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993번째 줄: |
993번째 줄: |
| {{역대 만주국 내각총리대신 (개화)}} | | {{역대 만주국 내각총리대신 (개화)}} |
| {| class="wikitable" style="float: right;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left; border:2px solid #02639D; font-size:11pt; max-width:450px" | | {| class="wikitable" style="float: right;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left; border:2px solid #02639D; font-size:11pt; max-width:450px" |
| ! colspan="2" style="width=40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3F63 0%, #02639D 20%, #02639D 80%, #013F63); color: #fff;" | 만주국 제3대 내각총리대신<br>{{large|장징후이}}<br>张景惠 <nowiki>|</nowiki> Zhang Jinghui | | ! colspan="2" style="width=40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3F63 0%, #02639D 20%, #02639D 80%, #013F63); color: #fff;" | 만주국 제3대 총리대신<br>{{large|차이윈성}}<br> 蔡運升 <nowiki>|</nowiki> Tsai Yunsheng |
| |-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 #fff; " | <div style="margin: -5.0px -9.0px>[[파일:장징후이 프로필.png]]</div> | | ! colspan="2" style="background: #fff; " | <div style="margin: -5.0px -9.0px>[[파일:장징후이 프로필.png]]</div> |
2024년 9월 13일 (금) 17:21 판
목록
총리
고증 無
okgyoon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
juksan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대한민국 제18대 국무총리 조봉암 曺奉岩 | Cho Bong-am
|
|
출생
|
1898년 9월 25일
|
경기도 강화군
|
사망
|
1975년 3월 18일 (향년 76세)
|
한성부 송파구 한성아산병원
|
임기
|
제18대 대한민국 국무총리
|
1951년 8월 11일 ~ 1957년 2월 10일
|
배우자
|
김금옥 (사별) 김조이 (재혼)
|
자녀
|
1남 3녀
|
본관
|
창녕 조씨
|
호
|
죽산 (竹山)
|
학력
|
주오대학 (정치학 / 중퇴) 국방대학교 (행정학 / 학사)
|
소속 정당
|
|
의원 선수
|
9
|
의원 대수
|
12, 13, 15, 16, 17, 18, 19, 21, 22
|
소속 위원회
|
농림위원회
|
성향
|
중도좌파
사회민주주의, 자유사회주의, 민족주의, 반공주의
|
|
개요
대한민국의 제18대 국무총리.
생애
청년기와 정계입문
사회민주당으로
국무총리
자세한 내용은 조봉암 내각 (개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51년, 여운형이 본인의 개인비서가 소련의 스파이로 체포된 것에 대해 책임을 지고 사퇴하자 사민당에서는 차기 대표, 즉 국무총리가 누가 될 것인지를 결정할 임시 전당대회가 치루어졌다.
전당대회에 참가한 조봉암에게 도전장을 내민 이는 총리 대행을 맡고 있던 현직 부총리 조용은이었다. 64세의 조용은은 민족주의적 사회민주주의를 추구한 반면 53세의 조봉암은 비교적 자유주의적인 사회민주주의를 추구하였다. 두 사람 다 조씨였기에 언론에서는 그 전당대회를 '양조대전'이라고 불렀다. 당시 전당대회는 여운형의 개인비서가 소련의 스파이로 체포된 것의 여파로 치러진 전당대회였기 때문에 당원들은 조용은보다 반공주의 성향이 짙은 조봉암을 더 선호했고 결선투표에서 57%를 득표한 조봉암이 사민당 대표에 선출되어 국무총리에 취임했다.
