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르순-체르카시 포위전 (빌레펠트):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9번째 줄: 19번째 줄:
|-
|-
! style="background:#536349; color:#fff;" | 영향
! style="background:#536349; color:#fff;" | 영향
| colspan="2" | 판터-보탄 라인의 붕괴<br>우크라이나 방면 독일군의 궤멸적인 피해
| colspan="2" | 판터-보탄 라인의 붕괴<br>남부집단군의 궤멸적 피해
|-
|-
| colspan="3" |
| colspan="3" |

2024년 11월 11일 (월) 13:54 기준 최신판

공지
| 빌레펠트 연재부
빌레펠트는 현재 노후문서재정비촉진사업을 진행중입니다. 현재 설정과 맞지 않는 문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투 목록 | 유럽/아프리카
[ 펼치기 · 접기 ]
전투 이름 교전국 및 교전 세력
공격측 방어측
1939년
독일 침공 프랑스 코뮌
브리튼 연방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스페인 사회주의 공화국
독일제국
벨기에
네덜란드
독일 본토 항공전 프랑스 코뮌
브리튼 연방
러시아국
독일제국
도나우 연방
엘자스-로트링겐 전역 프랑스 코뮌 독일제국
티롤 전투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도나우 연방
딜 계획 프랑스 코뮌
브리튼 연방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스페인 사회주의 공화국
독일제국
벨기에
네덜란드
론세 전차전 독일제국 프랑스 코뮌
브리튼 연방
브뤼셀 전투 프랑스 코뮌 독일제국
벨기에
1940년
아일랜드 전역 프랑스 코뮌
브리튼 연방
아일랜드
독일제국
켈트 해 해전 독일제국
아일랜드
브리튼 연방
라인 연습 작전 독일제국
아일랜드
브리튼 연방
포르투갈 침공 스페인 사회주의 공화국
프랑스 코뮌
브리튼 연방
포르투갈
캐나다 자치령
프랑스 공화국
아헨 전투 프랑스 코뮌
브리튼 연방
독일제국
라이히스페르타이티궁 프랑스 코뮌
브리튼 연방
독일제국
1941년
라인 강 대공세 프랑스 코뮌
브리튼 연방
스페인 사회주의 공화국
독일제국
프랑크푸르트 공방전 프랑스 코뮌 독일제국
바그라티온 작전 러시아국
세르비아
루마니아
그리스국
독일제국
도나우 연방
우크라이나
폴란드 왕국
벨로루시아
발트연합공국
리투아니아
핀란드 왕국
오스만 제국
불가리아 차르국
겨울전쟁 러시아국 핀란드 왕국
독일제국
북아프리카 전역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스페인 사회주의 공화국
프랑스 코뮌
브리튼 연방
미합중국
독일제국
오스만 제국
프랑스 공화국
포르투갈
캐나다 자치령
에티오피아 제국
캅카스 전투 러시아국 오스만 제국
함부르크 공방전 프랑스 코뮌
브리튼 연방
독일제국
덴마크 왕국
코르순-체르카시 포위전 러시아국 독일제국
우크라이나
도나우 연방
쾨니히스베르크 포위전 러시아국 독일제국
베를린 공방전 러시아국 독일제국
자유 폴란드군
벨라루스 국민군
한니발 작전 독일제국
발트연합공국
리투아니아
핀란드 왕국
스웨덴 왕국
덴마크 왕국
러시아국
1942년
슈테틴 전투 독일제국 러시아국
천왕성 작전 러시아국
세르비아
루마니아
그리스국
독일제국
도나우 연방
1943년
1944년
1945년
※시기 구분은 전투 및 교전 발생 일자 기준, 전투 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제2차 벨트크리그 | 주요 사건
[ 펼치기 · 접기 ]
연표 사건
1936년
2월
오스트리아의 이탈리아 공화국 철수 |
7월
스페인 내전 |
12월
미합중국 내전
1937년
5월
제7차 대타협 · 헝가리 반란 |
11월
사막전쟁
1938년
7월
하산 호 전투
1939년
9월
독일 침공(제2차 벨트크리그 발발) · 독일 본토 항공전 |
10월
엘자스-로트링겐 전역 · 브뤼셀 전투 |
11월
헬리펙스 회담
1940년
1월
아일랜드 전역 |
3월
켈트 해 해전 |
4월
비스마르크 추격전|
5월
암스테르담 철수 작전 |
6월
포항 상륙작전 |
7월
아헨 전투
1941년
2월
라인 강 대공세 · 프랑크푸르트 공방전 |
6월
바그라티온 작전(독러전쟁, 겨울전쟁 발발) |
7월
함부르크 공방전 · 대한 해협 돌파 작전 |
9월
쾨니히스베르크 포위전개성 전투 |
10월
베를린 공방전 |
11월
한니발 작전 |
12월
진주만 공습(태평양 전쟁 발발)
1942년
4월
백마고지 전투 |
7월
1차 엘 알라메인 전투 |
8월
드레스덴 공방전 |
10월
2차 엘 알라메인 전투
1943년
1월
트리폴리 회담 |
2월
제3차 브레슬라우 전투 |
7월
포젠 전투 |
12월
낫질 작전(아르덴 대공세)
1944년
5월
제3차 부산 전투 |
6월
마르세유 상륙작전 · 바르바로사 작전 |
7월
사빈코프 암살 미수 사건 |
8월
키이우 봉기 |
9월
샤른호르스트 작전
1945년
1월
아우구스투스의 몰락 작전(드네프르-돈 공세) |
1월
슈비네뮌데 회담 |
2월
브리튼 전투(바다사자 작전 · 귀향 작전 · 리즈 폭격) |
4월
모스크바 공방전 · 러시아국의 항복 |
8월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 일본인민공화국의 항복 |
9월
제2차 벨트크리그 종전
※ 매년 전황·추세 등 상세한 내용은 연표 해당 연도 참고
코르순-체르카시 포위전
Kesselschlacht_von_Tscherkassy
Корсунь-Шевченковская битва
Battle of the Korsun–Cherkassy Pocket
제2차 벨트크리그바그라티온 작전의 일부
날짜 1941년 7월 14일~1941년 8월 6일
장소 우크라이나 코르순, 체르카시
결과 러시아군의 승리
독일군의 후퇴 성공
영향 판터-보탄 라인의 붕괴
남부집단군의 궤멸적 피해
교전국
라이히스팍트
독일제국
우크라이나
도나우 연방
모스크바 협정
러시아국
병력
◆ 포위된 병력

