px #13171F, 0.7px -0.7px #13171F, -0.7px -0.7px #13171F, -0.7px 0.7px #13171F;">'''[[자유당 (개화)|{{글씨 색|#ffcc00|자유당}}]]'''<br></div><div style="margin: -7px 0px><small>(개별 합류)</small></div>
|-
|-
|}
|}
1918년 [[녹우크라이나 제1공화국 (개화)|제1공화국]] 헌법 제정 이후 [[녹우크라이나 최고의회 (개화)|녹오 최고 라다]]는 정당정치보다는 계파 중심의 정치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었다. 대공황의 혼란 속에서 치러진 [[제4회 녹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개화)|1930년 대선]]에서 중도좌파 성향의 [[코스트 안드루셴코 (개화)|코스트 안드루셴코]]가 중도우파 성향의 현직 대통령 [[이반 모졸렙스키 (개화)|이반 모졸렙스키]]를 누르고 당선되는 일이 벌어졌다. 건국 이후 12년동안 집권해오던 [[녹우크라이나의 보수주의 (개화)|범우파 진영]]에게는 크나큰 충격이 아닐 수 없었다. 이에 진보당, 기독교사회연합, 국민혁명동맹 등 원내의 보수-민족주의 성향 세력이 통합해 우크라이나 국민당을 창당하기로 합의했고, 1931년 7월, [[볼로디보스토크 (개화)|볼로디보스토크]] 야로슬라우 광장에서 창당대회를 열어 창당을 선포했다. 창당 후 첫 선거였던 [[제5회 녹우크라이나 최고의회의원 선거 (개화)|1932년 총선]]에서는 친안드루셴코 세력에게 패배하기는 했지만 준수한 성적을 받았다.


국민당은 1934년 대선에서 [[시베리아 전쟁 (개화)|시베리아 전쟁]] 당시 우크라이나군을 지휘했던 [[보리스 흐레샤티츠키 (개화)|보리스 흐레샤티츠키]] 육군 대장을 대통령 후보로 선출했다. 흐레샤티츠키가 재선에 도전하는 안드루셴코 대통령을 꺾고 당선되면서 국민당은 여당의 자리에 등극하게 되었다. 이후 1936년 [[치올코우스키 전투 (개화)|소련군의 국경 침범으로 대규모 교전이 벌어지자]] 녹오 국민들의 안보 불안감이 가중되었고, 국민당은 이를 바탕으로 1936년 총선에서 최고의회 의석의 약 70%를 차지하는 대승을 거두었다. 이어진 1938년 대선에서는 현직 대통령인 흐레샤티츠키를 다시 대통령 후보로 선출, 흐레샤티츠키가 승리하면서 여당의 지위를 지켜냈다.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0pt; color:#000; max-width:420px; float:right; border:2px solid #599848;"
 
|-
===극동전쟁과 [[녹우크라이나 망명정부 (개화)|망명정부]]===
| colspan="2"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 width:420px; height:95px;" |[[파일:녹색당 로고 (개화).svg]]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max-width:340px; border:2px solid #023AA7; float:right"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599848 ; color:#fff;" | {{large|녹색당}}
|-
! width=30% style="color:#599848;" | 표어
| '''{{글씨 색|#599848|대안의 숲, 전환의 씨앗}}'''
|-
! width=30% style="color:#599848;" | 영어명
| Green Party Korea
|-
! width=30% style="color:#599848;" | 약칭
| 녹색, 녹
|-
! style="color:#599848;" | 창당일
| [[1976년]] [[모월 모일]]
|-
! style="color:#599848;" | 영임
| [[박용진 (개화)|박용진]] <sub>/ 4선</sub>
|-
! style="color:#599848;" | 원무총사
| [[하승수 (개화)|하승수]] <sub>/ 4선</sub>
|-
! style="color:#599848;" | 사무총사
| [[김경준 (개화)|김경준]] <sub>/ 3선</sub>
|-
! style="color:#599848;" | 정책위의정
| [[이정미 (개화)|이정미]] <sub>/ 재선</sub>
|-
! style="color:#599848;" | 대변인
| [[박지현 (개화)|박지현]] <sub>/ 초선</sub>
|-
! style="color:#599848;" | 이념
| 녹색 정치<br>진보주의
|-
! style="color:#599848;" | 스펙트럼
| '''중도좌파 ~ 좌익'''
|-
! style="color:#599848;" | 중의원
|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99848 2.5%, #aaa 2.5%); color:#fff;" | '''20석 / 805석 (2.5%)'''
|-
! style="color:#599848;" | 도부의원
|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99848 1.7%, #aaa 1.7%); color:#fff;" | '''46석 / 2720석 (1.7%)'''
|-
! rowspan="1" style="color:#599848;" | 당색
| <div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5px 3px; border-radius: 3.5px; color: #fff; background-color:#599848; font-size: 0.95em; max-width=70px;">'''녹색''' {{글씨 크기|9|(#599848)}}</div>
|-
! style="color:#599848;" | 당원 수
| 16만 명
|-
! style="color:#599848;" | 청년조직
| 녹색당 청년회
|-
! style="color:#599848;" | 청년조직
| 녹색발전소
|-
! style="color:#599848;" | 국제조직
| {{글로벌 그린스}}
|-
! style="color:#599848;" | 유관단체
| 녹색연합
|-
|-
! colspan="4" | <div style="margin: -5px -9px">[[파일:우크라이나 국민당 망명당.jpg]]</div>
! style="color:#599848;" | 공식 사이트
| [[파일:녹색당 로고 (개화).svg|x22px]]
|-
|-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023AA7; color:#fff;" | '''우크라이나 국민당 지도부 (1944년, 한성)'''
! style="color:#599848;" | SNS
| [[파일:트위터 아이콘.svg|22px|link=]]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22px|link=]]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22px|link=]]
|-
|-
|}
|}
[[제7회 녹우크라이나 최고의회의원 선거 (개화)|1940년 총선]]에서도 아슬아슬하게 과반의석을 확보하여 신승을 거두었으나, 의회가 개원하기도 전에 [[제3차 극동전쟁 (개화)|제3차 극동전쟁]]이 발발하면서 혼란에 빠졌다. 국민당은 범진보 정당인 [[우크라이나 사회당(1937) (개화)|사회당]]과 정쟁을 중단, 각종 전시법안들을 통과시켰으나 소련군의 진격으로 수도 볼로디보스토크까지 함락되면서 한국 [[한성부 (개화)|한성]]으로 당사를 옮겼다. 이후 [[앵커리지 조약 (개화)|앵커리지 조약]]으로 [[녹우크라이나 제1공화국 (개화)|제1공화국]]이 멸망하면서 막대한 타격을 받았다. 잔존한 당 조직은 우크라이나 정부와 함께 [[한성부 (개화)|한성]]에 자리를 잡았고, 당이 완전히 공중분해돼버린 사회당과 기타 군소정당 출신의 인사들이 합류하면서 약 40여 년 간 [[녹우크라이나 망명정부 (개화)|녹우크라이나 망명정부]]의 빅텐트 여당 역할을 하였다.
{{목차}}
==개요==
대한민국의 생태·진보정당. 현재 중추원 원내 6당이자 제4야당이다.


당시 우크라이나 국민당의 임시 중앙당사는 서울 종로구에 위치해있었으며, 함경도와 간도 지역을 중심으로 각지에 지방당을 두어 우크라이나계 망명자들의 입당을 받았다. 우크라이나계 망명자들을 규합하고 본토에서 반공·반소 프로파간다를 펼치는 활동을 하였고, 망명정부의 인재풀 역할도 담당하였다. 당 운영 경비는 당원들이 납부한 당비와 대한민국 정부의 재정지원으로 충당했다.
1976년 환경단체인 녹색연합의 주도로 [[자유당 (개화)|자유당]] 좌파([[자유당 (개화)#사상계|사상계]])와 [[사회민주당 (개화)|사회민주당]]의 환경주의 파벌이 갈라져 나와 창당되었다.


===제2공화국===
==당 상징==
{{-}}
===당 로고===
===당가===
==역사==


==성향==
==성향==
중도 - 중도좌파 정당으로, 만주 정치에서 개혁파 포지션을 담당하고 있다. 보통 사회적으로는 중도, 경제적으로는 중도좌파라고 평가받는다.


사회적으로는 보수 성향의 보수주의자와 진보 성향의 사회자유주의자가 당내에 혼재되어있어 정확한 성향을 딱 잘라 말하기는 어렵다. 이로 인해 만주의 급진좌파 진영은 민건련을 사이비 진보정당, 혹은 심지어는 보수정당이라고까지 부른다.
==지지 기반==


경제적으로는 당원과 지도부 대부분이 미국의 FDR식 수정자본주의를 지지한다. 복지 확대와 부자 증세, 국가 주도의 일자리 창출 등에 긍정적이다. 다만 사회주의(내지 사회민주주의)를 표방하지는 않고 유럽의 사민주의 정당들보다 훨씬 더 온건한 경제정책을 내세운다.
==지도부==
{{역대 국민의당 영임 (개화)}}
==계파==
* '''녹연계''': 녹색연합 출신의 인사들로 구성된 계파. 녹색당 창당을 주도한 세력이자 전통적 당권파이다. 생태주의를 표방하며 환경문제를 적극적으로 다루지만 기타 이슈에 대해서는 대중파에 비해 온건한 편이다. 녹색당 의원단 내에서의 최대 계파이다. 현 원무총사인 [[하승수 (개화)|하승수]]가 소속되어 있다.
* '''대중파''': 환경운동 외의 진보운동을 하던 인사들로 구성된 계파. 녹연계에 비해 환경문제보다는 경제, 사회적 이슈에 더 집중하는 모습을 보이며, [[사회민주당 (개화)|사회민주당]]과의 긴밀한 협력을 선호한다. 의원단 내에서는 녹연계에 밀리지만 대중적 지지도는 더 높다. 현 영임인 [[박용진 (개화)|박용진]]이 대중파 소속이다.
* '''연대''': 사회자유주의, 리버럴 페미니즘 성향의 소수계파. 성소수자,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 문제에 관심이 많다. 사민당 새길파에 우호적이다.
* '''녹색좌파''': 생태사회주의와 진보주의를 표방하는 당내 좌파이자 비주류 계파. 신좌파로 분류되며 [[노동자대중전선 (개화)|노동자대중전선]]에 우호적이다.


황정에 대해서는 현상 유지를 원하는 흐름이 주류이다. 비록 만주가 헌법에 군주주권을 명시해놓았지만 실질적으로는 국민주권 의회민주주의로 작동하는 경향이 더 강하기 때문이다. 법률안 개정을 통해 황제의 정치 개입을 지금보다 더 제한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으나<ref>만주는 황제의 권한이 입헌군주국 치고는 상당히 강력해서 종종 정치권에 영향력을 행사하기도 한다.</ref> 이러한 움직임은 비주류다.
==당 기관==
===녹색연구소===


1960년대까지는 진보보다는 보수에 조금 더 가까운 정당이었으나, [[만주 내전 (개화)|만주 내전]]으로 인해 원애 3당이자 좌익 정당이었던 [[만주인민당 (개화)|인민당]]이 공중분해되면서 상대적으로 좌클릭,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보혁구도에서 개혁의 자리를 가지고 있다.
==다른 정당과의 관계==
===국민의당===
===사회민주당===


==역대 선거 결과==
==선거 결과==
{{글 숨김 끝}}
 
==각주==


=.=
=민국정보2=
{| class="wikitable" style="float:center;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max-width:500px; min-width:330px ; border:2px solid #005BBB; background:#fff; color:#000" |  
[[분류:개화/정치]][[분류:개화/정당 및 단체]][[분류:개화/한국]]
{{개화 배너}}
{{틀:대한민국 중추원의 원내 구성 (개화)}}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0pt; color:#000; max-width:420px; float:right; border:2px solid #152484;"
|-
| colspan="2"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 width:420px; height:95px;" | [[파일:민국혁신당 로고 (개화).svg]]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152484 ; color:#fff;" | {{large|민국혁신당}}
|-
! width=30% class="dark:!text-[#fff] text-[#152484]" | 영어명
| Minguk Hyeokshindang, '''MH'''
|-
! class="dark:!text-[#fff] text-[#152484]" | 한자명
| 民國革新黨
|-
! class="dark:!text-[#fff] text-[#152484]" | 약칭
| 혁신당, 혁신, 혁
|-
|-
! width=47% style="background:#008000; color:#005BBB; text-align:right;" | [[파일:녹우크라이나 국장 (개화).svg|75px|link=틀:녹우크라이나의 행정구역 (개화)]]
! class="dark:!text-[#fff] text-[#152484]" | 창당일
! style="background:linear-gradient(180deg, #005BBB 48%, #FFD500 48%); color:#005BBB; text-align:left;" | {{글씨 색|#FFD500|녹우크라이나의}}<br>{{글씨 크기|15|1급 행정구역}}
| [[2010년]] [[모월 모일]]
|-
|-
| colspan="5" style="background-color:#fff;" |
! class="dark:!text-[#fff] text-[#152484]" | 영임
<div class="mw-customtoggle-greenukraine1staddi"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fff; color:#000;"><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 [[민국 (개화)|민국]] <sub>/ 5선</sub>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greenukraine1staddi"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style="font-size:10.5pt; 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
! colspan="6" style="background:#005BBB; color:#FFD500;" | 직할시
! class="dark:!text-[#fff] text-[#152484]" | 원무총사
| [[박춘식 (개화)|박춘식]] <sub>/ 7선</sub>
|-
|-
| colspan="3" width="50%" | [[파일:볼로디보스토크 문장 (개화).svg|x50px|link=볼로디보스토크 (개화)]]<br>[[볼로디보스토크 (개화)|볼로디보스토크]]
! class="dark:!text-[#fff] text-[#152484]" | 사무총사
| colspan="3" | [[파일:하바리우스크 문장 (개화).svg|x50px|link=하바리우스크 (개화)]]<br>[[하바리우스크 (개화)|하바리우스크]]
| [[오경덕 (개화)|오경덕]] <sub>/ 4선</sub>
|-
|-
! colspan="6" style="background:#005BBB; color:#FFD500;" |
! class="dark:!text-[#fff] text-[#152484]" | 정책위의정
| [[성채원 (개화)|성채원]] <sub>/ 3선</sub>
|-
|-
| colspan="2" width="33%" | [[파일:아무르스카 문장 (개화).svg|x50px|link=아무르스카 (개화)]]<br>[[아무르스카 주 (개화)|아무르스카]]
! class="dark:!text-[#fff] text-[#152484]" | 이념
| colspan="2" width="33%" | [[파일:비라이스카 문장 (개화).svg|x50px|link=비라이스카 (개화)]]<br>[[비라이스카 주 (개화)|비라이스카]]
| 한국 내셔널리즘<br>우익대중주의
| colspan="2" width="33%" | [[파일:부레이스카 문장 (개화).svg|x50px|link=부레이스카 (개화)]]<br>[[부레이스카 주 (개화)|부레이스카]]
|-
|-
| colspan="2" | [[파일:제이스카 문장 (개화).svg|x50px|link=제이스카 (개화)]]<br>[[제이스카 주 (개화)|제이스카]]
! class="dark:!text-[#fff] text-[#152484]" | 스펙트럼
| colspan="2" | [[파일:모바스카 문장 (개화).svg|x50px|link=모바스카 (개화)]]<br>[[모바스카 주 (개화)|모바스카]]
| '''우익 ~ 극우''', 혼합정치
| colspan="2" | [[파일:프리모르스카 문장 (개화).svg|x50px|link=프리모르스카 (개화)]]<br>[[프리모르스카 주 (개화)|프리모르스카]]
|-
|-
| colspan="2" | [[파일:사할린스카 문장 (개화).svg|x50px|link=사할린스카 (개화)]]<br>[[사할린스카 주 (개화)|사할린스카]]
! class="dark:!text-[#fff] text-[#152484]" | 중의원
| colspan="2" | [[파일:티흐리호르스카 문장 (개화).svg|x50px|link=스카 (개화)]]<br>[[티흐라호르스카 주 (개화)|티흐리호르스카]]
|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152484 2.6%, #aaa 2.6%); color:#fff;" | '''21석 / 805석 (2.6%)'''
| colspan="2" | [[파일:우다이스카 문장 (개화).svg|x50px|link=우다이스카 (개화)]]<br>[[우다이스카 주 (개화)|우다이스카]]
|-
|-
| colspan="3" width="50%" | [[파일:우수리스카 문장 (개화).svg|x50px|link=스카 (개화)]]<br>[[우수리스카 주 (개화)|우수리스카]]
! class="dark:!text-[#fff] text-[#152484]" | 도부의원
| colspan="3" | [[파일:하바리우스카 문장 (개화).svg|x50px|link=하바리우스카 (개화)]]<br>[[하바리우스카 주 (개화)|하바리우스카]]
|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152484 1.6%, #aaa 1.6%); color:#fff;" | '''43석 / 2720석 (1.2%)'''
|-
|-
|}</div></div>
! rowspan="3" class="dark:!text-[#fff] text-[#152484]" | 당색
|}
| <div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5px 3px; border-radius: 3.5px; color: #fff; background-color:#152484; font-size: 0.95em; max-width=70px;">'''파랑''' {{글씨 크기|9|(#152484)}}</div>
.
 
