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러보기) |
편집 요약 없음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파일:아나 사회민주당 로고.png]] | [[파일:아나 사회민주당 로고.png]] | ||
|- | |- | ||
! colspan="3" style="background-color:#E61E2B; border:1px solid #ddd; " |'''<big><span style="color:#FFFFFF">사회민주당<br>< | ! colspan="3" style="background-color:#E61E2B; border:1px solid #ddd; color:#fff" |'''<big><span style="color:#FFFFFF">사회민주당</big><br>社會民主黨 <nowiki>|</nowiki> Social Democratic Party''' | ||
|- | |- | ||
! style="border:1px solid #ddd; " |{{글씨 색|#E61E2B|창당일}} | ! style="border:1px solid #ddd; " |{{글씨 색|#E61E2B|창당일}} | ||
34번째 줄: | 34번째 줄: | ||
|- | |- | ||
! style="border:1px solid #ddd; " |{{글씨 색|#E61E2B|당 색}} | ! style="border:1px solid #ddd; " |{{글씨 색|#E61E2B|당 색}} |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E61E2B; border:1px solid #ddd; " | <span style="color:#FFFFFF">적색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E61E2B; border:1px solid #ddd; " | <span style="color:#FFFFFF">적색 (#E61E2B) | ||
|- | |- | ||
! style="border:1px solid #ddd; " |{{글씨 색|#E61E2B|당수}} | ! style="border:1px solid #ddd; " |{{글씨 색|#E61E2B|당수}} | ||
63번째 줄: | 63번째 줄: | ||
|} | |} | ||
해산일 기준 | 해산일 기준 | ||
{{목차}} | |||
{{-}} | |||
=개요= | =개요= | ||
[[대한민국 (아름다운 나라)]]에 존재했던 진보ㆍ좌익 정당. | [[대한민국 (아름다운 나라)]]에 존재했던 진보ㆍ좌익 정당. | ||
68번째 줄: | 70번째 줄: | ||
1957년, [[자유당 창당|5당 합당]]에 반발해 [[장건상]]을 필두로 [[근로인민당]]에서 탈당한 이들이 창당했다. | 1957년, [[자유당 창당|5당 합당]]에 반발해 [[장건상]]을 필두로 [[근로인민당]]에서 탈당한 이들이 창당했다. | ||
이후 근로인민당 출신 좌파 사회민주주의자들이 오랫동안 당의 주축이었이나 1960년대 말 유럽에서 발생한 [[68혁명]]의 영향으로 [[이재오]] 등의 신좌파 성향의 대학교 운동권 출신들이 대거 유입되었다. 이를 계기로 사민당은 성적 자유주의, 반권위주의 등 신좌파적 의제를 상당 부분 수용하며 구좌파와 신좌파가 공존하는 모양새를 가지게 되었다. | |||
1989년 | 운동권 세력은 기존의 당 두류 세력보다 더 적극적인 반민주국민당 운동을 주장하며 야권 통합을 거세게 주장하였고, 1989년 사민당은 [[자유당 (아름다운 나라)|자유당]], [[민주당 (아름다운 나라)|민주당]]과 합당하여 [[민주자유당]]을 창당했다. | ||
=역대 지도부= | =역대 지도부= | ||
{{틀:사회민주당 당수}} | {{틀:역대 사회민주당 당수}} | ||
=역대 선거 결과= | =역대 선거 결과= |
2023년 1월 21일 (토) 22:36 기준 최신판
![]() | ||||||||||||||||||||
---|---|---|---|---|---|---|---|---|---|---|---|---|---|---|---|---|---|---|---|---|
| ||||||||||||||||||||
| ||||||||||||||||||||
이 세계관의 모든 인물, 사건, 단체, 국가는 가상이며 현실의 어떠한 인물이나 단체도 찬양하거나 비하할 의도가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한국의 진보정당 - 자유당계 정당 | ||||
근로인민당 | → | 사회민주당 | → | 국민회의 |
민중당 |
사회민주당 社會民主黨 | Social Democratic Party | ||||
---|---|---|---|---|
창당일 | 1957년 | |||
해산일 | 1989년 | |||
이념 | 사회민주주의 민주사회주의 진보주의 연성 아태회의주의 | |||
스펙트럼 | 중도 좌파 ~ 좌익 | |||
당 색 | 적색 (#E61E2B) | |||
당수 | 이재오 | |||
간사장 | 권영길 | |||
사무장 | 이우재 | |||
14석 / 250석 (5.6%) | ||||
후원단체 |
사회민주당 후원회 | |||
국제조직 |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 |||
아태정당 | 아태사회민주동맹 | |||
싱크탱크 | 사회민주재단 |
해산일 기준
1.개요
대한민국 (아름다운 나라)에 존재했던 진보ㆍ좌익 정당.
2.역사
1957년, 5당 합당에 반발해 장건상을 필두로 근로인민당에서 탈당한 이들이 창당했다.
이후 근로인민당 출신 좌파 사회민주주의자들이 오랫동안 당의 주축이었이나 1960년대 말 유럽에서 발생한 68혁명의 영향으로 이재오 등의 신좌파 성향의 대학교 운동권 출신들이 대거 유입되었다. 이를 계기로 사민당은 성적 자유주의, 반권위주의 등 신좌파적 의제를 상당 부분 수용하며 구좌파와 신좌파가 공존하는 모양새를 가지게 되었다.
운동권 세력은 기존의 당 두류 세력보다 더 적극적인 반민주국민당 운동을 주장하며 야권 통합을 거세게 주장하였고, 1989년 사민당은 자유당, 민주당과 합당하여 민주자유당을 창당했다.
3.역대 지도부
![]() | |||
---|---|---|---|
[ 펼치기 · 접기 ] |
4.역대 선거 결과
4.1.총통 선거
선거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1963 | 김원봉 | 721,022 | 4.7% | 낙선 3위 |
4.2.국회의원 선거
연도 | 지도자 | 의석수 | 비고 |
---|---|---|---|
1961 | 김원봉 | 9 / 250 (4%)
|
원내 3당 |
1966 | 장건상 | 12 / 250 (5%)
|
원내 3당 |
1971 | 장건상 | 3 / 250 (1%)
|
원내 3당 |
1976 | 김철 | 11 / 250 (4%)
|
원내 3당 |
1980 | 홍숙자 | 13 / 250 (5%)
|
원내 3당 |
5.둘러보기
![]() |
---|
[ 펼치기 · 접기 ] |
| ||||||||||
[ 펼치기 · 접기 ] |
댓글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