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헌영 (민국 38):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31번째 줄: 31번째 줄:
|-
|-
| colspan="2" |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PHY2" style="text-align: center; margin-top: -2px">'''[ 펼치기 · 접기 ]'''</div>
<div class="mw-customtoggle-PHY2" style="text-align: center">'''[ 펼치기 · 접기 ]'''</div>
<div id="mw-customcollapsible-PHY2"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div id="mw-customcollapsible-PHY2"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style="margin: 0px -10px">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style="margin: 0px -10px">
106번째 줄: 106번째 줄:
! style="background:#CC0000; color: #ffd700;" | 박헌영 관련 틀
! style="background:#CC0000; color: #ffd700;" | 박헌영 관련 틀
|-
|-
| <div class="mw-customtoggle-PHY1" style="text-align: center; margin-top: -2px">'''[ 펼치기 · 접기 ]'''</div>
| <div class="mw-customtoggle-PHY1">'''[ 펼치기 · 접기 ]'''</div>
<div id="mw-customcollapsible-PHY1"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div id="mw-customcollapsible-PHY1"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style="margin-top: -5px">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style="margin-top: -5px">

2025년 4월 11일 (금) 10:20 기준 최신판

[ 문서 보기 ]
[ 세계관 설명 ]
[ 세계관 설명 ]
중국이 제국주의에 의해서 망한다면
중국인은 망국의 인간으로 살아가게 될 것이다.
그러나 중국이 공산주의에 의해서 망한다면
중국인은 노예로도 살아갈 수 없을 것이다.
민국 38(民國三十八)은 가장 대표적인 대체역사 소재 중 하나인 중화민국국공내전 승리를 가정한 세계관 입니다.
민국 38년(1949년) 중화민국의 국공내전 승리 이후 중국과 동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변화한 여러 정치, 사회, 문화, 역사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책임비서
[ 펼치기 · 접기 ]
초대
김재봉
제2대
강달룡
제3대
김철수
제4대
안광현
제5대
김준연
제6대
김세연
제7대
차금봉
제8대
박헌영
제9대
이승엽
제10대
김일성
한국공산당 중앙위원장
제1-3대 조선공산당 책임비서
박헌영
朴憲永 | Pak Hon-yong
출생 1900년 5월 28일
충청도 대흥군 거변면 신양동 빗돌마을
(現 충청남도 예산군 신양면 청신로 379)
사망 1995년 5월 19일 (향년 94세)
알바니아 티라나
본관 영해 박씨 (寧海)[1][2]
덕영(德永)
이정(而丁)[3], 이춘(而春)
서명
[ 펼치기 · 접기 ]
부모 아버지 박현주
생모 이학규(李學圭)
적모 탐진최씨(耽津崔氏)
서모
배우자 주세죽(朱世竹)
정순년(鄭順年)
윤레나(Лена Юн 본명: 윤옥)
자녀 슬하 2남 2녀
학력 대흥공립보통학교 (졸업)
경성고등보통학교 (졸업)
국제레닌학교
종교 무종교 (무신론)
신체 161cm
최종 당적 틀:한국공산당 (민국 38)
지역구 원산시 갑
의원 선수 3 (민)
의원 대수 1, 2, 3
주요 경력 고려공산청년회 책임비서
조선청년총동맹 중앙검사위원
코민테른 동양비서부 조선위원회 위원
경성콤그룹 지도자
제1·2·3대 조선공산당 총비서

1.개요

대한민국의 반수정주의 공산주의 계열 정치인이자 독립운동가.

일제강점기와 광복 전후로 대표적인 독립운동가이자 공산주의자로 유명했으며

2.생애

2.1.광복 이전

1900년 5월 28일 충청남도 대흥군 거변면 신양동 빗돌마을의 양반가에서 아버지 박현주(朴鉉柱)와 어머니 이학규(李學圭) 사이의 서자로 태어났다. 대흥공립보통학교 졸업후 우수한 성적을 바탕을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에 진학하였으며 YMCA 활동도 하였다. 1919년 2월 경성고보를 졸업하고 3.1운동을 경험하며 화요파에서 활동하다가 상하이에 가게 된다.

상하이에서 활동을 하던 와중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에 가입하였으며 1922년 소련 모스크바에서 열린 극동 피압박민족 대회에 참가한 이후 코민테른의 지시를 받아 국내에서 조선공산당을 창당하려 하였으나 일제에 의해 체포되어 2년간 옥고를 치뤘다. 석방 이후에는 동아일보 기자로 취직하였으며 화요파 조선공산당 창당에 관여하였다. 기자로 재직하던 와중 주세죽과 결혼식을 올렸으나 이듬해에 일제에 의해 기자직에서 해임되고 만다.