- 병력 58,000여 명
- 전차 59대
- 포 242문
◆ 증원군
- 병력 80,000명
- 전차 259대

병력 336,700여 명

전차 924대
항공기 1,054대
포 5,300여 문

피해규모
사상자 약 55,000명

포로 18,000명
전차 및 돌격포 300대 파괴

사상자 80,188명

전차 728대 파괴

지휘관
발터 폰 라이헤나우
에리히 폰 만슈타인
오토 뵐러(제8군 사령관)
헤르만 브라이스(제3기갑군단장)
빌헬름 슈팀머만†(제42군단장)
테오발트 리에브(제11군단장)
이반 폴타베츠-오스트랴니차
유리 튜튠니크
페트로 댜첸코
프란츠 뵈머
라브르 코르닐로프
니콜라이 바투틴
레오니트 고보로프
비탈리 프리마코프
포위전의 전개

개요

독러전쟁 중 1941년 7월 14일부터 8월 6일까지 우크라이나의 체르카시와 코르순에서 벌어진 전투. 러시아에서는 '코르순-세브첸코프스키 공세'라 부른다. 일반적으로 '체르카시 포위전'으로 부르기도 하지만 7월 14일 당시 체르카시는 러시아군이 점령한 상태였으니 엄밀히 따지면 틀린 말이다. 바그라티온 작전 작전 당시 서부 우크라이나에서 가장 중요한 전투 중 하나였다.

