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습장:쿠리오/5: 두 판 사이의 차이

1,489번째 줄: 1,489번째 줄:
! colspan="2" style="background: #013F99; color: #FFF;" | [[대한민국 중추원 (리좀)|{{글씨 색|#fff|중추원}}]] 의원
! colspan="2" style="background: #013F99; color: #FFF;" | [[대한민국 중추원 (리좀)|{{글씨 색|#fff|중추원}}]] 의원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2"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transparent; color:#000;"><div style="margin: -2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2"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transparent; color:#000;"><div style="margin: -2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2"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4.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2px;width: calc(100% + 4px); text-color:transparent; color:#000;"><div style="margin: -2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2"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2"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4.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4.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2px;width: calc(100% + 4px); 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2px;width: calc(100% + 4px); 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
| style="border-left:transparent; width: 120px;" | {{사회민주당 (개화)/행정구역}}
| style="border-left:transparent; width: 120px;" | {{민주연맹 (개화)/행정구역}}
| 9석
| 1석
|-
| {{국민의당 (개화)/행정구역}}
| 7석
|-
|-
| style="border-left:transparent" | {{자유당 (개화)/행정구역}}
| {{새천년민주당 (개화)/행정구역}}
| 1석
| 1석
|-
|-
| style="border-left:transparent" | {{인민의힘 (개화)/행정구역}}
| style="border-left:transparent" | {{제주노동당 (개화)/행정구역}}
| 1석
| 1석
|-
|-
| style="border-left:transparent" | {{국민연대 (개화)/행정구역}}
| style="border-left:transparent" | {{정당 해오름 (개화)/행정구역}}
| 1석
| 1석
|-
|-
|}</div></div>
|}</div></div>
|-
|-
! colspan="2" style="background: #013F99; color: #FFF;" | 구청장
! colspan="2" style="background: #013F99; color: #FFF;" | 시장구청장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4"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transparent; color:#000;"><div style="margin: -2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4"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transparent; color:#000;"><div style="margin: -2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4"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4"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2023년 4월 26일 (수) 15:09 판

목록

아쎄이! 이 문서에 들어왔다면 희망을 버려라!!

총리

고증 無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개요

역대 총리


대한민국 국무총리
대수 이름 임기 정당 총선
1

김옥균
(1851~1907)
1884년 12월 17일 ~ 1896년 9월 13일
(11년 274일)
개화당 1893
2

이완용
(1858~1931)
1896년 9월 14일 ~ 1899년 2월 22일
(2년 162일)
개화당 1896
3

황현
(1855~1920)
1899년 2월 23일 ~ 1901년 4월 9일
(2년 45일)
보국당 1899
4

김홍집
(1842~1910)
1901년 4월 10일 ~ 1906년 2월 9일
(4년 306일)
보수당 1902
5

박영효
(1861~1939)
1906년 2월 10일 ~ 1912년 5월 27일
(6년 109일)
개화당 1906
1910
6

유길준
(1856~1923)
1912년 5월 28일 ~ 1914년 6월 6일
(2년 10일)
개화당 1913
7

서재필
(1864~1951)
1914년 6월 7일 ~ 1918년 11월 18일
(4년 164일)
개화당 -[1]
8

이승만
(1875~1968)
1918년 11월 18일 ~ 1925년 12월 28일
(7년 41일)
대한국민회 1918
1919
1923
9 파일:손정도 4-3.png

손정도
(1881~1931)
1925년 12월 29일 ~ 1926년 3월 8일
(72일)
대한국민회 -
10

이상설
(1871~1933)
1926년 3월 9일 ~ 1930년 3월 8일
(4년)
자유당 1926
11

양기탁
(1871~1938)
1930년 3월 9일 ~ 1934년 1월 16일
(3년 311일)
한인사회당 1930
12

이동휘
(1873~1935)
1934년 1월 16일 ~ 1935년 1월 31일
(1년 16일)
한인사회당 1934
-[2]

