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습장:Sindan/2

Sindan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0월 15일 (일) 17:01 판
신단
관련문서
[ 펼치기 · 접기 ]

1.천자폐하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민국 38은 현재 틀 최적화·표준화 작업이 진행중입니다. ×
[ 문서 보기 ]
[ 세계관 설명 ]

청 황제 용보.png
청 황제
[ 펼치기 · 접기 ]

만정제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청 제13대 황제
보경제 | 保慶帝
출생 1885년 1월 10일
(음력 광서 10년 11월 25일)
청나라 순천부
(現 중국 베이핑시)
즉위 2024년 4월 17일
베이핑시 자금성 태화전(太和殿)
사망 1942년 1월 19일
베이핑시 자금성 태화전(太和殿)
재위 제15대 황제
2024년 4월 17일 ~ 현직
서명
[ 펼치기 · 접기 ]

1.1.개요

청나라의 제15대 황제. 측천무후 이래 중화권 최초의 여성 군주이다.[5]

1.2.생애

1.3.평가

1.4.비판 및 논란

1.5.여담

1.6.어록

1.7.둘러보기


2.천자폐하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민국 38은 현재 틀 최적화·표준화 작업이 진행중입니다. ×
[ 문서 보기 ]
[ 세계관 설명 ]

청 황제 용보.png
청 황제
[ 펼치기 · 접기 ]

만정제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청 제15대 황제
만정제 | 萬靖帝
출생 2005년 7월 15일(2005-07-15) (24세)
베이핑시 둥청구 베이핑 병원
즉위 2024년 4월 17일
베이핑시 자금성 태화전(太和殿)
재위 제15대 황제
2024년 4월 17일 ~ 현직
서명
[ 펼치기 · 접기 ]

2.1.개요

청나라의 제15대 황제. 측천무후 이래 중화권 최초의 여성 군주이다.[10]

2.2.생애

2.3.평가

2.4.비판 및 논란

2.5.여담

2.6.어록

2.7.둘러보기


3.몽골 령도자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민국 38은 현재 틀 최적화·표준화 작업이 진행중입니다. ×
[ 문서 보기 ]
[ 세계관 설명 ]


몽골 대칸
[ 펼치기 · 접기 ]

뱌쿠렌량화 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제10대 젭춘담바 후툭투
젭춘담바 후툭투 10세 | ᠪᠣᠭᠳᠠ ᠵᠠᠪᠵᠠᠩᠳᠠᠮᠪᠠ ᠬᠤᠲᠤᠭᠲᠤ X
대몽골국 제2대 대칸
뱌쿠렌 칸 | ᠪᠢᠺᠦ᠋ᠷᠦᠩ ᠬᠠᠭᠠᠨ
출생 2003년 7월 16일(2003-07-16) (26세)
몽골 허브드주 보얀트구
즉위 2019년 12월 18일
니슬렐 후레 칭기즈 칸 궁전 정전(正殿)
재위 제2대 대칸
2019년 3월 15일 ~ 현직
제10대 젭춘담바 후툭투
2019년 3월 15일 ~ 현직
서명
[ 펼치기 · 접기 ]

3.1.개요

몽골의 제2대 대칸이자 제10대 젭춘담바 후툭투. 티베트 불교에서 정식으로 비구니계를 받아들인 이후 첫번째로 탄생한 고위 비구니이자 몽골 최초의 여성 국가원수이다. 또한 최초의 몽골 출신 젭춘담바 후툭투이기도 하다.[13]

본래 2008년 전대 젭춘담바 후툭투의 환생으로 확인되었으나 보수적인 몽골의 사회상과 환생자인지에 대한 진실여부 그리고 여러 논란 등에 의하여 11년이 지난 2019년에 즉위하였다.