=어떻게 된 거야 무서워=
{| class="wikitable" style="float:center;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max-width:500px; min-width:330px ; border:2px solid #005BBB; background:#fff; color:#000" |  
|-
|-
! Colspan="10"; width=47% style="background:#008000; color:#005BBB; text-align:right;" | [[파일:녹우크라이나 국장 (개화).svg|75px|link=틀:녹우크라이나의 행정구역 (개화)]]
|<div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5px 3px; border-radius: 3.5px; color: #fff; background-color:#5A1B87; font-size: 0.95em; max-width=70px;">'''보라''' {{글씨 크기|9|(#5A1B87)}}</div>
! style="background:linear-gradient(180deg, #005BBB 48%, #FFD500 48%); color:#005BBB; text-align:left;" | {{글씨 |#FFD500|녹우크라이나의}}<br>{{글씨 크기|15|행정구역 등급}}
|-
|-
| colspan="11" style="background-color:#fff;" |
|<div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5px 3px; border-radius: 3.5px; color: #fff; background-color:#006464; font-size: 0.95em; max-width=70px;">'''초록''' {{글씨 크기|9|(#006464)}}</div>
<div class="mw-customtoggle-greenukraineaddi"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fff; color:#000;"><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greenukraineaddi"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style="font-size:10.5pt; 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
! colspan="2" width="15%" style="background:#DFDFDF; color:#000;" | 1급
! class="dark:!text-[#fff] text-[#152484]" | 당원 수
! colspan="8" width="59%" style="background:#3000a6; color:#fff;" | 주*
| 33만 명
! colspan="2" style="background:#3000a6; color:#fff;" | 직할시*
|-
|-
! colspan="2" width="20%" style="background:#DFDFDF; color:#000;" | 2급
! class="dark:!text-[#fff] text-[#152484]" | 국제조직
! colspan="6" width="38%" style="background:#6232D8; color:#fff;" | 군*
| {{무소속}}
! colspan="2" style="background:#6232D8; color:#fff;" | 자치시*
! colspan="2" style="background:#6232D8; color:#fff;" | 자치구*
|-
|-
! colspan="2" width="20%" style="background:#DFDFDF; color:#000;" |3급
! class="dark:!text-[#fff] text-[#152484]" | 청년조직
! colspan="2" width="12.67%" style="background:#9464FA; color:#fff;" | 면
| [[청년혁신당 (개화)|청년혁신당]]
! colspan="2" width="12.67%"  style="background:#9464FA; color:#fff;" |
! colspan="2" style="background:#9464FA; color:#fff;" | 시*
! colspan="4" style="background:#9464FA; color:#fff;" |
|-
|-
! colspan="2" width="20%" style="background:#DFDFDF; color:#000;" | 4급
! class="dark:!text-[#fff] text-[#152484]" | 공식 사이트
! colspan="3" style="background:#C696FA; color:#fff;" |
| [[파일:민국혁신당 로고 (개화).svg|x22px]]
! colspan="7" style="background:#C696FA; color:#fff;" |
|-
|-
! colspan="11" style="background:#DFDFDF; color:#000;" | '''* 지방의회를 가지는 행정구역'''
! class="dark:!text-[#fff] text-[#152484]" | SNS
| [[파일:트위터 아이콘.svg|22px|link=]]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22px|link=]]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22px|link=]]
|-
|-
|}</div></div>
|}
|}
.
{{목차}}
==개요==
대한민국의 자유주의 정당. 현재 중추원 원내 3위의 정당이자 국민의당과 연정을 통해 내각을 구성하고 있는 연립여당이다.
 
==명칭==
* [[한국어]] : 민국혁신당
** [[한자]] 표기: 民國革新黨
----
* [[영어]] : Minguk Hyeokshindang, MK
----
* [[중국어]]
** [[번체자|정체자]](번체자) : 民國革新黨
** [[중국어|표준중국어]] 발음
*** [[한어병음]] :
*** [[외래어 표기법/중국어|중국어의 외래어 표기법]] :
** 한국어 한자음 :
----
* [[일본어]]
** [[신자체]] : 民国革新党
** [[구자체]] : 民國革新黨
** 발음 표기
*** [[가나]] 표기 :
*** [[헵번식 로마자 표기법|로마자 표기]] :
*** [[외래어 표기법/일본어|일본어의 외래어 표기법]] : 민고쿠가쿠신토
----
* [[우크라이나어]]: Мінґук Хьокшиндан
** [[외래어 표기법/우크라이나어|우크라이나어의 외래어 표기법]] : 민구크 효크신단
 
 
영어 당명이 다른 정당들과는 달리 독특하게도 한국어 당명의 발음을 그대로 영어로 옮긴 것이다. 이는 민국혁신당의 민족주의적 성향에 기인한다고 알려져 있다. 영어 당명이 영어 화자가 읽기에는 워낙 어색하고 어렵기 때문에 영어권 언론에서는 보통 영어 당명의 이니셜을 딴 'MK' 혹은 'MK Party'라고 부른다.
 
==역사==
 
==성향==
 
==지지 기반==
민국혁신당의 가장 큰 지지기반은
 
==지도부==
{{역대 민국혁신당 영임 (개화)}}
 
==계파==
 
==타 정당과의 관계==
===국민의당===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1pt; color:#000; max-width:420px; float:center; border:2px solid #0094DA;"
|-
| colspan="2"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 width:420px; height:95px;" | {{Theme|[[파일:국민의당 로고 (개화).svg]]|[[파일:국민의당 로고2 (개화).svg]]}}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0094DA ; color:#fff;" | [[국민의당 (개화)|{{글씨 색|#fff|국민의당}}]]
|}


=..=
===사회민주당===
{{개화}}[[분류:개화/녹우크라이나]]{{녹우크라이나의 1급 행정구역 (개화)}}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1pt; color:#000; max-width:420px; float:center; border:2px solid #D52C4A;"
{| class="wikitable" style="max-width: 430px; width: 100%; text-align: center; font-size: 10.5pt; border: 2px solid #F7CE08; float: right;"
|-
|-
| colspan="4" style="background: #eee; border: none;" | {{국기그림|녹우크라이나}} [[녹우크라이나 (개화)|녹우크라이나]]의 직할시
| colspan="2"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 width:420px; height:95px;" | {{Theme|[[파일:사회민주당 로고 (개화).svg]]|[[파일:사회민주당 로고2 (개화).svg]]}}
|-
|-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border: none;"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D52C4A ; color:#fff;" | [[사회민주당 (개화)|{{글씨 색|#fff|사회민주당}}]]
{| style="margin-right: auto; margin-left: auto; max-width: 430px; width: 100%; font-size: 9.5pt; background: #FFF; border: 5px solid #FFF; line-height: 160%;"
|}
| style="text-align: right; background: #FFF;" | [[파일:하바리우스크 문장 (개화).svg|x75px|link=]]
 
|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text-align: left;" | '''{{글씨 크기|13|하바리우스크 직할시}}'''<br>Незалежне місто Хабарiвськ<br>Independent City of Khabarivsk
==선거 결과==
|}</div>
==각주==
 
=건빵=
==개요==
한국군의 전투식량에 관해 설명하는 문서.
==역사==
===19세기===
한국군은 20세기 이전까지는 전투식량이라는 개념 자체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기껏해야 장거리 작전에 나가는 병사들이 떡이나 쌀가루 등의 전근대적인 휴대용 식량을 사용했다고 '''추정될'''<ref>개화 이전의 전투식량에 대한 기록은 전혀 없기 때문에 추정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ref> 뿐이다.
 
한국 최초의 근대적 전투식량은 건뻥이었는데, 이는 중국의 의화단 반란 당시 한국군 지휘관으로 참전한 [[서재창 (개화)|서재창]]<ref>[[서재필 (개화)|서재필]] 총리의 동생이다.</ref> 당시 [[한국군 (개화)#영관급|정령]]이 일본군이 건빵을 먹는 모습을 보고 상부에 건의해 도입된 것이었다. 이와 관련해 서재창과 통역무관 [[서기학 (개화)|서기학]] [[한국군 (개화)#위관급|참위]] 사이의 일화가 하나 전해진다.
 
{{인용문|서재창: (일본군 병사들이 건빵을 먹는 모습을 보고) 이보게, 서 참위. 일본군 무관한테 저 병졸들이 먹고 있는 저 전병처럼 생긴 것이 무엇인고 하고 한 번 물어보게. <br> <br>서기학: 예, 연대장 각하. (일본군 무관에게 일본어로) 저 병사들이 먹고 있는 것이 무엇입니까?<br> <br>일본군 무관: 아, 칸판(乾パン)이라는 거요. 빵을 여러 번 구워 물기를 완전이 빼낸 보존식이오. <br> <br>서재창: 서 참위, 저 무관이 무어라고 하던?<br> <br>서기학: 아, 그게… 마를 건 자에… 어… '''건빵'''이라고 하덥니다.}}
 
서재창은 ‘건빵’에 대해 조금 더 조사한 뒤 군용 식량으로써의 건빵의 가치를 다룬 보고서를 본국에 제출했다. 파병된 병력의 식량 문제로 골머리를 앓던 군무성은  이 보고서를 눈여겨보았고 건빵 생산을 결정한다. 1900년 가을, 건빵공장이 [[평안북도 (개화)|평안북도]] 정주에 완공되었고 그곳에서 한국 최초의 전투식량인 건빵이 생산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건빵을 섭취한 일선 병사와 간부들의 평가는 최악이었다. 이전까지는 건빵은 고사하고 근대적인 전투식량을 만들어본 적이 없는 한국에서 생산한 건빵이었던 만큼 당연하게도 딱딱하기 그지없었고 맛도 없었다. 병사들은 이 딱딱하고 맛없으며 어찌어찌 먹는 데에 성공해도 퍽퍽해서 물을 들이켜야 하는 이 음식을 매우 싫어했다. 이후 일본으로부터 별사탕을 도입해 건빵과 함께 제공하면서 그나마 먹을 만해졌다는 평가가 나왔다.
 
여담으로 서기학이 즉석에서 만들어낸 ‘건빵’이라는 단어로 인해 서양의 빵(bread)이 한국어로 빵으로 번역되기 시작했다.
 
===20세기 초반===
{| class ="wikitable" style="max-width:340px; width: 100%; border: 2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line-height: 145%; font-size: 10pt; float:right "
|-
|-
! colspan="4" style="background: #013F99;" | <div style="margin: -5px -9px;">{{#multimaps: 48.478145, 135.068691 | height = 200px | zoom=9}}</div>
|colspan="1"; width="40%"; style="color: #; background: #;" | <div style="margin: -4.5px -9px">[[파일:맛있?는 전투식량.webp]]
|-
|-
! colspan="2" style="background: #F7CE08; color: #2153AB;" | 하위 행정구역
| class="w-[%] dark:!text-[#ddd] dark:!bg-[#423f3a] text-[#373a3c] bg-[#d2cfca]" | {{글씨 크기|10|'''[[시베리아 전쟁 (개화)|시베리아 전쟁]] 중 1호 전식을 먹는 육군 [[한국군 (개화)#교관|정교]]}}{{글씨 크기|8| (1920.7.17)'''}}
| colspan="2" | 13 자치구
|}
1차 세계대전 전까지는 한국군은 건빵 이외의 전투식량에는 별 관심이 없었다. 끝없는 참호전으로 인해 참호 안에서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전투식량이 필요했던 유럽 국가들과는 달리, 한국군은 1차 세계대전 중에는 기껏해야 독일령 칭다오 공략전 등에만 참여했다. 이로 인해 한국군은 가급적이면 야전취사 마차를 통해 장병들에게 따뜻한 밥과 국을 제공하되 그럴 여건이 안 될 때에만 전투식량을 섭취하면 됐고, 이런 목적으로는 건빵과 별사탕으로 충분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다만 1차 세계대전이 심화되면서 유럽에서의 참상이 전해지자 한국군도 본격적인 전투식량의 생산 필요성을 인식하고 개발에 착수했다.
 
그렇게 개발된 것이 야전전투식량 1호, YJS-1이다.<ref>야전의 첫글자 Y, 전투의 첫글자 J, 식량의 첫글자 S를 따와 만든 단어로, 대부분의 국군 장비의 제식번호가 이런 식으로 붙여진다.</ref> 통칭 1호 전식이라고 불린다. 1호 전식은 건빵과 염장고기(콘비프), 구운 콩, 말린 생선, 고춧가루와 약간의 설탕과 소금으로 구성되었고, 한 끼에 약 1천 칼로리로 하루 세 끼 기준 약 3천 칼로리의 열량을 냈다.
 
한국군이 개발한 전식의 진가는 1918년 개시된 [[시베리아 전쟁 (개화)|시베리아 전쟁]]에서 입증되었다. 동시베리아의 혹독한 날씨와 빨치산의 습격으로 한국군 장병들은 제대로 된 취사를 할 수 없는 경우가 왕왕 있었다. 이 때 야전전투식량은 병사들의 소중한 한 끼 식사가 되어주었다. 당시 참전용사들의 회고에 따르면 1호 전식은 맛이 좋은 편은 아니었으나 먹을만 했고, 전식 덕분에 다분한 노력의 필요와 빨치산의 기습 가능성을 유발하는 취사 과정을 생략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인용문|점심시간이 되자, 우리 소대원들은 보초조를 제외하고는 바닥에 쪼그려 앉아 일제히 연갈색 전투식량 봉지를 꺼내어 들었다. 소대장이 취사 대신 전투식량을 섭취하라고 지시했기 때문이었다. 밥을 하려 불을 피웠다가는 인근의 좌익 빨치산들의 이목을 끌 수 있기 때문이라고 소대장은 말했다.<br><br>처음 먹어보는 전식의 맛은, 설명할 길이 없지만 그저 그랬다. 못 먹을 맛은 아니었지만 그렇다고 해서 딱히 맛이 좋지도 아니하였다. 건빵은 씹기 전에는 딱딱하고 씹은 후에는 퍽퍽해서 먹기 힘들었지만 별사탕, 염장고기과 함께 먹으니 그나마 괜찮았다. 구운 콩과 동태에는 고춧가루를 뿌려 먹었다.<br><br>그렇게 전식으로 꼬박 다섯 끼를 떼웠다. 쌀밥과 국이 그리웠다.|[[박진순 (개화)|박진순]] 중추원 의원, 당시 육군 상병}}
 
박진순의 증언에서도 확인되듯이 1호 전식에도 문제가 있었다. 시베리아 전쟁에 파견된 병사들이 야전취사 마차가 들어서지 못하는 지역에서도 1호 전식의 건빵과 염장고기 대신에 따뜻한 쌀밥과 김치를 먹고 싶어했던 것. 이에 한국군은 쌀밥이 포함된 2호 전식(YJS-2)을 개발해냈다.
 
2호 전식의 내용물로는 백미와 함께 고기, 콩, 나물 캔과 말린 다시마와 말린 생선 그리고 간장, 된장, 고추장, 녹찻잎이 있었다. 이와 함께 일선 부대에는 찬합에 밥을 하거나 차를 끓여 마실 수 있게<ref>전선에서 끓여 마시는 차는 일종의 기호식품으로서 병사들의 사기 증진의 효과와 동시에 더러운 물을 끓여 마셔 질병을 예방하는 기능도 있었다.</ref> 소형 스토브와 연기가 나지 않는 고체 연료가 지급되었다. 다만 병사들이 그리도 먹고 싶은 했던 김치는 산성 때문에 기술의 한계로 포함되지 못했다. 2호 전식이 1921년 초부터 보급되면서, 국군은 1호 전식과 2호 전식을 혼용했다. 2호 전식은 스토브를 사용해 간단함 취사를 할 여유가 있는 상황에서, 1호 전식은 그렇지 못한 상황에서 섭취했다고 한다.
 