1941년 7월의 상황

1941년 7월, 발터 폰 라이헤나우 원수의 독일군 남부집단군은 드네프르 강 서안으로 밀려나 판터-보탄 방어선을 유지하려 애를 쓰고 있었다. 당초 독일은 30년대 초 부터 훗날 독일이 또 다시 양면전선의 위협에 빠질 것을 대비하여 동부 방어 작계에 따라 판터-보탄 방어선을 건설하고 있었으나, 직후 터진 검은 월요일로 인하여 방어선의 건설은 중단되었다. 독일이 판터-보탄 방어선의 건설을 재개할 무렵엔 인터내셔널의 공격으로 제2차 벨트크리그가 터져버렸는지라 판터-보탄 방어선의 주축인 동부방벽(Ostwall)의 건설은 심각하게 지연됐다. 그 결과, 드네프르 방어선상의 판터-보탄 방어선은 대부분 콘크리트도 없는 유개호로 만들어진 경우가 다반사였고, 결국 드네프르 강 방어선은 1941년 러시아군의 기습공격으로 시작된 바그라티온 작전을 직격탄으로 얻어맞고 대부분 붕괴되었다.

대충 만든 이런 엉성한 방어선은 그대로 붕괴되었다.

러시아군이 1941년 7월에 들어서자마자 키이우를 점령하고 키이우 서쪽으로 돌출부를 확대하는 데 성공하자, 라이헤나우는 전선을 후퇴시켜 남부의 니코폴 광산을 포기하고 집단군 중점을 중부집단군과 연결할 수 있는 북부, 4기갑군 지역에 둘 것을 제안했다. 그러나 빌헬름 2세는 니코폴 광산은 독일 전시 경제에 필수적이며, 단 한 치의 땅도 내 주지 말라며 요지부동이었다.[1] 빌헬름 2세의 결정에 따라, 니코폴 북쪽으로는 늘어날 대로 늘어난 전선을 지친 보병사단들과 기갑사단들이 지켜야 하게 되었다.

남부집단군 소속 빌헬름 슈팀머만 대장의 제42군단과 테오발트 리에브 중장의 제11군단은 B 분견군을 형성하여 체르카시 서쪽 코르순에 주둔하고 있었다. 그들은 오토 뵐러 상급대장의 제8군 전방에서 러시아군의 드네프르 강 도하를 막고 있었다. 두 군단은 마지막 남은 드네프르 강 방어선이라는 이유로 위치를 절대 사수해야만 했다. 빌헬름 2세는 이 지역은 훗날 반격에 중요한 곳이라 여겼기 때문이다. 물론 대부분의 이들은 망상이라고 생각했지만...

그 무렵, 스타프카 대리로 파견되어 우크라이나 전선군들을 통합 지휘하고 있던 라브르 코르닐로프 원수는 제8군과 B분견군 사이의 틈으로 공세를 가한다면 B분견군을 코르순과 체르카시에 포위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코르닐로프는 자신의 작전 계획을 스타프카에 보내며 승인을 요청한다.

코르닐로프 작전안에 따르면 니콜라이 바투틴 대장의 제1우크라이나 전선군과, 레오니트 고보로프의 제2우크라이나전선군 소속 전차군들이 체르카시와 코르순에 대한 2중 포위망을 형성할 것이었다. 내부 포위망은 B분견군을 직접적으로 포위망 안에 가두며, 외부 포위망은 갇힌 독일군의 탈출 기도를 차단할 것이다. 라이헤나우는 2개 군단이 포위당할 것이라며 빌헬름 2세에게 후퇴 요청을 했지만, 늘 그랬듯 라이헤나우의 요청은 거절당한다.

주공은 고보로프의 제2우크라이나전선군이 맡았으며 고보로프는 제53군, 제4근위군, 제5근위전차군을 체르카시 남서쪽에 투입시키고 후속으로 제52군, 제5근위기병군단, 제2전차군을 투입시킬 것이었다. 바투틴의 제1우크라이나 전선군은 제27군과 제40군, 새롭게 편제된 제6전차군을 북서쪽에서 투입시킬 것이었다. 당시 러시아은 독일군이 포위 기도를 눈치채지 못했다고 판단했지만, 독일 제8군 참모들은 어느 정도 러시아군의 기도를 눈치챈 상태였다.

포위

만슈타인의 역습

항복 요구와 끓어오르는 가마솥

우리는 이 지옥에서 탈출한다!

결과

기타

  1. 구데리안은 예전에 드네프르 상류 석탄광과 철광에 대해서도 똑같은 소리를 했다며 빈정거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