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튼 전투 (빌레펠트):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빌레펠트}}[[분류:빌레펠트]][[분류:제2차 벨트크리그/전투]]
{{빌레펠트}}[[분류:빌레펠트]][[분류:제2차 벨트크리그/전투]]
{{제2차 벨트크리그의 전투 목록(유럽 및 아프리카) (빌레펠트)}}
{{제2차 벨트크리그의 전투 목록(유럽 및 아프리카) (빌레펠트)}}
{{제2차 벨트크리그/연표 (빌레펠트)}}
{{제2차 벨트크리그/연표 (빌레펠트)}}[[분류:제2차 벨트크리그]]
{| class="wikitable" style="float:right; max-width:450px; border:2px solid #536349; color:#000;"
{| class="wikitable" style="float:right; max-width:450px; border:2px solid #536349; color:#000;"
! colspan="3" style="width:450px; background:#536349; color:#fff;" | {{large|브리튼 전투}}<br>Battle of Britain<br>Operation Homecoming<ref>[[귀향 작전]]</ref>/great restoration<ref>대수복</ref><br>Die Schlacht am Festland von Großbritannien<br>Unternehmen Seelöwe<ref>[[바다사자 작전]]</ref>
! colspan="3" style="width:450px; background:#536349; color:#fff;" | {{large|브리튼 전투}}<br>Battle of Britain<br>Operation Homecoming<ref>[[귀향 작전]]</ref>/Great Restoration<ref>대수복</ref><br>Die Schlacht am Festland von Großbritannien<br>Unternehmen Seelöwe<ref>[[바다사자 작전]]</ref>
|-
|-
! colspan="3" | [[제2차 벨트크리그 (빌레펠트)|제2차 벨트크리그]] 중 [[서부전선]]의 일부
! colspan="3" | [[제2차 벨트크리그 (빌레펠트)|제2차 벨트크리그]] 중 [[서부전선]]의 일부
25번째 줄: 25번째 줄:
! colspan="2" style="background:#536349; color:#fff;" | 교전국
! colspan="2" style="background:#536349; color:#fff;" | 교전국
|-
|-
| style="vertical-align:top;" | '''라이히스팍트'''<br>[[파일:옳게된 도이치.svg|24px]] 독일제국<br>[[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24px]] 도나우 합중국<br>[[파일:바이킹(였던 것).svg|24px]] 덴마크 왕국<br>[[파일:바이킹(였던 것 22).svg|24px]] 스웨덴 왕국<br>[[파일:풀라데런.png|24px]] 플란데런-왈로니<br>[[파일:네덜란드.svg|24px]] 네덜란드<br>[[파일:아일랜드.svg|24px]] 아일랜드<br>[[파일:서반아.png|24px]] 스페인 과도 정부<br>[[파일:셀라시에 폐하의 나라.svg|24px]] 에티오피아 제국<br>[[파일:브라질.svg|24px]] 브라질<br>[[파일:페볼.webp|24px]] 페루-볼리비아 연방<br>
| style="vertical-align:top;" | '''라이히스팍트'''<br>[[파일:옳게된 도이치.svg|24px]] [[독일국 (빌레펠트)|독일국]]<br>[[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24px]] [[도나우 연방 (빌레펠트)|도나우 연방]]<br>[[파일:바이킹(였던 것).svg|24px]] 덴마크 왕국<br>[[파일:바이킹(였던 것 22).svg|24px]] 스웨덴 왕국<br>[[파일:벨기에 국기.svg|24px]] 벨기에<br>[[파일:네덜란드.svg|24px]] 네덜란드<br>[[파일:아일랜드.svg|24px]] 아일랜드<br>[[파일:셀라시에 폐하의 나라.svg|24px]] 에티오피아 제국<br>[[파일:브라질.svg|24px]] 브라질<br>[[파일:페볼.webp|24px]] 페루-볼리비아 연방<br>
<br>'''협상국'''<br>[[파일:미국.png|24px]] 미합중국<br>[[파일:캐나다.png|24px]] 캐나다 자치령<br>[[파일:흑랑스.png|24px]] 프랑스 공화국<br>[[파일:막혔읍니다.png|24px]] 로마 정부<br>[[파일:오스트랄시야.png|24px]] 오스트랄라시야 연방<br>[[파일:나치.png|24px]] 남아프리카 연방<br>[[파일:매국노.png|24px]] 인도 자치령