어록
…또 박헌영을 중심으로 하는 대한공산당은 조국을 완전히 쏘련의 괴뢰화하여 민족의 이익을 무시하고 자칭 인민공화국을 선포하며 쏘련의 신탁통치를 주장하는 등 맹동을 하고 있습니다.[5] 1941년, 태평양전쟁 중 라디오 연설
|
'국가에 의한 자유'란 무엇인가. 각 개인이 자신의 정당한 꿈을 펼치는 데에 있어 국가가 걸림돌이 아닌 디딤돌이 되어주는 것이 진정한 '국가에 의한 자유'입니다. 1950년, 국민원 원내총무 기조 연설
|
우리들 자신이 더욱 민주주의 이념에 철저하고 민주주의 체제를 더욱 공고하게 함으로써 공산주의가 스며들 여지를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일입니다. 1953년, 전승절 8주년 기념 연설
|
인간의 존엄성을 무시하는 일을 없애고 모든 사람의 자유가 완전히 보장되고 모든 사람이 착취당하는 것 없이 응분의 노력과 사회적 보장에 의해서 다 같이 평화롭고 행복스럽게 잘 살 수 있는 세상[6], 이것을 가리켜서 한국의 사민주의라 해도 좋을 것입니다. 1957년, 국무총리 퇴임 연설
|
사상
소속 정당
소속
|
기간
|
비고
|
|
1919 - 1935
|
정계 입문 입당
|
무소속
|
1935
|
노선 차이로 탈당
|
|
1935 - 1975
|
창당 사망
|
각주
|
뽀그리우스 감독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틀:이달의 문화인 (개화)
대한민국 문화유공자 김정일 金正日 | Kim Jeong-il
|
|
출생
|
1941년 2월 16일
|
황해도 개성시 송악동
|
사망
|
2011년 2월 29일 (향년 70세)
|
평양부 용성구 용성역
|
직업
|
영화감독, 각본가, 극작가, 수필가
|
데뷔작
|
《꽃 파는 처녀》 (1967)[7] 《불가사리》 (1985)[8]
|
부모
|
아버지 김성주[9] 어머니 김정숙
|
배우자
|
고용희
|
자녀
|
슬하 2남 1녀
장남 김정철 차남 김정은 장녀 김여정
|
학력
|
한국대학교 (연극영화학 / 학사)
|
종교
|
개신교 (침례회)
|
신체
|
162cm, 68kg
|
소속 정당
|
무소속[10]
|
주요 수상 이력
|
대종상영화제 감독상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감독상 골든글로브 외국어영화상 청룡영화제 감독상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아카데미 최우수작품상 아카데미 감독상 아카데미 국제장편영화상
대한민국 금관문화훈장 대한민국 은관문화훈장
|
|
개요
대한민국의 예술가이자 문화 부문 국가유공자. 영화감독 겸 각본가였으며, 현재까지도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는 영화들을 만들어낸 존경받는 감독이다.
생애
작품
가족관계
김정일의 자식인 김정철, 김정은, 김여정 모두 예술인이 되어 아빠, 엄마, 세 자녀 모두가 예술인인 예술인 가족이다.
- 아내 고용희는 1952년생으로, 전통무용가였다. 국립전통무용단에서 활동하였으며 2003년 옥관문화훈장을 수훈받았다. 2014년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에서 암으로 사망했다.
- 장남인 김정철은 1981년생으로, 기타리스트이다. 현재 영국인 여자와 결혼해 자식을 낳고 영국에서 거주중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세간이 공개된 정보는 많지 않다.
- 1984년생인 차남 김정은은 김정일을 따라 영화감독이 되어 《탈북》, 《핵미사일》 등의 영화를 제작했다. 그가 감독을 맡은 영화들 중에서는 큰 흥행에 성공한 것들도 더러 있지만 사회비판적 시각이 다분했던 김정일의 작품들보다는 상업성이 강하다고 한다.