신채호
(1880~1936)
1935년 2월 1일 ~ 1935년 4월 10일
(71일)
한인사회당 -
13

유동열
(1885~1950)
1935년 4월 11일 ~ 1935년 5월 26일
(46일)
한인사회당 -
14

안창호
(1878~1947)
1935년 5월 27일 ~ 1940년 7월 14일
(5년 49일)
대한민주당 1935
1938
15

김창암
(1876~1953)
1940년 7월 15일 ~ 1944년 11월 20일
(4년 128일)
대한국민회 -[3]
16

조만식
(1883~1954)
1944년 11월 21일 ~ 1945년 7월 8일[4]
(230일)
대한민주당 -
17

여운형
(1886~1979)
1945년 7월 9일 ~ 1951년 8월 10일
(6년 32일)
사회민주당 1945
1947
-

조용은
(1887~1958)
1951년 8월 11일 ~ 1951년 10월 9일
(60일)
사회민주당 -
18

조봉암
(1898~1975)
1951년 8월 11일 ~ 1957년 2월 10일
(5년 124일)
사회민주당 1951
1954
19

윤보선
(1897~1975)
1957년 2월 10일 ~ 1959년 6월 10일
(2년 123일)
신한국당 1957
20

장면
(1899~1981)
1959년 6월 11일 ~ 1969년 9월 10일
(10년 92일)
신한국당 1959
1962
1966
21

김성주
(1912~1994)
1969년 9월 11일 ~ 1969년 12월 28일
(109일)
신한국당 -
22

장준하
(1918~1987)
1969년 12월 29일 ~ 1972년 6월 16일
(2년 200일)
자유당 1969
23

김철
(1926~1998)
1972년 6월 17일 ~ 1973년 9월 4일
(1년 80일)
사회민주당 1972
23

김영삼
(1928~2015)
1973년 9월 5일 ~ 1979년 4월 12일
(5년 일)
사회민주당 1974
1977
24

이범석
(1925~2005)
1979년 4월 13일 ~ 1981년 4월 13일
(2년 1일)
무소속 1979
25

김대중
(1924~2011)
1981년 4월 14일 ~ 1990년 1월 25일
(8년 일)
신한국당 1981
1985
1988
26

이기택
(1937~2016)
1990년 1월 26일 ~ 1995년 3월 27일
(5년 일)
신한국당 1990
1992
27

홍숙자
(1933~)
1995년 3월 28일 ~ 1997년 5월 2일
(2년 일)
사회민주당 1994
28

이회창
(1937~)
1997년 7월 26일 ~ 2003년 9월 27일
(4년 일)
신한국당 1997
2000
29

노무현
(1946~)
2003년 12월 29일 ~ 2007년 6월 9일
(3년 일)
자유당 2003
30

김문수
(1951~)
2007년 6월 10일 ~ 2016년 3월 21일
(8년 일)
사회민주당 2007
2010
2012
31

정병국
(1937~)
2016년 3월 22일 ~ 2021년 9월 8일
(5년 일)
신한국당 2016
2019
32 파일:원희룡 4-3.png

원희룡
(1937~)
2016년 3월 22일 ~ 2021년 9월 8일 신한국당 2022
.. 대한국 내각총리대신

각주

만주 총리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파일:만주 총리 휘장.png
만주국 내각총리대신
대수 이름 임기 정당 총선
1

정샤오쉬
(1860~1939)
1927년 3월 9일 ~ 1939년 11월 24일
(11년 261일)
민주건국회 1928
1932
1935
2 파일:시치아 4-3.png

시치아
(1860~1939)
1939년 11월 25일 ~ 1940년 7월 23일
(240일)
민주건국회 1939
3

장징후이
(1871~1960)
1940년 7월 24일 ~ 1951년 1월 14일
(10년 175일)
협화회 1945
1948
4

차이윈성
(1879~1959)
1951년 1월 15일 ~ 1954년 5월 9일
(3년 115일)
민주건국회 1951
5 파일:창스이 4-3.png

창스이
(1885~1962)
1954년 5월 10일 ~ 1960년 2월 2일
(5년 267일)
협화회 1954
1958
6

한광
(1912~2008)
1960년 2월 2일 ~ 1967년 6월 20일
(7년 109일)
민주건국회 1960
1964
7

리판워
(1912~1987)
1967년 6월 21일 ~ 1970년 3월 9일
(2년 263일)
협화회 1967
8

한광
(1912~2008)
1970년 3월 10일 ~ 1975년 7월 6일
(5년 122일)
민주건국회 1970
1972
9

자오더준
(1913~2012)
1975년 7월 7일 ~ 1982년 9월 24일
(7년 80일)
협화회 1975
1977
1981
10

천쥔성
(1885~1962)
1982년 9월 25일 ~ 1986년 10월 2일
(4년 8일)
협화회 1984
11

한주빈
(1932~)
1986년 10월 3일 ~ 1993년 6월 20일
(6년 262일)
민주건국회 1986
1990
12

푸톄강
(1912~2008)
1986년 10월 3일 ~ 1993년 6월 20일
(6년 262일)
민주건국회 -

gaewha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개화당
한문명 開化黨
영문명 Reform Party (RP)
창당일 1884년 12월 4일
전신 급진개화파
분리된 정당 / 1918년 분당
후신
역대 총리 김옥균 / 제1대 • 1884~1896
이완용 / 제2대 • 1896~1899
박영효 / 제5대 • 1906~1912
유길준 / 제6대 • 1912~1914
서재필 / 제7대 • 1914~1918
총재 김옥균 / 초대
서재필 / 말대
이념 자유민주주의
급진적 자유주의
국민자유주의
문명개화론

헌군주의[5] (~1895)
공화주의[6] (1895~)
스펙트럼 중도 ~ 중도좌파
국민의원 77석 / 200석 (38.5%)[7]
당보 독립신문
당색
하늘색 (#00C5FF)
[8]

개요

1884년부터 1920년까지 존재했던 조선, 대한국, 그리고 대한민국자유주의 정당.

