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Rainbow님이 민주자유당 문서를 민주자유당 (아름다운 나라)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4번째 줄: | 24번째 줄: | ||
| 틀 너비 = 400px | | 틀 너비 = 400px | ||
| 외곽선색 = #3ab34a | | 외곽선색 = #3ab34a | ||
| 로고 = 민주자유당 | | 로고 = 민주자유당 로구.png | ||
| 제목색 = #3ab34a | | 제목색 = #3ab34a | ||
| 제목글씨색= #ffffff | | 제목글씨색= #ffffff | ||
67번째 줄: | 67번째 줄: | ||
{{정당 둥근상자|'''초록색''' (#008000)|white|#008000}} (2019.8.17 ~ 2020.5.29)<ref>대통합자유신당 시절</ref> | {{정당 둥근상자|'''초록색''' (#008000)|white|#008000}} (2019.8.17 ~ 2020.5.29)<ref>대통합자유신당 시절</ref> | ||
| 당가 = 민주자유당 당가 | | 당가 = 민주자유당 당가 | ||
| 국제조직 = {{ | | 국제조직 = {{자유주의 인터내셔널}} | ||
| 자매정당 = | | 자매정당 = | ||
| 유럽정당 = | | 유럽정당 = | ||
78번째 줄: | 78번째 줄: | ||
| 여성 조직 = | | 여성 조직 = | ||
| 당보 = 민주자유신문 | | 당보 = 민주자유신문 | ||
| 정책 연구소 = 김대중정책연구소 | | 정책 연구소 = [[자유민주연구원|김대중정책연구소]] | ||
| 준군사조직 = | | 준군사조직 = | ||
| 홈페이지 = | | 홈페이지 = | ||
86번째 줄: | 86번째 줄: | ||
=역사= | =역사= | ||
==창당== | ==창당== | ||
[[자유당 (아름다운 나라)|자유당]] 주석 [[김대중 (아름다운 나라)|김대중]]은 민국당 40년 장기집권을 끝내야 하며 야권 통합만이 그 유일한 방법이라고 주창했다. 1989년, 자유당 주석 김대중, [[사회민주당 (아름다운 나라)|사민당]] 주석 [[이재오 (아름다운 나라)|이재오]], [[민주당 (아름다운 나라)|민주당]] 주석 [[김재익]]이 여러 차례의 회담을 통해 3당의 | [[자유당 (아름다운 나라)|자유당]] 주석 [[김대중 (아름다운 나라)|김대중]]은 민국당 40년 장기집권을 끝내야 하며 야권 통합만이 그 유일한 방법이라고 주창했다. 1989년, 자유당 주석 김대중, [[사회민주당 (아름다운 나라)|사민당]] 주석 [[이재오 (아름다운 나라)|이재오]], [[민주당 (아름다운 나라)|민주당]] 주석 [[김재익]]이 여러 차례의 회담을 통해 3당의 합당에 합의하면서 2차 통합 야당인 '''국민회의'''가 탄생하게 되었다. | ||
이후 국민회의 소속으로 [[제10회 대한민국 총통 선거]]에 출마한 김대중이 민주국민당의 [[심상우]] 후보를 꺾고 당선되면서 국민회의는 여당의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 |||
==김대중 정부== | ==김대중 정부== | ||
{{본문|김대중 (아름다운 나라)}} | {{본문|김대중 (아름다운 나라)}} | ||
92번째 줄: | 95번째 줄: | ||
==첫 번째 야당 시절== | ==첫 번째 야당 시절== | ||
==신기하 정부== | ==신기하 정부== | ||
{{본문|신기하}} | |||
==두 번째 야당 시절== | ==두 번째 야당 시절== | ||
==정인규 정부== | ==정인규 정부== | ||
{{본문|정인규}} | |||
==몰락== | ==몰락== | ||
[[정인규 성폭력 사건]]으로 총통직을 승계한 김영춘과 반정파의 수장이자 비상대책위원장에 추대된 김부겸은 당내 친정파를 쳐내려 | {{본문|정인규 성폭력 사건|김영춘 (아름다운 나라)}} | ||