===제2차 세계대전 (제3차 극동전쟁)===
{| class ="wikitable" style="max-width:340px; width: 100%; border: 2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line-height: 145%; font-size: 10pt; float:right "
|-
|-
! colspan="2" style="background: #F7CE08; color: #2153AB;" | 면적
|colspan="1"; width="40%"; style="color: #; background: #;" | <div style="margin: -4.5px -9px">[[파일:.webp]]
| colspan="2" | 400㎢
|-
|-
! colspan="2" style="background: #F7CE08; color: #2153AB;" | 인구
| class="w-[%] dark:!text-[#ddd] dark:!bg-[#423f3a] text-[#373a3c] bg-[#d2cfca]" | {{글씨 크기|10|'''[[춘천 전투 (개화)|춘천 전투]] 직후 3호 전식을 먹는 육군 의무관<ref>[[한국군 (개화)#위관|부위]] 계급장을 달고 있다.</ref>}}{{글씨 크기|8| (194x.x.xx)'''}}
| colspan="2" | 162만 명
|}
1호 전식을 대체한 3호 전식(YJS-3)은 1933년에 대공황 속에서 개발되었다. 3호 전식은 1호 전식에 비해 조금 더 사람 먹는 것 같아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염장고기가 사라졌고 그 대신 고기 스튜 캔, 비빔밥 캔, 고추장과 정수제가 추가되었다. 일선 장병과 간부들 사이에서 이빨분쇄기라고 불릴 정도로 딱딱했던 건빵이 개량을 통해 조금 더 부드러워지는 등 몇 가지의 사소한 개선도 있었다.
 
원래 계획대로라면 훨씬 더 다양한 메뉴가 추가되어 3개 종류의 식단이 개발되었어야 했지만 대공황으로 인한 가혹한 군축때문에 대폭 깎인 예산으로 근근히 군대를 유지해야 했던 국방성은 비용 절감을 위해 여러 메뉴를 삭제했고 식단도 단일 종류로 줄였다. 결국 제3차 극동전쟁 초기 국군 장병과 무관들은 예상되었던 것보다 훨씬 부실한 전투식량을 섭취해야만 했다.
 
===20세기 후반===
===현재===
 
==종류==
==평가==
 
=충주원=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border: 2px solid #700007; max-width:600px; text-align: center"
| colspan="2" style="width: 550px; border-left: 1px solid transparent; background: #700007; color: #D1AC67; text-align:center;" | [[파일:대한민국 중추원 휘장.svg|link=틀:역대 대한민국 중추원 의정 (개화)]]<br>'''<div style="margin: 0px 0px -4px 0px"><big>대한민국 중추원</big><br></div><div style="margin: 0px 0px -8px 0px"><small>大韓民國 中樞院</small><br></div><small>General Board of State Legislation</small>'''
|-
|-
! colspan="2" style="background: #F7CE08; color: #2153AB;" | <div style="margin: -0px -9px;">인구밀도
| colspan="2" style="background: #f5f5f5" |
| colspan="2" | 5603.1명/
{| style="margin: -0px -10px; padding: 6px -1px 11px; width: calc(100% + 20px); font-size: 10pt;"
|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0094DA 30%, #f5f5f5 30%); color:#000; text-align:left; width: 5%; border: hidden" |
| style="background-color:#f5f5f5; color:#000; text-align:left; width: 98%; border: hidden" | '''제2차 유승민 내각'''<br><small>(2022.05.16. ~ 현재)</small>
|}
|-
|-
! colspan="2" style="background: #F7CE08; color: #2153AB;" | 시장
| colspan="2" |
| width=120px | {{우크라이나 국민당 (개화)/행정구역}}
{|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px 11px; width: calc(100% + 20px); font-size: 10pt;"
| [[세르히 크라우추크 (개화)|세르히 크라우추크]] <small>(초선)</small>
|-
|-
! colspan="2" style="background: #F7CE08; color: #2153AB;" | 직할시의회
| colspan="2" style="vertical-align:bottom;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4DA 54.9%, #CCCCCC 54.9% 59%, #D52C4A 59% 100%, transparent 1.6%); color:#fff; width:42%; text-align:right; border: hidden"|'''{{large|{{align|left|여권}}}}{{large|{{align|right|야권}}}}'''<br>{{align|left|{{정당 둥근상자2|'''442석'''|#0094DA|#ffffff}}}}{{align|right|{{정당 둥근상자2|'''3NN석'''|#D52C4A|#ffffff}}}}<br><small>{{align|left|국민의당, 자유당 외 1}}</small><small>{{align|right|사회민주당, 대중전선 외 2}}</small>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1"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transparent; color:#000;"><div style="margin: -2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1"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4.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2px;width: calc(100% + 4px); 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
| {{우크라이나 국민당 (개화)/행정구역}}
| colspan="2" style="vertical-align:bottom;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4DA 47%, #FFCC00 47% 54.7%, #00ABAB 54.7% 54.9%, #000000 54.9% 56%, #B60A03 56% 75%, #D52C4A 75% 100%, transparent 1.6%); color:#fff; width:42%; text-align:right; border: hidden"|
| 32석
|}
|-
|-
| style="border-left:transparent" | {{우크라이나 국민노동당 (개화)/행정구역}}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f5f5f5; color:#000; text-align: left;"| '''여권'''
| 26석
|-
|-
| style="border-left:transparent" | {{우크라이나 민주연합 (개화)/행정구역}}
| colspan="2" style="vertical-align:bottom; background-color:#0094DA;color:#fff; text-align: left; height: 90px"| [[파일:국민의당 로고 반전 (개화).svg|x40px|link=국민의당 (개화)]]<br>{{정당 둥근상자2|'''3NN석'''|#0094DA|#ffffff}}<br>{{글씨 크기|10|'''영임''' <nowiki>|</nowiki> [[유승민 (개화)|{{글씨 색|#ffffff|유승민}}]] · '''스펙트럼''' <nowiki>|</nowiki> 중도우파 ~ 우익}}
| 9석
|-
|-
| style="border-left:transparent" | {{파스치 (개화)/행정구역}}
| colspan="1" style="vertical-align:bottom; background-color:#FFCC00;color:#173EA9; text-align: left; width: 50%; height: 90px"| [[파일:자유당 로고 반전 (개화).svg|x40px|link=자유당 (개화)]]<br>{{정당 둥근상자2|'''62석'''|#FFCC00|#173EA9}}<br>{{글씨 크기|10|'''영임''' <nowiki>|</nowiki> [[이광재 (개화)|{{글씨 색|#173EA9|이광재}}]] · '''스펙트럼''' <nowiki>|</nowiki> 중도 ~ 중도우파}}
| 8석
| colspan="1" style="vertical-align:bottom; background-color:#00ABAB;color:#fff; text-align: left; width: 50%; height: 90px"| [[파일:민국당 로고 반전 (개화).svg|x40px|link=민국당 (개화)]]<br>{{정당 둥근상자2|'''3석'''|#00abab|#ffffff}}<br>{{글씨 크기|10|'''영임''' <nowiki>|</nowiki> [[원희룡 (개화)|{{글씨 색|#ffffff|원희룡}}]] · '''스펙트럼''' <nowiki>|</nowiki> 중도우파}}
|-
|-
| style="border-left:transparent" | {{인민의 종 (개화)/행정구역}}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700007; color:#D1AC67; font-size: 0.8em" | [[틀:대한민국 중추원의 원내 구성 (개화) |{{색|#D1AC67|중추원 구성}}]]
| 3석
|-
|-
| style="border-left:transparent" | {{무소속/행정구역}}
| 1석
|-
|-
|}</div></div>
|}</div></div>
=노베루 프라이즈=
* 이반 바흐랴니: 1944/문학/호랑이 사냥꾼
* 이호르 탐: 1958/물리학/초이 효과<ref>최화학, 장세용과 공동 수상</ref>
* 브세볼로드 키츠넨코: 2015/물리학/페로브스카이트<ref>박남규 등 3명과 공동 수상</ref>
=당=
{{개화 배너}}[[분류:개화]][[분류:개화/정치]][[분류:개화/정당 및 단체]][[분류:개화/녹우크라이나]][[분류:국민주의 정당]][[분류:보수주의 정당]]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border: 1px solid #ddd; max-width:500px; text-align: center"
| colspan="5" style="color:#fff;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070c8 0%, #0070c8 100%" | '''녹우크라이나의 보수주의 정당'''
|-
|-
! colspan="2" style="background: #F7CE08; color: #2153AB;" | [[녹우크라이나 최고의회 (개화)|{{글씨 색|#2153AB|최고의회}}]]의원
| rowspan="1" colspan="1" width=30% style="background:#; color:#" | ''창당''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2"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transparent; color:#000;"><div style="margin: -2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 rowspan="1" colspan="1" style="background:#; color:#" |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2"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 rowspan="1" colspan="1" width=30% style="background:#475885; color:#fff" | '''진보당'''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4.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rowspan="1" colspan="1" style="background:#; color:#" |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2px;width: calc(100% + 4px); 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colspan="1" width=30% style="background:#; color:#" | <div style="margin: -7px 0px; color:#fefefe; text-shadow: 0.7px 0px #fff, 0px 0.7px #fff, -0.7px 0px #fff, 0px -0.7px #fff, 0.7px 0.7px #fff, 0.7px -0.7px #fff, -0.7px -0.7px #fff, -0.7px 0.7px #fff;">'''[[우크라이나 국민당 (개화)|{{글씨 색|#023AA7|국민당}}]]'''</div>
|-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0pt; color:#000; max-width:420px; float:right; border:2px solid #475885;"
|-
| colspan="2"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 ; width:420px; height:50px;" | [[파일:녹우크라이나 진보당(1917) 로고 (개화).svg]]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475885 ; color:#fff;" | {{large|진보당}}
|-
|-
| style="border-left:transparent; width: 120px;" | {{사회민주당 (개화)/행정구역}}
! width=36% class="dark:!text-[#fff] text-[#475885]" |오어명
| 9석
| Партія прогресу<ref>'''발음 :''' 파르티야 프로흐레수</ref>
|-
|-
| {{국민의당 (개화)/행정구역}}
! width=36% class="dark:!text-[#fff] text-[#475885]" |영어명
| 7석
| Progress Party (of Green Ukraine)
|-
|-
| style="border-left:transparent" | {{자유당 (개화)/행정구역}}
! class="dark:!text-[#fff] text-[#475885]" |창당일
| 1석
| 1917년
|-
|-
| style="border-left:transparent" | {{인민의힘 (개화)/행정구역}}
! class="dark:!text-[#fff] text-[#475885]" |해산일
| 1석
| 1931년 <small>(신설합당)</small>
|-
|-
| style="border-left:transparent" | {{국민연대 (개화)/행정구역}}
! class="dark:!text-[#fff] text-[#475885]" |후신
| 1석
| {{우크라이나 국민당 (개화)}}
|-
|-
|}</div></div>
! class="dark:!text-[#fff] text-[#475885]" |이념
| 보수주의 ([[녹우크라이나의 보수주의 (개화)|녹오]])<br>국민주의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개화)|녹오]])<br>경제적 자유주의<br>반공주의
|-
|-
! colspan="2" style="background: #F7CE08; color: #2153AB;" | 구청장
! class="dark:!text-[#fff] text-[#475885]" |스펙트럼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4"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transparent; color:#000;"><div style="margin: -2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 중도우파 ~ 우익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4"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4.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2px;width: calc(100% + 4px); 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
| style="border-left:transparent; width: 120px;" | {{사회민주당 (개화)/행정구역}}
! rowspan="1" class="dark:!text-[#fff] text-[#475885]" |당색
| 7석
| <div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5px 3px; border-radius: 3.5px; color: #fff; background-color:#475885; font-size: 0.95em; max-width=70px;">'''청회색''' {{글씨 크기|9|(#475885)}}</div>
|-
|-
| style="border-left:transparent; width: 120px;" | {{국민의당 (개화)/행정구역}}
! class="dark:!text-[#fff] text-[#475885]" |당원 수
| 1석
| 1만 9천 명 <small>(해산 직전)</small>
|-
|-
|}</div></div>
! class="dark:!text-[#fff] text-[#475885]" |선거연합
| {{녹우크라이나 국민전선 (개화)}}
|-
|-
! rowspan="4" style="background: #F7CE08; color: #2153AB;" | 상징
|}
! style="background: #F7CE08; color: #2153AB;" | <div style="margin: -0px -9px;">슬로건
{{목차}}
| colspan="2" | '''{{글씨 색|#2153AB|다이나믹 동래}}'''
==개요==
[[녹우크라이나 (개화)|녹우크라이나]] 제1공화국 시기에 존재했던 혁명적 민족주의 성향의 우익 정당. 강력한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와 함께 사회보수주의, 반공산주의, 기독교(특히 정교회) 가치 보호 등을 추구했다. 주요 인물로는 [[녹우크라이나 제헌위원회 (개화)|녹우크라이나 제헌위원회]] 의장과 제9대 [[녹우크라이나 총리 (개화)|총리]]를 역임한 [[베네딕트 야코벤코 (개화)|베네딕트 야코벤코]]가 있다.
 
==상세==
 
==선거 결과==
==둘러보기==
{{녹우크라이나의 보수 진영 관련 문서 (개화)}}
[https://fontmeme.com/fonts/bluu-next-cyrillic-font/#previewtool 폰트]
 
=누군가=
{{개화 배너}}[[분류:개화/인물]][[분류:개화/군사]][[분류:개화/녹우크라이나]]
{{역대 녹우크라이나군 총사령관 (개화)}}
{{쿠리오 나무위키 인물 정보
| 틀 너비 = 400px
| 테두리 색 = #004000
| 상배경 색 = linear-gradient(to right, #003000 0%, #004000 20%, #004000 80%, #003000)
| 배경 색 = #004000
| 글씨 색 = #ffd500
| 글씨 크기 = 10.5
| 범례 너비 = 25%
| 펼접 아이디 = borys
| 직책1 =
| 직책1 배경 색 = linear-gradient(to right, #3C0006 0%, #580009 20%, #580009 80%, #3C0006)
| 직책1 글씨 색 = #FFD500
| 직책2 =
| 직책2 배경 색 = linear-gradient(to right, #ccc 0%, #f3f3f3 20%, #f3f3f3 80%, #ccc)
| 직책2 글씨 색 = #666
| 이름 = 제3대 녹우크라이나군 총사령관<br>{{large|미콜라 레온티요비치 유나키우}}<br>Микола Леонтійович Юнаків
| 사진 = 미콜라 유나키우 프로필.png
| 출생일 = [[1871년]] [[12월 6일]]
| 출생지 = {{국기그림|러시아 제국}} 러시아 제국 하리코프 현 즈미요프 군
| 사망일 = [[1931년]] [[8월 1일]] (향년 59세)
| 사망지 = {{국기그림|녹우크라이나}} [[녹우크라이나 제1공화국 (개화)|녹우크라이나 제1공화국]] [[볼로디스히드 (개화)|볼로디스히드]]
| 묘소 = 녹우크라이나 성 안드레아 국립묘원
| 거주지 =
| 직업 =
| 국적 = {{국기그림|러시아 제국}} 러시아 제국<br>→{{국기그림|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br>→{{국기그림|녹우크라이나}} [[녹우크라이나 제1공화국 (개화)|우크라이나 극동공화국]]
| 현직 =
| 임기1 = {{국기그림|녹우크라이나}} 제3대 녹우크라이나군 총사령관
| 임기1 기간 = 1925년 5월 ~ 1928년 8월
| 임기2 =
| 임기2 기간 =
| 임기3 =
| 임기3 기간 =
| 임기4 =
| 임기4 기간 =
| 부모님 =
| 배우자 =
| 자녀 =
| 본관 =
| 호 =
| 병역 =
| 학력 = 파블롭스크 군사학교<br>니콜라이 총참모부 사관학교
| 종교 = [[녹우크라이나 정교회 (개화)|녹우크라이나 정교회]]
| 신체 =
| 혈통 =
| 소속 정당 =
| 의원 선수 =
| 의원 대수 =
| 지역구 =
| 소속 위원회 =
| 성향 =
| 소속 팀 =
| 복무1 = {{국기그림|러시아 제국}} 러시아 제국 육군
| 복무1 기간 = 1889년 ~ 1917년
| 복무2 = {{국기그림|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인민군
| 복무2 기간 = 1918년 ~ 1922년
| 복무3 = {{국기그림|녹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극동군 (개화)|우크라이나 극동군]]
| 복무3 기간 = 1923년 ~ 1928년
| 최종 계급 = 중장 (<small>'''★★'''</small>)  ({{국기그림|러시아 제국}} 러시아 제국군)<br>상장 (<small>'''★★★'''</small>) ({{국기그림|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인민군<br>대장 (<small>'''★★★★'''</small>) ({{국기그림|녹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극동군)
| 최종 보직 =
| 주요 보직 = 러시아 제국군 4군 참모장<br>러시아 제국군 8군 사령관<br>우크라이나 인민군 교육사령관<br>우크라이나 합동군 참모총장<br>우크라이나 인민군 바르샤바 주재무관<br>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 전쟁부 장관<br>우크라이나 인민군 최고군사위원회 의장<br>녹우크라이나군 육군사관학교장<br>녹우크라이나 육군 총참모장<br>녹우크라이나 국군 총사령관
| 참전 = 제1차 세계대전 (동부전선)<br>우크라이나-소비에트 전쟁
| 등장 작품 =
| 인간 관계 =
| 담당 성우 =
| 재산 =
| 별명 =
| 약력 =
| 서훈 =
| 헌액 =
}}
{{목차}}
{{-}}
==개요==
러시아 제국,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 그리고 [[녹우크라이나 (개화)|녹우크라이나]]의 군인. 제3대 [[우크라이나 극동군 (개화)|우크라이나 극동군]] 총사령관을 역임했다.
 
