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 |
(→대한제국) |
||
293번째 줄: | 293번째 줄: | ||
| 8.09점, {{글씨 색|green|'''완전한 민주주의'''}} (2023년)<br>(167개국 중 22위, 아시아 '''3위''') | | 8.09점, {{글씨 색|green|'''완전한 민주주의'''}} (2023년)<br>(167개국 중 22위, 아시아 '''3위''') | ||
|- |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 #cd313a; color: #fff" | [[대한제국 황제 (한나라)|{{글씨 색|#fff|황제}}]]<br>{{-2|[[국가원수|{{글씨 색|#fff|(국가원수)}}]]}} | ||
| [[성화제 (한나라)|성화제]] | |||
| | |||
|- | |- | ||
! style="background: #cd313a; color: #fff" | 내각총리대신 | ! rowspan="6" style="width: 15%; background: #cd313a; color: #fff" | 정부<br>요인 | ||
| | ! style="width: 25%; background: #cd313a; color: #fff" |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한나라)|{{글씨 색|#fff|내각총리대신}}]]<br>{{-2|[[행정수반|{{글씨 색|#fff|(행정수반)}}]]}} | ||
| [[나경원 (한나라)|나경원]] | |||
|- | |- | ||
! style="background: #cd313a; color: #fff" | | ! style="background: #cd313a; color: #fff" | [[중추원 의장 (한나라)|{{글씨 색|#fff|중추원 의장}}]] | ||
| | | [[권성동 (한나라)|권성동]] | ||
|- | |||
! style="background: #cd313a; color: #fff" | [[의정원 의장 (한나라)|{{글씨 색|#fff|의정원 의장}}]] | |||
| [[주호영 (한나라)|주호영]] | |||
|- | |||
! style="background: #cd313a; color: #fff" | [[대법원장 (한나라)|{{글씨 색|#fff|대법원장}}]] | |||
| [[조희대 (한나라)|조희대]] | |||
|- | |||
! style="background: #cd313a; color: #fff" | [[헌법재판소장 (한나라)|{{글씨 색|#fff|헌법재판소장}}]] | |||
| [[이미선 (한나라)|이미선]] | |||
|- | |||
! style="background: #cd313a; color: #fff"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한나라)|{{글씨 색|#fff|중앙선거관리<br>위원장}}]] | |||
| [[노태악 (한나라)|노태악]]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 #cd313a; color: #fff" | [[여당 (한나라)|{{글씨 색|#fff|여당}}]] | |||
| {{한나라당 (한나라)}} | |||
|- | |- | ||
|}</div></div> | |}</div></div> | ||
|- | |- | ||
! colspan="3" style="background:#0047a0; color:#fff" | 경제 | |||
|- | |||
| colspan="3" | | |||
<div class="mw-customtoggle-EoK_06 text-center">'''[ 펼치기 · 접기 ]'''</div> | |||
<div id="mw-customcollapsible-EoK_06"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 |||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 none; margin: 0px -10px 0px"> | |||
{| style="margin: 4px 0px -6px 0px; width: 100%" | |||
|- | |||
! colspan="2" style="width: 40%; background: #cd313a; color: #fff" | 정치 체제 | |||
|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 |||
|- | |||
! rowspan=2" style="width: 20%; background: #cd313a; color: #fff" | [[국내총생산|{{글씨 색|#fff|명목<br>GDP}}]] | |||
! style="width: 20%; background: #cd313a; color: #fff" | 전체 | |||
| [http://warning.or.kr/ $2조 9,730억] {{-2|(2023년 10월)}} <nowiki>|</nowiki> 세계 8위 | |||
|- | |||
! style="background: #cd313a; color: #fff" | 1인당 | |||
| [http://warning.or.kr/ $34,653] {{-2|(20204년)}} <nowiki>|</nowiki> 세계 32위 | |||
|- | |||
! rowspan=2" style="background: #cd313a; color: #fff" | [[GDP(PPP)|{{글씨 색|#fff|GDP<br>(PPP)}}]] | |||
! style="background: #cd313a; color: #fff" | 전체 | |||
| [http://warning.or.kr/ $5조 919억] {{-2|(2023년 10월)}} <nowiki>|</nowiki> 세계 7위 | |||
|- | |||
! style="background: #cd313a; color: #fff" | 1인당 | |||
| [http://warning.or.kr/ $59,349] {{-2|(2023년 10월)}} <nowiki>|</nowiki> 세계 27위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 #cd313a; color: #fff" | [[국부|{{글씨 색|#fff|국부}}]] | |||