<br>'''협상국'''<br>[[파일:미국 국기.svg|24px]] 미합중국<br>[[파일:메이플스토리 개발국.svg|24px]] 캐나다 자치령<br>[[파일:흑랑스.png|24px]] 프랑스 공화국<br>[[파일:막혔읍니다.png|24px]] 로마 정부<br>[[파일:포르투갈 국기.svg|24px]] 포르투갈<br>[[파일:서반아.png|24px]] 스페인 과도 정부<br>[[파일:오스트랄시야.svg|24px]] 오스트랄라시야 연방<br>[[파일:나치.png|24px]] 남아프리카 연방<br>[[파일:매국노.png|24px]] 인도 자치령
| style="vertical-align:top;" | '''제3 인터내셔널'''<br>[[파일: 빨갱이 2.png|24px]] 브리튼 연방
| style="vertical-align:top;" | '''제3 인터내셔널'''<br>[[파일: 빨갱이 2.png|24px]] [[브리튼 연방 (빌레펠트)|브리튼 연방]]
|-
|-
! colspan="2" style="background:#536349; color:#fff;" | 병력
! colspan="2" style="background:#536349; color:#fff;" | 병력
|-
|-
| colspan="1" width=50% style="vertical-align:top;" | '''라이히스팍트'''<br>175만명<br>'''협상국'''<br>152만명
| colspan="1" width=50% style="vertical-align:top;" | '''라이히스팍트'''<br>175만명<br>'''협상국'''<br>152만명
| colspan="1" width=50% style="vertical-align:top;" | 95만 7천명
| colspan="1" width=50% style="vertical-align:top;" | 95만+명<ref>무분별한 징집과 홈가드로 인해 정확한 병력 추산 불가능</ref>
|-
|-
! colspan="2" style="background:#536349; color:#fff;" | 피해규모
! colspan="2" style="background:#536349; color:#fff;" | 피해규모
|-
|-
| colspan="1" width=40% style="vertical-align:top;" | 전사 22만 6542명<br>부상 42만 2776명<br>실종 2221명
| colspan="1" width=40% style="vertical-align:top;" | 전사 15만 6,542명<br>부상 22만 2,776명<br>실종 2,221명
| colspan="1" width=40% style="vertical-align:top;" | 전사 35만 9547명<br>부상 47만 5921명<br>포로 11만 6532명<br>최소 수십만의 민간인 피해
| colspan="1" width=40% style="vertical-align:top;" | 전사 45만 9,547명<br>부상 57만 5,921명<br>포로 11만 6,532명<br>최소 수십만의 민간인 피해
|-
|-
! colspan="2" style="background:#536349; color:#fff;" | 지휘관
! colspan="2" style="background:#536349; color:#fff;" | 지휘관
53번째 줄: 53번째 줄:
|-
|-
|}
|}
{{-}}
{{목차}}
{{목차}}
= 개요 =
= 개요 =
58번째 줄: 59번째 줄:
미래의 세대는 우리가 이곳에서 한 일을 되돌아보며 이렇게 말할 것입니다. 이 때야말로 우리 최고의 순간이었노라.|조지 5세의 생전 녹음 기록}}
미래의 세대는 우리가 이곳에서 한 일을 되돌아보며 이렇게 말할 것입니다. 이 때야말로 우리 최고의 순간이었노라.|조지 5세의 생전 녹음 기록}}
{{인용문1|'''그래, 빅 벤이 잘 보인다.'''|제1 팔슈름예거 사단 병사들의 무전 기록}}
{{인용문1|'''그래, 빅 벤이 잘 보인다.'''|제1 팔슈름예거 사단 병사들의 무전 기록}}
[[제2차 벨트크리그]]의 막바지 연합국의 제3 인터내셔널의 대한 최후 공세이다. 아일랜드의 수복 이후 동부전선의 [[드네프르-돈 공세 (빌레펠트)|드네프르-돈 공세]]가 끝나는 시점에 맞춰 진행됐다. 협상국의 [[귀향 작전]]과 라이히스팍트의 [[바다사자 작전]]을 얻어맞은 브리튼 연방은 순식간에 무너졌으며 오스왈드 모슬리는 해외로 도주하던 중 왕당파 빨치산에게 걸려 처형 당했다. 이후 정권을 넘겨 받은 모슬리의 최측근 존 스트레이치가 노팅엄에서 연합국에게 항복하여 브리튼 연방이 패망함으로써 39년 부터 6년동안 진행된 서부전선이 끝났다.
[[제2차 벨트크리그]]의 막바지 연합국의 제3 인터내셔널의 대한 최후 공세이다. 아일랜드의 수복 이후 동부전선의 [[아우구스투스의 몰락 작전 (빌레펠트)|아우구스투스의 몰락 작전]]가 끝나는 시점에 맞춰 진행됐다. 협상국의 [[귀향 작전]]과 라이히스팍트의 [[바다사자 작전]]을 얻어맞은 브리튼 연방은 순식간에 무너졌다. 오스왈드 모슬리는 왕당파 반군의 [[런던 쿠데타]]로 사망하였으며, 쿠데타가 진압된 이후 정권을 넘겨 받은 모슬리의 최측근 존 스트레이치가 노팅엄에서 연합국에게 항복하여 브리튼 연방이 패망함으로써 39년 부터 6년동안 진행된 서부전선이 끝났다.
 