==생애==
==평가==
 
==여담==
* 프로필 사진은 우크라이나 인민군 시절 찍은 것으로, 옷깃의 계급장은 소장 계급장이다.
 
==각주==
 
=누군가=
{{개화 배너}}[[분류:개화/인물]][[분류:개화/정치]][[분류:개화/녹우크라이나]]
{{역대 녹우크라이나 대통령 (개화)}}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00224f; width: 100%; text-align: center; font-size: 10.5pt"
!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0224f 0%, #003B77 20%, #003B77 80%, #00224f); color: #FFD500" | 이반 모졸레우스키 관련 틀
|-
|-
! style="background: #F7CE08; color: #2153AB;" | 부화
| <div class="mw-customtoggle-melashychframe" style="text-align: center; margin-top: -2px">'''[ 펼치기 · 접기 ]'''</div>
| colspan="2" | [[동백꽃]]
<div id="mw-customcollapsible-melashychframe"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style="margin: 0px -10px 0px">
{| style="margin: 4px 0px -6px 0px; width: 100%"
|-
|-
! style="background: #F7CE08; color: #2153AB;" | 부목
|{{녹우크라이나 제헌위원회 구성 (개화)}}{{구분선}}{{극동 우크라이나인 국민대회 지도부 (개화)}}
| colspan="2" | [[동백나무]]
|}
|}
{{쿠리오 나무위키 인물 정보
| 틀 너비 = 400px
| 테두리 색 = #003B77
| 상배경 색 = linear-gradient(to right, #00224f 0%, #003B77 20%, #003B77 80%, #00224f)
| 배경 색 = #003B77
| 글씨 색 = #FFD500
| 글씨 크기 = 10.5
| 범례 너비 = 25%
| 펼접 아이디 = borys
| 직책1 =
| 직책1 배경 색 = linear-gradient(to right, #3C0006 0%, #580009 20%, #580009 80%, #3C0006)
| 직책1 글씨 색 = #FFD500
| 직책2 =
| 직책2 배경 색 = linear-gradient(to right, #ccc 0%, #f3f3f3 20%, #f3f3f3 80%, #ccc)
| 직책2 글씨 색 = #666
| 이름 = 제2대 녹우크라이나 대통령<br>{{large|이반 빅토로비치 모졸레우스키}}<br>Іван Вікторович Мозолевський
| 사진 = 모졸레우스키 프로필.png
| 출생일 = [[1862년]] [[4월 1일]]
| 출생지 = {{국기그림|러시아 제국}} 러시아 제국 체르니히우 현 흘루히우 군 툴리호로보 마을
| 사망일 = [[1935년]] [[1월 10일]] (향년 72세)
| 사망지 = {{국기그림|녹우크라이나}} [[녹우크라이나 제1공화국 (개화)|녹우크라이나 제1공화국]] [[볼로디스히드 (개화)|볼로디스히드]]
| 묘소 = 녹우크라이나 성 안드레아 국립묘원
| 거주지 =
| 직업 =
| 국적 = {{국기그림|러시아 제국}} 러시아 제국<br>→ {{국기그림|녹우크라이나}} [[녹우크라이나 제1공화국 (개화)|녹우크라이나]]
| 현직 =
| 임기1 = 제2대 녹우크라이나 대통령
| 임기1 기간 = 1926년 4월 1일 ~ 1930년 3월 31일
| 임기2 =
| 임기2 기간 =
| 임기3 =
| 임기3 기간 =
| 임기4 =
| 임기4 기간 =
| 부모님 =
| 배우자 =
| 자녀 =
| 본관 =
| 호 =
| 병역 =
| 학력 = 파벨 갈라간 대학교<br>키상트 페테르부크르 군사의과대학교
| 종교 = [[녹우크라이나 정교회 (개화)|녹우크라이나 정교회]]
| 신체 =
| 혈통 =
| 소속 정당 =
| 의원 선수 = 3
| 의원 대수 = '''[[제1대 녹우크라이나 최고의회의원 선거 (개화)|1]]''', '''[[제2대 녹우크라이나 최고의회의원 선거 (개화)|2]]''', '''[[제3대 녹우크라이나 최고의회의원 선거 (개화)|3]]'''
| 지역구 = [[아드랸스크 (개화)|아드랸스크]] 지역
| 소속 위원회 = 사회위원회
| 성향 =
| 소속 팀 =
| 복무1 = {{국기그림|러시아 제국}} 러시아 제국 육군 의무장교
| 복무1 기간 = 1887년 ~ 1911년 9월 22일
| 복무2 =
| 복무2 기간 =
| 최종 계급 = 대령
| 최종 보직 = 러시아 제국군 아무르 수비대 군병원장
| 주요 보직 =
| 참전 =
| 등장 작품 =
| 인간 관계 =
| 담당 성우 =
| 재산 =
| 별명 =
| 약력 = 러시아 제국군 의무장교<br>아무르 성 블라디미르 병원 의사<br>[[아드랸스크 (개화)|아드랸스크]] 우크라이나인 공동체 지도자<br>[[극동 우크라이나인 국민의회 (개화)|극동 우크라이나인 국민의회]] 의장<br>[[녹우크라이나 진보당(1917) (개화)|녹우크라이나 진보당]] 대표<br>[[제1회 녹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개화)|제1회 녹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후보<br>제2대 [[녹우크라이나 대통령 (개화)|녹우크라이나 대통령]]
| 서훈 =
| 헌액 =
}}
{{목차}}
{{-}}
==개요==
[[녹우크라이나 (개화)|녹우크라이나]]의 의학자, 민족주의 운동가이자 정치인. 제2대 [[녹우크라이나 대통령 (개화)|녹우크라이나 대통령]]을 역임하였으며 녹우크라이나의 국부 중 한 명으로 추앙받는 인물이다.
 
==생애==
{| class="wikitable" style="width:150px;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font-size:10pt; border: 2px solid #003B77; float: right;"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f3f3f3; border:1px solid #f3f3f3; text-align: center;" | <div style="margin: -4.5px -9px">[[파일:이반 모졸레우스키.png]]</div>
|-
|-
! style="background: #F7CE08; color: #2153AB;" | 부조
| colspan="1" style="color:#ffd500; background-color:#003B77; text-align: center; width:; font-size: 10pt;" | '''1919년의 모졸레우스키'''
| colspan="2" | [[갈매기]]
|-
|-
! colspan="2" style="background: #F7CE08; color: #2153AB;" | 지역번호
|}
| colspan="2" | '''051'''
 
==여담==
 
==소속 정당==
{| class="wikitable" style="border:2px solid #003B77;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text-align:center"
|-
|-
! colspan="2" style="background: #F7CE08; color: #2153AB;" | 행정구역코드
! style="background:#003B77; color:#FFD500;" | 소속 정당
| colspan="2" | '''KR-21'''
! style="background:#003B77; color:#FFD500;" | 기간
! style="background:#003B77; color:#FFD500;" | 비고
|-
|-
! colspan="2" style="background: #F7CE08; color: #2153AB;" | <div style="margin: -0px -9px;">IATA 도시 코드
| {{녹우크라이나 진보당(1917) (개화)}}
| colspan="2" | '''KDL'''
| 1917 - 1931
| 창당
|-
|-
| colspan="4" style="color: #DDD;" | [[파일:홈페이지_아이콘.svg|23px]] | [[파일:네이버_블로그_아이콘.svg|23px]] | [[파일:인스타그램_아이콘.png|23px]] | [[파일:페이스북_아이콘.svg|23px]] | [[파일:트위터_아이콘.png|23px]] | [[파일:유튜브_아이콘.png|23px]] | [[파일:카카오톡채널_아이콘.svg|23px]]
| {{우크라이나 국민당 (개화)}}
| 1931 - 1935
| 합당
|-
|-
|}
|}
{{목차}}
==개요==
'''동래부'''(東萊府)는 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이자 [[한성부 (개화)|한성]], [[평양부 (개화)|평양]]을 잇는 제3의 도시다.
==역사==
==지리==


==정치==
==선거 이력==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max-width:350px; border:2px solid #013F99; float:left"
==둘러보기==
{{녹우크라이나의 자유주의 진영 관련 문서 (개화)}}
 
=레몬탕=
{{글 숨김}}
{{개화 배너}}[[분류:개화]][[분류:개화/정치]][[분류:개화/정당 및 단체]][[분류:개화/한국]][[분류:대중주의 정당]][[분류:자유주의 정당]]
{{대한민국 중추원의 원내 구성 (개화)}}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0pt; color:#000; max-width:420px; float:right; border:2px solid #F8DE7E;"
|-
| colspan="2"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 width:420px; height:50px;" | [[파일:레몬 탕후루당 로고 (개화).svg|250xpx]]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F8DE7E ; color:#8A2BE2;" | {{large|레몬 탕후루당}}
|-
! width=36% style="color:#F8DE7E;" | <div style="margin: -7px 0px; color:#8A2BE2; text-shadow: 0.7px 0px #F7F8FA, 0px 0.7px #F7F8FA, -0.7px 0px #F7F8FA, 0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영어명
| Lemon Tanghuru Party
|-
! style="color:#;" | <div style="margin: -7px 0px; color:#8A2BE2; text-shadow: 0.7px 0px #F7F8FA, 0px 0.7px #F7F8FA, -0.7px 0px #F7F8FA, 0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창당일
| 2023년 11월 8일
|-
! style="color:#34B549;" | <div style="margin: -7px 0px; color:#8A2BE2; text-shadow: 0.7px 0px #F7F8FA, 0px 0.7px #F7F8FA, -0.7px 0px #F7F8FA, 0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당영임
| [[ㅇ (개화)|ㅇ]]
|-
! style="color:#34B549;" | <div style="margin: -7px 0px; color:#8A2BE2; text-shadow: 0.7px 0px #F7F8FA, 0px 0.7px #F7F8FA, -0.7px 0px #F7F8FA, 0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이념
| [[직접민주주의]]<br>[[자유주의]] ([[한국의 자유주의 (개화)|한국]])<br>[[청년정치]]
|-
! style="color:#34B549;" | <div style="margin: -7px 0px; color:#8A2BE2; text-shadow: 0.7px 0px #F7F8FA, 0px 0.7px #F7F8FA, -0.7px 0px #F7F8FA, 0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스펙트럼
| 중도 - 중도좌파
|-
! style="color:#34B549;" | <div style="margin: -7px 0px; color:#8A2BE2; text-shadow: 0.7px 0px #F7F8FA, 0px 0.7px #F7F8FA, -0.7px 0px #F7F8FA, 0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중추원의원
|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F8DE7E 0%, #aaa 0%); color:#fff;" | '''0석 / NNN석 (0.0%)'''
|-
! style="color:#34B549;" | <div style="margin: -7px 0px; color:#8A2BE2; text-shadow: 0.7px 0px #F7F8FA, 0px 0.7px #F7F8FA, -0.7px 0px #F7F8FA, 0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부·도지사
|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8A2BE2 0%, #aaa 0%); color:#fff;" | '''0석 / 16석 (0.0%)'''
|-
! rowspan="2" style="color:#34B549;" | <div style="margin: -7px 0px; color:#8A2BE2; text-shadow: 0.7px 0px #F7F8FA, 0px 0.7px #F7F8FA, -0.7px 0px #F7F8FA, 0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당색
| <div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5px 3px; border-radius: 3.5px; color: #8A2BE2; background-color:#F8DE7E; font-size: 0.95em; max-width=70px;">'''노란색''' {{글씨 크기|9|(#F8DE7E)}}</div>
|-
| <div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5px 3px; border-radius: 3.5px; color: #F8DE7E; background-color:#8A2BE2; font-size: 0.95em; max-width=70px;">'''보라색''' {{글씨 크기|9|(#8A2BE2)}}
|-
! style="color:#34B549;" | <div style="margin: -7px 0px; color:#8A2BE2; text-shadow: 0.7px 0px #F7F8FA, 0px 0.7px #F7F8FA, -0.7px 0px #F7F8FA, 0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당원 수
| 4만 2천 명
|-
|-
! colspan="4" | <div style="margin: -5px -9px">[[파일:동래부의회.jpg]]</div>
! style="color:#34B549;" | <div style="margin: -7px 0px; color:#8A2BE2; text-shadow: 0.7px 0px #F7F8FA, 0px 0.7px #F7F8FA, -0.7px 0px #F7F8FA, 0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국제조직
| {{진보동맹}}
|-
|-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013F99; color:#fff;" | '''{{글씨 색|#fff|동래부의회 본회의장}}
! style="color:#34B549;" | <div style="margin: -7px 0px; color:#8A2BE2; text-shadow: 0.7px 0px #F7F8FA, 0px 0.7px #F7F8FA, -0.7px 0px #F7F8FA, 0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SNS
| [[파일:네이버_블로그_아이콘.svg|23px]] | [[파일:인스타그램_아이콘.png|23px]] | [[파일:페이스북_아이콘.svg|23px]] | [[파일:트위터_아이콘.png|23px]] | [[파일:유튜브_아이콘.png|23px]]
|-
|-
|}
|}
좌파와 우파의 접전지이면서 사회민주당의 약우세 지역이다.
{{인용문|
과제📗에 치인 대학생👨‍🎓도
<br>레몬🍋~ 탕후루~!
<br>야근🌃에 지친 직장인👨‍💻도
<br>레몬🍋~ 탕후루~!
<br>요즘 한성 정치권🏙에서는
<br>레몬🍋 탕후루가 대인기!
<br>탕후루~ 탕후루~!
<br>레몬🍋~ 탕후루~!¡
|레몬 탕후루당 당가}}
{{글 숨김 끝}}
 
=국대=
 
=인구 최라=
*볼로 312 31
*프리 326 32
*모바 257 25
*티흐 272 27
*우수 211 21
*하바 255 25
*하카 225 22
*스보 283 28
*아무 189 19
*이미 27 3
*사할 85 9
*비라 146 14
*제이 123 12
*우다 172 17
*부레 106 11
*추미 15 2
*3,004 301
=녹오 대학=
*볼로 성 일라리온, 볼로
*프리 프리, 육군, 국방, 슬로
*모바 모바, 항공, 공군, 모바 의과, 모바 농과, 유리, 프코
*티흐 티흐, 해군, 해양, 즈나 공과, 아드, 야폰
*우수 우수, 이만 의과
*하바 하바, 과기
*하카 하카, 트하 공과
*스보 스보, 자유, 스보 공과
*아무 아무, 코노
*사할 사할
*이미 이미 민족
*비라 비라, 문화예술
*제이 제이
=싱뭉=
* 민국신문 : 보수, 이승만 계열
* 경향신문: 보수, 천주교 계열
* 대한매일신보: 중도보수, 안창호 계열
* 경성신문: 중도 자유주의, 개화당 계열
* 만세보: 중도, 천도교 계열
* 대한중앙일보: 증도진보, 사민당 계열
* 노동신문: 진보, 전노총 계열
 
=피카레스크 단편선=
{{인용문|그는 한국의 거대 기업들이 증오스러웠다. 자국의 재벌들 또한 마찬가지였지만, 한국에서 온 기업들은 그 정도가 심했다. 적어도, 자국의 재벌들이 버는 돈은 어디까지나 '우리 나라'의 돈이었다. 그러나 한국에서 온 기업들은 오로지 우리 나라의 자원과 노동력을 한국 본토로 방출할 뿐이었고, 현지의 경제개발에는 하등 관심이 없었다. 뼈빠지게 일해봤자, 가족들의 생계는 나아질 구석이 보이지 않았고 한국인들의 배만 채워줄 뿐이었다.|이반 탈리스넨코의 일기 (가제) by [[에러]]}}
 
{{인용문|캄캄한 어둠 속, 차가운 돌과 흙 사이. 장스쥔은 깊이 들이마신 공기가 검은 먼지로 가득 차 있음을 느꼈다. 막장 작업을 끝마친 뒤에도, 탄광의 무겁고 답답한 느낌은 그를 계속해서 짓눌렀다.
 