- 1988년생인 장녀 김여정은 작가 겸 사회평론가이다. <88년생 김지영>, <삶은 소대가리> 등의 소설을 썼다. 아버지인 김성주와 정치적으로 바슷한 성향을 가졌다고 평가받으며, 주로 중앙일보, 조선일보 등의 보수 성향의 일간지에 사회적 이슈나 문학을 주제로 칼럼을 쓴다.
|
개그맨 아죠씨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틀:KBS 선정 한국인이 사랑하는 코미디언
홍판표 洪判杓 | Hong Pan-pyo
|
|
출생
|
1954년 12월 5일
|
경상남도 창녕군
|
거주지
|
한성부 영등포구
|
직업
|
코미디언, MC, 배우
|
소속
|
새누리 엔터테인먼트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
링크
|
| | |
|
본관
|
남양 홍씨
|
배우자
|
|
자녀
|
|
학력
|
대학교 (학 / 학사)
|
종교
|
교
|
소속 정당
|
무소속
|
수훈 이력
|
대한민국 문화포장 대한민국 문화훈장 대통령장 대한민국 국민훈장 무궁화장
|
|
개요
대한민국의 민족주의 음악가. 대한민국의 국가인 무궁화 삼천리를 작곡한 이로도 유명하다. 국민훈장 무궁화장과 금관문화훈장의 수훈자이기도 하다.
생애
작품
관련단체
|
돋랴팜윤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틀:역대 동래부 판운 (개화)
제n대 동래부판윤 장제원 張濟元 | Chang Je-won
|
|
출생
|
1967년 4월 13일
|
경상남도 동래시 동래본구 (現 동래부 동래본구)
|
현직
|
동래부판윤
|
재임기간
|
제n대 동래부판윤
|
20nn년 월 일 ~ 년 월 일 (예정)
|
소속 정당
|
|
|
개요
각주
|
에키테이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틀:국민훈장 무궁화장 수훈자 (개화)틀:이달의 문화인 (개화)
국민훈장 무궁화장 수훈자
|
제2대 대한민국 음악가협회 회장 안익태 安益泰 | Ahn Ik-tae
|
|
출생
|
1906년 12월 5일
|
조선 평안도 평양부
|
사망
|
1965년 9월 17일 (향년 58세)
|
대한민국 평양부 평양백병원
|
직업
|
음악가, 전문지휘자
|
데뷔작
|
《한국의 생활》 (1934)
|
본관
|
순흥 안씨
|
배우자
|
김론다[11]
|
자녀
|
슬하 3녀
|
학력
|
경성예술대학교 (첼로학 / 학사) 신시네티 대학교 대학원 (첼로학 / 석사)
|
종교
|
천주교 (세례명: 요한)
|
소속 정당
|
무소속
|
성향
|
국민악파
|
수훈 이력
|
대한민국 문화포장 대한민국 문화훈장 대통령장 대한민국 국민훈장 무궁화장
|
|
개요
대한민국의 민족주의 음악가. 대한민국의 국가인 무궁화 삼천리를 작곡한 이로도 유명하다. 국민훈장 무궁화장과 금관문화훈장의 수훈자이기도 하다.
생애
작품
관련단체
|
puyi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틀:만주 건국 삼걸 (개화)
개요
청나라의 마지막 황제이자 만주국의 첫 황제. 정샤오쉬, 장징후이와 함께 만주 건국 삼걸이라 불리며, 52년간 만주의 황제로 재위했다.
생애
청의 마지막 황제
강덕재 푸이는 청의 11대 황제 광서제의 이복동생 순친왕의 아들로 태어났다. 이후 숙부 광서제가 사망하자 만2세의 나이로 서태후에 의해 청나라 황제의 자리에 올랐다. 연호는 선통. 그런데 푸이다 선통제로 즉위한지 일주일만에 후견자였던 서태후가 사망하면서 푸이의 입지가 흔들렸다.
1911년 신해혁명으로 푸이는 권력자 위안스카이의 압박에 퇴위당했으나 민국이 청나라 황실을 예우하기로 하면서 청나라 소조정의 형태로 남아있는 자금성에서 계속 지낼 수 있었다.