=배경=
==1945년 서부전선의 상황==
유럽전선이 끝을 향해 달려가던 1945년의 상황은 추축국에겐 재앙 그 자체였다. 동부전선에선 라이히스팍트의 [[아우구스투스의 몰락 작전 (빌레펠트)|아우구스투스의 몰락 작전]]를 얻어맞은 러시아는 이제 수도 모스크바가 전선 도시가 된 마당이었고, 서부전선에선 브리튼 연방을 제외한 모든 인터내셔널 국가가 함락된 상황이었다. 그나마 간신히 붙들고 있던 아일랜드 마저 라이히스팍트와 협상국의 연합작전으로 탈환 당했다. 브리튼 상공을 가득 메운 연합군의 공군과 독일의 V 로켓은 브리튼 연방의 모든 인프라, 도시, 산업을 초토화 시키고 있었다.
 
연방군의 상황은 더욱 절망적이었는데, 한때 카이저마리네의 간담을 서늘게 했던 연방 함대는 진작 괴멸됐고 앞서 서술 했듯이 공군 또한 연합군의 폭격기를 요격하는 것 자체도 버거웠다. 육군 또한 프랑스 코뮌이 무너질 때 대부분이 유럽 대륙을 탈출하지 못하고 고립되어 대부분의 정예 병력을 손실했고, 이미 2, 30대의 젊은 청년층은 모조리 군에 동원해버린터라 40대와 50대의 중년들을 동원하는 것도 모자라서 "홈가드"를 창설해 지역 방위 부대를 만들었는데, 명목상 17세에서 50대까지의 건장한 남성들을 동원하는 것이었지만 실상은 10살 밖에 안되는 어린 소년부터 70세를 넘어가는 노인. 그리고 장애인들과 여성들까지 모조리 동원한 상황이었다.<ref>물론 독일군도 비슷한 국민돌격대라는 병력을 조직했었지만 적어도 독일군들은 이들을 후방 인력에 투입하려 노력했고, 대부분이 추축국에 맞서 싸우기 위해 자발적으로 입대한 이들이었다. 그러나 브리튼 홈가드는 그딴거 없이 사실상 총알받이 그 이상도 되지 못했다.</ref>
 
아무튼 브리튼의 모두가 45년 초에 브리튼에 대규모의 협상국과 라이히스팍트 연합군이 상륙할 것이고, 곧 최후의 결전이 일어날 것이라는걸 알고 있었다. 문제는 그 위치와 규모였는데 확실한 것은 이제 그 누구도 브리튼의 승리를 이야기 하지 않았다.
 
연합군은 이제 서부전선에서 최종적인 승리를 앞두고 있었다. 라이히스팍트는 지난 대전쟁에 이어서 또다시 영국을 무릎 꿇리는 순간이었으며, 협상국은 드디어 영국 정부가 본토로 귀환하는 순간이었다. 브리튼 연방군은 이제 오합지졸이었고 마지막 한방만 내리치면 끝날터였지만 문제는 그 한방을 어떻게 내리치느냐였다. 브리튼 연방은 이제 패망을 앞두고 있었고, 그런만큼 악착같이 연합군의 상륙을 저지하기 위해 해안에 요새를 건설하고 모든 국민들을 전장에 내몰고 있었다. 브리튼에서의 전투는 일방적인 학살극이 될터였지만 독일군이 동부전선에서 겪고 있는 것처럼 참혹한 전장이 될 것이 분명했다. 전쟁의 끝을 앞두고서 연합군은 이제 자국의 청년들을 더 이상 전쟁터에서 잃고 싶지 않았고, 최대한 빠르게 그리고 적은 피해로 전쟁을 마무리 짓기를 바랐다.