거울 앞에서 분진이 까맣게 앉은 얼굴을 문지르며, 그는 어린 시절 그의 소학교 선생이 알려준 이야기를 떠올렸다.<br>
얼마 가지 않아 노동운동을 위해 학교를 때려치우고 고향으로 내려간 선생. 그에 대해 들은 마지막 소식은 그가 [[만주 인민혁명당 (개화)|인민혁명당]]에 가입했다가 [[한국군 (개화)|한국군]]의 총에 맞아 죽었다는 이야기였다.
 
짐 크로. 그것은 거울 속 남자를 말하는 것 같았다. <br>
또는, 같은 아세아인임을 외치며 광부들을 부려먹는 한국인 사장같기도, 명목상으로 시찰을 온 한국 본사의 직원들같기도 한 것이었다.
 
일이 끝나면, 곧바로 노동자들은 일곱 평 남짓하는 방에 몸을 뉘었다. 숨이 막히는 기분은 잠시도 그를 놓아주지 않았다. 씻어내지 못한 분진이 그를 불태울 듯한 불안감이 들었다. <br>
때로 그는 아버지와의 추억을 그 방에서 찾았다. 기억 속아버지는 어머니와 어린 그를 사이에 두고 누워, 자신의 후난에서의 생활이 얼마나 고통스러웠는지, 당신이 도망쳐온 이곳이 얼마나 좋은 곳인지 읊어주곤 했다.
 
많은 것이 바뀌었다. 더이상 마적떼도, 군량을 요구하던 군인의 무리도 없었으나, 그와 그 동네에 살던 사람들은 어떤 것들을 잃어버렸다. 어느새부터, 그들은 중국인이지만 [[만주 (개화)|중국인이 아니게 되었다.]] <br>
그의 아버지가 찾은 기회의 땅도 어디론가 도망가버렸다. 아버지가 일구던 밭은 공장이 되었고, 오지 않은 고지를 무시한 죄로 그 노인은 땅을 빼았겼다. <br>
시내에서 한국인이 떠드는 말을 듣고 자신이 농사로 먹고 사는 것과 새로 깔린 철도 사이의 연관성을 궁구하던 소년은 시간에 떠밀려 청년이 되었다. <br>
청년이 황황히 떠난 그 마을은 얼마 지나지 않아 전쟁을 견디지 못하고 지워졌다.
 
그가 누운 일곱 평 방에는 이부자리를 깔고 같이 누울 아내도, 이야기를 들려줄 아이들도 없었다. 그의 아내는 럭키의 공장이 폐기물을 간수하지 못해서 보상금 몇 푼만을 남기고 떠나갔다.(모순적이게도, 그는 결국 그 돈의 일부로 럭키 치약을 샀다.) <br>
한국은 그의 남은 가정을 완전히 망가뜨려 놓을 셈이었는지도 모른다. 공부에 뜻이 없었던 그의 아이들은 중학교를 나오자마자 현대의 공장으로 들어갔다. <br>
가난에 쫒긴 맏이는 손가락을 잃었고, 둘째는 병원에 누워 일어나지 못했다. <br>
병원비가 필요했던 그는 다시 탄광에 들어갔다.
 
그 거대한 괴물의 아가리는 먹이를 기다리고 있었다. <br>
갱도는 게걸스럽게 그 안의 사람들을 먹어치웠고, 이 땅의 그 누구도 그것에 대해 언급하기를 꺼렸다. 혹은 아예 신경쓰지 않는지도 모른다.
대신 사람들은 황제가 라디오에서 떠드는 거창한 소리, 나라를 한국 기업에 들어다 바치는 일에 대해 떠들기를 즐겼다.
카나리아가 산소가 부족한 갱도 속에서 스러지듯, 사람들은 듣고 싶지 않은 일에 대해 떠드는 사람들을 사회주의자라는 핑계로 침묵시켰다.
 
그 속에서 스쥔은 생각하는 방법을 잊었다. 신문도 더이상 펼치지 않았다. 고향의 풀꽃 향기는 갱도의 흙내음에 덮여 더이상 생각나지 않았다. <br>
아버지가 꿈꾸던 세계는 개화하지 못했다.|by [[키네]]}}
{{인용문| 김 정위, 그는 장래를 촉망받는 젊은 공군 무관이다. 또한 한국의 우방인 자유 월남을 보호하고 공산 비적떼를 소탕하는 정의의 전쟁에 참전한 자랑스러운 국군의 용사이기도 하다.
 
오늘은 베트남에서의 그의 첫 실제 작전이 있는 날이다. <br>
출격 전 마지막 브리핑이 끝나고 김 정위는 두근거리는 마음을 안고 브리핑룸에서 나와 격납고로 향했다.


예로부터 빠른 공업화로 공장이 많던 영남 지방이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좌익 계열 정당의 텃밭이었던 만큼 공장 밀집지역이었던 동래도 [[한인사회당 (개화)|사회당]], [[사회민주당 (개화)|사민당]] 등 좌익 계열 정당들이 높은 지지를 받아왔다. 하지만 도시화로 영남 외의 타지 인구가 유입되고 경공업의 쇠퇴로 공장 수가 줄면서 다른 영남지방에 비해 좌익 계열 정당의 세가 상당히 약해졌고 70년대 이후로는 보수정당 출신 판윤도 당선되는 등 경합지화 되었다.
그의 팬텀기로 향하는 길, 월남의 뜨거운 햇살을 맞으며 파일럿 헬멧을 옆구리에 끼고 늠름하게 걸어가는 그의 시선을 잡은 것이 있었다. 활주로 한켠에 광고판처럼 생긴 커다란 판때기에 하얀 바탕에 검은색 글씨로 쓰인 표어였다.


다만 여전히 [[사회민주당 (개화)|사회민주당]]의 조직력이 [[국민의당 (개화)|국민의당]]의 조직력보다 강하고 당의 조직력이 많은 영향을 미치는 부의원 선거에서 사회민주당이 약간의 우세를 점하는 등 사회민주당 등 좌익 정당이 조금 더 강세를 보이는 접전지라고 할 수 있다.
<한국군은 백 명의 베트콩을 놓치더라도 한 명의 양민을 보호한다.>


특기할 점이라면 [[대구부 (개화)|대구]][[경상북도 (개화)|경북]] 지역과 마찬가지로 사민당이 사회적으로 상당히 보수적이어서, 대경권 만큼은 아니지만 이 지역 사민당 정치인들은 대부분 [[사회민주당 현장파 (개화)|사민당 현장파]]에 속해있다. 마찬가지로 동래부 국민의당 역시 사회문제에 있어 국민의당 평균보다 조금 더 보수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주월한국군도정인 채명신 정령의 글귀였다. <br>
김 정위는 백 번 천 번을 되뇌이어도 참으로 지당하신 말씀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 아름답고도 가슴 저미게 만드는 글귀를 여유롭게 감상할 시간은 없었다. 작전에서는 1분 1초가 소중했다. <br>
김 정위는 길을 재촉했다.


현직 판윤은 사회민주당 소속 [[장제원 (개화)|장제원]]으로, 사민당 내에서는 [[사회민주당 현장파 (개화)|현장파]]에 속하는 인물이다.
잠시 후 김 정위는 그의 애마, 아니 팬텀기에 올라탔다. 그는 조석의 정면부를 가득 채운 복잡한 계기판을 조작하며 이륙 준비를 마쳤다.
{{-}}
===역대 판윤===
{{역대 동래부 판윤 (개화)}}


==경제==
계기판 한켠에 걸린 사진. 한 젊고 아름다운 여자가 갓난이기를 안고 있었다. 그것은 한국에 있는 김 정위의 아내와 아이였다. <br>
조선시대에도 동래는 일본과의 교역 중심지이자 영남 지방 물산이 모이는 주요 도시였다.  
작년에 김 정위가 휴가를 나가 한국에 귀국했던 때에 생겨난 아이였다. 김 정위는 아직 한 번도 그의 아이를 그의 두 눈으로 직접 보지 못 하였지만 그 아이가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것이라는 점만은 확실했다. <br>
김 정위는 속으로 아이에게 부끄럽지 않은 아버지가 되어야겠다고 다짐했다. 오늘도 그는 가족을 생각하며 작전에 임할 의지를 얻었다.


19세기 중후반 조선이 개화정책을 실시하면서 무역항으로의 입지가 강해졌고,  지리적인 이점과 산업화를 목표로 국가의 집중적인 투자로 대구모 공업단지가 들어섰다. 초기에는 경공업 위주의 공업구조를 보였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중공업 역시 빠르게 성장했고 1940년대 이후로는 중공업이 부 산업의 주를 차지하였다.
마지막으로 김 정위는 사진 옆에 붙어있는 작전명령서를 다시 번 흝었다.


동래는 무역항으로서의 입지 역시 강한데, 아시아에서 네 번째로 동래항을 가지고 있으며 1972년에는 [[인천부 (개화)|인천]], [[남포부 (개화)|남포]], [[대연부 (개화)|대연]]과 함께 경제자유지구로 지정되어 동아시아의 대표적인 물류 허브의 역할을 하고 있다. 덕분에 해운업이 극도로 발달하여 있고 몇몇 대형 물류사의 본사가 동래에 위치해있다.
<공습 목표, 위도 ○○○, 경도 ○○○의 촌락. <br>
촌락의 모든 구조물과 인근 밀림을 소이탄으로 전부 파괴할 것.>


1970년대 이후로는 경공업이 쇠퇴하면서 그 자리를 IT산업, 서비스업이 차지하였다. 다만 다른 부들에 비해 중공업과 해운업에 밀려 부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작은 편이다.
김 정위의 육중한 전쟁기계는 중력을 무시하듯 하늘 높이 두둥실 떠올랐다. <br>
촌락의 모든 것을 불태워버릴 정의의 소이탄을 좌우 날개에 한가득 싣고... |by [[쿠리오]]}}


==교통==
{{인용문||by [[]]}}
==각주==

2024년 10월 2일 (수) 14:32 기준 최신판

목록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아쎄이! 이 문서에 들어왔다면 희망을 버려라!!

탐라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틀: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 (개화)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자치도
파일:탐라자치도 CI (개화).png 탐라자치도
耽羅自治道
Tamna Autonomous Province

지도를 불러오는 중...

하위 행정구역 8자치구
면적 771.3㎢
인구 432만 명
인구밀도
5603.1명/㎢
GRDP $1,616억 (2022년)
1인당
$24,940 (2022년)
판윤 틀:민국당 (개화)/행정구역 원희룡 (3선)
참윤
사무 무소속 (20대)
정무 틀:민국당 (개화)/행정구역 (23대)
부의회
[ 펼치기 · 접기 ]
중추원 의원
[ 펼치기 · 접기 ]
상징
슬로건
몰?루
부화 동백꽃
부목 동백나무
부조 갈매기
지역번호 051
행정구역코드 KR-21
IATA 도시 코드
DGL
 |  |  |  |  |  | 

개요

동래부(東萊府)는 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이자 한성, 평양을 잇는 제3의 도시다.

역사

지리

정치

동래부의회 본회의장

좌파와 우파의 접전지이면서 사회민주당의 약우세 지역이다.

예로부터 빠른 공업화로 공장이 많던 영남 지방이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좌익 계열 정당의 텃밭이었던 만큼 공장 밀집지역이었던 동래도 사회당, 사민당 등 좌익 계열 정당들이 높은 지지를 받아왔다. 하지만 도시화로 영남 외의 타지 인구가 유입되고 경공업의 쇠퇴로 공장 수가 줄면서 다른 영남지방에 비해 좌익 계열 정당의 세가 상당히 약해졌고 70년대 이후로는 보수정당 출신 판윤도 당선되는 등 경합지화 되었다.

다만 여전히 사회민주당의 조직력이 국민의당의 조직력보다 강하고 당의 조직력이 많은 영향을 미치는 부의원 선거에서 사회민주당이 약간의 우세를 점하는 등 사회민주당 등 좌익 정당이 조금 더 강세를 보이는 접전지라고 할 수 있다.

특기할 점이라면 대구경북 지역과 마찬가지로 사민당이 사회적으로 상당히 보수적이어서, 대경권 만큼은 아니지만 이 지역 사민당 정치인들은 대부분 사민당 현장파에 속해있다. 마찬가지로 동래부 국민의당 역시 사회문제에 있어 국민의당 평균보다 조금 더 보수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현직 판윤은 사회민주당 소속 장제원으로, 사민당 내에서는 현장파에 속하는 인물이다.

역대 판윤

틀:역대 동래부 판윤 (개화)

경제

조선시대에도 동래는 일본과의 교역 중심지이자 영남 지방 물산이 모이는 주요 도시였다.

19세기 중후반 조선이 개화정책을 실시하면서 무역항으로의 입지가 강해졌고, 지리적인 이점과 산업화를 목표로 한 국가의 집중적인 투자로 대구모 공업단지가 들어섰다. 초기에는 경공업 위주의 공업구조를 보였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중공업 역시 빠르게 성장했고 1940년대 이후로는 중공업이 부 산업의 주를 차지하였다.

동래는 무역항으로서의 입지 역시 강한데, 아시아에서 네 번째로 큰 동래항을 가지고 있으며 1972년에는 인천, 남포, 비사과 함께 경제자유지구로 지정되어 동아시아의 대표적인 물류 허브의 역할을 하고 있다. 덕분에 해운업이 극도로 발달하여 있고 몇몇 대형 물류사의 본사가 동래에 위치해있다.

1970년대 이후로는 경공업이 쇠퇴하면서 그 자리를 IT산업, 서비스업이 차지하였다. 다만 다른 부들에 비해 중공업과 해운업에 밀려 부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작은 편이다.

교통

각주

만총2

바오구안청 양이천 한광 한광 자오더쥔 자오더쥔 뤼핑 뤼핑 천쥔성 영 천쥔성 천쥔성 한주빈 한주빈 쉬친 쉬친 원시전 팡웨이중 왕진샨 왕랸정

만주 총리

1946
화평
1947
화평-자유-대동
1948
자유-노동-대동-추풍
대동-자유-노동
1951
협진-자유-대동
1953
화평-노동-자유
노동-화평-자유
거국내각
1957
노동-자유-대동
1959
협화

.

HHH

틀:글 1숨김

틀:만주 입법원의 원내 구성 (개화)ㄴ
협화당
한문명 協和黨
만문명 ᡥᡡᠸᠠᠯᡳᠶᠠᠨ ᡥᠣᡴᡳ[1]
영문명 Concordia Party
창당일 1937년 모월 모일
주석 류궈중[2] / 5선 장칭웨이?
부주석 쿵쉬안유 / 6선
의원단장
비서장
이념 보수주의 (만주)
만주 내셔널리즘
스펙트럼 우익
입법의원 338석 / 600석 (56.3%)
성급의회의원 652석 / 1262석 (51.7%)
현급의회의원 1677석 / 4584석 (36.6%)
당색
청록색 (#007483)
민트색 (#00C5DF)
당원 수 13만 6천 명
국제조직 국제민주연합
청년조직 청년협화당
당기
파일:협화당 당기 (개화).png
공식 사이트
SNS | | | |

개요

협화당만주보수주의 정당이다. 현존하는 만주 정당 중 역사가 가장 길다.