역사

태동

개화당의 기원은 19세기 중후반 고종이 실시한 개화정책과 함께하였다고 평가받는다. 개화 정책에 찬성하는 이들 중 급진적인 개파를 급진개화파라고 불렀는데, 이들은 서양의 기술 뿐만 아니라 사상과 사회제도 역시 받아들여야 한다는 문명개화론을 지지하며 서양의 기술을 받아들이되 조선 고유의 제도와 사상을 유지하자는 동도서기론을 지지하는 온건개화파와 대립했다. 이들의 리더는 김옥균이었으며, 박영효, 서광범, 홍영식, 이완용, 서재필, 윤치호 등이 핵심멤버였다.

갑신혁명과 창당

갑신혁명의 주역들[9]

고종의 개화가 지나치게 느리고 보수적이라고 생각한 급진개화파는 장변을 통해 훨씬 더 급진적인 개화를 이룰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에 일본 공사관이 공사관 경비대를 동원해 정변을 지원하겠다는 의향을 밝혔으나 급진개화파는 민심 이반을 우려하여 이를 거부했다.

1884년 12월 4일, 급진개화파는 갑신혁명을 일으켰다. 정변은 성공적이었다. 급진개화파는 인명 피해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고종의 신변을 확보하고 한성의 국가 주요 기관들을 모조리 장악했다. 속전속결이었다.

한성에 주둔하던 청군은 지일 성향의 급진개화파를 견제하고 있었으나, 워낙 갑작스러운 사태에 당황하고 있는 사이, 급진개화파는 조련국 사관장[10] 서재필 등이 이끄는 조련국 생도부대를 동원해 군권까지 장악하였고 지방조직을 통해 지방행정까지 통제하면서 청군은 개입일 시기를 놓치고 말았다.

고종을 허수아비로 만든 급진개화파는 고종의 입을 빌려 새 인사와 개혁정강을 발표를 단행하였다. 이 인사로 급진개화파 리더였던 김옥균은 총리서리에 임명되었으며 급진개화파 주요 인사들과 급진개화파에 협조적이었던 일부 온건개화파 인사들도 요직에 배치되었다. 주요 멤버들도 동시에 청군 철수도 요구하자는 의견이 있었으나 한성에서의 외국 세력 간 균형 유지를 위해[11] 보류되었다.

다당제 의회민주주의를 추구했던 급진개화파는 갑신혁명의 성공 이후 자신들의 정치적 입장을 대변할 정당이 필요하다 판단하였고 이로 인해 만들어진 정당이 바로 개화당이다. 총재에는 급진개화파의 리더인 [[김옥균 (개화)|김옥균]이 추대되었다.

집권과 실권

개화당 집회 (1897)
친서방 지식인과 상공인 등 주로 신흥 계층의 지지를 받던 김옥균 내각은 보통선거에 앞서 국민을 계몽하여 기반을 다질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고, 게혁을 통해 국민의 광범위한 지지를 확보할 때까지 총선을 연기하기로 결정하였다.

갑심혁명 이후 9년만인 1893년, 역사적인 첫 총선이 치러졌다. 총선에서 개화당은 온건개화파의 보수당과 위정척사파의 보국당을 누르고 중추원 내 단독 과반을 확보, 내각을 구성했다. 총리대신에는 기존 총리이자 개화당 총재였던 김옥균이 취임했다.

1895년, 실권 없는 얼굴마담이던 고종이 권력을 되찾기 위해 러시아와 모의 후 러시아 공사관으로 망명한 아관파천을 감행하였다. 비록 고종 아관파천은 결국 실패로 끝났지만 일국의 군주가 국민의 지지로 구성된 정부를 외세의 힘을 빌려 전복하려 했던 쿠데타였기에 이 사태는 일대의 정치격변을 몰고 왔다. 이 사태를 계기로 개화당은 헌군주의 지지에서 공화주의 지지로 전향하였고 보수당과 함께 군주정을 폐지, 민주공화국을 출범시켰다.

1896년, 김옥균이 아관파천 사태에 대한책임을 지는 모양새로 정치 일선에서 물러나게 되고, 재무부장관이었던 이완용이 당 총재로 추대되어 총리직에 취임했다. 허나 1898년, 영국의 추가적인 지원을 얻어내기 위해 김옥균 내각이 부산 절영도를 영국의 석탄 공급기지로 넘기려 하자 대규모의 만심 이반이 발생하였고[12] 개화당은 집권 14년만에 정권을 온건개화파에게 넘겨주게 되었다.

재집권과 1차 세계대전

1906년 총선에서 개화당은 재집권에 성공했고 박영효를 국무총리로 하는 박영효 내각이 출범했다.

자유당으로

20세기 초부터 제1차 세계대전을 거치며, 개화당의 전통적 라이벌이었던 보수당과 보국당은 몰락했다. 보수당은 군소정당으로 전락했고 보국당은 아예 원외로 퇴출되었다. 그 저리를 채운 것은 1차 세계대전 중이 외무성 장관을 역임하며 대중적인 인기를 얻은 이승만이 창당한 대한국민회였다. 세계대전이 끝난지 얼마후 치러진 8회 총선에서

당 강령

개혁개화선언 (改革開放宣言) 현재 조선은 크나큰 위기를 직면하고 있다. 세계 열강들은 호시탐탐 이 조선을 종속하려 하고 있으며 내부로는 탐관오리의 부패와 오랜 쇄국정책으로 썩어들어가고 있다. 이대로 간다면 조선의 4천년 독립의 불꽃이 결국 꺼져버릴 것이 자명하다.