2024년 11월 10일 (일) 01:08 기준 최신판

공지
| 빌레펠트 연재부
빌레펠트는 현재 노후문서재정비촉진사업을 진행중입니다. 현재 설정과 맞지 않는 문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투 목록 | 유럽/아프리카
[ 펼치기 · 접기 ]
전투 이름 교전국 및 교전 세력
공격측 방어측
1939년
독일 침공 프랑스 코뮌
브리튼 연방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스페인 사회주의 공화국
독일제국
벨기에
네덜란드
독일 본토 항공전 프랑스 코뮌
브리튼 연방
러시아국
독일제국
도나우 연방
엘자스-로트링겐 전역 프랑스 코뮌 독일제국
티롤 전투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도나우 연방
딜 계획 프랑스 코뮌
브리튼 연방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스페인 사회주의 공화국
독일제국
벨기에
네덜란드
론세 전차전 독일제국 프랑스 코뮌
브리튼 연방
브뤼셀 전투 프랑스 코뮌 독일제국
벨기에
1940년
아일랜드 전역 프랑스 코뮌
브리튼 연방
아일랜드
독일제국
켈트 해 해전 독일제국
아일랜드
브리튼 연방
라인 연습 작전 독일제국
아일랜드
브리튼 연방
포르투갈 침공 스페인 사회주의 공화국
프랑스 코뮌
브리튼 연방
포르투갈
캐나다 자치령
프랑스 공화국
북아프리카 전역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스페인 사회주의 공화국
프랑스 코뮌
브리튼 연방
미합중국
독일제국
오스만 제국
프랑스 공화국
포르투갈
캐나다 자치령
에티오피아 제국
아헨 전투 프랑스 코뮌
브리튼 연방
독일제국
라이히스페르타이티궁 프랑스 코뮌
브리튼 연방
독일제국
1941년
라인 강 대공세 프랑스 코뮌
브리튼 연방
스페인 사회주의 공화국
독일제국
프랑크푸르트 공방전 프랑스 코뮌 독일제국
바그라티온 작전 러시아국
세르비아
루마니아
그리스국
독일제국
도나우 연방
우크라이나
폴란드 왕국
벨로루시아
발트연합공국
리투아니아
핀란드 왕국
오스만 제국
불가리아 차르국
바브뤼스크-민스크 전투 러시아국 독일제국
벨로루시아
겨울전쟁 러시아국 핀란드 왕국
독일제국
캅카스 전투 러시아국 오스만 제국
함부르크 공방전 프랑스 코뮌
브리튼 연방
독일제국
덴마크 왕국
코르순-체르카시 포위전 러시아국 독일제국
우크라이나
도나우 연방
쿠를란트 공방전 러시아국 독일제국
발트연합공국
제1차 부다페스트 전투 러시아국
루마니아
도나우 연방
독일제국
자유 우크라이나군
쾨니히스베르크 공방전 러시아국 독일제국
베를린 공방전 러시아국 독일제국
자유 폴란드군
벨라루스 국민군
한니발 작전 독일제국
발트연합공국
리투아니아
핀란드 왕국
스웨덴 왕국
덴마크 왕국
러시아국
1942년
슈테틴 전투 독일제국 러시아국
천왕성 작전 러시아국
세르비아
루마니아
그리스국
크로아티아 독립국
독일제국
도나우 연방
우크라이나 망명정부
드레스덴 공방전 러시아국
세르비아
루마니아
그리스국
크로아티아 독립국
독일제국
도나우 연방
우크라이나 망명정부
청색 작전 독일제국 러시아국
루마니아
크로아티아 독립국
토성 작전 러시아국 독일제국
1943년
겨울폭풍 작전 독일제국 러시아국
포젠 전투 러시아국
세르비아
루마니아 왕국
그리스국
독일제국
도나우 연방
폴란드 망명정부
우크라이나 망명정부
벨로루시아 망명정부
성채 작전 독일제국
도나우 연방
폴란드 망명정부
우크라이나 망명정부
벨로루시아 망명정부
러시아국
세르비아
루마니아 왕국
그리스국
1944년
1945년
※시기 구분은 전투 및 교전 발생 일자 기준, 전투 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제2차 벨트크리그 | 주요 사건
[ 펼치기 · 접기 ]
연표 사건
1936년
2월
오스트리아의 이탈리아 공화국 철수 |
7월
스페인 내전 |
12월
미합중국 내전
1937년
5월
제7차 대타협 · 헝가리 반란 |
11월
사막전쟁
1938년
7월
하산 호 전투
1939년
9월
독일 침공(제2차 벨트크리그 발발) · 독일 본토 항공전 |
10월
엘자스-로트링겐 전역 · 브뤼셀 전투 |
11월
헬리펙스 회담
1940년
1월
아일랜드 전역 |
3월
켈트 해 해전 |
4월
비스마르크 추격전|
5월
암스테르담 철수 작전 |
6월
포항 상륙작전 |
7월
아헨 전투
1941년
2월
라인 강 대공세 · 프랑크푸르트 공방전 |
6월
바그라티온 작전(독러전쟁, 겨울전쟁 발발) |
7월
함부르크 공방전 · 대한 해협 돌파 작전 |
9월
쾨니히스베르크 포위전개성 전투 |
10월
베를린 공방전 |
11월
한니발 작전 |
12월
진주만 공습(태평양 전쟁 발발)
1942년
4월
백마고지 전투 |
7월
1차 엘 알라메인 전투 |
8월
드레스덴 공방전 |
10월
2차 엘 알라메인 전투
1943년
1월
트리폴리 회담 |
2월
제3차 브레슬라우 전투 |
7월
포젠 전투 |
12월
낫질 작전(아르덴 대공세)
1944년
5월
제3차 부산 전투 |
6월
마르세유 상륙작전 · 바르바로사 작전 |
7월
사빈코프 암살 미수 사건 |
8월
키이우 봉기 |
9월
샤른호르스트 작전
1945년
1월
아우구스투스의 몰락 작전(드네프르-돈 공세) |
1월
슈비네뮌데 회담 |
2월
브리튼 전투(바다사자 작전 · 귀향 작전 · 리즈 폭격) |
4월
모스크바 공방전 · 러시아국의 항복 |
8월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 일본인민공화국의 항복 |
9월
제2차 벨트크리그 종전
※ 매년 전황·추세 등 상세한 내용은 연표 해당 연도 참고
브리튼 전투
Battle of Britain
Operation Homecoming[1]/Great Restoration[2]
Die Schlacht am Festland von Großbritannien
Unternehmen Seelöwe[3]
제2차 벨트크리그서부전선의 일부
날짜 1945년 2월 5일~1945년 4월 22일
장소 브리튼 섬 전역
결과 연합군의 승리
영향 브리튼 연방의 패망
서부 전선의 종결
교전국
라이히스팍트
독일국
도나우 연방
덴마크 왕국
스웨덴 왕국
벨기에
네덜란드
아일랜드
에티오피아 제국
브라질
페루-볼리비아 연방