59년 체제를 성립해 1959년부터 장장 38년간 집권하였으며, 59년 체제 붕괴 이후로도 리버럴 세력에 비해 전반적인 우세를 점하고 있다. 현재 입법원 단독 과반을 확보하여 집권중이며, 당주석 겸 총리는 류궈중이다.

역사

성향

협화당의 이념과 성향으로 꼽히는 것에는 보수주의, 사회보수주의, 국민보수주의, 신보수주의, 가부장적 보수주의, 전통적 보수주의, 만주 내셔널리즘 등이 있다.

황제주권주의를 옹호하는 보수 왕당파 정당이다. 한 설문조사에서는 협화당 지지자의 97%가 황정을 지지한다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사회적으로는 강력한 보수주의 성향을 띤다. 전통적인 가치를 존중하며, 공동체의 유교적 윤리와 문화적 기반을 유지하려는 보수적 관점을 지닌다. 낙태와 동성결혼 합법화에 반대하며 전통적 가족 가치관을 지지한다. 다만 계파에 따라 온도차가 있다. 또한 만주어의 제2국어화를 통해 만주 국민주의를 부흥시켜 민족적 가치관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경제적으로는 신자유주의 성향의 강경우파부터 독일식 사회적 시장경제를 지지하는 온건 중도파까지 넓은 스펙트럼으로 퍼져 있다.

외교적으로는 강한 친 성향을 보이며 극동의 경제적 통합공동방위를 강력하게 지지한다. 반중, 반소 성향도 있지만 계파에 따라 그 농도가 상이하다. 미국과 서방 세계에는 기본적으로 지지도 적대도 아닌 중립적인 입장을 보이지만 서구 세계가 만주의 인권 문제나 강력한 황제권을 지적하면 "내정간섭"이라며 신경질적인 반응을 내비친다.

59년 체제 당시 협화당에는 중도파가 상당히 거대한 주류 계파로 존재하였으나 중도파의 한 축을 담당했던 자유당 계열의 보수자유주의 계파가 59년 체제 붕괴 당시 만주신당민본당 등으로 이탈하면서 현재 당에 엄밀한 의미의 중도주의 계파는 당내에 별로 남아있지 않다. 또한 협화당은 풀뿌리 민주주의나 대중주의와는 거리가 먼 엘리트주의적인 모습을 보이며, 따라서 일반적인 의미의 극우 포퓰리즘도 당 내에서 힘을 쓰지 못한다.

역대 선거 결과

각주

틀:글 1숨김 끝

옥균's 내각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틀:역대 대한민국 국무원 내각 (개화)
김옥균 내각
金玉均内閣 | Kim Ok-gyun Cabinet
1884년 12월 17일 ~ 1896년 9월 13일
출범 이전 이후
- 이완용 내각
국무총리 김옥균 / 제8대
부총리 박정양 / 외무장관 겸직 (1884년~1889년)
한규설 / 법무장관 겸직 (1889년~1892년)
이상재 / 문교장관 겸직 (1892년~1896년)
주요 선거 8회 총선 (1918)
9회 총선 (1919)
10회 총선 (1923)
여당
김옥균 국무총리

개요

1918년 11월부터 1925년 12월까지 약 7년 1개월간 이어진, 이승만을 국무총리로 한 내각. 대한국민회의 첫 내각이었다.

상세

정치

외교·국방

내정

각주

현장파

사회민주당의 계파 분류
[ 펼치기 · 접기 ]
현장파
SDPK Fieldists | 중추원 평등사회 포럼
형성일 1990년대 중반[3]
1999년[4]
전신 영암계
거산계 (일부)
표어 답은 현장에 있다!
의정 ㅇㅇ
좌장 김문수
역대 총리 김철 / 제23대 • 1972~1973[5]
김문수 / 제30대 • 2007~2016
이념 사회민주주의
구좌파
반신자유주의
좌익 내셔널리즘
사회보수주의
보호무역주의
자국우선주의 (김철 독트린)
스펙트럼 중도좌파 ~ 좌익
중추원의원
(사민당 의석)
93석 / 285석 (32.6%)
외곽조직 평등사회연대
유관단체 전국노동조합총연맹
전국농민회총연맹

개요

현장파사회민주당의 내부 계파이다. 보수적 사회민주주의 및 좌익 내셔널리즘의 성격을 띠고 있으며, 사회민주당 좌파로 통한다.

역사

성향

지지 기반

현장파의 핵심 지지기반은 노조다. 한국의 양대 노조 중 강경파로 분류되는 전국노동조합총연맹(전노총)의 지지를 받는다. 덕분에 현장파는 전노총의 조직력을 쏠쏠하게 활용하고 있는데, 대규모 장외 집회나 지방선거 등에서 전노총의 조직력이 현장파에게 큰 도움이 된다고 한다. 현장파도 이에 맞춰 전노총의 요구를 상당수 수용하며 전노총 주도의 파업이 단행될 경우 앞장서서 달려가 지지를 표한다.

전통적으로 공단이 있어 블루카라 노동자의 비율이 높은 울산, 대구, 원산 같은 지역에서의 지지율이 높다. 또한 사민당의 소규모 자영농 지원과 농산물 수입 제한 정책 덕에 농촌 지역에서의 득표율도 성당히 높으며, 전국농민회총연맹의 지원을 받는다. 이외에도 좌익 민족주의 성향의 단체들과 일부 환뽕단체(…)로부터 지지받고 있다.

역대 수장

현장파 역대 수장
대수 이름 임기
0 김철
박용만
예춘호
1990년대[6]
1 백찬기 1999-2001
2 장기표 2001-2002
대행 김문수 2002-2002
3 이재오 2002-2006
4 김문수 2006-2018
5 추미애 2018-2022
6 김기현 2022-
굵은 글씨는 국무총리를 역임한 인물

타 계파와의 관계

둘러보기

사회민주당의 계파 역사
[ 펼치기 · 접기 ]

화요파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사회민주당의 계파 분류
[ 펼치기 · 접기 ]
화요파
SDPK Tuesdayists | 중추원 새로운진보 포럼
형성일 1990년대 중반[7]
199N년[8]
전신 거산파[9]
표어 사민당다운 사민당을 향해
의정 정호진
좌장 이인제
역대 총리 홍숙자 / 제23대 • 1972~1973[10]
김문수 / 제30대 • 2007~2016
이념 사회민주주의
제3의 길
경제 이념 수정사회민주주의
시장자유주의
사회 이념 시민 내셔널리즘
사회자유주의[11]
사회보수주의[11]
외교 노선 태평양주의
자유주의적 국제주의
스펙트럼 중도 - 중도좌파
중추원의원
(사민당 의석)
110석 / 284석 (38.7%)
주요 인물 정호진
이인제
천호선
한창민
원유철
조해진
외곽조직 시민정치네트워크 《새로운진보》

개요

화요파 혹은 새로운진보사회민주당의 내부 계파이다. 사회민주주의 우파 및 중도개혁주의 성격을 띄고 있으며, 사회민주당 내에서 현장파 다음으로 세력이 크다. 현 의정은 정호진이다.

역사

성향

주요 인사

원내

  • 김기현 (현 중의원, 전 당원무영임, 전 당비변위 의정 권한대행, 전 법무성장관, 전 상공성장관, 전 울산부판윤, 전 당정책위 의정, 전 당사무총관)
  • 김문수 (현 중의원, 현 한국노동연구재단 제학, 현 당참의, 전 노동성장관, 전 경기도판윤, 전 경사노위 의정, 전 당원무영임, 전 당영임, 전 총리)
  • 홍성열 (현 중추원 참정, 현 중의원, 현 당참의, 전 증평군지사, 전 충북도판윤, 전 건설성장관, 전 당원무부영임 전 당정책위 의정, 전 당원무영임, 전 당비변위 의정)
  • 추미애 (현 중의원, 현 당참의, 전 사회민주연구원 제학, 전 당공보관, 전 농림성장관, 전 법무성장관, 전 환경성장관, 전 당전국위 의정, 전 부총리, 전 당영임)
  • 김병민 (현 비변위 위원, 현 중의원, 전 당공보관, 전 당정책위 참정)

원외

  • 이재오 (현 당참의, 전 중의원, 전 당정책위 의정, 전 당사무참관, 전 국민권익위 의정, 전 농림성장관, 전 상공성장관, 전 당전국위 참정)
  • 송영길 (현 한월우호증진협회 공동의정, 현 시사연구소 '망치와 돈봉투' 제학, 전 중의원, 전 외무성장관, 전 당원무부영임, 전 인천부판윤)
  • 장예찬 (현 당공보관)
  • 왕성택 (현 한국노동연구재단 부제학)

지자체장

  • 장제원 (현 동래부판윤, 전 중의원, 전 당공보관, 전 사회민주연구원 부제학, 전 문화성장관, 전 내각성장관, 전 당전국위 의정)
  • 홍준표 (현 대구부판윤, 현 당참의, 전 중의원, 전 법무성장관, 전 국방성장관, 전 당사무참관, 전 법무성장관, 전 당원무영임)

역대 수장

현장파 역대 수장
대수 이름 임기
0 김철
박용만
예춘호
1990년대[12]
1 백찬기 1999-2001
2 장기표 2001-2002
대행 김문수 2002-2002
3 홍준표 2002-2004
4 이재오 2004-2006
5 김문수 2006-2018
6 추미애 2018-2022
7 김기현 2022-2023
굵은 글씨는 국무총리를 역임한 인물

비판 및 논란

타 계파와의 관계

둘러보기

사회민주당의 계파 역사
[ 펼치기 · 접기 ]

새길파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사회민주당의 계파 분류
[ 펼치기 · 접기 ]
새길파
SDPK Frontierists | 정치유니온 세 번째 권력
형성일 2023년 2월 8일
전신 화요파
별칭 세 번째 권력, 3rd P
표어 대립을 넘는 실용정치
의정 조성주
좌장 김한길
이념 사회자유주의
경제 이념 시장자유주의
중도주의
사회 이념 문화적 자유주의
시민 내셔널리즘
외교 노선 태평양주의
자유주의적 국제주의
스펙트럼 중도 - 중도좌파
중추원의원
(사민당 의석)
110석 / 284석 (38.7%)
주요 인물 김기현
김문수
추미애
홍준표
장제원
권성동
홍성열
외곽조직 평등사회연대

개요

현장파사회민주당의 내부 계파이다. 보수적 사회민주주의 및 구좌파 성격을 띄고 있으며, 비교적 서구식 리버럴 성향에 가까운 화요파와 사민당 내 양대 계파를 이루고 있다. 현 수장은 김기현이다.

역사

성향

주요 인사

원내

  • 장한휘 (현 중의원, 현 당원무부영임, 전 요동북도의원, 전 건안군지사, 전 요동북도참윤, 전 외무성장관, 전 요동성부판윤)
  • 김문수 (현 중의원, 현 한국노동연구재단 제학, 현 당참의, 전 노동성장관, 전 경기도판윤, 전 경사노위 의정, 전 당원무영임, 전 당영임, 전 총리)
  • 홍성열 (현 중추원 참정, 현 중의원, 현 당참의, 전 증평군지사, 전 충북도판윤, 전 건설성장관, 전 당원무부영임 전 당정책위 의정, 전 당원무영임, 전 당비변위 의정)
  • 추미애 (현 중의원, 현 당참의, 전 사회민주연구원 제학, 전 당공보관, 전 농림성장관, 전 법무성장관, 전 환경성장관, 전 당전국위 의정, 전 부총리, 전 당영임)
  • 권성동 (현 중의원, 현 당정책위 의정, 전 과학기술성장관, 전 내각성장관, 전 당조직위 의정, 전 강원도판윤, 전 당원무영임)
  • 김재원 (현 중의원, 전 건설성장관, 전 내무성장관, 전 당정책위 의정, 전 당사무총관)
  • 김병민 (현 비변위 위원, 현 중의원, 전 당공보관, 전 당정책위 참정)

원외

  • 이재오 (현 당참의, 전 중의원, 전 당정책위 의정, 전 당사무참관, 전 국민권익위 의정, 전 농림성장관, 전 상공성장관, 전 당전국위 참정)
  • 송영길 (현 한월우호증진협회 공동의정, 현 시사연구소 '망치와 돈봉투' 제학, 전 중의원, 전 외무성장관, 전 당원무부영임, 전 인천부판윤)
  • 장예찬 (현 당공보관)
  • 왕성택 (현 한국노동연구재단 부제학)

지자체장

  • 장제원 (현 동래부판윤, 전 중의원, 전 당공보관, 전 사회민주연구원 부제학, 전 문화성장관, 전 내각성장관, 전 당전국위 의정)
  • 홍준표 (현 대구부판윤, 현 당참의, 전 중의원, 전 법무성장관, 전 국방성장관, 전 당사무참관, 전 법무성장관, 전 당원무영임)

역대 수장

세 번째 권력 역대 수장
대수 이름 임기
1 조성주 2023-
굵은 글씨는 국무총리를 역임한 인물

타 계파와의 관계

둘러보기

사회민주당의 계파 역사
[ 펼치기 · 접기 ]

아이신기오로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아이신기오로 가문
爱新觉罗氏 | ᠠᡳᠰᡳᠨ ᡤᡳᠣᡵᠣ ᡥᠠᠯᠠ
House of Aisin-Gioro
성립일 1618년 4월[13]
시조 청 태조 아이신기오로 누르하치
작위 만주국 황실

청나라 황실
후금 왕실
현재 수장 영화제 아이신기오로 사인
민족 여진족

개요

아이신기오로 가문은 만주국의 황실이다.

역사

역대 수장

금위대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은항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개화 배너}}

만주중앙은행
한문명 滿洲中央銀行, 滿銀
만문명 ᠮᠠᠨᠵᡠ ᡩᡠᠯᡳᠮᠪᠠ ᠪ᠊᠊ᠠ᠊᠊ᠩ᠊᠊ᡴ᠋[14]
영문명 Central Bank of Manchuria, CBM
설립일 1927년 모월 모일
업종 중앙은행
상위 조직 만주국 정부 (독립기관)[15]
주석 자오환
직원 수 3,800여 명
SNS | |

어떻게 된 거야 무서워

네놈들의 지도는 망했어!

감독선생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레오니드 요비치 하이다이
Леонид Иович Гайдай
출생 1923년 1월 30일
녹우크라이나 녹우크라이나 제1공화국 블라호비셴스카 주 스보보드니
사망 1997년 2월 29일 (향년 74세)
녹우크라이나 녹우크라이나 제2공화국 볼로디스히드
직업 영화감독, 각본가, 배우
활동 시기 1955년 - 1997년
데뷔작 《이세계 신랑》[16] (1955)
[ 펼치기 · 접기 ]
부모 아버지 요우 하이다이
어머니 마리아 하이다이
형제자매 형 올렉산드르
누나 아우구스티나
배우자
자녀 슬하 2남 1녀
학력 우크라이나 자유대학교 (연극영화학 / 학사)
종교 녹우크라이나 정교회
신체
소속 정당 무소속
주요 수상 이력 스코로파즈키 영화제 감독상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감독상
골든글로브 외국어영화상
스코로파즈키 영화제 최우수영화상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아카데미 감독상

녹우크라이나 제3급 공로훈장 / 1966년
녹우크라이나 제2급 공로훈장 / 1986년
녹우크라이나 제1급 공로훈장 / 1997년 (사후 추서)

개요

녹우크라이나의 예술가이자 문화 부문 국가유공자. 영화감독 겸 각본가였으며, 현재까지도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는 영화들을 만들어낸 존경받는 감독이다.

생애

작품

작품 특징

실향민, 망명객이었는데다가 시대가 시대였던지라 반공주의적 색채가 들어간 영화를 많이 찍었다. 하지만 그러면서도 작품에 해학과 풍자를 넣는 것을 빼먹지 않았으며, 이러한 해학과 풍자는 그의 후기 작품이 될 수록 점점 더 짙어졌다. 순수 코미디 영화도 적게나마 몇 편을 만들었다.

그의 영화 대부분은 우크라이나어 영화였으며, 자유 러시아 국민정부 측에서 의뢰한 영화 몇 편은 러시아어로 찍었다.