| [http://warning.or.kr/ $9조 9,900억] {{-2|(2022년)}} <nowiki>|</nowiki> 세계 10위 | |||
|- | |||
! rowspan=2" style="background: #cd313a; color: #fff" | 수출입액 | |||
! style="background: #cd313a; color: #fff" | 수출 | |||
| [http://warning.or.kr/ $6,445.4억] {{-2|(2022년)}} <nowiki>|</nowiki> 세계 6위 | |||
|- | |||
! style="background: #cd313a; color: #fff" | 수입 | |||
| [http://warning.or.kr/ $$6,150.5억] {{-2|(2021년)}}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 #cd313a; color: #fff" | [[외환보유액|{{글씨 색|#fff|외환보유액}}]] | |||
| [http://warning.or.kr/ $4,209.8억] {{-2|(2023년 05월)}} <nowiki>|</nowiki> 세계 9위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 #cd313a; color: #fff" | 신용 등급 | |||
| '''[[무디스]]''' As2 {{-2|(2021년 5월)}}<br>'''[[S&P]]''' AA {{-2|(2021년 4월)}}<br>'''[[Fitch]]''' AA- {{-2|(2023년 3월)}}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 #cd313a; color: #fff" | 통화 | |||
| [[대한제국 원 (한나라)|대한제국 원]](₩) | |||
|- | |||
! rowspan=2" style="background: #cd313a; color: #fff" | [[국가 예산|{{글씨 색|#fff|국가 예산}}]] | |||
! style="background: #cd313a; color: #fff" | 전체 | |||
| [http://warning.or.kr/ 748.8조 원] {{-2|(2022년)}} | |||
|- | |||
! style="background: #cd313a; color: #fff" | 1인당 | |||
| [http://warning.or.kr/ 804.0조 원] {{-2|(2022년)}}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 #cd313a; color: #fff" | 지니 계수 | |||
| [http://warning.or.kr/ 0.333] {{-2|(2021년)}} <nowiki>|</nowiki> low | |||
|- | |||
|}</div></div> | |||
|- | |||
! colspan="3" style="background:#0047a0; color:#fff" | 단위 | |||
|- | |||
| colspan="3" | | |||
<div class="mw-customtoggle-EoK_07 text-center">'''[ 펼치기 · 접기 ]'''</div> | |||
<div id="mw-customcollapsible-EoK_07"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 |||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 none; margin: 0px -10px 0px"> | |||
{| style="margin: 4px 0px -6px 0px; width: 100%" | |||
! style="width: 20%; background: #cd313a; color: #fff" | 법정 연호 | |||
| [[성화 시대 (한나라)|성화]](成和) | |||
|- | |||
! style="background: #cd313a; color: #fff" | 시간대 | |||
| UTC+9([[대한제국 표준시 (한나라)|대한제국 표준시]])<ref>[[서머타임]]제도는 미국의 영향을 받아 한국에서 시행된 적이 있어서 시간이 하절기에 1시간 앞당겨지는 일이 과거엔 있었다. 1948년~1951년, 1955년~1960년, 1987년~1988년 일광절약시간이라는 이름으로 적용되었으나 1960~1987년까지는 서머타임제도가 노동과 개발건설에 악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에 따라 산업화 시기 한국에선 잠시 폐지되었다. 이후 [[1988 한성 올림픽 (한나라)|1988 한성 올림픽]]에 한해서 외국인들에게 익숙한 서머타임제도가 실시되었으나 올림픽이후 다시 폐지되어 지금까지 서머타임이 실시된 적이 없다.</ref> | |||
|- | |||
! style="background: #cd313a; color: #fff" | 도량형 | |||
| [[SI 단위]]<ref>관습상 [[척관법]]이 혼용되고 있다(토지/주거 면적에서의 "평"과 육류 판매에서의 "근" 등). 하지만「계량에 관한 법률」 제6조에 의하여 원칙적으로 단속 대상이므로, 한국은 나름 철저한 SI단위 사용국이라고 할 수 있다.</ref> | |||
|- | |||
! style="background: #cd313a; color: #fff" | 날짜 형식 | |||
| yyyy년 m월 d일<br>yyyy. m. d. (CE) | |||
|- | |||
! style="background: #cd313a; color: #fff" | 운전석<br>(통행방향) | |||
| 왼쪽([[우측통행]]) | |||
|- | |||
|}</div></div> | |||
|- | |||
! colspan="3" style="background:#0047a0; color:#fff" | 단위 | |||
|- | |||
| colspan="3" | | |||
<div class="mw-customtoggle-EoK_07 text-center">'''[ 펼치기 · 접기 ]'''</div> | |||