1915년 위안스카이가 스스로 황제의 자리에 올랐는데 이에 여러 군벌들이 반대하여 호국전쟁이 발발하였다. 결과적으로 위안스카이가 퇴위하고 곧 사망했지만 여기저기에서 군벌들이 할거하며 중국은 혼란 속으로 빠져들었는데, 이러한 혼란을 틈타 장쉰(장훈)으로 대표돠는 복벽파가 푸이를 다시 황제에 옹립하니 이것이 바로 장훈복벽이다. 하지만 민국 국무총리인 된치루이가 군대를 이끌고 북경을 접수하면서 푸이는 복위 12일만에 다시 폐위되었다.
만주로 가다
여러 군벌들이 각종 쿠데타를 일으키며 베이징의 주인은 계속해서 바뀌었는데, 이 과정에서 푸이는 모든 예우를 폐지당하고 자금성에서 쫓겨났을 뿐만 아니라 청나라 황릉인 동릉까지 계획적인 도굴을 당했다. 이런 상황에서 만주에 위성국을 세우고자 하던 한국이 육화원 요원을 보내 푸이에게 접근했고 푸이는 육화원 요원들의 도움을 받아 천진의 한국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겼다.
당시 주천진한국공사였던 변영태는 푸이에게 만주에 새 국가가 건국될 것이니 그 나라의 군주가 되어달라고 설득한다. 푸이는 중국 국민정부에 반감을 거지고 있었기에 변영태의 요청에 동의하였고, 곧 한국 특수부대의 도움으로 만주로 탈출하였다. 때마침 복벽파의 거두 정샤오쉬도 육화원 요원들의 모시기 공작으로 막 만주에 도착한 참이었다.
1927년 만주사변에서 복벽파인 전만연합임시정부가 승리하여 만주국이 건국되었고 푸이는 만주국 초대 황제에 즉위하였다. 즉위 초기에는 베이징으로 진공하여 청을 복원하고 '무도한 반역자들'을 벌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하였으나 곧 현실을 깨닫고 만주의 통치차로 만족하였다.
전시군주
1939년, 만주국의 기틀을 다진 초대 내각총리대신 정샤오쉬가 급사하자 푸이는 입법원 다수당인 민건회의 요청에 따라 방계 황실에 속해있던 아이신기오로 시치아를 새 수상에 지명했다. 입법원에서 시치아가 수상에 선출되었지만, 시치아는 정샤오쉬의 급사 이후 민건회가 보수파의 민심을 잡기 위해 내세운 인물일 뿐 아주 유능한 인물은 아니었고 그저 당 지도부에 의해 낙점된만큼 정국 장악력도 없었다. 평시라면 그럭저럭 괜찮은 수상이 되었을지도 모르지만, 임명된지 반년만에 제3차 극동전쟁이 발발해버렸다.
파죽지세로 밀고 내려오는 소련군 앞에 시치아 내각은 효과적인 대응을 하지 못했고 사실상 내각의 기능이 마비되었다. 강덕제는 시치아를 황궁으로 호출해 노발대발 화를 낸 다음 그 자리에서 해임했다. 그러고는 군인 출신인 장징후이를 불러들여 수상에 임명한 뒤 전시내각을 구성하도록 하였다. 이후 소련군이 파죽지세로 진격해오자 만주국 정부와 함께 신징을 탈출해 심양, 북안동을 거쳐 평양까지 대피하였다.
1941년 말에 소련과의 평화조약이 맺어지면서 신징으로 돌아왔지만 만주의 현지 공산주의자들에 의해 황궁이 불타면서 한동안은 다른 지역에서 지내야 했다. 장징후이 내각이 시행한 국가중건총체규획에 거금을 지출해 만주의 전후복구를 도왔다.
말년
가족사
여담
- 정샤오쉬와 막역한 사이였다. 정샤오쉬는 강덕제가 유아기에 청나라 황제였던 시절부터 공화파로부터 황정을 지키려고 애쓴 것도 있을 뿐더러 신생 만주국의 안정화에 많은 기여를 했기 때문이다. 이에 고마웠던 것인지 강덕제는 정샤오쉬의 크고작은 경조사를 꼬박꼬박 챙겨주었다.