협상국
미합중국
캐나다 자치령
프랑스 공화국
로마 정부
포르투갈
스페인 과도 정부
오스트랄라시야 연방
남아프리카 연방
인도 자치령

제3 인터내셔널
브리튼 연방
병력
라이히스팍트
175만명
협상국
152만명
95만+명[4]
피해규모
전사 15만 6,542명
부상 22만 2,776명
실종 2,221명
전사 45만 9,547명
부상 57만 5,921명
포로 11만 6,532명
최소 수십만의 민간인 피해
지휘관
본토 전투에 대비하는 홈가드[5]

개요

우리는 제도에서 싸울 것입니다. 우리는 바다와 대양에서 싸울 것입니다. 우리는 자신감과 힘을 길러 하늘에서 싸울 것입니다. 우리는 그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우리의 섬을 탈환할 것입니다.

미래의 세대는 우리가 이곳에서 한 일을 되돌아보며 이렇게 말할 것입니다. 이 때야말로 우리 최고의 순간이었노라.
조지 5세의 생전 녹음 기록
그래, 빅 벤이 잘 보인다.
제1 팔슈름예거 사단 병사들의 무전 기록

제2차 벨트크리그의 막바지 연합국의 제3 인터내셔널의 대한 최후 공세이다. 아일랜드의 수복 이후 동부전선의 아우구스투스의 몰락 작전가 끝나는 시점에 맞춰 진행됐다. 협상국의 귀향 작전과 라이히스팍트의 바다사자 작전을 얻어맞은 브리튼 연방은 순식간에 무너졌다. 오스왈드 모슬리는 왕당파 반군의 런던 쿠데타로 사망하였으며, 쿠데타가 진압된 이후 정권을 넘겨 받은 모슬리의 최측근 존 스트레이치가 노팅엄에서 연합국에게 항복하여 브리튼 연방이 패망함으로써 39년 부터 6년동안 진행된 서부전선이 끝났다.