3.2.생애

3.2.1.초기

3.2.2.즉위까지의 수난

3.2.3.즉위 이후

3.3.평가

3.4.비판 및 논란

3.5.여담

3.6.어록

3.7.둘러보기



4.아사드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민국 38은 현재 틀 최적화·표준화 작업이 진행중입니다. ×
[ 문서 보기 ]
[ 세계관 설명 ]

틀:역대 아랍 연합 왕국 총리 (민국 38)


바샤르 알아사드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아랍 연합 왕국 제11대 총리
바샤르 하페즈 알아사드
بشار حافظ الأسد | Bashar Hafez al-Assad
출생 1965년 9월 11일(1965-09-11) (64세)
아랍 연합 왕국 시리아 다마스쿠스주 다마스쿠스
재임기간 제11대 총리
2019년 12월 28일 ~ 현재
서명
링크 | |
[ 펼치기 · 접기 ]

4.1.개요



5.장면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민국 38은 현재 틀 최적화·표준화 작업이 진행중입니다. ×
[ 문서 보기 ]
[ 세계관 설명 ]


대한민국 국무총리
[ 펼치기 · 접기 ]

장면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제4-6대 국무총리
장면
張勉 | Chang Myon
출생 1899년 8월 28일
대한제국 한성부 서서 적선방 사온동계 사온동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적선동)[21]
사망 1974년 6월 4일 (향년 74세)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동1가 36-5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혜화로5길 49)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장면국무총리묘소
사저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동1가 혜화로5길 53 373-5
재임기간 제4대 국무총리
1956년 6월 28일 ~ 1959년 10월 5일
제5대 국무총리
1959년 10월 6일 ~ 1961년 3월 5일
제6대 국무총리
1959년 3월 6일 ~ 1962년 9월 11일
서명
[ 펼치기 · 접기 ]
공식 초상화

5.1.개요

대한민국의 정치인. 제4·5·6대 국무총리를 역임하였다.

5.2.생애

5.3.평가

5.4.여담

5.5.대중매체에서

5.6.어록

5.7.선거 이력

5.8.소속 정당

5.9.둘러보기

틀:장면 (민국 38)



6.후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민국 38은 현재 틀 최적화·표준화 작업이 진행중입니다. ×
[ 문서 보기 ]
[ 세계관 설명 ]


대한민국 국무총리
[ 펼치기 · 접기 ]

김대중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제11-14·18·19·23·24대 국무총리
김대중
金大中 | Kim Dae-jung
출생 1924년 1월 6일[28]
전라남도 무안군 하의면 후광리 121
(現 전라남도 신안군 하의면 후광리 121)[29]
사망 2009년 8월 18일 (향년 85세)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세브란스병원
사저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촌로6길 10 (동교동)[30]
묘소 국립서울현충원 김대중국무총리묘소
재임기간 제11대 국무총리
1971년 3월 6일 ~ 1974년 4월 17일
제12대 국무총리
1974년 4월 18일 ~ 1975년 1월 19일
제13대 국무총리
1975년 1월 20일 ~ 1979년 1월 19일
제14대 국무총리
1979년 1월 20일 ~ 1980년 5월 13일
제18대 국무총리
1988년 3월 10일 ~ 1990년 8월 26일
제19대 국무총리
1990년 8월 27일 ~ 1992년 11월 12일
제23대 국무총리
1998년 2월 25일 ~ 2000년 2월 13일
제24대 국무총리
2000년 2월 14일 ~ 2002년 6월 29일
서명
[ 펼치기 · 접기 ]
공식 초상화

6.1.개요

대한민국의 제11·12·13·14·18·19·23·24대 국무총리.

6.2.생애

6.3.평가

6.4.여담

6.5.대중매체에서

6.6.어록

6.7.선거 이력

6.8.소속 정당

6.9.둘러보기

틀:김대중 (민국 38)



7.역대 총리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대한민국 국무총리
이름 임기 선거 정당
시작일 종료일
1

여운형
(1886 ~ 1967)
1 1948년 5월 31일 1952년 5월 30일 1대 [39]
2

김구
(1876 ~ 1962)
2 1952년 5월 31일 1956년 5월 30일 2대 [40]
3

조봉암
(1898 ~ 1983)
3 1956년 5월 31일 1958년 12월 22일 3대 [41]
4

조병옥
(1894 ~ 1960)
4 1958년 12월 22일 1960년 2월 15일 4대 [42]
5 파일:장면 프로필.png

장면
(1899 ~ 1974)
5 1960년 2월 17일 1960년 8월 9일 [43]
6 1960년 8월 10일 1963년 10월 12일 5대
7 1963년 10월 13일 1966년 6월 4일 6대
6

윤보선
(1897 ~ 1999)
8 1966년 6월 4일 1967년 10월 12일 [44]
9 1967년 10월 13일 1968년 11월 6일 7대
7