- 정샤오쉬, 장징후이와 함께 만주 건국 삼걸이라 불리지만 정말로 강덕제가 나머지 두 사람과 동급의 공을 세웠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정샤오쉬는 사상, 잔징후이는 군사 면에서 만주국의 건국에 크게 기여했지만 강덕제는 건국 과정에서 구심점의 역할 외에는 이렇다 할 공이 없었기 때문이다.
각주
|
sain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개요
성장기
탈선
복선과 황제 즉위
생애
가족사
여담
연호 영화(榮華)
그녀의 연호는 영화(榮華)로, 영(榮)이 두 가지 의미가 있기 때문에 연호인 영화도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첫 번째 의미는 영(榮)을 영화 영으로 해석할 때다. 이 경우 영화(榮華)는 '번영하고 빛나다'라는 의미로, 국가의 번성을 기원하는 뜻을 담고 있다. 만약 영(榮)을 꽃 영으로 해석한다면 영화(榮華)는 '꽃이 빛나다'라는 의미로, 영화제 사인 개인을 가르킨다. 연호를 지을 때부터 두 가지 모두로 해석될 수 있도록 지었다.
예비 대원수
만주국 헌법상 만주국 황제는 만주군의 명목상 통수권자이자 최고 계급인 대원수를 겸임하며 동시에 만주국 황족 황위계승자는 정규군사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이 부분에서 문제가 생기는데, 영화제는 중학생 때 황위를 계승했고 규정에 따라 공군군관학교에 진학헤 군관생도가 되었다. 그런데 여기서 뮨제가 생겼더. 만주군 군관생도는 자동으로 준위의 계급을 가지고 졸업 후 임관과 동시에 소위가 되는데, 영화제는 황제를 겸하고 있으므로 자동으로 대원수 직함을 달게 되어 준위 겸 대원수가 되어버리는 것이다.
헌법은 황위계승 시에 계승자가 이미 정규군사교육을 이수한 상황을 가정하고 작성된 것이기에 영화제의 사례에서는 위계가 꼬여버렸다. 이로 인해 영화제는 정식 대원수 타이틀을 아직 쓰지 않으며 예비 대원수 만주군 통수권을 행사하지 않고있다.
각주
|
zhang
틀:글 숨김1
틀:만주 건국 삼걸 (개화)
개요
이제 여기 신만주의 아침은 밝았습니다. 침체와 우울, 혼돈과 방황에서 우리 모든 국민은 결연히 벗어나 근면협화의 국민으로 재기합시다. 새로운 정신, 새로운 자세로써 국가를 재건하고 희망찬 우리의 새 역사를 창조합시다. 장징후이, 1945년 제2차 세계대전 승전 기념 연설
|
만주의 제3대 수상. 태평양전쟁 당시 만주의 전시수상이었으며 종전 이후에는 전쟁으로 큰 피해를 입은 만주를 재건하는 데에 힘썼다. 정샤오쉬와 함께 만주인들 사이에서 존경받는 정치가 중 한 명이다.
생애
사상
사상가였던 정샤오쉬에 비해서는 장징후의의 사상이나 이념은 간단한 편이다.