이에 우리 급진개화파는 조국의 독립과 개혁, 개화의 선봉에 서 위기에 빠진 조국을 구출하고자 바야흐로 대한 전국의 개혁•개방 세력의 총연합체이자 총본산인 개화당을 창당한다. 우리 개화당은 헌법의 지배 아래 만민의 권리가 보호받는 대한을 건설할 것을 맹세하며, 이를 위해 개혁, 개방의 정책을 추진할 것이다.

개화당은 자유로운 선거를 통한 의회민주주의를 추구하며, 이를 통한 국민의 적극적인 정치참여가 보장되고 장려되는 국가를 만들 것이다. 또한 헌법이 보장하는 자유와 평등의 원칙 하에 만민이 공평한 권리와 기회를 보장받는 국가를 만들 것이다.

개화당은 외국의 문물을 빠르게 흡수하여 조국의 현대화를 위해 진력할 것이며, 옛시대에는 천시받았던 상공업과 신학문을 장려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산업과 학문 역시 소외받지 않도록 할 것이다.

개화당은 침략적 제국주의와 배타적 국수주의를 거부하며, 만국공법의 준수와 상호호혜의 실현으로 이루어질 세계 평화를 절대 지지한다. 개화당은 각 민족이 각자의 운명을 선택할 권리가 있음을 믿으며, 민족의 자결이 보장되는 동시에 이웃 민족간의 화합 역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일천만 국민이여! 지금 조선은 중대한 기로에 서있는 것이다. 과거로의 퇴보냐, 미래로의 진보냐의 문제에서 오직 개화당만이 명확한 해답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 개화당은 신시대를 열 준비가 되어있다!

모여라, 개화당의 깃발 아래!

당가

개화당 당가
민중의 노래가 들리는가?
Do You Hear The People Sing?

노래가 들리는가? 분노한 민중의 노래

다시는 노예처럼 살 수 없다 외치는 소리
심장 박동 요동쳐 북소리 되어 울릴 때
내일이 열려 밝은 아침이 오리라

모두 함께 싸우자 누가 나와 함께 하나
저 너머 장벽 지나서 오래 누릴 세상
자 우리와 싸우자 자유가 기다린다

노래가 들리는가? 분노한 민중의 노래
다시는 노예처럼 살 수 없다 외치는 소리
심장 박동 요동쳐 북소리 되어 울릴때

내일이 열려 밝은 아침이 오리라
개화당 당가 <민중의 노래가 들리는가?>

성향

역대 지도부


역대 개화당 총재
[ 펼치기 · 접기 ]

개화당은 34년의 기간 동안 총 6명이 총쟈의 자리를 거쳐갔는데 그 중 서광범을 제외한 5명이 총리를 역임했다. 34년 중 12년은 김옥균이 총재였다.

본부

당보

역대 선거 결과

연도 지도자 의석수 (의석율) 의석증감 지위
1893 김옥균
56 / 100 (56%)
- 여당
1896 이완용
58 / 100 (58%)
증가 2석
증가 2%
여당
1899
53 / 120 (44%)
감소 5석
감소 13.8%
야당
1902 서광범
58 / 120 (48%)
증가 5석
증가 4.2%
야당
1906 박영효
77 / 120 (64%)
증가 19석
증가 15.1%
여당
1910
65 / 120 (54%)
감소 12석
감소 10%
여당
1913 유길준
80 / 120 (67%)
증가 15석
증가 12.5%
여당
1918 서재필
77 / 200 (39%)
감소 3석
감소 28.2%
야당

각주

KNA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대한국민회
한문명 大韓國民會
영문명 Korean Nationalist Association (KNA)
창당일 1918년 1월 10일
전신
흡수한 정당 / 1919년 흡수합당
분리된 정당 / 19■■년 분당
해산일 195■년 ■월 ■일
후신
신한국당_흰색_로고타입.svg
역대 총리 이승만 / 제8대 • 1918~1925
손정도 / 제9대 • 1925
김창암 / 제15대 • 1940~1944
총재 이승만 / 초대
윤보선 / 말대
이념 보수주의
일민주의[13]
중도실용주의

내부 계파
보수자유주의
자유방임주의
기독교 민주주의
스펙트럼 우파 빅텐트 (중도 - 우익)
국민의원 68석 / 300석 (22.7%)[14]
당기
당색
남색 (#254170)

개요

1918년부터 19년까지 존재했던 대한민국보수주의 정당.

역사

대한국민회 창립대회[15]

성향

대한국민회는 보수주의 빅텐트 정당이었다. 좌로는 보수자유주의자부터 우로는 국민보수주의자까지 넓은 스펙트럼의 정치인들이 분포해 있었으며 자유보수주의 성향의 대한민주당과 함께 193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대한민국의 보수정당을 대표했다.

국민회는 애국심 강조, 사회 체제의 안정 추구, 급진적 반공정책 실시 등 보수주의, 민족주의적 성향을 보였으나 여성 인권 신장과 취업훈련 지원을 주장하는 등 진보적인 정책들도 일부 지지했다.