배경

1945년 서부전선의 상황

유럽전선이 끝을 향해 달려가던 1945년의 상황은 추축국에겐 재앙 그 자체였다. 동부전선에선 라이히스팍트의 아우구스투스의 몰락 작전를 얻어맞은 러시아는 이제 수도 모스크바가 전선 도시가 된 마당이었고, 서부전선에선 브리튼 연방을 제외한 모든 인터내셔널 국가가 함락된 상황이었다. 그나마 간신히 붙들고 있던 아일랜드 마저 라이히스팍트와 협상국의 연합작전으로 탈환 당했다. 브리튼 상공을 가득 메운 연합군의 공군과 독일의 V 로켓은 브리튼 연방의 모든 인프라, 도시, 산업을 초토화 시키고 있었다.

연방군의 상황은 더욱 절망적이었는데, 한때 카이저마리네의 간담을 서늘게 했던 연방 함대는 진작 괴멸됐고 앞서 서술 했듯이 공군 또한 연합군의 폭격기를 요격하는 것 자체도 버거웠다. 육군 또한 프랑스 코뮌이 무너질 때 대부분이 유럽 대륙을 탈출하지 못하고 고립되어 대부분의 정예 병력을 손실했고, 이미 2, 30대의 젊은 청년층은 모조리 군에 동원해버린터라 40대와 50대의 중년들을 동원하는 것도 모자라서 "홈가드"를 창설해 지역 방위 부대를 만들었는데, 명목상 17세에서 50대까지의 건장한 남성들을 동원하는 것이었지만 실상은 10살 밖에 안되는 어린 소년부터 70세를 넘어가는 노인. 그리고 장애인들과 여성들까지 모조리 동원한 상황이었다.[6]

아무튼 브리튼의 모두가 45년 초에 브리튼에 대규모의 협상국과 라이히스팍트 연합군이 상륙할 것이고, 곧 최후의 결전이 일어날 것이라는걸 알고 있었다. 문제는 그 위치와 규모였는데 확실한 것은 이제 그 누구도 브리튼의 승리를 이야기 하지 않았다.

연합군은 이제 서부전선에서 최종적인 승리를 앞두고 있었다. 라이히스팍트는 지난 대전쟁에 이어서 또다시 영국을 무릎 꿇리는 순간이었으며, 협상국은 드디어 영국 정부가 본토로 귀환하는 순간이었다. 브리튼 연방군은 이제 오합지졸이었고 마지막 한방만 내리치면 끝날터였지만 문제는 그 한방을 어떻게 내리치느냐였다. 브리튼 연방은 이제 패망을 앞두고 있었고, 그런만큼 악착같이 연합군의 상륙을 저지하기 위해 해안에 요새를 건설하고 모든 국민들을 전장에 내몰고 있었다. 브리튼에서의 전투는 일방적인 학살극이 될터였지만 독일군이 동부전선에서 겪고 있는 것처럼 참혹한 전장이 될 것이 분명했다. 전쟁의 끝을 앞두고서 연합군은 이제 자국의 청년들을 더 이상 전쟁터에서 잃고 싶지 않았고, 최대한 빠르게 그리고 적은 피해로 전쟁을 마무리 짓기를 바랐다.

  1. 귀향 작전
  2. 대수복
  3. 바다사자 작전
  4. 무분별한 징집과 홈가드로 인해 정확한 병력 추산 불가능
  5.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대부분이 징병연령이 한참 지난 노인들까지 모은 모습을 알 수 있다. 군복은 커녕 완장 조차도 겨우 지급한 모습.
  6. 물론 독일군도 비슷한 국민돌격대라는 병력을 조직했었지만 적어도 독일군들은 이들을 후방 인력에 투입하려 노력했고, 대부분이 추축국에 맞서 싸우기 위해 자발적으로 입대한 이들이었다. 그러나 브리튼 홈가드는 그딴거 없이 사실상 총알받이 그 이상도 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