1925년 제1차 조선공산당 검거사건 당시 종로경찰서에 의해 체포되었고 신의주 재판소에서 재판을 받았으나 재판와중 재판정에 달려든 이후 심각한 수준의 폭행을 당하여 인분을 섭취하는 등의 정신이상 증세를 보여 병보석으로 1927년 11월 22일에 석방되었으며 1928년 소련 블라디보스토크로 아내와 함께 탈출해 버렸다. 1928년에는 모스크바로 이주하여 국제레닌대학에 입학하였으며 29년에는 졸업과 동시에 소련공산당에 입당하였다.

1931년 상해로 돌아가 "코뮤니티"라는 잡지를 국내로 반입시겼으나 윤봉길 의사의 의거이후 강화된 일제의 단속에 의해 검거되어 1934년 국내로 압송되어 6년형을 선고받았고 1939년 형기를 1년 남기고 가석방되었다. 1939년 12월 12일에 경성콤그룹에 영입되어 기관지 집필을 맡았으며 1941년 경성콤그룹에 대한 검거가 시작되자 전라남도 광주로 도피하여 아시아 태평양 전쟁 기관동안 노동자로 위장하여 은거하였다.

2.2.해방정국

2.3.김일성과의 당권다툼

2.4.말년과 사망

3.평가

4.소속 정당

5.선거 이력

6.여담

7.둘러보기

박헌영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민의원의원 (함남 원산시 갑)
제헌국회 출범 제1-3대
박헌영
제4-n대
김학철

공산주의
[ 이념 전반 ]
[ 이념 전반 ]
분파 마르크스-레닌주의
현실사회주의 (신시대 현실사회주의) · 카스트로주의 · 호자주의 · XX주의 (마르크스-레닌-XX주의) · 중국특색 사회주의 (신민주주의 · 신노선) · 일본형 사회주의 (미야모토 노선 · 후와 비전)

볼셰비키-레닌주의
파블로주의 · 신트로츠키주의 (클리프주의) · 제3의 진영 · 포사다스주의)

