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차 부산 전투 (빌레펠트)

공지
| 빌레펠트 연재부
빌레펠트는 현재 노후문서재정비촉진사업을 진행중입니다. 현재 설정과 맞지 않는 문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제2차 벨트크리그 | 주요 사건
[ 펼치기 · 접기 ]
연표 사건
1936년
2월
오스트리아의 이탈리아 공화국 철수 |
7월
스페인 내전 |
12월
미합중국 내전
1937년
5월
제7차 대타협 · 헝가리 반란 |
11월
사막전쟁
1938년
7월
하산 호 전투
1939년
9월
독일 침공(제2차 벨트크리그 발발) · 독일 본토 항공전 |
10월
엘자스-로트링겐 전역 · 브뤼셀 전투 |
11월
헬리펙스 회담
1940년
1월
아일랜드 전역 |
3월
켈트 해 해전 |
4월
비스마르크 추격전|
5월
암스테르담 철수 작전 |
6월
포항 상륙작전 |
7월
아헨 전투
1941년
2월
라인 강 대공세 · 프랑크푸르트 공방전 |
6월
바그라티온 작전(독러전쟁, 겨울전쟁 발발) |
7월
함부르크 공방전 · 대한 해협 돌파 작전 |
9월
쾨니히스베르크 포위전개성 전투 |
10월
베를린 공방전 |
11월
한니발 작전 |
12월
진주만 공습(태평양 전쟁 발발)
1942년
4월
백마고지 전투 |
7월
1차 엘 알라메인 전투 |
8월
드레스덴 공방전 |
10월
2차 엘 알라메인 전투
1943년
1월
트리폴리 회담 |
2월
제3차 브레슬라우 전투 |
7월
포젠 전투 |
12월
낫질 작전(아르덴 대공세)
1944년
5월
제3차 부산 전투 |
6월
마르세유 상륙작전 · 바르바로사 작전 |
7월
사빈코프 암살 미수 사건 |
8월
키이우 봉기 |
9월
샤른호르스트 작전
1945년
1월
아우구스투스의 몰락 작전(드네프르-돈 공세) |
1월
슈비네뮌데 회담 |
2월
브리튼 전투(바다사자 작전 · 귀향 작전 · 리즈 폭격) |
4월
모스크바 공방전 · 러시아국의 항복 |
8월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 일본인민공화국의 항복 |
9월
제2차 벨트크리그 종전
※ 매년 전황·추세 등 상세한 내용은 연표 해당 연도 참고
제3차 부산 전투
Third Battle of Busan
第3次釜山戦闘
제2차 벨트크리그아시아 전선의 일부
날짜
1944년 5월 16일~1944년 6월 6일
장소
대한제국, 부산시
교전국 대한제국 일본인민공화국
지휘관 안중근
이범석
김홍일
김종오
백선엽
김원봉[1]
우메즈 요시지로
이무라 조
허민국
병력 105만 4천명 71만 2천명
피해규모 총 사상자 약 28만명 총 사상자 약 36만명
포로 22만명
결과
대한제국의 대승
영향
한반도에서 일본군 완전 축출
한국전선 종결
일본군이 괴멸적인 타격을 입음
낙동강 물을 떠 마시는 6사단 7연대의 병사

개요

원수부 발표.

오늘 6월 6일, 오전 3시를 기점으로 치열하게 진행된 시가전 끝에, 이범석 원수의 제1 야전군이 일본군과 괴뢰군의 잔당들을 분쇄하며 부산 시내에 입성, 적의 마지막 배가 격침 되면서 부산에서의 전투가 완전히 종결되었다.

부산이 4년간의 압제를 끝내고 완전히 해방되었다!
부산 수복 방송

제3차 부산 전투, 또는 부산 수복전이라고 불리는 전투는 1944년 5월 16일 부터 1944년 6월 6일까지 일본 인민공화국군 및 조선인민군[2]과 대한제국군간 부산 및 경상남도 전역에서 벌어진 전투였다.

이 전투에서 대한제국군이 일본군을 완전히 격파하고 대마도까지 수복함으로써 대한제국에서 잔존 일본군을 모두 축출하며 1940년 부터 4년 동안 진행된 한국전선이 종결되었으며, 이로써 아시아 전선의 주전장은 완전히 일본 본토로 넘어가게 된다.

배경

1944년 한국전선의 상황

한국군은 43년에 한성부를 수복했다. 일본군의 강한 저항을 분쇄하며 남하하던 한국군은 44년에 곽재우 작전을 발동,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전역에서 게릴라를 진행하던 의병들의 총 봉기를 진행했고, 의병이 주요 지역을 장악하는 것에 성공하면 공세를 진행해 일본을 완전히 한반도에서 몰아내려 했다.

봉기는 성공적이었다. 작전이 발동되자 일본군은 순식간에 혼란에 빠졌고 의병의 봉기와 한국군의 공세를 마주한 일본군은 붕괴했다. 한국군은 순식간에 전라도와 충청도에서 일본군을 몰아냈다.

그러나 경상도는 그러지 못했다. 일본의 주요 거점이었던 경상도는 그 어느 곳보다 많은 병력이 주둔하고 있었고, 경상도의 봉기는 실패, 마산 학살 등의 끔찍한 보복으로 이어졌다.

어록

부산에서의 마지막 순간은 마치 본토 결전이 실행된 순간 같았습니다. 한국군은 복수심에 불타서 물 밀듯이 밀려오고 있었고, 하늘에 아군 항공기는 보이지 않았어요. 우리 각 부대들은 참호에서 자신들의 위치를 사수하기 위해 안간힘을 썻지만, 그것이 한국군의 포병대와 기갑부대에게 분쇄되기까지는 그리 많은 시간이 걸리지 않았죠. 결국엔 부산에서 철수하는 배에 몸을 실게 되었는데, 그때 항구는 난리였어요. 부산에 이주해왔던 우리 일본인들은 이제 몰려오는 한국군을 피해 항구에 정박한 배에 몸을 실으려고 안간힘을 썻죠. 그 난리통에서 사람들을 실고서 출항한 배들 중에 한국군의 공군과 해군을 뿌리치고 본토로 도착한건 10척중에 2척도 되지 않았습니다. 그때 느꼈죠. 아, 본토 결전이 시작되면 우리 본토도 부산의 마지막 모습을 하겠구나.
미즈키 시게루 일본의 반전주의 만화가. 당시 일본군 소속.

기타

한국은 1946년 부터 부산이 해방된 6월 6일을 현충일로 지정하여 현재까지 추념일로서 기념하고 있다.

  1. 제국 익문사
  2. 통칭 괴뢰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