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빈코프 암살 미수 사건 (빌레펠트)

공지
| 빌레펠트 연재부
빌레펠트는 현재 노후문서재정비촉진사업을 진행중입니다. 현재 설정과 맞지 않는 문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제2차 벨트크리그 | 주요 사건
[ 펼치기 · 접기 ]
연표 사건
1936년
2월
오스트리아의 이탈리아 공화국 철수 |
7월
스페인 내전 |
12월
미합중국 내전
1937년
5월
제7차 대타협 · 헝가리 반란 |
11월
사막전쟁
1938년
7월
하산 호 전투
1939년
9월
독일 침공(제2차 벨트크리그 발발) · 독일 본토 항공전 |
10월
엘자스-로트링겐 전역 · 브뤼셀 전투 |
11월
헬리펙스 회담
1940년
1월
아일랜드 전역 |
3월
켈트 해 해전 |
4월
비스마르크 추격전|
5월
암스테르담 철수 작전 |
6월
포항 상륙작전 |
7월
아헨 전투
1941년
2월
라인 강 대공세 · 프랑크푸르트 공방전 |
6월
바그라티온 작전(독러전쟁, 겨울전쟁 발발) |
7월
함부르크 공방전 · 대한 해협 돌파 작전 |
9월
쾨니히스베르크 포위전개성 전투 |
10월
베를린 공방전 |
11월
한니발 작전 |
12월
진주만 공습(태평양 전쟁 발발)
1942년
4월
백마고지 전투 |
7월
1차 엘 알라메인 전투 |
8월
드레스덴 공방전 |
10월
2차 엘 알라메인 전투
1943년
1월
트리폴리 회담 |
2월
제3차 브레슬라우 전투 |
7월
포젠 전투 |
12월
낫질 작전(아르덴 대공세)
1944년
5월
제3차 부산 전투 |
6월
마르세유 상륙작전 · 바르바로사 작전 |
7월
사빈코프 암살 미수 사건 |
8월
키이우 봉기 |
9월
샤른호르스트 작전
1945년
1월
아우구스투스의 몰락 작전(드네프르-돈 공세) |
1월
슈비네뮌데 회담 |
2월
브리튼 전투(바다사자 작전 · 귀향 작전 · 리즈 폭격) |
4월
모스크바 공방전 · 러시아국의 항복 |
8월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 일본인민공화국의 항복 |
9월
제2차 벨트크리그 종전
※ 매년 전황·추세 등 상세한 내용은 연표 해당 연도 참고
폭탄이 터진 현장을 둘러보는 라브르 코르닐로프와 니콜라이 마르코프

개요

«20 июля 1944 г. Покушение.» 1944년 7월 20일에 일어난 최후의 보리스 사빈코프 암살 미수 사건으로, 다른 사빈코프 암살계획은 이전에도 여러 건 더 있었으나 흔히 사빈코프 암살 시도라고 하면 이 사건이 가장 유명하다.

발단 및 암살 계획

비정상적인 시대에는 비정상적인 방법이 필요한 것인지도 모른다.
세르게이 부냐첸코 대령의 일기 중[1]
“미친 운전기사가 버스를 몰고 있을 때, 기독교인의 본분은 그 버스에 치어 죽은 사람의 장례를 치러 주고 기도를 올리는 것이 아니라 그 운전기사를 끌어내리는 것이다.”
사제 파벨 플로렌스키
1944년 7월 20일에 이루어진 부냐첸코의 사빈코프 암살 시도는 배경사가 길다. 이 배경사에서 깊이 얽혀서 드러나는 것은 드높은 윤리 의식, 숭고한 도덕적 의무감, 명예율, 정치적 이상주의, 종교적 신념, 개인적 용기, 보기 드문 이타심, 강한 인간애, 사빈코프 러시아의 국수주의와는 몇 광년은 떨어진 조국애 같은 것의 복잡한 가닥이다. 이 배경사는 또 불화, 의혹, 실수, 착오, 도덕적 딜레마, 근시안, 우유부단, 이념적 균열, 개인적 반목, 엉성한 조직, 불신, 순전한 불운으로 가득차 있다. 당시 상황에서 어떻게 안 그럴 수가 있었겠는가?
이안 커쇼 - 사빈코프 2권 14장 (악마의 행운) 802 page