여담

  • 혈통 자체는 러시아계이고 부모님이 러시아어 화자였기에 하이다이는 러시아어와 우크라이나어 모두를 쓸 줄 알았다. 보통 집에서와 친한 사람들과는 러시아어를 쓰고 집 밖에서 영화 감독 등의 공적인 일을 할 때는 우크라이나어를 썼다고 한다. 또 영어도 나름 유창했으나 한국에서 50여년 동안 살았음에도 죽을 때까지 한국어는 서툴렀다고 한다. 한 인터뷰에서 “내가 한국어를 잘 하는 것보다는 백 살까지 사는 게 더 쉬울 것 같다.”라는 말을 한 적도 있었다.

민국정보

틀:대한민국 중추원의 원내 구성 (개화)

한국의 진보 정당
(창당) 녹색당 (현재)
(개별 합류)
(개별 합류)
녹색당
표어 대안의 숲, 전환의 씨앗
영어명 Green Party Korea
약칭 녹색, 녹
창당일 1976년 모월 모일
영임 박용진 / 4선
원무총사 하승수 / 4선
사무총사 김경준 / 3선
정책위의정 이정미 / 재선
대변인 박지현 / 초선
이념 녹색 정치
진보주의
스펙트럼 중도좌파 ~ 좌익
중의원 20석 / 805석 (2.5%)
도부의원 46석 / 2720석 (1.7%)
당색
녹색 (#599848)
당원 수 16만 명
청년조직 녹색당 청년회
청년조직 녹색발전소
국제조직 글로벌 그린스
유관단체 녹색연합
공식 사이트
SNS | |

개요

대한민국의 생태·진보정당. 현재 중추원 원내 6당이자 제4야당이다.

1976년 환경단체인 녹색연합의 주도로 자유당 좌파(사상계)와 사회민주당의 환경주의 파벌이 갈라져 나와 창당되었다.

당 상징

당 로고

당가

역사

성향

지지 기반

지도부

틀:역대 국민의당 영임 (개화)

계파

  • 녹연계: 녹색연합 출신의 인사들로 구성된 계파. 녹색당 창당을 주도한 세력이자 전통적 당권파이다. 생태주의를 표방하며 환경문제를 적극적으로 다루지만 기타 이슈에 대해서는 대중파에 비해 온건한 편이다. 녹색당 의원단 내에서의 최대 계파이다. 현 원무총사인 하승수가 소속되어 있다.
  • 대중파: 환경운동 외의 진보운동을 하던 인사들로 구성된 계파. 녹연계에 비해 환경문제보다는 경제, 사회적 이슈에 더 집중하는 모습을 보이며, 사회민주당과의 긴밀한 협력을 선호한다. 의원단 내에서는 녹연계에 밀리지만 대중적 지지도는 더 높다. 현 영임인 박용진이 대중파 소속이다.
  • 연대: 사회자유주의, 리버럴 페미니즘 성향의 소수계파. 성소수자,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 문제에 관심이 많다. 사민당 새길파에 우호적이다.
  • 녹색좌파: 생태사회주의와 진보주의를 표방하는 당내 좌파이자 비주류 계파. 신좌파로 분류되며 노동자대중전선에 우호적이다.

당 기관

녹색연구소

다른 정당과의 관계

국민의당

사회민주당

선거 결과

각주

민국정보2

틀:대한민국 중추원의 원내 구성 (개화)
민국혁신당
영어명 Minguk Hyeokshindang, MH
한자명 民國革新黨
약칭 혁신당, 혁신, 혁
창당일 2010년 모월 모일
영임 민국 / 5선
원무총사 박춘식 / 7선
사무총사 오경덕 / 4선
정책위의정 성채원 / 3선
이념 한국 내셔널리즘
우익대중주의
스펙트럼 우익 ~ 극우, 혼합정치
중의원 21석 / 805석 (2.6%)
도부의원 43석 / 2720석 (1.2%)
당색
파랑 (#152484)
보라 (#5A1B87)
초록 (#006464)
당원 수 33만 명
국제조직 무소속
청년조직 청년혁신당
공식 사이트
SNS | |

개요

대한민국의 자유주의 정당. 현재 중추원 원내 3위의 정당이자 국민의당과 연정을 통해 내각을 구성하고 있는 연립여당이다.

명칭


  • 영어 : Minguk Hyeokshindang, MK




영어 당명이 다른 정당들과는 달리 독특하게도 한국어 당명의 발음을 그대로 영어로 옮긴 것이다. 이는 민국혁신당의 민족주의적 성향에 기인한다고 알려져 있다. 영어 당명이 영어 화자가 읽기에는 워낙 어색하고 어렵기 때문에 영어권 언론에서는 보통 영어 당명의 이니셜을 딴 'MK' 혹은 'MK Party'라고 부른다.

역사

성향

지지 기반

민국혁신당의 가장 큰 지지기반은

지도부

틀:역대 민국혁신당 영임 (개화)

계파

타 정당과의 관계

국민의당

국민의당

사회민주당

사회민주당

선거 결과

각주

건빵

개요

한국군의 전투식량에 관해 설명하는 문서.

역사

19세기

한국군은 20세기 이전까지는 전투식량이라는 개념 자체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기껏해야 장거리 작전에 나가는 병사들이 떡이나 쌀가루 등의 전근대적인 휴대용 식량을 사용했다고 추정될[17] 뿐이다.

한국 최초의 근대적 전투식량은 건뻥이었는데, 이는 중국의 의화단 반란 당시 한국군 지휘관으로 참전한 서재창[18] 당시 정령이 일본군이 건빵을 먹는 모습을 보고 상부에 건의해 도입된 것이었다. 이와 관련해 서재창과 통역무관 서기학 참위 사이의 일화가 하나 전해진다.

서재창: (일본군 병사들이 건빵을 먹는 모습을 보고) 이보게, 서 참위. 일본군 무관한테 저 병졸들이 먹고 있는 저 전병처럼 생긴 것이 무엇인고 하고 한 번 물어보게.

서기학: 예, 연대장 각하. (일본군 무관에게 일본어로) 저 병사들이 먹고 있는 것이 무엇입니까?

일본군 무관: 아, 칸판(乾パン)이라는 거요. 빵을 여러 번 구워 물기를 완전이 빼낸 보존식이오.

서재창: 서 참위, 저 무관이 무어라고 하던?

서기학: 아, 그게… 마를 건 자에… 어… 건빵이라고 하덥니다.

서재창은 ‘건빵’에 대해 조금 더 조사한 뒤 군용 식량으로써의 건빵의 가치를 다룬 보고서를 본국에 제출했다. 파병된 병력의 식량 문제로 골머리를 앓던 군무성은 이 보고서를 눈여겨보았고 건빵 생산을 결정한다. 1900년 가을, 건빵공장이 평안북도 정주에 완공되었고 그곳에서 한국 최초의 전투식량인 건빵이 생산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건빵을 섭취한 일선 병사와 간부들의 평가는 최악이었다. 이전까지는 건빵은 고사하고 근대적인 전투식량을 만들어본 적이 없는 한국에서 생산한 건빵이었던 만큼 당연하게도 딱딱하기 그지없었고 맛도 없었다. 병사들은 이 딱딱하고 맛없으며 어찌어찌 먹는 데에 성공해도 퍽퍽해서 물을 들이켜야 하는 이 음식을 매우 싫어했다. 이후 일본으로부터 별사탕을 도입해 건빵과 함께 제공하면서 그나마 먹을 만해졌다는 평가가 나왔다.

여담으로 서기학이 즉석에서 만들어낸 ‘건빵’이라는 단어로 인해 서양의 빵(bread)이 한국어로 빵으로 번역되기 시작했다.

20세기 초반

시베리아 전쟁 중 1호 전식을 먹는 육군 정교 (1920.7.17)

1차 세계대전 전까지는 한국군은 건빵 이외의 전투식량에는 별 관심이 없었다. 끝없는 참호전으로 인해 참호 안에서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전투식량이 필요했던 유럽 국가들과는 달리, 한국군은 1차 세계대전 중에는 기껏해야 독일령 칭다오 공략전 등에만 참여했다. 이로 인해 한국군은 가급적이면 야전취사 마차를 통해 장병들에게 따뜻한 밥과 국을 제공하되 그럴 여건이 안 될 때에만 전투식량을 섭취하면 됐고, 이런 목적으로는 건빵과 별사탕으로 충분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다만 1차 세계대전이 심화되면서 유럽에서의 참상이 전해지자 한국군도 본격적인 전투식량의 생산 필요성을 인식하고 개발에 착수했다.

그렇게 개발된 것이 야전전투식량 1호, YJS-1이다.[19] 통칭 1호 전식이라고 불린다. 1호 전식은 건빵과 염장고기(콘비프), 구운 콩, 말린 생선, 고춧가루와 약간의 설탕과 소금으로 구성되었고, 한 끼에 약 1천 칼로리로 하루 세 끼 기준 약 3천 칼로리의 열량을 냈다.

한국군이 개발한 전식의 진가는 1918년 개시된 시베리아 전쟁에서 입증되었다. 동시베리아의 혹독한 날씨와 빨치산의 습격으로 한국군 장병들은 제대로 된 취사를 할 수 없는 경우가 왕왕 있었다. 이 때 야전전투식량은 병사들의 소중한 한 끼 식사가 되어주었다. 당시 참전용사들의 회고에 따르면 1호 전식은 맛이 좋은 편은 아니었으나 먹을만 했고, 전식 덕분에 다분한 노력의 필요와 빨치산의 기습 가능성을 유발하는 취사 과정을 생략할 수 있었다고 한다.

점심시간이 되자, 우리 소대원들은 보초조를 제외하고는 바닥에 쪼그려 앉아 일제히 연갈색 전투식량 봉지를 꺼내어 들었다. 소대장이 취사 대신 전투식량을 섭취하라고 지시했기 때문이었다. 밥을 하려 불을 피웠다가는 인근의 좌익 빨치산들의 이목을 끌 수 있기 때문이라고 소대장은 말했다.

처음 먹어보는 전식의 맛은, 설명할 길이 없지만 그저 그랬다. 못 먹을 맛은 아니었지만 그렇다고 해서 딱히 맛이 좋지도 아니하였다. 건빵은 씹기 전에는 딱딱하고 씹은 후에는 퍽퍽해서 먹기 힘들었지만 별사탕, 염장고기과 함께 먹으니 그나마 괜찮았다. 구운 콩과 동태에는 고춧가루를 뿌려 먹었다.

그렇게 전식으로 꼬박 다섯 끼를 떼웠다. 쌀밥과 국이 그리웠다.
박진순 중추원 의원, 당시 육군 상병

박진순의 증언에서도 확인되듯이 1호 전식에도 문제가 있었다. 시베리아 전쟁에 파견된 병사들이 야전취사 마차가 들어서지 못하는 지역에서도 1호 전식의 건빵과 염장고기 대신에 따뜻한 쌀밥과 김치를 먹고 싶어했던 것. 이에 한국군은 쌀밥이 포함된 2호 전식(YJS-2)을 개발해냈다.

2호 전식의 내용물로는 백미와 함께 고기, 콩, 나물 캔과 말린 다시마와 말린 생선 그리고 간장, 된장, 고추장, 녹찻잎이 있었다. 이와 함께 일선 부대에는 찬합에 밥을 하거나 차를 끓여 마실 수 있게[20] 소형 스토브와 연기가 나지 않는 고체 연료가 지급되었다. 다만 병사들이 그리도 먹고 싶은 했던 김치는 산성 때문에 기술의 한계로 포함되지 못했다. 2호 전식이 1921년 초부터 보급되면서, 국군은 1호 전식과 2호 전식을 혼용했다. 2호 전식은 스토브를 사용해 간단함 취사를 할 여유가 있는 상황에서, 1호 전식은 그렇지 못한 상황에서 섭취했다고 한다.

제2차 세계대전 (제3차 극동전쟁)

춘천 전투 직후 3호 전식을 먹는 육군 의무관[21] (194x.x.xx)

1호 전식을 대체한 3호 전식(YJS-3)은 1933년에 대공황 속에서 개발되었다. 3호 전식은 1호 전식에 비해 조금 더 사람 먹는 것 같아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염장고기가 사라졌고 그 대신 고기 스튜 캔, 비빔밥 캔, 고추장과 정수제가 추가되었다. 일선 장병과 간부들 사이에서 이빨분쇄기라고 불릴 정도로 딱딱했던 건빵이 개량을 통해 조금 더 부드러워지는 등 몇 가지의 사소한 개선도 있었다.

원래 계획대로라면 훨씬 더 다양한 메뉴가 추가되어 3개 종류의 식단이 개발되었어야 했지만 대공황으로 인한 가혹한 군축때문에 대폭 깎인 예산으로 근근히 군대를 유지해야 했던 국방성은 비용 절감을 위해 여러 메뉴를 삭제했고 식단도 단일 종류로 줄였다. 결국 제3차 극동전쟁 초기 국군 장병과 무관들은 예상되었던 것보다 훨씬 부실한 전투식량을 섭취해야만 했다.

20세기 후반

현재

종류

평가

충주원

파일:대한민국 중추원 휘장.svg
대한민국 중추원
大韓民國 中樞院
General Board of State Legislation
제2차 유승민 내각
(2022.05.16. ~ 현재)
여권
야권

442석
3NN석

국민의당, 자유당 외 1
사회민주당, 대중전선 외 2
여권

3NN석
영임 | 유승민 · 스펙트럼 | 중도우파 ~ 우익
파일:자유당 로고 반전 (개화).svg
62석
영임 | 이광재 · 스펙트럼 | 중도 ~ 중도우파

3석
영임 | 원희룡 · 스펙트럼 | 중도우파
중추원 구성

노베루 프라이즈

  • 이반 바흐랴니: 1944/문학/호랑이 사냥꾼
  • 이호르 탐: 1958/물리학/초이 효과[22]
  • 브세볼로드 키츠넨코: 2015/물리학/페로브스카이트[23]

녹우크라이나의 보수주의 정당
창당 진보당
진보당
오어명 Партія прогресу[24]
영어명 Progress Party (of Green Ukraine)
창당일 1917년
해산일 1931년 (신설합당)
후신
이념 보수주의 (녹오)
국민주의 (녹오)
경제적 자유주의
반공주의
스펙트럼 중도우파 ~ 우익
당색
청회색 (#475885)
당원 수 1만 9천 명 (해산 직전)
선거연합

개요

녹우크라이나 제1공화국 시기에 존재했던 혁명적 민족주의 성향의 우익 정당. 강력한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와 함께 사회보수주의, 반공산주의, 기독교(특히 정교회) 가치 보호 등을 추구했다. 주요 인물로는 녹우크라이나 제헌위원회 의장과 제9대 총리를 역임한 베네딕트 야코벤코가 있다.

상세

선거 결과

둘러보기

녹우크라이나의 보수 진영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이념 보수주의(녹오) · 국민주의(오극란) · 기독교 우파 · 사회보수주의 · 국민보수주의 · 자유보수주의 · 경제적 자유주의 · 가부장적 보수주의 · 태평양주의 · 애국주의 · 우익대중주의 · 자유지상적 보수주의
인물 대통령 이반 모졸레우스키 · 보리스 흐레샤티츠키 · 이반 스비트 · 이반 바흐랴니 · 올렉산드르 루덴코-데스냐크 · 세르히 테레셴코 · 페트로 올리니크 · 세르히 푸르할
대통령 후보 패트로 호로비
총리 빅토르 쿨랴브코-코레츠키 · 호르디 멜라쉬치 · 베네딕트 야코벤코 · 이반 파슬라우스키
주요 사상가
정당 원내 국민당 · 민주연합 · 기독교 민주당
원외
과거 진보당 · 국민혁명동맹 · 기독사회당 · 우파당
정당연합 국민전선 · 미래를 향한 연합
언론 인데펜단세 · 포우나 스보보디
단체 시장경제연구소 · 국민자유재단 · 퇴역군인협회 · 종교협의회
극좌 · 진보 · 자유주의 · 극우

폰트

누군가


녹우크라이나군 총사령관
[ 펼치기 · 접기 ]
제3대 녹우크라이나군 총사령관
미콜라 레온티요비치 유나키우
Микола Леонтійович Юнаків
출생 1871년 12월 6일
러시아 제국 러시아 제국 하리코프 현 즈미요프 군
국적 러시아 제국 러시아 제국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
녹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극동공화국
사망 1931년 8월 1일 (향년 59세)
녹우크라이나 녹우크라이나 제1공화국 볼로디스히드
묘소 녹우크라이나 성 안드레아 국립묘원
임기 녹우크라이나 제3대 녹우크라이나군 총사령관
1925년 5월 ~ 1928년 8월
[ 펼치기 · 접기 ]
학력 파블롭스크 군사학교
니콜라이 총참모부 사관학교
종교 녹우크라이나 정교회
복무 러시아 제국 러시아 제국 육군
1889년 ~ 1917년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인민군
1918년 ~ 1922년
녹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극동군
1923년 ~ 1928년
최종 계급 중장 (★★) (러시아 제국 러시아 제국군)
상장 (★★★)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인민군
대장 (★★★★) (녹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극동군)
주요 보직 러시아 제국군 4군 참모장
러시아 제국군 8군 사령관
우크라이나 인민군 교육사령관
우크라이나 합동군 참모총장
우크라이나 인민군 바르샤바 주재무관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 전쟁부 장관
우크라이나 인민군 최고군사위원회 의장
녹우크라이나군 육군사관학교장
녹우크라이나 육군 총참모장
녹우크라이나 국군 총사령관
참전 제1차 세계대전 (동부전선)
우크라이나-소비에트 전쟁

개요

러시아 제국,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 그리고 녹우크라이나의 군인. 제3대 우크라이나 극동군 총사령관을 역임했다.