일민주의

대한국민회는 일민주의(一民主義/Ilminism)라는 이념을 당 강령에 명시해두었다. 일민주의는 1918년 이승만이 8회 총선 직전에 창시한 이념으로, 대한국민회가 대한민주당과 합당해 신한국당을 창당할 때꺼지 당의 공식 이념이었다.

일민주의는 (시민)민족주의에 사회자본주의를 결합시킨 이념으로, 하나의 국민(一民)은 모두가 인간적인 삶을 누릴 자격이 있다는 사상이었다. 주로 이승만의 기독교 인본주의적 사상에서 기원했다고 평가받는다.

일민주의는 1920년대까지는 경제적으로 중도좌파적인 사상이었으나 사회주의 정당인 한인사회당의 등장으로 다소 우경화되어 1930년대부터는 중도적인 이념이 되었다. 그와 별개로 일민주의는 사회적, 정치적으로는 처음부터 끝까지 우익 성향을 가지고 있었다.

역대 지도부

틀:역대 대한국민회 총재 (개화)

역대 선거 결과

연도 지도자 의석수 (의석율) 의석증감 지위 비고
1918 이승만
92 / 200 (46%)
- 여당
1919
139 / 250 (56%)
증가 47석
증가 9.4%
여당
1923
122 / 250 (49%)
감소 17석
감소 6.8%
여당
1926 손정도
80 / 250 (32%)
감소 42석
감소 16.8%
야당
1930 이시영
87 / 250 (35%)
증가 5석
증가 2.8%
야당
1934
63 / 250 (25%)
감소 24석
감소 9.6%
야당
1935 함태영
74 / 300 (25%)
증가 11석
감소 0.5%
연립여당 [16]
1938 김창암
80 / 300 (27%)
증가 6석
증가 2%
연립여당 [16]
1945 윤치영
65 / 300 (22%)
감소 15석
감소 5%
야당 [16]
1947 이범석
72 / 300 (24%)
증가 7석
증가 2.3%
야당 [16]
1951
61 / 300 (20%)
감소 11석
감소 3.7%
야당 [16]
1954 윤보선
90 / 400 (23%)
증가 29석
증가 2.3%
야당 [16]

각주

MGR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틀:만주 입법원의 원내 구성 (개화)ㄱ
민주건국회
한문명 民主建国会, 民建会
만문명 ᡳᡵᡤᡝᠨ ᠰ᠌ᠠᠶᡠᡯ ᡤᡠᡵᡠᠨ ᡝᡵᡝᡵᡝᠩᡤᡝ ᠰ᠌ᠠᢡᠠᢇ[17]
영문명 Democratic Alliance for National Construction, DANC
창당일 1927년 모월 모일
역대 총리 정샤오쉬 / 초대 • 1927~1939
주석 류궈중
부주석 한창푸[18]
이념 중도개혁주의
수정자본주의
자유주의[19]

비주류 :
사회자유주의 (당내 좌파)
사회보수주의 (당내 우파)
스펙트럼 중도 - 중도좌파
입법의원 258석 / 500석 (51.6%)
성급의회의원 281석 / 862석 (32.6%)
현급의회의원 852석 / 2484석 (34.3%)
당색
녹색 (#009259)

적색 (#D90411)
당원 수 13만 6천 명
국제조직 무소속
청년조직 민주청년회
공식 사이트
SNS | |

개요

만주의 중도 정당. 1927년 창당된 만주의 최고(最古) 정당이다. 현지에서는 주로 민건회(民建会)라 줄여부른다.

역사

1927년, 만주국이 건국되면서 만주의 첫 수상이 된 정샤오쉬는 총선을 치르고 의회민주주의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정당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이에 그가 자신을 따르는 이들과 세운 정당이 바로 민주건국회다.

민건회는 초대 총선에서 승리하며 전샤오쉬를 내각총리대신으로 하여 집권하였고, 정샤오쉬가 죽은 후에도 1940년까지 집권한다. 1940년, 제2차 극동전쟁이 발발하자 전시거국내각이 구성되었다. 이와 동시에 대소 유화론을 펼치던 민건회 소속 수상인 시치아는 사임하였고 군인 출신의 협화회 소속 장징후이가 수상에 취임하면서 민건련은 13년만에 수상직을 상실했다.

성향

중도 - 중도좌파 정당으로, 만주 정치에서 개혁파 포지션을 담당하고 있다. 보통 사회적으로는 중도, 경제적으로는 중도좌파라고 평가받는다.

사회적으로는 보수 성향의 사회보수주의자와 진보 성향의 사회자유주의자가 당내에 혼재되어있어 정확한 성향을 딱 잘라 말하기는 어렵다. 이로 인해 만주의 급진좌파 진영은 민건련을 사이비 진보정당, 혹은 심지어는 보수정당이라고까지 부른다.

경제적으로는 당원과 지도부 대부분이 수정자본주의를 지지한다. 복지 확대와 부자 증세, 국가 주도의 일자리 창출 등에 긍정적이다. 다만 사회주의(내지 사회민주주의)를 표방하지는 않는다.