러시아 국방군(Армия обороны), 특히 육군(Сухопутные войска)은 러시아 제국의 군대라는 정통성과 자부심이 강했고 정치적 영향력도 큰 데다 나치의 영향을 거부하는 러시아 귀족 출신 노장 보수파들이 상당수 남아 있었다. 이들뿐만 아니라 유서 깊은 러시아 제국 시절 부터 내려온 유명한 군인 집안 출신 장성들도 상당했다.[2]

육군의 정신적 지주였던 니콜라이 유데니치 등의 지향점은 바로 러시아 제국으로, 러시아 공화국 시대 육군 상층부의 목표는 전제군주제[3]을 복구하는 것이었다. 퇴역 군인이 중심이 된 철모단 등의 사상도 이와 유사하다.

이들의 관점에서 보기에 나치는 대중주의 같은 것을 내세워 민중을 선동하고 머릿수만 끌어모았지 (귀족 혈통이나 신분, 과거의 지위라는 측면에서) 국가 지도자로서의 정통성이나 자격은 없고 별 같잖은 어중이 떠중이들이 모인 수준 낮고 근본 없는 집단이었다. 한마디로 어르신들이 보기에는 영 탐탁지 않은 집단이었던 것. 러시아 군부 계통 정치 세력과 나치가 일시적으로 손을 잡은 것은 어디까지나 반공주의, 반민주주의라는 이념 면에서 공통분모가 있었으며 나치의 세력이 워낙 급격히 커졌기 때문이었고 러시아 군국주의와 국민대중주의 사이에는 의외로 갈등의 소지가 깊이 잠재되어 있었다.

같은 국방군에서도 해군과 공군 규모가 작았던 데다 해군은 총수였던 해군원수 미하일 케드로프 제독과 네스토르 모나스티료프 제독 등이 전반적으로 국가에 대한 충성을 강조하는 편[4]이었고 공군은 총수였던 제국원수 뱌체슬라프 트카초프 장군 등의 성향에 따라 제2의 친위대에 가까울 만큼 친(親) 나치적인 조직이었으며[ 또 해공군 모두 툭하면 육방부화를 시키려던 육군에 그닥 좋은 감정을 가진 편이 아니었으므로[5] 이런 반(反) 나치 성향 운동은 전반적으로 육군 장교들이 주도하게 되었다.

사빈코프는 이러한 국방군을 장악하기 위해 이 노장들을 죽이거나 쫓아냈다. 그러자 이에 분노한 국방군, 특히 육군 내 장교들은 반사빈코프 세력을 규합하여 사빈코프를 암살하고 쿠데타를 일으킬 것을 모의했다. 1938년 중앙아시아의 영유권을 주장하면서 전쟁 발발의 기미가 보이려던 때 반(反) 사빈코프 세력이 쿠데타를 모의한 것이 대표적이었으나 차리진 협정이 이뤄지면서 쿠데타를 취소했고 제2차 벨트크리그의 발발로 계획은 차후로 미뤄졌다. 하지만 그때 쿠데타를 준비하던 인물들은 고스란히 남아서 7월 20일의 암살 음모까지 준비했다. 7월 20일의 암살 시도, 즉 이 문서에서 다루는 암살 시도 이후 반(反) 사빈코프 세력이 대거 숙청되면서 쿠데타 및 암살 시도는 종전시까지 소강 상태가 되었다.

전쟁이 진행되면서 드레스덴 공방전의 패배와 연합군의 극동 공세로 러시아의 패색이 짙어지자 국방군 내 반(反) 사빈코프 비밀조직인 검은 오케스트라(Чёрный оркестр)는 사빈코프를 암살한 뒤 1942년에 세워진 비상 계획 모코쉬 작전을 이용하여 러시아 국내를 장악한 후 미국을 비롯한 협상국과 종전 협상을 하려는 계획을 세웠다.