유진산
(1905 ~ 1974)
10 1968년 11월 7일 1971년 3월 5일 8대 [45]
8

김대중
(1924 ~ 2009)
11 1971년 3월 6일 1974년 4월 17일 9대 [46]
12 1974년 4월 18일 1975년 1월 19일 10대
13 1975년 1월 20일 1979년 1월 19일 11대
14 1979년 1월 20일 1980년 5월 13일 12대
9

김영삼
(1929 ~ 2015)
15 1980년 5월 14일 1984년 5월 13일 13대 [47]
16 1984년 5월 14일 1988년 3월 9일 14대
8

김대중
(1924 ~ 2009)
18 1988년 3월 10일 1990년 8월 26일 15대 [48]
19 1990년 8월 27일 1992년 11월 12일 16대
9

김영삼
(1929 ~ 2015)
20 1992년 11월 13일 1994년 6월 29일 17대 [49]
21 1994년 6월 30일 1997년 12월 5일 18대
10

이회창
(1935 ~)
22 1997년 12월 5일 1998년 2월 24일 [50]
8

김대중
(1924 ~ 2009)
23 1998년 2월 25일 2000년 2월 13일 19대 [51]
24 2000년 2월 14일 2002년 6월 29일 20대
10

이회창
(1935 ~)
25 2002년 6월 29일 2004년 1월 21일 21대 [52]
11

노무현
(1946 ~ 2009)
26 2004년 1월 22일 2004년 5월 14일 22대 [53]
27 2004년 5월 15일 2007년 2월 28일 23대
12

정동영
(1953 ~)
28 2007년 2월 28일 2007년 6월 17일 [54]
13

이명박
(1941 ~)
15 2007년 6월 18일 2011년 6월 17일 24대 [55]
16 2011년 6월 18일 2013년 3월 9일 25대