[[정인규 성폭력 사건]]으로 총통직을 승계한 김영춘과 반정파의 수장이자 비상대책위원장에 추대된 김부겸은 당내 친정파를 쳐내려 시도했다. 하지만 전직 주석 서종원을 필두로 한 친정파른 격렬히 저항했다. 이 상황에서 당권파(반정파)는 당명과 로고의 교체를 시도했다. 친정과 반정의 싸움을 고깝게 바라보던 비주류 계파인 유시민계와 손학규계, 그리고 무계파 세력은 당명과 로고를 변경하려면 우선 의원총회를 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하여 [[제18회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18회 총선]]을 앞둔 2019년 7월 26일, 의원 총회가 개최되었다. 고성과 말싸움으로 시작된 의원 총회는 친정파와 반정파의 물리적인 충돌로 이어졌다. 의원들은 주먹다짐에 책상을 뒤엎고 머리카락을 잡아당기거나 의자를 집어던지는 등 온갖 꼴불견을 연출했다. 심지어 친정파 A 의원은 다른 의원들을 향해 소화기를 분사하기도 했다. 이 사건으로 민자당 의원 14명이 크고작은 부상을 입었다. 거기에다 유시민계와 손학규계가 탈당하여 [[공민참여당|다른]] [[중도개혁당|살림]]을 차린다.<ref>결국 반정파만 모여 당명을 '''대통합자유신당'''으로 변경한다</ref> 이 소식을 들은 [[민주국민당]] 남경필 주석 왈. | |||
{{인용문1|[[제18회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다음 선거]]는 날로 먹었군.}} | {{인용문1|[[제18회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다음 선거]]는 날로 먹었군.}} | ||
109번째 줄: | 115번째 줄: | ||
|} | |} | ||
마침내 당명과 로고가 변경되었으나 남경필의 예상대로 [[제18회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자당(대통합자유신당)은 [[제6회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1973년 총선]] 이래로 최악의 패배를 당했다. 이에 김영춘 총통은 국정운영동력 상실을 이유로 조기 대선을 치뤄 총통직을 이양하겠다고 밝혔고 김부겸 비대위원장은 | 마침내 당명과 로고가 변경되었으나 남경필의 예상대로 [[제18회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자당(대통합자유신당)은 [[제6회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1973년 총선]] 이래로 최악의 패배를 당했다. 이에 김영춘 총통은 국정운영동력 상실을 이유로 조기 대선을 치뤄 총통직을 이양하겠다고 밝혔고 김부겸 비대위원장은 사퇴했다.<ref>이 과정에서 친정과 반정 양쪽 모두 치명적인 타격을 입고 사라졌다.</ref> | ||
새로 당권을 잡은 계파는 친정도 반정도 아닌 중립적 개혁파였다. 신기남 의원이 비대위원장에 추대되었고 [[정동영]] 의원이 [[2020년 대한민국 총통 보궐 선거|차기 대선]]의 후보로 떠올랐다. 신당권파는 우선 당명과 로고를 환원하였고 의원 총회에서 폭력을 휘두른 대표적인 의원 몇 명을 제명했다. 하지만 때는 너무 늦었었다. [[새누리당]]의 지지율이 급상승했고 새누리당의 노회찬 의원은 진보 성향의 유권자들을 흡수한 덕분에 차기 총통 후보 선호도에서 3위를 기록하며 2위의 정동영을 바짝 따라붙었다.<ref>1위는 [[민주국민당]]의 [[유승민 (아름다운 나라)|유승민]]</ref> 결국 [[2020년 대한민국 총통 보궐 선거|총통 보궐 선거]]에서 정동영 후보가 유승민은 물론 노회찬에게도 밀리며 3위를 기록했다. 자유당 창당 이래 자유당계 정당이 3위까지 밀려난 것은 최초였다. 