역대 선거 결과

HHW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틀:만주 입법원의 원내 구성 (개화)ㄴ
파일:협화회 로고 (개화).png
협화회
한문명 協和會
만문명 ᠠᡳᠰ᠊ᡳᠯᠠᠨ ᡨᠠᡳᡶᡳᠨ ᠰ᠌ᠠᡨ᠋᠊ᠠᢇ[20]
영문명 Concordia Association of Manchuria, CAM
창당일 1927년 모월 모일
역대 총리 장징후이 / 제3대 • 1940~1952
주석 장칭웨이
총서기[21]
총비서[22]
이념 보수주의
경제적 자유주의
불교민주주의
반공주의

자유보수주의 (진보파)
국민보수주의 (보수파)
온정보수주의 (연합파)
자유지상보수주의 (신자유파)
스펙트럼 우익 빅텐트

중도우파 - 극우 (주류: 우익)
입법의원 213석 / 500석 (42.6%)
성급의회의원 486석 / 862석 (56.4%)
현급의회의원 1237석 / 2484석 (49.8%)
당색
황색 (#FFC600)

남색 (#02276C)
당원 수 13만 6천 명
국제조직 국제민주연합
중도민주 인터내셔널
청년조직 청년협화
당기
파일:협화회 당기 (개화).png
공식 사이트 파일:협화회 로고 (개화).png
SNS | |

개요

협화회만주의 보수주의 우익 정당이다. 만주에서 민건회 다음으로 역사가 길다. 현재 제1야당으로, 민건회와 대립하고 있다.

역사

성향

사회적으로는 강력한 보수주의 성향을 띈다. 낙태와 동성결혼 합법화에 반대하며 전통적 가족 가치관을 지지한다. 다만 계파에 따라 온도차가 있다. 또한 만주어의 제2국어화를 통해 만주 민족주의를 부흥시켜 민족적 가치관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경제적으로는 자유주의 성향을 띄어 친기업, 친시장적 포지션을 취하고 있다. 법인세, 소득세 감세와 작은 정부, 공기업 민영화, 민간 부문의 일자리 창출을 지지한다. 다만 온정적 보수주의 계파인 연합파는 복지에 상당히 우호적인 모습을 보인다.

외교적으로는 강력한 친서방주의, 태평양주의를 표방한다. 동맹 강화를 주장하고 미국 등 서방 세계와의 협력 증진을 지지하지만 중국과 러시아에는 상당히 부정적이다.

역대 선거 결과

각주

PPP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틀:만주 입법원의 원내 구성 (개화)÷
인민역량
한문명 人民力量
만문명 ᠨᡳᠶᠠᠯᠮᠠ ᡳ ᡨᠣᠣᠰᡝ [23]
영문명 People's Power Party, PPP
창당일 19년 모월 모일
전신 만주인민혁명당
주석 원카이쩌
이념 사회민주주의
진보주의

비주류
민주사회주의
좌익대중주의
공화주의
스펙트럼 중도좌파(주류) - 좌익
입법의원 11석 / 500석 (2.2%)
성급의회의원 15석 / 862석 (1.7%)
현급의회의원 67석 / 2484석 (2.7%)
당색
다홍색 (#F54240)
당원 수 2만 2천 명
국제조직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청년조직 청년인민역량
공식 사이트
SNS | |

개요

만주의 진보좌파 정당.

상세

인민역량의 전신은 소련의 지원을 받던 좌익 성향의 만주인민혁명당으로, 냉전 종식 후 당 내에서 온건화된 계파가 만든 정당이 바로 인민역량이다. 만주인혁당을 조상으로 하는 다른 정당들이 모두 몰락하면서 만주인혁당의 후신 중 유일하게 살아남은 정당이 되었다.

사회민주주의를 표방하는 정당으로, 소수이지만 좌익 민주사회주의자들도 있다. 군소정당들 중에는 당세가 가장 세지만 거대양당과는 차이가 매우 크다. 노동자, 빈곤 계층이 주 지지층이며, 몇몇 노조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

역대 선거 결과

극민련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틀:녹우크라이나 최고라다의 원내 구성 (개화)ㄱ
극동민주연합
영어 Democratic Union of Far East, DUFE
오어 Демократичний союз на Далекому Сході
창당일 1991년 5월 4일
역대 대통령 정샤오쉬 / 초대 • 1927~1939
대표 류궈중
원내대표
이념 보수자유주의
신자유주의
우크라이나 연합주의
스펙트럼 중도우파
입법의원 258석 / 500석 (51.6%)
성급의회의원 281석 / 862석 (32.6%)
당색
청록색 (#00B0B0)

주황색 (#F47920)
[24]
당원 수 2만 6천 명
국제조직 자유주의 인터내셔널
청년조직 극동청년연합
공식 사이트
SNS | |

개요

만주의 중도 정당. 1927년 창당된 만주의 최고(最古) 정당이다. 현지에서는 주로 민건회(民建会)라 줄여부른다.