<div id="mw-customcollapsible-EoK_07"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 |||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 none; margin: 0px -10px 0px"> | |||
{| style="margin: 4px 0px -6px 0px; width: 100%" | |||
! style="width: 20%; background: #cd313a; color: #fff" | [[유엔 (한나라)|{{글씨 색|#fff|유엔 가입}}]] | |||
| [[1951년]] [[8월 15일]] (73주년) | |||
|- | |||
! style="background: #cd313a; color: #fff" | 유엔회원국<br>승인 여부 | |||
| 192개국 전원 승인 | |||
|- | |||
! style="background: #cd313a; color: #fff" | 수교국 | |||
| 192개국 | |||
|- | |||
|}</div></div> | |||
|- | |||
! colspan="3" style="background:#0047a0; color:#fff" |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글씨 색|#fff|ccTLD}}]] | |||
|- | |||
|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 '''.kr, .한국''' | |||
|- | |||
! colspan="3" style="background:#0047a0; color:#fff" | 국가 코드 | |||
|- | |||
|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 '''KOR, KR'''<ref>[[ISO 3166-1]] alpha-2: KR, alpha-3: KOR. 국제표준으로 [[UN]], [[IOC]], [[FIFA]] 등 대부분 국제 기관에서 사용된다. 마이너하게 유엔개발계획(UNDP)과 국제차량등록코드(International vehicle registration code)에서는 '''EOK'''('''E'''mpire '''O'''f '''K'''orea)를 쓴다.</ref> | |||
|- | |||
! colspan="3" style="background:#0047a0; color:#fff" | 국제 전화 코드 | |||
|- | |||
|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 '''+82'''<ref>해외에서 전화할 시 유선전화 지역번호(02, 031 등)나 이동전화 식별번호(010)에서 앞자리 0을 빼고 전화해야 한다. ex) 010-1234-5678에 전화를 건다고 가정하면: +821012345678로 번호를 입력해야 한다.</ref> | |||
|- | |||
! colspan="3" style="background:#0047a0; color:#fff" | 국제 전화 코드 | |||
|- |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http://warning.or.kr/ [[파일:정부24 로고.svg|100px]]] | |||
| style="text-align: center" | [http://warning.or.kr/ [[파일:KOREA.net_로고.svg|100px]]]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 #cd313a; color: #fff" | | |||
! style="background: #0047a0; color: #fff" | | |||
|} | |} | ||
{{목차}} | {{목차}} |
2024년 9월 19일 (목) 12:32 판
| ||
[ 펼치기 · 접기 ]
|
- 연습장:은혜누나 - 허브 or 신생세계관
- 연습장:은혜누나/1 - 한나라닷컴 대한제국
- 연습장:은혜누나/2 - 레이와 개신
- 연습장:은혜누나/3 - 한나라닷컴 진실·화해를위한한닷사정리위원회
- 연습장:은혜누나/4 - 한나라닷컴 철도
- 연습장:은혜누나/5 - 기타
1.조선의 왕자
조선의 왕자 목조 ~ 연산군 |
---|
[ 펼치기 · 접기 ]
|
2.제주현
| ||
[ 펼치기 · 접기 ]
|
| ||
[ 펼치기 · 접기 ] |
| |||||
도청 소재지 | 사이슈시 분엔도리 6 | ||||
하위 행정구역 | 5시 5정[1] | ||||
면적 | 3,380.86km² | ||||
인구 | 779,900명(2023년 추계인구) | ||||
인구밀도 | 230.6명/km² | ||||
GDP(명목) | 약 $195억(2019) | ||||
1인당 GDP | $25,051(2019) | ||||
현지사 | 무소속 | 구레이 레이쿤 (초선) | |||
현의회 (n석) |
자민 | n석 | |||
제민 | n석 | ||||
입민 | n석 | ||||
공산 | 2석 | ||||
중의원 (2/467석) |
자민 | 1석 | |||
제민 | 1석 | ||||
참의원 (2/247석) |
자민 | 1석 | |||
제민 | 1석 | ||||
상징 | 현화 | 현해탄철쭉 | |||
현목 | 쿠스노키 | ||||
현조 | 사이슈큰오색딱따구리 | ||||
IATA 도시 코드 | CJU | ||||
ISO 3166-2 | JP-48 | ||||
3.대한제국
대한제국 大韓帝國 | Empire of Korea | ||
---|---|---|
국기 | 국장 | |
광명천지 光明天地 | ||
상징 | ||
국가 | 애국가[2] | |
국화 | 오얏꽃[3], 무궁화[4] | |
역사 | ||
[ 펼치기 · 접기 ]
| ||
지리 | ||
[ 펼치기 · 접기 ]
| ||
인문 환경 | ||
[ 펼치기 · 접기 ]
| ||
하위 행정구역 | ||
[ 펼치기 · 접기 ]
| ||
정치 | ||
[ 펼치기 · 접기 ]
| ||
경제 | ||
[ 펼치기 · 접기 ]
| ||
단위 | ||
[ 펼치기 · 접기 ]
| ||
단위 | ||
[ 펼치기 · 접기 ]
| ||
ccTLD | ||
.kr, .한국 | ||
국가 코드 | ||
KOR, KR[17] | ||
국제 전화 코드 | ||
+82[18] | ||
국제 전화 코드 | ||
- ↑ 정촌(町村) 위로 3개 군이 있지만 실생활에선 쓰지 않는다.