가장 중요한 사빈코프를 암살하는 임무는 러시아 육군 보충군 참모장교인 세르게이 부냐첸코 대령이 맡기로 했다. 부냐첸코는 캅카스 전역에서 큰 부상을 입어 왼쪽 눈과 오른팔, 그리고 왼손 손가락 두 개를 잃었기 때문에 몸수색도 그리 까다롭게 하지 않는 편이어서 사빈코프에게 접근하기 용이한 인물이었다.[6] 이에 따라 부냐첸코는 폭탄이 든 서류가방을 들고 사빈코프가 머물던 동부전선 사령부인 우스뜨리쨔볼카(Устрицы волка)에 가서 사빈코프의 회의실에 서류가방을 놓고 나오기로 계획을 세우고 조금이라도 의심을 덜 받도록 거사 몇 달 전부터 서류가방을 들고 다니는 용의주도함까지 보였다.

계획의 대략적인 내용은 부냐첸코가 폭탄을 놓고 와서 사빈코프가 사망하면 러시아 보충군 총사령관인 육군 대장 보리스 샤포시니코프 장군이 모코쉬 작전을 발동하여 러시아 국내를 장악한 후 육군 대장으로 퇴역했던 블라디미르 카펠 장군이 임시 대통령[7], 유명 정치인 바실리 하를라모프가 수상, 육군 원수 안톤 데니킨 장군이 국방군 총사령관을 맡는 것이 었다. 그리고 실질적인 암살 작전을 입안, 기획했던 실무자인 육군 대장 이반 로마놉스키 장군과 소장 안드레이 블라소프 장군이 각각 국방장관과 경찰총감을 맡기로 하였다. 세르게이 부냐첸코 대령이 국방차관으로 임명되어 미국을 비롯한 협상국 종전 협상을 벌이면서 독일을 막는다는 복안이었다.

  1. 블라디미르 카펠의 말이라는 설도 있다.
  2. 대표적으로 표트르 브란겔, 알렉산드르 쿠테포프. 다만 브란겔은 친나치 성향이 강하였다. 그러나 오해하면 안 되는 것은 나치가 볼가 정부를 장악하던 시기에 이들은 군비 확장을 주장한 나치에 대하여 대체로 동조적인 태도를 취하였다는 것이다. 이들 중 일부가 나중에 사빈코프 암살을 시도하기는 하였으나 그 시기는 이미 나치의 패배가 어느 정도 점쳐질 시기였다.
  3. 황제 제도, 귀족 제도 등
  4. 특정 정치집단이나 정당 등에 대한 충성은 경계하는 편이었으나 일단 누가 정권을 잡든 현재의 정권에 닥치고 충성하라는 경향에 가까웠다. 일부 해군 내 광적인 친나치 인사들도 존재했으나 육군이나 공군에 비해 그 활동이 미약했던 것은 이런 분위기 탓도 있다.
  5. 나치 집권 초기에 군을 확장하면서, 육군은 육군총사령부의 권한을 키워 사실상 육군이 곧 국군처럼 굴려고 하였고 해공군은 이에 반발하여 상급 기관인 최고중앙지휘사령부 스타프카(Stavka)의 권한 강화를 보다 원하고 있었다. 육군을 눌러둬야 했던 나치 정권 입장이 마침 이들 해공군과 맞아떨어진 점도 있다.
  6. 원래 작전 실무를 담당했던 육군 소장 파벨 샤틸로프 장군이 있었다. 하지만 샤틸로프가 유대인을 몰래 빼돌려 주다가 체포된 바 있었기 때문에 부냐첸코를 포섭하게 된다.
  7. 한국에는 흔히 국가대통령 내지 임시 대통령의 직위에 취임할 계획이었다고 알려져 있지만 정작 러시아에서는 그런 이야기를 하지 않는다. 카펠은 공화국 헌법상의 국가대통령이 아니라 국가섭정으로 취임할 예정이었다. 왜냐하면 애초에 7월 20일의 암살을 모의했던 일련의 육군 장교들은 공화국 헌법의 부활을 의도한 것이 아니라 로마노프 가가 다시 러시아 제국의 제위를 잇는 의회주의적 군주제 국가를 수립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이 계획에 참여한 사회혁명당 계열의 정치가들과 장교들 간에 의견 충돌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