레디깔리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틀:녹우크라이나 최고라다의 원내 구성 (개화)ㄱ
급진당
영어 Radical Party, RP
오어 Радикальна Партія (РаПа)
창당일 2002년 12월 14일
전신
틀:민주좌파동맹 (개화)
대표 세르히 푸르할
원내대표 ?
이념 진보주의
대중주의
우크라이나 연합주의

비주류
중도주의
기독교 좌파
자유사회주의
스펙트럼 중도좌파
최고라다의원 258석 / 500석 (51.6%)
당색
적색 (#D50000)
당원 수 1만 2천 명
국제조직 진보동맹
청년조직 급진청년연합
공식 사이트
SNS | |

개요

녹우크라이나의 진보 정당. 현재 우크라이나의 여당이자 원내 1당이다.

역사

역대 선거 결과




옥균's 내각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틀:역대 대한민국 국무원 내각 (개화)
김옥균 내각
李承晩内閣 | Rhee Syng-man Cabinet
1884년 12월 17일 ~ 1896년 9월 13일
출범 이전 이후
- 이완용 내각
국무총리 김옥균 / 제8대
부총리 박정양 / 외무장관 겸직 (1884년~1889년)
한규설 / 법무장관 겸직 (1889년~1892년)
이상재 / 문교장관 겸직 (1892년~1896년)
주요 선거 8회 총선 (1918)
9회 총선 (1919)
10회 총선 (1923)
여당
김옥균 국무총리

개요

1918년 11월부터 1925년 12월까지 약 7년 1개월간 이어진, 이승만을 국무총리로 한 내각. 대한국민회의 첫 내각이었다.

상세

정치

외교·국방

내정

각주

만주군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만주국군
ᠮᡠᠰ ᡝᡳ ᠮᠠᠨᠵᡠ![25][26]
우리들의 만주!
언어별 명칭 한문 : 满洲国军
만문 : ᠮᠠᠨᠵᡠ ᡤᡠᡵᡠᠨ ᡮᠣᠣᠠ[27]
영문 : Manchurian State Forces
한글 : 만주국군
대원수
(명목상 통수권자)
선화제 (만주국 황제)
내각총리대신
(실질적 통수권자)
류궈중
군무대신
연합참모총감
창군 1927년 5월 14일
전신 봉천군, 북양군 일부 등
휘하 군종 만주국 육군 (1927년 창설)
만주국 공군 (1930년 창설)
만주국 내무군 (1948년 창설)
규모 상비군 : 12만 5천 명
예비군 : 약 32만 명
병역제도 모병제
군기

개요

만주의 국군. 만주의 국방을 담당하는 군사조직이며 만주 군무부 소속이다.

역사

만주군은 스스로의 전신을 청나라군이라고 주장하지만, 실질적인 전신은 장징후이 등의 군벌 부대이다. 만주국이 건국된지 일주일 후인 1927년 모월모일에 강덕제를 통수권자로, 마진산을 총참모장으로 하여 창건되었다.

이후 만주가 국방을 사실상 한국에 의존하여 만주군은 소규모 부대를 중심으로만 편제되었었지만 1936년 이웃한 녹우크라이나에서 치올코우스키 전투로 안보 위협이 가중되자 징병제를 급히 도입하고 군비를 대폭 증강하였다. 1940년 기준 민주군은 23만 명의 상비군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전차, 야포 등 중장비가 충분하지 않았다. 특히 대전차포 등 대전차 무기가 부족하였다.

결국 제3차 극동전쟁 당시 소련군에게 탈탈 털렸고 모든 영토를 상실하여 1차 대전 당시의 벨기에 꼴이 되고 말았다. 이후 압록강에서 한국군과 함께 최후의 저항을 하다가 독소전쟁 발발로 소련이 곤경에 처해 미국의 중재로 평화협정이 체결되자 국토를 수복하였다.

냉전 당시 만주는 명목상으로는 중립국이었지만 실질적으로는 냉전의 최전선에 있는 상태였기에, 3차 극동전의 트라우마로 인해 만주는 아주 비대한 규모의 군대를 운용했다. 1970년에는 상비군이 100만 명에 이를 정도였다. 이후 데탕트를 거치며 군비 지출 등가속도가 감소하기 시작되었고 시작했고, 1980년대 중반 잠시 상승하였가다 소련의 붕괴 후 다시 감소했다. 이 추세는 200년대까지 이어져 2000년대의 연 군비증가율은 1% 내외였으며 병력은 40만 명까지 줄어들었다. 군축과 동시에 이라크, 아프가니스탄에 수천 명 규모의 평화유지군을 파병하기도 했다.

2010년댜에 들어서면서, 강력해진 중국이 과거 중국 영토였던 국가들에 압박을 가하기 시작했다. 대만, 티베트, 몽골은 물론 만주 역시 그 대상에 포함됐다. 이는 만주인들이 70년 전의 악몽을 떠올리게 만들었고 트라우마가 재발한 만주는 GDP 대비 국방비를 3.5%까지 늘리는 것을 목표로 빠른 속도로 군비 증강에 나섰다.