  1. 의영제의 외손자이자 선통제의 종손(이른바 조카손녀)으로 의영제의 장녀인 아이신기오로 후이셩(愛新覺羅慧生) 혹은 의순공주(懿順王后)의 아들이다.
  2. 완전학교(우리나라의 중고등학교 과정에 해당하는 초급중학과 고급중학 과정이 모두 개설되어 있는 6년제 종합.) 이다.
  3. 중국 문학계에서 "현대"는 1919년 5.4 운동 이후부터 1949년 중국 전쟁 종전까지를 일컽는 말이다.
  4. 중국에서는 "대학원"이라는 명칭이 존재하지 않으며 대학연구생으로 지칭한다.
  5. 군주가 아닌 선출직 국가원수로 한정한다면 할리마 야콥 싱가포르 총통이 최초이며 행정수반까지 포함한다면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이 최초이다.
  6. 의영제의 외손자이자 선통제의 종손(이른바 조카손녀)으로 의영제의 장녀인 아이신기오로 후이셩(愛新覺羅慧生) 혹은 의순공주(懿順王后)의 아들이다.
  7. 완전학교(우리나라의 중고등학교 과정에 해당하는 초급중학과 고급중학 과정이 모두 개설되어 있는 6년제 종합.) 이다.
  8. 중국 문학계에서 "현대"는 1919년 5.4 운동 이후부터 1949년 중국 전쟁 종전까지를 일컽는 말이다.
  9. 중국에서는 "대학원"이라는 명칭이 존재하지 않으며 대학연구생으로 지칭한다.
  10. 군주가 아닌 선출직 국가원수로 한정한다면 할리마 야콥 싱가포르 총통이 최초이며 행정수반까지 포함한다면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이 최초이다.
  11. 2005년 출생, 2017년 사망
  12. 몽골어로는 자간 바담량화.
  13. 이전까지의 젭춘담바 후툭투들은 모두 티베트 태생의 티베트인이었다.
  14. 1960년 출생
  15. 1962년 출생, 1994년 사망
  16. 1966년 출생, 2009년 사망
  17. 1967년 출생
  18. 서울특별시 종로구 선거구의 제7-10대 민의원의원이다.
  19. 서울특별시 종로구 갑 선거구의 제4-6대 민의원의원이다.
  20. 서울특별시 종로구 을 선거구의 제1-6대 민의원의원이다.
  21. 단, 어릴 때 인천으로 이주해서 살았기에, 실질적 고향은 경기도 인천(현 인천광역시)였다.
  22. 황상(凰顙)파 14세. 인동 장씨 31세.
  23. 장면의 대자가 바로 김대중이다.
  24. 이 사진을 보면 169cm였던 윤보선보다 상당히 더 큰 키를 추측할 수 있다. 당시 한국인으로선 키가 엄청 크다.
  25. 서울특별시 종로구 선거구의 제7-10대 민의원의원이다.
  26. 서울특별시 종로구 갑 선거구의 제4-6대 민의원의원이다.
  27. 서울특별시 종로구 을 선거구의 제1-6대 민의원의원이다.
  28. 1923년 음력 12월 1일. 신분상 공식적으로 아직까지는 1926년 1월 6일인데 사망 당시 생년월일이 기사마다 제각각으로 보도하여 김대중 측근에서 1924년 1월 6일로 통일적으로 표기해달라고 부탁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에는 1925년 12월 3일생으로 되어 있는데, 음력 1925년 12월 3일이 양력으로 1926년 1월 16일에 해당하므로 양음력 변환 과정에서 어떤 이유로 오류가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1943년 당시 강제 징용을 피하기 위해 아버지와 상의 끝에 생년월일을 1925년 12월 3일로 정정했다고 자서전에 기록되어 있었던 걸 보면 1924년생(음력으로는 1923년생)임이 거의 확실시된다.
  29. 원적은 신안군 하의면 대리. 인근의 오림리와 함께 김해 김씨 집성촌이며 이곳에 선영이 있다.
  30. 생전 거주지. 후광회의 별칭인 동교동계의 뜻이 바로 이 집이다.
  31. 안경공파 14세손. 증조부 김태현(金台鉉), 조부 김제호(金濟浩), 아버지 김운식(金雲植)이 각각 경파(京派) 17세손, 18세손, 19세손 항렬자를 사용한다.
  32. 개명전 이름은 장노도(張鹵島)다.
  33. 1927년 4월 28일생으로, 1945년 김대중과 결혼하였으나 1959년 6월 25일 지병으로 사망했다.
  34. 차용애와의 사이에서 낳은 딸로 어린 나이에 요절했다.
  35. 지금의 목포북교초등학교.
  36. 김대중의 대부가 바로 장면 전 총리이었다. 김대중은 굉장히 독실한 가톨릭 신자로 일부 민주당계 의원들 및 그의 대부분의 측근들은 그에 대한 존경심으로 가톨릭으로 개종하거나 가톨릭을 접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다고 한다.
  37. 출처
  38. 호는 '후광(後廣)'으로 그의 고향인 전남 신안군 하의면 후광리에서 따와 지은 것이다.
  39. 조선인민당 (1948. 5. 31. ~ 1952. 5. 30.).
  40. 한국독립당 (1952. 5. 31. ~ 1956. 5. 30.).
  41. 사회당 (1956. 5. 30. ~ 1958. 12. 22.).
  42. 민주당 (1958. 12. 22. ~ 1960. 2. 15.).
  43. 민주당 (1960. 2. 17. ~ 1966. 6. 4.).
  44. 민주당 (1966. 6. 4. ~ 1968. 11. 6.).
  45. 민주당 (1968. 11. 7. ~ 1971. 3. 5.).
  46. 사회민주당 (1971. 3. 6. ~ 1980. 5. 13.).
  47. 민주당 (1980. 5. 14. ~ 1988. 3. 9.).
  48. 사회민주당 (1971. 3. 6. ~ 1992. 4. 18.).
  49. 민주당 (1992. 11. 13. ~ 1997. 12. 5.).
  50. 민주당 (1997. 12. 5. ~ 1998. 2. 24.).
  51. 사회민주당 (1998. 2. 25. ~ 2002. 6. 29.).
  52. 민주당 (2002. 6. 29. ~ 2004. 1. 21.).
  53. 사회민주당 (2004. 1. 22. ~ 2007. 2. 28.).
  54. 사회민주당 (2007. 2. 28. ~ 2007. 5. 17.).
  55. 민주당 (2007. 6. 18. ~ 2013. 3. 9.).
Communist 1968
대칸님 고우시다...
공산1968 | 게시한 날짜 Jan 8, 2023 at 6:26 am

제2의 몽골제국 원하면 개추

Rainbow
청 황제 폐하의 용안을 아직 영접하진 못했지만
Rainbow | 게시한 날짜 May 29, 2023 at 8:31 pm

뭔가 장의사 하실 것 같은 너낌

접기
history
접기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