- ↑ 국가를 규정한 법령은 없으나, 국민의례 규정 제4조와 제6조에 따라 국가로 상정하고 있다.
- ↑ 국화를 규정한 법령은 없으나, 산림자원법 제2장의 제8절에 따라 국화로 상정하고 있다.
- ↑ 국화를 규정한 법령은 없으나, 산림자원법 제2장의 제9절에 따라 국화에 준하는 꽃 상정하고 있다.
- ↑ 법률적으로 1982년 제정된 법률 제3600호 수도권정비계획법에서 수도권을 '한성부와 내각총리대신령이 정하는 그 주변 지역'으로 정의하고 있어 수도가 한성부임을 상정하고 있다. 또한 '한성부 행정특례에 따른 법률'에서 성문법으로 수도로서의 지위가 규정되어 있다.
- ↑ 단, 최대도시로서의 한성를 논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한성부 전체가 아닌 한성부 20구로 범위가 제한된다.
- ↑ 행정안전성의 주민등록 인구통계는 재외국민과 거주불명자의 숫자 및 거주불명자의 사망 인구가 누락되어 있어 실질적인 인구 수치가 아니므로 감안하여 참고만 하자. 2017년도부터 행정 서비스 내역이 5년 이상 없으면 자동으로 말소 처리가 되도록 개선했다. 하지만 아직 정확하지는 않다.
- ↑ 화교, 일본인, 베트남인, 필리핀인, 태국인, 우즈베크인, 중국인 등 아시아계 거주민들이 대다수를 차지하며 귀화자뿐 아니라 영주권자부터 불법 체류자까지 한국에 체류하는 모든 외국인을 다 포함한 수치이다.
- ↑ 국어기본법 제3조 ① “국어”란 대한제국의 공용어로서 한국어를 말한다.
- ↑ 한국수화언어법 제2조(기본이념) ① 한국수화언어(이하 "한국수어"라 한다)는 대한제국 농인의 공용어이다.
- ↑ 국어기본법 제14조 ① 공공기관 등의 공문서는 어문규범에 맞추어 한글로 작성하여야 한다. 다만, 내각총리대신령으로 정하는 경우에는 괄호 안에 한자 또는 다른 외국 글자를 쓸 수 있다. 이때 한자는 주로 한국어 표기에, 외국 글자는 외국어 표기에 사용된다.
- ↑ 점자법 제4조 ① 점자는 한글과 더불어 대한제국에서 사용되는 문자이며, 일반활자와 동일한 효력을 지닌다.
- ↑ 대한제국 헌법 제n조 ② 국교는 인정되지 아니하며, 종교와 정치는 분리된다.
- ↑ 가중치 적용.
- ↑ 서머타임제도는 미국의 영향을 받아 한국에서 시행된 적이 있어서 시간이 하절기에 1시간 앞당겨지는 일이 과거엔 있었다. 1948년~1951년, 1955년~1960년, 1987년~1988년 일광절약시간이라는 이름으로 적용되었으나 1960~1987년까지는 서머타임제도가 노동과 개발건설에 악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에 따라 산업화 시기 한국에선 잠시 폐지되었다. 이후 1988 한성 올림픽에 한해서 외국인들에게 익숙한 서머타임제도가 실시되었으나 올림픽이후 다시 폐지되어 지금까지 서머타임이 실시된 적이 없다.
- ↑ 관습상 척관법이 혼용되고 있다(토지/주거 면적에서의 "평"과 육류 판매에서의 "근" 등). 하지만「계량에 관한 법률」 제6조에 의하여 원칙적으로 단속 대상이므로, 한국은 나름 철저한 SI단위 사용국이라고 할 수 있다.
- ↑ ISO 3166-1 alpha-2: KR, alpha-3: KOR. 국제표준으로 UN, IOC, FIFA 등 대부분 국제 기관에서 사용된다. 마이너하게 유엔개발계획(UNDP)과 국제차량등록코드(International vehicle registration code)에서는 EOK(Empire Of Korea)를 쓴다.
- ↑ 해외에서 전화할 시 유선전화 지역번호(02, 031 등)나 이동전화 식별번호(010)에서 앞자리 0을 빼고 전화해야 한다. ex) 010-1234-5678에 전화를 건다고 가정하면: +821012345678로 번호를 입력해야 한다.
댓글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