소속 정당
선거 이력
각주
틀:글 숨김 끝1
chen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개요
생애
사상
소속 정당
소속
|
기간
|
비고
|
|
1922 - 1928
|
입당
|
무소속
|
1928 - 1931
|
탈당
|
틀:협화회 (개화)
|
1931 - 1960
|
창당 사망
|
선거 이력
각주
|
해참장
이재호 1897-1900
유완수 1900-1904
민영옥 1904-1905
이재호 1905-1907
구연팔 1907-1912
이봉호 1912-1914
권봉규 1914-1919
이봉호 1919-1923
허소 1923-1923
신순성 1923-1925
박종서 1925-1930
신순성 1930-1931
한만원 1931-1934
신순성 1934-1944
신성모 1944-1949
박옥규 1949-1952
손원일 1952-1959
국방상
신복모 1895-1897
윤웅렬 1897-1899
신기선 1899-1902
유혁로 1902-1905
안경수 1905
한규설 1905-1907
민영환 1907-1909
서재필 1909-1912
유완수 1912-1913
이용익 1913-1917
문창범 1917-1918
이용익 1918-1919
김창암 1919-1923
홍진 1923-1925
이범윤 1925-1927
신규식 1927-1930
이동휘 1930-1933
이병무 1933-1934
박승환 1934-1937
민영환 1937-1939
홍범도 1939-1945
최용건 1945-947
홍사익 1947-1951
지대형 1951-1953
최용덕 1953-1956
이범석 1956-1948
신성모 1958-1959
김홍일 1959-1963
김원봉 1963-1965
손원일 1965-1967
김무정 1967-1968
합참장
홍사익 1945-1947
지대형 1947-1951
최용덕 1951-1953
김홍일 1953-1959
김원봉 1959-1963
정일권 1963-1968
이종찬 1968-1970
김정렬 1970-1973
김종오 1973-1977
김영관 1977-1980
공참장
대한민국 공군참모총장
|
|
녹우크라 머통
메구크노우치
- 요사람 나라판스키 (1941-1951)
- 이세키 메구크노프 (1951-1963)
- 나라파라 출세한스카 (1963-1966)
- 우리둘 호로자시크 (1966-1975)
- 민주주이 타나판다코 (1975-1986)
- 게만 나푼스키 (1986-1989)
- 헨다니 라이코우 (1989-1991)
두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개요
|
- ↑ 전시 (제1차 세계대전)
- ↑ 전임 국무총리 이동휘의 임기 중 사망으로 인한 국무총리 대행
- ↑ 전시 (제2차 세계대전 - 극동전쟁&태평양전쟁)
- ↑ 국무총리대행: 1944년 11월 20일 ~ 1945 1월 21일
- ↑ 출처. 페이지 아래쪽 파일 미리보기나 다운로드로 확인할 수 있다.
- ↑ 사민당의 캐치프라이즈인 '모두가 행복스럽게 잘 사는 복지사회'의 원본이다
- ↑ 각본가로서
- ↑ 영화감독으로서
- ↑ 대한민국 국무총리를 역임한 그 김성주다.
- ↑ 1960년대에는 아버지 김성주의 영향으로 잠시 보수정당인 신한국당 소속으로 있었다.
- ↑ 스페인계다.
- ↑ 옛이름 하얼빈
- ↑ 명예직
- ↑ 1978년 사진
- ↑ 증조부인 강덕제 푸이와 생일이 같다.
- ↑ 취소선이 그어진 이유는 본문 '예비 대원수' 참조.
- ↑ 공군군관학교 입학 당시 신체검사 기준
- ↑ 공군군관생도라서
- ↑ 실제 대동아회의 기념사진. 왼쪽에서 두 번째가 장징후이, 네 번째가 도조 히데키로, 이 사진을 보면 신장 163cm였던 히데키에 비해 장징후이는 키가 상당히 작다.
- ↑ 그의 생전에는 협화회에 계파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았다.
- ↑
충남 태안과는 다르다! 충남 태안과는!!
- ↑ 북양정부, 지린군벌, 봉천군벌 등 다양한 집단에 소속되었었다.
- ↑ 만주 친한 복벽파 군벌들의 연합체
- ↑ 정당의 성격이었던 만주건국연합이 정부의 성격을 가진 전만연합임시정부로 개편되면서 자동 당적 상실
- ↑ 옛이름 하얼빈
- ↑ 반역 렴의로 군사재판에서 계급 박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