생애

평가

여담

  • 프로필 사진은 우크라이나 인민군 시절 찍은 것으로, 옷깃의 계급장은 소장 계급장이다.

각주

누군가


녹우크라이나 대통령
[ 펼치기 · 접기 ]
이반 모졸레우스키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녹우크라이나 제헌위원회의 구성
[ 펼치기 · 접기 ]
할첸코 로마넨코 하예우스키 레보뉴크 호로비
흘루슈코 보즈코 의장 야코벤코 흘리보츠키 트베르돕스키


극동 우크라이나인 국민의회 지도부
[ 펼치기 · 접기 ]
제2대 녹우크라이나 대통령
이반 빅토로비치 모졸레우스키
Іван Вікторович Мозолевський
출생 1862년 4월 1일
러시아 제국 러시아 제국 체르니히우 현 흘루히우 군 툴리호로보 마을
국적 러시아 제국 러시아 제국
녹우크라이나 녹우크라이나
사망 1935년 1월 10일 (향년 72세)
녹우크라이나 녹우크라이나 제1공화국 볼로디스히드
묘소 녹우크라이나 성 안드레아 국립묘원
임기 제2대 녹우크라이나 대통령
1926년 4월 1일 ~ 1930년 3월 31일
[ 펼치기 · 접기 ]
학력 파벨 갈라간 대학교
키상트 페테르부크르 군사의과대학교
종교 녹우크라이나 정교회
의원 선수 3
의원 대수 1, 2, 3
지역구 아드랸스크 지역
소속 위원회 사회위원회
복무 러시아 제국 러시아 제국 육군 의무장교
1887년 ~ 1911년 9월 22일
최종 계급 대령
최종 보직 러시아 제국군 아무르 수비대 군병원장
약력 러시아 제국군 의무장교
아무르 성 블라디미르 병원 의사
아드랸스크 우크라이나인 공동체 지도자
극동 우크라이나인 국민의회 의장
녹우크라이나 진보당 대표
제1회 녹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후보
제2대 녹우크라이나 대통령

개요

녹우크라이나의 의학자, 민족주의 운동가이자 정치인. 제2대 녹우크라이나 대통령을 역임하였으며 녹우크라이나의 국부 중 한 명으로 추앙받는 인물이다.

생애

1919년의 모졸레우스키

여담

소속 정당

소속 정당 기간 비고
1917 - 1931 창당
1931 - 1935 합당

선거 이력

둘러보기

녹우크라이나의 자유주의 진영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이념 자유주의(녹오) · 경제적 자유주의 · 국민주의(오극란) · 보수자유주의 · 고전적 자유주의 · 자유지상주의 · 기독교 자유주의 · 문화적 자유주의 · 사회자유주의 · 태평양주의 · 시민 내셔널리즘 · 자유주의적 국제주의
인물 대통령 유리 흘루슈코-모바 · 페디르 스테슈코 · 드미트로 파이다 · 페트로 올리니크
총리 드미트로 보로비크 · 보리스 보블리 · 빅토르 체레프코우
학자
정당 원내 민주연합 · 인민의 종
원외 자유지상당
과거 인민자유당 · 자유당 · 사회자유당 · 민주개혁당
정당연합 흘루슈코-모바 블록
언론 포우나 스보보디
단체 시장경제연구소 · 민주주의재단
극좌 · 진보 · 보수 · 극우

레몬탕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틀:대한민국 중추원의 원내 구성 (개화)
파일:레몬 탕후루당 로고 (개화).svg
레몬 탕후루당
영어명
Lemon Tanghuru Party
창당일
2023년 11월 8일
당영임
이념
직접민주주의
자유주의 (한국)
청년정치
스펙트럼
중도 - 중도좌파
중추원의원
0석 / NNN석 (0.0%)
부·도지사
0석 / 16석 (0.0%)
당색
노란색 (#F8DE7E)
보라색 (#8A2BE2)
당원 수
4만 2천 명
국제조직
진보동맹
SNS
 |  |  |  | 

과제📗에 치인 대학생👨‍🎓도
레몬🍋~ 탕후루~!
야근🌃에 지친 직장인👨‍💻도
레몬🍋~ 탕후루~!
요즘 한성 정치권🏙에서는
레몬🍋 탕후루가 대인기!
탕후루~ 탕후루~!
레몬🍋~ 탕후루~!¡


레몬 탕후루당 당가

국대

인구 최라

  • 볼로 312 31
  • 프리 326 32
  • 모바 257 25
  • 티흐 272 27
  • 우수 211 21
  • 하바 255 25
  • 하카 225 22
  • 스보 283 28
  • 아무 189 19
  • 이미 27 3
  • 사할 85 9
  • 비라 146 14
  • 제이 123 12
  • 우다 172 17
  • 부레 106 11
  • 추미 15 2
  • 3,004 301

녹오 대학

  • 볼로 성 일라리온, 볼로
  • 프리 프리, 육군, 국방, 슬로
  • 모바 모바, 항공, 공군, 모바 의과, 모바 농과, 유리, 프코
  • 티흐 티흐, 해군, 해양, 즈나 공과, 아드, 야폰
  • 우수 우수, 이만 의과
  • 하바 하바, 과기
  • 하카 하카, 트하 공과
  • 스보 스보, 자유, 스보 공과
  • 아무 아무, 코노
  • 사할 사할
  • 이미 이미 민족
  • 비라 비라, 문화예술
  • 제이 제이

싱뭉

  • 민국신문 : 보수, 이승만 계열
  • 경향신문: 보수, 천주교 계열
  • 대한매일신보: 중도보수, 안창호 계열
  • 경성신문: 중도 자유주의, 개화당 계열
  • 만세보: 중도, 천도교 계열
  • 대한중앙일보: 증도진보, 사민당 계열
  • 노동신문: 진보, 전노총 계열

피카레스크 단편선

그는 한국의 거대 기업들이 증오스러웠다. 자국의 재벌들 또한 마찬가지였지만, 한국에서 온 기업들은 그 정도가 심했다. 적어도, 자국의 재벌들이 버는 돈은 어디까지나 '우리 나라'의 돈이었다. 그러나 한국에서 온 기업들은 오로지 우리 나라의 자원과 노동력을 한국 본토로 방출할 뿐이었고, 현지의 경제개발에는 하등 관심이 없었다. 뼈빠지게 일해봤자, 가족들의 생계는 나아질 구석이 보이지 않았고 한국인들의 배만 채워줄 뿐이었다.
이반 탈리스넨코의 일기 (가제) by 에러
캄캄한 어둠 속, 차가운 돌과 흙 사이. 장스쥔은 깊이 들이마신 공기가 검은 먼지로 가득 차 있음을 느꼈다. 막장 작업을 끝마친 뒤에도, 탄광의 무겁고 답답한 느낌은 그를 계속해서 짓눌렀다.

거울 앞에서 분진이 까맣게 앉은 얼굴을 문지르며, 그는 어린 시절 그의 소학교 선생이 알려준 이야기를 떠올렸다.
얼마 가지 않아 노동운동을 위해 학교를 때려치우고 고향으로 내려간 선생. 그에 대해 들은 마지막 소식은 그가 인민혁명당에 가입했다가 한국군의 총에 맞아 죽었다는 이야기였다.

짐 크로. 그것은 거울 속 남자를 말하는 것 같았다.
또는, 같은 아세아인임을 외치며 광부들을 부려먹는 한국인 사장같기도, 명목상으로 시찰을 온 한국 본사의 직원들같기도 한 것이었다.

일이 끝나면, 곧바로 노동자들은 일곱 평 남짓하는 방에 몸을 뉘었다. 숨이 막히는 기분은 잠시도 그를 놓아주지 않았다. 씻어내지 못한 분진이 그를 불태울 듯한 불안감이 들었다.
때로 그는 아버지와의 추억을 그 방에서 찾았다. 기억 속아버지는 어머니와 어린 그를 사이에 두고 누워, 자신의 후난에서의 생활이 얼마나 고통스러웠는지, 당신이 도망쳐온 이곳이 얼마나 좋은 곳인지 읊어주곤 했다.

많은 것이 바뀌었다. 더이상 마적떼도, 군량을 요구하던 군인의 무리도 없었으나, 그와 그 동네에 살던 사람들은 어떤 것들을 잃어버렸다. 어느새부터, 그들은 중국인이지만 중국인이 아니게 되었다.
그의 아버지가 찾은 기회의 땅도 어디론가 도망가버렸다. 아버지가 일구던 밭은 공장이 되었고, 오지 않은 고지를 무시한 죄로 그 노인은 땅을 빼았겼다.
시내에서 한국인이 떠드는 말을 듣고 자신이 농사로 먹고 사는 것과 새로 깔린 철도 사이의 연관성을 궁구하던 소년은 시간에 떠밀려 청년이 되었다.
청년이 황황히 떠난 그 마을은 얼마 지나지 않아 전쟁을 견디지 못하고 지워졌다.

그가 누운 일곱 평 방에는 이부자리를 깔고 같이 누울 아내도, 이야기를 들려줄 아이들도 없었다. 그의 아내는 럭키의 공장이 폐기물을 간수하지 못해서 보상금 몇 푼만을 남기고 떠나갔다.(모순적이게도, 그는 결국 그 돈의 일부로 럭키 치약을 샀다.)
한국은 그의 남은 가정을 완전히 망가뜨려 놓을 셈이었는지도 모른다. 공부에 뜻이 없었던 그의 아이들은 중학교를 나오자마자 현대의 공장으로 들어갔다.
가난에 쫒긴 맏이는 손가락을 잃었고, 둘째는 병원에 누워 일어나지 못했다.
병원비가 필요했던 그는 다시 탄광에 들어갔다.

그 거대한 괴물의 아가리는 먹이를 기다리고 있었다.
갱도는 게걸스럽게 그 안의 사람들을 먹어치웠고, 이 땅의 그 누구도 그것에 대해 언급하기를 꺼렸다. 혹은 아예 신경쓰지 않는지도 모른다. 대신 사람들은 황제가 라디오에서 떠드는 거창한 소리, 나라를 한국 기업에 들어다 바치는 일에 대해 떠들기를 즐겼다. 카나리아가 산소가 부족한 갱도 속에서 스러지듯, 사람들은 듣고 싶지 않은 일에 대해 떠드는 사람들을 사회주의자라는 핑계로 침묵시켰다.

그 속에서 스쥔은 생각하는 방법을 잊었다. 신문도 더이상 펼치지 않았다. 고향의 풀꽃 향기는 갱도의 흙내음에 덮여 더이상 생각나지 않았다.

아버지가 꿈꾸던 세계는 개화하지 못했다.
by 키네
김 정위, 그는 장래를 촉망받는 젊은 공군 무관이다. 또한 한국의 우방인 자유 월남을 보호하고 공산 비적떼를 소탕하는 정의의 전쟁에 참전한 자랑스러운 국군의 용사이기도 하다.

오늘은 베트남에서의 그의 첫 실제 작전이 있는 날이다.
출격 전 마지막 브리핑이 끝나고 김 정위는 두근거리는 마음을 안고 브리핑룸에서 나와 격납고로 향했다.

그의 팬텀기로 향하는 길, 월남의 뜨거운 햇살을 맞으며 파일럿 헬멧을 옆구리에 끼고 늠름하게 걸어가는 그의 시선을 잡은 것이 있었다. 활주로 한켠에 광고판처럼 생긴 커다란 판때기에 하얀 바탕에 검은색 글씨로 쓰인 표어였다.

<한국군은 백 명의 베트콩을 놓치더라도 한 명의 양민을 보호한다.>

주월한국군도정인 채명신 정령의 글귀였다.
김 정위는 백 번 천 번을 되뇌이어도 참으로 지당하신 말씀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 아름답고도 가슴 저미게 만드는 글귀를 여유롭게 감상할 시간은 없었다. 작전에서는 1분 1초가 소중했다.
김 정위는 길을 재촉했다.

잠시 후 김 정위는 그의 애마, 아니 팬텀기에 올라탔다. 그는 조석의 정면부를 가득 채운 복잡한 계기판을 조작하며 이륙 준비를 마쳤다.

계기판 한켠에 걸린 사진. 한 젊고 아름다운 여자가 갓난이기를 안고 있었다. 그것은 한국에 있는 김 정위의 아내와 아이였다.
작년에 김 정위가 휴가를 나가 한국에 귀국했던 때에 생겨난 아이였다. 김 정위는 아직 한 번도 그의 아이를 그의 두 눈으로 직접 보지 못 하였지만 그 아이가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것이라는 점만은 확실했다.
김 정위는 속으로 아이에게 부끄럽지 않은 아버지가 되어야겠다고 다짐했다. 오늘도 그는 가족을 생각하며 작전에 임할 의지를 얻었다.

마지막으로 김 정위는 사진 옆에 붙어있는 작전명령서를 다시 한 번 흝었다.

<공습 목표, 위도 ○○○, 경도 ○○○의 큰 촌락.
촌락의 모든 구조물과 인근 밀림을 소이탄으로 전부 파괴할 것.>

김 정위의 육중한 전쟁기계는 중력을 무시하듯 하늘 높이 두둥실 떠올랐다.

촌락의 모든 것을 불태워버릴 정의의 소이탄을 좌우 날개에 한가득 싣고...
by 쿠리오

by [[]]
  1. 발음 : 후와리얀 호키
  2. 만주국 총리대신
  3. 회파 형성
  4. 중추원 의원연구단체 등록
  5. 김철은 총리 재임 당시에는 현장파 소속은 아니었다.
  6. 현장파가 정식 중추원 의원연구단체로 등록되기 전
  7. 회파 형성
  8. 중추원 의원연구단체 등록
  9. 국무총리를 역임한 거산 김영삼이 이끌던 계파
  10. 김철은 총리 재임 당시에는 양산파 소속이었다.
  11. 11.0 11.1 회파 내 구성원들의 의견에 편차가 있어 사회적 이념이 명확하지 않다.
  12. 현장파가 정식 중추원 의원연구단체로 등록되기 전
  13. 아이신기오로 성씨 사용 시작
  14. 발음 : 만주 투림파 방크
  15. 국무원 소속이 아니며 따라서 내각이나 수상의 지시를 받지 않는다.
  16. [1]
  17. 개화 이전의 전투식량에 대한 기록은 전혀 없기 때문에 추정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18. 서재필 총리의 동생이다.
  19. 야전의 첫글자 Y, 전투의 첫글자 J, 식량의 첫글자 S를 따와 만든 단어로, 대부분의 국군 장비의 제식번호가 이런 식으로 붙여진다.
  20. 전선에서 끓여 마시는 차는 일종의 기호식품으로서 병사들의 사기 증진의 효과와 동시에 더러운 물을 끓여 마셔 질병을 예방하는 기능도 있었다.
  21. 부위 계급장을 달고 있다.
  22. 최화학, 장세용과 공동 수상
  23. 박남규 등 3명과 공동 수상
  24. 발음 : 파르티야 프로흐레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