결국 신기남 비대위마저 붕괴하며 무색무취한, 친정도 반정도 아니지만 중립 개혁파도 아니었던 [[이낙연 (아름다운 나라)|이낙연]]이 신임 비대위원장으로 | 새로 당권을 잡은 계파는 친정도 반정도 아닌 중립적 개혁파였다. 신기남 의원이 비대위원장에 추대되었고 [[정동영]] 의원이 [[2020년 대한민국 총통 보궐 선거|차기 대선]]의 후보로 떠올랐다. 신당권파는 우선 당명과 로고를 환원하였고 의원 총회에서 폭력을 휘두른 대표적인 의원 몇 명을 제명했다. 하지만 때는 너무 늦었었다. [[새누리당]]의 지지율이 급상승했고 새누리당의 노회찬 의원은 진보 성향의 유권자들을 흡수한 덕분에 차기 총통 후보 선호도에서 3위를 기록하며 2위의 정동영을 바짝 따라붙었다.<ref>1위는 [[민주국민당]]의 [[유승민 (아름다운 나라)|유승민]]</ref> 결국 [[2020년 대한민국 총통 보궐 선거|총통 보궐 선거]]에서 정동영 후보가 유승민은 물론 노회찬에게도 밀리며 3위를 기록했다. 자유당 창당 이래 자유당계 정당이 3위까지 밀려난 것은 최초였다. 결국 신기남 비대위마저 붕괴하며 무색무취한, 친정도 반정도 아니지만 중립 개혁파도 아니었던 [[이낙연 (아름다운 나라)|이낙연]]이 신임 비대위원장으로 취임하였다. | ||
[[이낙연 (아름다운 나라)|이낙연]]은 비대위원장에 취임하자마자 자유당계 통합을 추진했다. 마침 [[공민참여당]]과 [[중도개혁당]] 내에서도 통합의 필요가 대두되었기 때문에 통합은 원활히 추진되었다. 3당 통합추진위원회가 결성되었고 민자당 비대위원장 이낙연, 공민참여당 의장 유시민, 중도개혁당 주석 손학규가 통합추진위원장에 추대되었다. 결국 3당은 합당에 합의하여 [[자유민주연합]]이 탄생했다. | |||
=역대 선거 결과= | =역대 선거 결과= |
2024년 9월 29일 (일) 10:59 기준 최신판
| ||||||||||||||||||||
| ||||||||||||||||||||
이 세계관의 모든 인물, 사건, 단체, 국가는 가상이며 현실의 어떠한 인물이나 단체도 찬양하거나 비하할 의도가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한국의 자유당계 정당 | ||||
자유당 | → | 민주자유당 국민회의 자유한국당 대통합자유신당 |
→ | 자유민주연합 |
민주당 | 공민참여당 | |||
새누리당 | ||||
사회민주당 | 중도개혁당 |
Democratic Liberal Party / 民主自由黨 | |
민자, 민자당, DLP | |
1989년 국민회의 | |
1992년 자유한국당 1999년 민주자유당 2019년 8월 16일 대통합자유신당 2020년 5월 29일 민주자유당 | |
2020년 11월 9일 | |
주류 이념 자유주의 중도개혁주의 사회보수주의 친아태주의 사회민주주의(~1996)[1] 경제적 자유주의 사회자유주의 | |
중도좌파 ~ 중도우파 | |
이낙연 | |
정세균 | |
왕정산 | |
김대중/4대, 2선(1990.8~1998.8) 신기하/6대, 1선(2006.8~2010.8) 정인규/8대, 2선(2014.8~2019.4) 김영춘/9대, 승계(2019.4~2020.9) | |
아태개혁당 | |
59석 / 400석 (14.75%) | |
자주색 (#B4065F) (1989 ~ 1992)[2] 청록색 (#00885A) (1992 - 1999)[3] | |
민주자유당 당가 | |
자유주의 인터내셔널 | |
민주자유신문 | |
김대중정책연구소 |
대한민국 (아름다운 나라)에 존재했던 자유당계 정당. 30년 넘게 존속하고 총 4명의 총통을 배출한 자유당계 정당의 리즈 시절이었다.
역사
창당
자유당 주석 김대중은 민국당 40년 장기집권을 끝내야 하며 야권 통합만이 그 유일한 방법이라고 주창했다. 1989년, 자유당 주석 김대중, 사민당 주석 이재오, 민주당 주석 김재익이 여러 차례의 회담을 통해 3당의 합당에 합의하면서 2차 통합 야당인 국민회의가 탄생하게 되었다.