그 외: 사회적 아나키즘 · 좌익공산주의 · 서구 마르크스주의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 국민공산주의 · 유럽공산주의 · 기독교 공산주의
인물 카를 마르크스 · 프리드리히 엥겔스 · 카를 카우츠키 · 블라디미르 레닌 · 레프 트로츠키 · 미하일 칼리닌 ·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 나데즈다 크룹스카야 · 이오시프 스탈린 · 라브렌티 베리야 · 유리 안드로포프 · 겐나디 주가노프 · 요시프 브로즈 티토 · 천두슈 · 리다자오 · 류사오치 · 저우언라이 · 덩샤오핑 · 천윈 · 후야오방 · 자오쯔양 · 왕밍 · 장궈타오 · 린뱌오 · 체 게바라 · 피델 카스트로 · 라울 카스트로 · 로자 룩셈부르크 · 프랑수아 노엘 바뵈프 · 루이 오귀스트 블랑키 · 카를 리프크네히트 · 안토니오 그람시 · 호찌민 · 응우옌반린 · 보응우옌잡 · 폴 포트 · 쑤파누웡 · 담딘 수흐바타르 · 허를러깅 처이발상 · 고토쿠 슈스이 · 도쿠다 규이치 · 노사카 산조 · 미야모토 겐지 · 후와 데쓰조 · 시이 가즈오 · 박헌영 · 이관술 · 김일성 · 김두봉 · 최창익 · 김무정 · 빌헬름 피크 · 발터 울브리히트 · 에리히 호네커 · 요한 코플레니히 ·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 · 엔베르 호자 · 이라즈 에스칸다리 · 모하마드 나지불라 · 헹크 스네이블릿 ·호세 카를로스 마리아테기 · 밥 아바키안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 헬렌 켈러 · 김알렉산드라
이론 공산주의 · 사회주의 · 노동가치론 · 변증법적 유물론 · 마르크스 경제학 · 여성해방론 · 프롤레타리아 독재 · 민주집중제 · 계획경제 · 반자본주의 · 무신론 · 사회주의법 · 인민민주주의 · 사회주의 문화
정당 공산당
상징 낫과 망치 ·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붉은 별 · 적기
관련 문서 분파 · 역사 · 서기장 · 적색테러 · 탈공산주의 · 통일전선 · 레닌주의 · 틀:스탈린주의 · 틀:트로츠키주의 · 파일:XXX 투명.svg 틀:XX주의
[ 정당·조직 ]
[ 정당·조직 ]
취소선: 역사적으로 공산주의를 표방했던 정당 · 볼드체: 여당 또는 연립여당 · 이탤릭체: 당 내 일부 분파가 공산주의를 표방하는 정당
현존 정당
아시아 한국공산당 대한민국 (민국 38)의 기 · 중국공산당 중국 (민국 38)의 기 · 중국지헌당 중국 (민국 38)의 기 · 몽골 인민당 중국 (민국 38)의 기(몽골 자치구 (민국 38)의 기) · 티베트 공산당 중국 (민국 38)의 기(티베트 자치구 (민국 38)의 기) · 일본공산당 일본인민공화국 (민국 38)의 기 · 베트남 노동당 베트남 (민국 38)의 기 · 라오 애국전선 라오스 (민국 38)의 기 · 버마 공산당 버마 (민국 38)의 기 · 태국공산당 태국 (민국 38)의 기 · 민주당 캄보디아 (민국 38)의 기 · 인민단체 캄보디아 (민국 38)의 기 · 네팔 공산당 (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네팔의 기 · 네팔 공산당 (XX주의 센터) 네팔의 기 · 네팔 공산당 (통합 사회주의) 네팔의 기 · 전인도 사회주의 협회 인도의 기 · 말라야 공산당 말라야의 기 · 이란 인민전사기구 이란의 기 · 투데당 이란의 기 ·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아프가니스탄의 기 · 예멘 사회당 예멘의 기
유럽 유럽 좌파당 · 유럽의회 좌파-GUE/NGL · 소련 공산당 소련 (민국 38)의 기 · 프랑스 공산당 프랑스의 기 · 신인민전선 프랑스의 기 · 스페인 공산당 스페인의 기 · 우니다스 프로그레시타 스페인의 기 · 포르투갈 공산당 포르투갈의 기 · 그리스 공산당 그리스의 기 · 튀르키예 공산당 튀르키예의 기 · 튀르키예 노동자당 튀르키예의 기 · 노동인민진보당 키프로스의 기 · 독일 공산당 독일의 기 · 벨기에 노동당 벨기에의 기 · 스위스 노동당 스위스의 기 · 연대 스위스의 기 · 적색당 노르웨이의 기 · 오스트리아 사회노동당 오스트리아 민주공화국의 기 · 헝가리 사회노동당 헝가리의 기 · 폴란드 통일노동당 폴란드의 기 · 알바니아 노동당 알바니아의 기 ·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유고슬라비아의 기 · 불가리아 공산당 불가리아의 기 ·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체코슬로바키아의 기 · 루마니아 공산당 루마니아의 기 ·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동독의 기 · 사회당 네덜란드의 기 · 이윤 이전에 인민 아일랜드의 기
아프리카 경제자유투사당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기 · 기니카보베르데 아프리카독립당 기니비사우의 기 · 모잠비크 해방전선 모잠비크의 기 · 상투메 프린시페 해방운동-사회민주당 상투메 프린시페의 기 ·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 앙골라의 기 · 앙골라 해방인민운동 앙골라의 기 ·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 - 애국전선 짐바브웨의 기 · 콩고 노동당 콩고 공화국의 기 · 티그라이 인민해방전선 에티오피아의 기
아메리카 미국 공산당 미국의 기 · 미국 혁명공산당 미국의 기 · 캐나다 공산당 캐나다의 기 · 쿠바 공산당 쿠바의 기 · 산다니스타 민족해방전선 니카라과의 기 · 베네수엘라 연합사회당 베네수엘라의 기 · 베네수엘라 공산당 베네수엘라의 기 · 인민진보당 가이아나의 기 · 자유 페루 페루의 기 · 브라질 공산당 브라질의 기 · 사회주의자유당 브라질의 기 · 칠레 공산당 칠레의 기 · 사회주의 운동 볼리비아의 기 · 에콰도르 공산당 - 붉은 태양 에콰도르의 기 · 에콰도르 공산당 에콰도르의 기 · 우루과이 공산당 우루과이의 기 · 파라분도 마르티 민족해방전선 엘살바도르의 기
해체된 정당 이탈리아 공산당 · 조선공산당 · 조선독립동맹 · 조선신민당 · 인도 공산당 · 인도네시아 공산당 · 말라야 공산당 · 영국 공산당 · 헝가리 노동인민당 · 튀르키예 공산당(1920년) · 호주 공산당 · 중국공산당(비타협파)
국제조직 코민테른 · 코민포름 · 코메콘 · 바르샤바 조약기구 · 인터내셔널 · 공산당-노동자당 국제회의 · 세계반제플랫포옴 · 각종 공산주의 정당 연합
[ 국가 ]
[ 국가 ]
인민공화국 또는 사회주의 공화국을 표방하는 국가
 ·  ·  ·  ·  ·  ·  ·  ·  ·  ·  ·  ·  · 
공산주의 정당이 여당으로 집권 중인 국가 (: 연립정부의 일원)
 ·  ·  ·  ·  ·  · 
붕괴된 국가
 ·  ·  ·  ·  ·  ·  ·  ·  · 

  1. 박제상(朴堤上, 363년 ~ 419년)의 55세손으로, 태사공파 예산문중 56세 ◯영(永) 항렬.(족보)
  2. 오랫동안 밀양 박씨로 잘못 알려져 있었으나 박헌영의 아들 원경스님이 1997년 인터뷰를 통해 바로잡았다.
  3. 의미는 "인민의 고무래", 즉 하층 농민 계급을 대변한다는 의미에서 지은 것인데 1929년 소련에서 유학 생활 중 썼던 호이자 필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