수뇌부

전력

지상장비
전차 3.5세대 전차 : 50대
3세대 전차 : 330대
2세대 전차 : 452대
장갑차 IFV : 475대
APC : 693대
자주포 170문
견인포 464문
다련장로켓포 146문
수송차량 약 1만 5천 대
항공장비
전투기 4세대 전투기 : 120기
3세대 전투기 : 78기
수송기 37기
조기경보기 0기
무인기 36기
공격헬기 42기
수송헬기 185기

각주




아이신기오로

아이신기오로 가문
爱新觉罗氏 | ᠠᡳᠰᡳᠨ ᡤᡳᠣᡵᠣ ᡥᠠᠯᠠ
House of Aisin-Gioro
창립일 1618년 4월[28]
창립자 아이신기오로 누르하치
지위 만주 황실
현재 수장 선화제

개요

아이신기오로 가문은 만주국의 황실이다.

역사

역대 수장

?

파일:대한민국 국장.png 현대 한국의 전쟁·전투
[ 펼치기 · 접기 ]
전쟁·전투 교전국
한청전쟁
(1894-1895)
청나라의 기 청나라
제1차 극동전쟁
(1904-1905)
러시아 제국의 기 러시아 제국
제1차 세계대전 (극동전선)
(1914)
독일 제국의 기 독일 제국
북방 출병
(1918-1920)
소비에트 연방의 기 소련
극동 공화국의 기 극동 공화국
치올코우스키 전투
(1936)
소비에트 연방의 기 소비에트 연방
제2차 극동전쟁
(1940-1941)
소비에트 연방의 기 소비에트 연방
일본의 기 일본 제국
태평양전쟁
(1941-1945)
일본의 기 일본 제국과 친구들
한중전쟁
(1956-1957)
중국의 기 중화인민공화국

헤후

틀: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 (개화)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의 자치도
제주자치도
濟州自治道
Jeju Self-Governing Province

지도를 불러오는 중...

하위 행정구역 2시 14자치구
면적 771.3㎢
인구 79만 명
인구밀도
427.6명/㎢
GRDP $1,616 (2022년)
1인당
$50,294 (2022년)
판윤 사회민주당 글씨 (개화).png

장제원 (초선)
참윤
행정 무소속 &&& (20대)
경제 ### (23대)
부의회
[ 펼치기 · 접기 ]
사회민주당 글씨 (개화).png

26석
17석
3석
틀:인민의힘 (개화)/행정구역 2석
  1. 넘겨주기 틀:전진연대 (개화)/행정구역
1석
1석
무소속 1석
교육감 진보 문상규 (재선)
중추원 의원
[ 펼치기 · 접기 ]
민주연맹 글씨 (개화).png
1석
새천년민주당 글씨 (개화).png
1석
제주노동당 글씨 백 (개화).png
1석
정당 해오름 글씨 백 (개화).png
1석
시장구청장
[ 펼치기 · 접기 ]
사회민주당 글씨 (개화).png

8석
상징
슬로건
다이나믹 동래
시화 동백꽃
시목 동백나무
시조 갈매기
지역번호 051
행정구역코드 KR-21
IATA 도시 코드
KDL
 |  |  |  |  |  | 
  1. 전시 (제1차 세계대전)
  2. 전임 국무총리 이동휘의 임기 중 사망으로 인한 국무총리 대행
  3. 전시 (제2차 세계대전 - 극동전쟁&태평양전쟁)
  4. 국무총리대행: 1944년 11월 20일 ~ 1945 1월 21일
  5. 입헌군주제
  6. 고종아관파천 이후 공식적으로 공화주의를 명시했다.
  7. 당명 변경 당시 기준
  8. 1910년대 초반까지는 특별한 정당색이 없었으나 1918년 총선 직전 하늘색을 당색으로 채택했다.
  9. 왼쪽부터 박영효, 서광범, 서재필, 김옥균
  10. 현재와 비교하자면 육군사관학교장
  11. 당시 한성에는 청군과 일본군이 공사관 경비를 명분으로 주둔해있었다.
  12. 제주도 조차지 제공 당시에는 큰 반발이 없었는데 통신 기반도 없다시피 하고 대중의 정치 관심도도 낮아서 어물쩍 넘어갈 수 있었다.
  13. 민족주의+사회자본주의
  14. 해산 당시 기준
  15. 오른쪽 열 한 번째가 이승만.
  16. 16.0 16.1 16.2 16.3 16.4 16.5 대한민주당과 선거연대
  17. 발음 : 이르건 주슈루 구룬 어러렁거 사타아
  18. 만주 부총리를 겸하고 있다.
  19. 민건회가 자유주의 정당이 맞는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20. 발음 : 아이실란 타이핀 사타아
  21. 원내대표
  22. 사무총장
  23. 발음 : 니얄마 이 모토서
  24. 공식 상징색은 주황색이었으나 좌파 계열 정당들이 적색 계통의 색깔을 주로 사용하는 바람에 차별성을 위해 청록색을 주로 사용하였다.
  25. 발음 : 무써이 만주!
  26. 만주국군의 캐치프라이즈로, 중국어가 아닌 만주어로만 외친다.
  27. 발음 : 만주 구룬 초오아
  28. 아이신기오로 성씨 사용 시작