이후 국민회의 소속으로 제10회 대한민국 총통 선거에 출마한 김대중이 민주국민당의 심상우 후보를 꺾고 당선되면서 국민회의는 여당의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김대중 정부
첫 번째 야당 시절
신기하 정부
두 번째 야당 시절
정인규 정부
몰락
정인규 성폭력 사건으로 총통직을 승계한 김영춘과 반정파의 수장이자 비상대책위원장에 추대된 김부겸은 당내 친정파를 쳐내려 시도했다. 하지만 전직 주석 서종원을 필두로 한 친정파른 격렬히 저항했다. 이 상황에서 당권파(반정파)는 당명과 로고의 교체를 시도했다. 친정과 반정의 싸움을 고깝게 바라보던 비주류 계파인 유시민계와 손학규계, 그리고 무계파 세력은 당명과 로고를 변경하려면 우선 의원총회를 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하여 18회 총선을 앞둔 2019년 7월 26일, 의원 총회가 개최되었다. 고성과 말싸움으로 시작된 의원 총회는 친정파와 반정파의 물리적인 충돌로 이어졌다. 의원들은 주먹다짐에 책상을 뒤엎고 머리카락을 잡아당기거나 의자를 집어던지는 등 온갖 꼴불견을 연출했다. 심지어 친정파 A 의원은 다른 의원들을 향해 소화기를 분사하기도 했다. 이 사건으로 민자당 의원 14명이 크고작은 부상을 입었다. 거기에다 유시민계와 손학규계가 탈당하여 다른 살림을 차린다.[6] 이 소식을 들은 민주국민당 남경필 주석 왈.
다음 선거는 날로 먹었군. |
대통합자유신당 로고 |
마침내 당명과 로고가 변경되었으나 남경필의 예상대로 제18회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자당(대통합자유신당)은 1973년 총선 이래로 최악의 패배를 당했다. 이에 김영춘 총통은 국정운영동력 상실을 이유로 조기 대선을 치뤄 총통직을 이양하겠다고 밝혔고 김부겸 비대위원장은 사퇴했다.[7]
새로 당권을 잡은 계파는 친정도 반정도 아닌 중립적 개혁파였다. 신기남 의원이 비대위원장에 추대되었고 정동영 의원이 차기 대선의 후보로 떠올랐다. 신당권파는 우선 당명과 로고를 환원하였고 의원 총회에서 폭력을 휘두른 대표적인 의원 몇 명을 제명했다. 하지만 때는 너무 늦었었다. 새누리당의 지지율이 급상승했고 새누리당의 노회찬 의원은 진보 성향의 유권자들을 흡수한 덕분에 차기 총통 후보 선호도에서 3위를 기록하며 2위의 정동영을 바짝 따라붙었다.[8] 결국 총통 보궐 선거에서 정동영 후보가 유승민은 물론 노회찬에게도 밀리며 3위를 기록했다. 자유당 창당 이래 자유당계 정당이 3위까지 밀려난 것은 최초였다. 결국 신기남 비대위마저 붕괴하며 무색무취한, 친정도 반정도 아니지만 중립 개혁파도 아니었던 이낙연이 신임 비대위원장으로 취임하였다.
이낙연은 비대위원장에 취임하자마자 자유당계 통합을 추진했다. 마침 공민참여당과 중도개혁당 내에서도 통합의 필요가 대두되었기 때문에 통합은 원활히 추진되었다. 3당 통합추진위원회가 결성되었고 민자당 비대위원장 이낙연, 공민참여당 의장 유시민, 중도개혁당 주석 손학규가 통합추진위원장에 추대되었다. 결국 3당은 합당에 합의하여 자유민주연합이 탄생했다.
역대 선거 결과
총통 선거
연도 | 지도자 | 의석수 | 비고 |
---|---|---|---|
1990 | 김대중 | 48.4 / 100 (48%)
|
당선 |
1994 | 김대중 | 51.5 / 100 (52%)
|
당선 |
2018 | 정인규 | 54.4 / 100 (54%)
|
당선 |
2020 | 정동영 | 17.3 / 100 (17%)
|
낙선 (3위) |
국회의원 선거
연도 | 지도자 | 의석수 | 비고 |
---|---|---|---|
2016 | 서종원 | 241 / 400 (60%)
|
원내 과반 |
2020 | 김부겸 | 59 / 400 (15%)
|
원내 2당 |
둘러보기
대한민국의 정당 목록 | ||||||||||||||||||||||
---|---|---|---|---|---|---|---|---|---|---|---|---|---|---|---|---|---|---|---|---|---|---|
[ 펼치기 · 접기 ]
|
| ||||||||||
[ 펼치기 · 접기 ] |
| ||||||||||||||||
[ 펼치기 · 접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